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막간 표층퇴적물 중의 금속 및 비금속 원소의 생지화확적 분포특성

        김평중,손상규,박승윤,김상수,장수정,전상백,주재식,Kim, Pyoung-Joong,Shon, Sang-Gyu,Park, Soung-Yun,Kim, Sang-Soo,Jang, Su-Jeong,Jeon, Sang-Baek,Ju, Jae-Sik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2

        양식활동이 활발한 반폐쇄적인 내만에서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4월 가막만 전역의 19개 정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여 퇴적물 중의 금속(V, Cr, Mn, Fe, Co, Ni, Cu, Zn, Ag, Cd, Hg, Pb, As), 비금속(P, Se) 및 악티늄족 중 U원소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퇴적물기준 및 농축계수를 이용하여 금속원소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V, Cr, Fe, Co 및 Ni 등은 석영희석 효과, Cd 및 U은 유기물 희석효과, Mn, Ag, As 및 Se는 만의 북부 및 남부해역 정점들에서 표층퇴적물의 강한 환원환경경하에서 이산화망간 및 황산염이 유기물 분해의 산화제로 이용되면서 화학적 재분배에 의해 농도분포가 결정되어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 퇴적물 오염 기준(SQGs)에 의한 오염평가는 As의 경우 만의 중앙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정점, Ni은 전 조사정점에서 ERL을 초과하였다. 농축계수(EF)를 이용한 평가는 Ni, Ag, Cd 및 As가 평균 EF가 1을 약간 초과하는 단계를 보였으며, 이외의 성분은 1과 유사하거나 혹은 그 이하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valuate di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in a semi-enclosed bay used as shellfish and fish farming area, the concentrations of metallic(V, Cr, Mn, Fe, Co. Ni, Cu, Zn, Ag, Cd, Hg, Ph, As) and non-metallic(P, Se) elements and uranium were measured in the surface sediment samples collected from 19 stations of Gamak Bay in April 2010. Metal contamination status in the sediments were also evaluated using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s(SQGs) proposed by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NOAA) and the enrichment factor(EF). The concentrations of elements in sediment were mainly controlled by quartz-dilution effect(V, Cr, Fe, Co and Ni), the dilution effect of organic matter(Cd and U), and metal redistribution by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Mn, Ag, As, and Se).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except As and Ni, in sediments from all sampling stations were lower than ERL values of NOAA. Conclusively, the surface sediment of Gamak Bay was slightly polluted with Ni, Ag, Cd, and Cd but was not polluted with other elements on the basis of EF result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urface sediment in Gamak Bay is not polluted by metallic elements.

      • KCI등재

        가막만 표층퇴적물 중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원소의 생지화학적 특성

        김평중,박승윤,김상수,장수정,전상백,주재식,Kim, Pyoung-Joong,Park, Soung-Yun,Kim, Sang-Su,Jang, Su-Jeong,Jeon, Sang-Baek,Ju, