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김소월의 한시 국역 양상과 그 문학사적 의미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8

        본고는 1920~30년대에 17제 27수의 중국 한시를 국역한 김소월의 경우가 20세기초의 다른 시인들의 국역 작업에 비해 가지는 두드러진 특징을 살피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김소월은 국역이 분명한 16제와 한시와의 상관성이 깊은 1제 11수 등 총 17제 27수의 한시 국역시를 남겼는데, 그 구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백, 두보 등의 유명 당시(唐詩)를 많이 국역하였지만, 악부 민가나 노래로 불리는 것에 대한 부제를 곳곳에 기록해두어 시와 노래에 대한 관심을 모두 보였다. 둘째, 원시(原詩)가 단연체인 것과 달리 여러 연으로 길게 국역하거나, 원시도 다연체로 재배열하는 등 한시의 함축적이고 간결한 특성보다는 동어 반복 등으로 장형화되는 국역의 특징이 보인다. 셋째, 중국의 지명을 한국화하고 특정 성별이나 인간관계를 ‘님’, ‘젊은이’, ‘우리’ 등으로 보편화할 뿐만 아니라, 다룬 작품의 내용도 이별과 사별, 고향을 떠나온 상황, 나라 잃은 상황 등으로 보편성을 지향하는 국역을 하였다. 넷째, 동어 반복, 감탄구, 의성어, 대화적 문체, 지시사 사용 등 구술적 특성이 강화될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다는 생생한 현장감과 화자의 정서 표현이 강화되는 효과를 보인다. 이러한 국역의 특성은 단순한 번역에서 나아가 원시(原詩)를 수용한 수용자의 반응을 담아 표현하는 화답시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근대시가 나아갈 방향이 기록성과 문자성 위주의 고급문학으로서의 시(詩)로서가 아니라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일상 구어로 된 노래[歌]를 포함한 시가(詩歌)를 추구하는 것이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로써 현재 위축된 시의 존재 기반을 넓히기 위해서는 시에서 시 · 가 · 요(詩 · 歌 · 謠)를 아우르는 시 의식을 회복해야 함을 김소월의 한시 국역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on Kim, So-Woel’s translation into Korean language of Chinese traditional hansi in 1920~1930s. In the early of 20th century, many poets translated foreign poetry into Korean language. It is important that it is beginning time to use Korean language as a public national written language. And some poets translated Europe contemporary poetry but others Chinese ‘traditional’ poetry. Kim, So-Woel is the representative in this literary phenomenon. First, Kim, So-Woel translated Dang dynasty’s poetry including folk songs and showed his concern on also songs not only poetry. Second, Kim translated longer than original hansi by adding new contents or dividing into several stanzas. Third, He translated Chinese original names of place and person into universal names to adjust Korean situation. And the contents of hansi are farewell, longing for lover or hometown, it is applicable to our people of Japanese colonial era. Fourth, his translated Korean poetr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rality like onomatopoeia, repetition of same words, exclamatory phrases, conversational style, demonstrative words, etc. Through these thins, translated poetry have vivid sense of realism and speaker’s emotional expression is reinforced. It shows that Kim, So-Woel’s translation is not simply change of language, but responding to Chinese poetry. Hansi was the center and representative genre in the old times, but Kim, So-Woel tried to show new modern Korean poetry’s direction by translated poetry of Korean classical rhythm and orality. His poetry consciousness shows us the way forward that modern poetry should have both orality and literacy by meeting songs.

      • KCI등재

        1910~20년대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 연구 - 최남선, 김소월, 김억, 이광수를 중심으로 -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4 No.-

        본고는 20세기 전반기에 하나의 문학사적 현상으로 나타난 시인들의 한시 국역 현상에 주목하고, 이 중에서도 1910년대에 최남선의 한시 국역 7수, 1920년대에 김소월의 6수, 김억의 6수, 이광수의 3수에 주목하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그 국역의 구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에 한시 국역을 처음 한 1910년대의 최남선은 이백, 두보 등의 유명 당시(唐詩) 및 근체시, 특히 7언시를 국역하였다. 원시(原詩)는 노래의 성향을 적지 않게 띠고 있으나 최남선은 음보율에 더 나아가 음수율에 가까운 형식을 추구하고 행말이 명사나 부사어로 끝나게 국역 한다거나 문장으로 기록된 문체로 바꾸는 등 읽고 보는 시(詩)를 지향하였다. 또한 원시보다 행수가 같거나 더 짧게 국역해서 축약함으로써 군더더기나 부연을 줄이고 독자가 시어들 간의 해석에 적극 개입하고 해석하는 여지가 마련한 점도 기록문학의 특성을 지향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1920년대에 첫 한시 국역을 한 김소월도 이백, 두보 등 유명 당시(唐詩)를 대상으로 하였고, 노래의 성향을 적지 않게 띤 중국 한시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최남선과 반대로 원시보다 더 행수나 정보량이 길어지게 국역하여 부연이나 첨가의 내용이 추가되게 하였고, 단연체 시를 다연체 시로 국역하였다. 특히 감탄구나 의성어, 동어 반복 등으로 일상 구어에 가까운 구술성을 강화하고, 보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화자 등의 시어를 바꾼 점은 노래로서의 성격을 지향하는 국역 방식을 보여준다. 셋째, 1920년대의 김억도 이백, 두보 등 유명 당시(唐詩) 및 절구를 대상으로 국역했다는 점에서 앞의 시인들과 같으나 고려 정지상의 <송인>이 한 편 들어갈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을 합쇼체의 경어체로 국역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김소월처럼 단연체의 한시를 다연체로 국역하였고, 또 특정 율격을 추구하지 않고 내용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국역을 한 점이 이후 김억의 700여 수에 가까운 한시 국역과 다른 이 시대의 특징이다. 넷째, 1920년대의 이광수도 당대(唐代) 시인인 두보의 한시를 국역하면서 다연체로 바꾼 점이 다른 1920년대 시인들과 같다. 이 외에도 대화체 및 현장감을 높이는 방식으로의 국역은 다른 1920년대 시인들과 같이 기록문학으로서의 시보다는 구술성을 추구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이 네 시인은 전통시대에 국어시가보다 위상이 높았던 중국의 옛 한시를 도리어 국어시가화하되, 1910년대의 최남선은 국문전용시대의 우리 근대시가 나아갈 방향이 기록성과 문자성을 추구하는 것이라 여겼다면 1920년대의 김소월, 김억, 이광수는 다수가 공감하며 보편성을 높일 수 있는 일상 구어 기반의 노래[歌]로서의 존재를 함께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시의식을 보여준다. 이는 당시 시인들이 생각한 근대 한국시의 지향점으로서 기록문학성만 추구한 것이 아니라 구술문학으로서의 특성도 포함한 시가(詩歌)를 근대시로서 인식한 것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한자로 되지 않았으나 근대 국어로 된 시에도 한시가 지속되고 있다는 시가 사적 지속성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나아가 비록 22수에 불과하지만 1930년대나 40년대에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을 보이게 되는 전통 한시 국역 양상의 문학사적 흐름을 살펴보는 기반으로서의 의의도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language translations of traditional Chinese hansi in the 1910s and 1920s. In the 20<sup>th</sup> century, many poets translat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hansi into Korean.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Korean language began to be used as a national public language. At that time, not only hansi but also poetry from several other languages had been translated into Korean. Choi Nam-sun in the 1910s and Kim So-woel, Kim Eok, and Lee Kwang-su in the 1920s translated Chinese traditional hansi, focusing on famous Dang dynasty poetry from Tu Fu and Li Bai, etc. Choi Nam-sun’s translation in the 1910s aimed to consider poetry as a written literature. On the contrary, Kim So-woel, Kim Eok, and Lee Kwang-su believed that Korean modern verse literature should be songs as well as poetry, and their translations in the 1920s aimed to create songs as spoken literature by focusing on orality and universality. Though Korean is now the language, the literary history of hansi continues in modern poetry.

      • KCI등재

        1930년대 정인보, 김소월의 전통 한시 국역(國譯) 연구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4

        본고는 20세기 초에 하나의 문학사적 현상으로 나타난 시인들의 외국시 번역, 그 중에서도 전통 한시의 국역(國譯)에 주목하고, 1930년대 한시를 국역한 시인들 중에 정인보와 김소월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정인보가 국역한 한시는 3수에 불과하지만, 고가(古歌) 및 여성 화자 위주의 한시를 행 구분 및 4음보 위주의 국역을 통해 문학담당층이 확대되는 새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전통 국어시가의 율격을 지속하고자 한다고 보았다. 전통 시대의 중심 갈래인 한시를 20세기에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국역(國譯)하되 국어시가사의 전통적 율격을 계승할 뿐만 아니라, 원시에 없던 일상 구어를 추가함으로써 한`시`의 국역이 오히려 구술성을 획득하는 시가(詩歌)적 지향을 보였다고 하겠다. 김소월은 1930년대에 10수의 한시를 국역하였는데, 모두 중국 당시(唐詩)로서 이별 노래가 압도적으로 많다. 일본이 동아시아 문명권의 주변부인 시대의 시이자 우리의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는 시대의 시를 국역함으로써 당시 우리 민족 모두의 정서를 대변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를 대상으로 삼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국역시는 거의 2음보격으로, 한 행이 7음절이거나, 띄어쓰기가 없이 7언절구처럼 보이는 국역시까지 있어서 시각적으로는 시(詩)로서의 정형성을, 낭독으로는 가(歌)로서의 율격을 동시에 추구하는 시가적(詩歌的) 지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원시를 읽은 독자의 반응을 표현한 수용자 중심의 국역을 보여준 점도 주목된다. 본 논의를 통해 정인보와 김소월은 전통시대 시(詩)의 중심이었던 중국 한시를 우리 `국어` `시가(詩歌)`의 전통적 율격으로 바꾸고, 새로운 시대의 문학 주체의 확장과 공감 가능한 보편적 내용으로 국역하여 20세기 한국 현대시를 모색하는 또 하나의 방안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대 한시를 국역한 세 시인 중 한 사람인 김억의 경우를 함께 살피지 못해 차후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translation of traditional hansi in the 1930s, especially poets Jeong, In-bo and Kim, Sowoel. In the 20th century, Many poets had translat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hansi into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it started Korean language as a national public language. At that time, not only hansi but also several languages` poetry had translated into Korean. First, Jeong In-bo translated 3 Chinese ancient songs which contents are about women into Korean poetry with 4 metre each lines. It means that hansi is past representative poetry genre of male poet, but he translated into women centric Korean poetry and songs because in 20th century the subject of literature enlarges into women. Besides 4 metre rhythm is traditional rhythm of Korean poetry andd songs as like Sijo and Gasa genres. So he inherited tradition in 20<sup>th</sup> century for the search Korean new modern poetry. Second, Kim So-woel translated Chinese tradition Hansi, especially Dang dynasty`s poetry of not only famous male poets like Wang Wei, but also unknown poets and female poet, etc. Poet Kim translated into Korean poetry with 2 metre each line, sometimes 7 syllables each line without word spacing like quatrain Chinese hansi genre. It means he aimed for not only songs as a spoken literature like orality and universality but also poetry visually as a written literature. It shows that they thought Korean modern verse literature should be songs as well as poetry. And it shows continuity of literary history that hansi continues in the modern poetry, though the language is Korean.

      • KCI등재후보

        담화표상이론에서의 조건적 믿음

        정소우 ( So-woo Chung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 언어와 정보 Vol.6 No.1

        This paper explores Discourse Representation Structures which can successfully describe the mental representations that discourse participants form when they hear so-called double access sentences.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double access sentences are discussed. The analysis proposed in this paper, employ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onditional beliefs' of Chung(1997), successfully explains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present or future tense in double access sentences as well as when and why the speaker should take or can be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for using present or future tense in double access sentenc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SCOPUS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Complete Radial Displacement of Tunnel Using a Horizontal Inclinometer

        Chung, So-Keul,Ryu, Dong-Woo,Jang, Won-Il,Yang, Hyung-Sik 한국암반공학회 2010 Geosystem engineering Vol.13 No.2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a tunnel is prerequisite in evaluating the stability, which also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geological condition ahead of the tunnel face. In fact, the displacement of a tunnel occur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cavation. Generally, the measurement is undertaken only behind the face, which allows a certain amount of displacement, the so-called 're-measurement-displacement' The measured displacement is only a part of the total radial displacement. Therefore, the pre-measurement-displacement should be determined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complete radial displacement of the tunnel. A horizontal inclin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settlement ahead of the tunnel face at the study site, which was relatively easy to install from the other portal of the tunnel. The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of the settlement ahead of the face enabled a complete radial displacement curve to be constructed using a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rown displacement of the tunnel at the study site started to occur at a distance equivalent to three times of the tunnel diameter ahead of the tunnel fac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mplete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the possible settlement could be about 40% of the total displacement of the tunnel. Based on the complete radial displacement,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upport characteristics and the time of installation.

      • KCI등재

        경막외 마취를 통한 무통분만이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소정(So Joung Kim),최필선(Pil Sun Choi),전현수(Hyun Su Jeon),홍혜진(Hye Jin Hong),정두용(Doo Yong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0

        N/A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pidural analgesia on the course of labor and delivery mode. Method : Three hundred eighteen term pregnant women with singleton fetus in vertex presentation were admitted for vaginal deliver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medical center Chung-ju hospital from January 1, 1998 to December 31, 1998.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pidural analgesia group and non-epidural analgesia group. Epidural analgesia group was 106 women (79 primiparas and 27 multiparas). Non-epidural analgesia group was 212 women (138 primiparas and 74 multiparas). Course of labor and delivery mode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1. The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rimiparas: 672±110 min vs 625±134 min, multiparas: 458±152 min vs 422±184 min), and that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in the primipara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epidural analgesia group than non-epidural analgesia group (62±25 min vs 42±20 min, p=0.03),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multiparas groups (36±12 min vs 31±20 min). 2.Cesarean delivery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19.8% vs 15.1%). 3.Cesarean delivery rates due to failure to progr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85.7% vs 78.1%). 4.Oxytocin augment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pidural analgesia group than in non-epidural analgesia group (primiparas: 42.3% vs 20.1%, p=0.008, multiparas: 38.5% vs 19.7%, p=0.01). 5.The newborn birthweight, Apgar score and the incidence of meconium-stained amnionic flui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6.The complication of the epidural analgesia were back pain (10.4%), shivering (7.5%), nausea and vomiting (1.3%), hypotension (0.9%), and voiding difficulty (0.9%). Conclusion : Though epidural analgesia prolonged second stage of labor in the primiparas and increased oxytocin augmentation rates but did not increased the cesarean delivery rates. So intrapartum epidural analgesia provided safe and effective pain control without undesirable effects on labor outcomes.

      • KCI등재

        갈색세포종의 임상 표현을 보인 부신 피질 선종 1예

        정문경 ( Mun Kyung Chung ),김용철 ( Yong Cheol Kim ),전은경 ( Eun Kyoung Jeon ),이근호 ( Keun Ho Lee ),맹이소 ( Lee So Maeng ),한제호 ( Je Ho Han ),문성대 ( Sung Dae Moon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4

        하나의 부신 세포에서 피질과 수질의 특징이 함께 공존하는 피질-수질세포에 관한 예들이 1960년대 이후로 보고되어 왔다. 저자들은 갈색세포종의 임상적 특징을 보이지만, 수술 후 갈색세포종의 임상증상과 생화학적 특징이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며 광학현미경상 부신 피질 선종의 특징을 보이지만, 면역조직화학 검사와 전자현미경 검사에서 피질-수질세포를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국내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The coexpression of cortical and medullary features in a single adrenal cortical cell has been recognized, leading to terms such as cortico-medullary cells. Here, we reported a case of adrenocortical adenoma consisting of cortico-medullary cells that clinically mimicked pheochromocytoma. A 52-year-old wo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complaining of an 8-month history of paroxysmal palpitation with refractory hypertension. A 24-hour urine study revealed increased norepinephrine and metanephrine levels. Computed tomography of the abdomen revealed a 1.0×0.9-cm mass in the left adrenal gland. The patient subsequently underwent unilateral laparoscopic adrenalectomy for a presumptive pheochromocytoma. Light microscopic findings of the left adrenal mass indicated an adrenocortical adenoma, but electron microscopy identified lipid vacuoles and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along with dense core neurosecretory granules, so-called cortico-medullary cell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detection of cortico-medullary cells in adrenocortical adenoma presenting as pheochromocytoma in Korea. (Korean J Med 75:479-483, 2008)

      • 急速反復動作能力에 의한 女性의 機能에 關한 硏究

        鄭淸喜,裵小心 同德女子大學校 1975 同大論叢 Vol.5 No.1

        motor avidity of human extremity is of essential factor for spor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of as follow. ① clarify individual differences in rapid response ability of coed ② clarify effect of extremity ability for spor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is the models suggested by ikai, mazei, kawazaki, 8 subjects were relected for the research and consisted with 4 players and 4 nonplayers. method of measuremet of extremity ability was used tapping test at the rate of 50mm a second. The results are as follow; ① table tennis players are most superior in rapid extremity ability and athletic sport players have no differences with nonplayers. ② There are m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rsen in rapid response ability of extremity. ③ There are severe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extremity in rapid response ability except table temus players. ④ There are sev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rapid response ability ⑤ ability of noneffective extremity is in proportion to effective extermity.

      • 初中學生의 基本的 生活習慣에 關한 韓·日의 比較硏究

        鄭昭英,朴麟基 忠南大學校體育科學硏究所 1986 體育科學硏究誌 Vol.4 No.1

        To make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basic life habit of Korean-Japanese primary iron middle school pupils,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the 3787 Korean and the 1287 Japanese pupil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tudy is as follows. 1. 90 percent and over of Korean pupils showed the attitude that they attached importance to the following items: respect of life. way of speaking, to help the weak. While 90 percent of Japanese pupils showed such a attitude about respect of life and table manners. 2. Under 50 percent of Korean pupils showed the attitude that they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following items : traffic safety. public morality, personal cleanliness, courteousness. reliability ; while under 50 percent of Japanese pupils is as follows: traffic safety. attitude of study, thought of time, public mortality. courteousness, way of speaking, to help the weak. 3. All things considered. the Korean pupils showed the altitude that they take a serious view of the fo11owing items . traffic safety. attitude of study, courteousness. way of speaking , to help the weak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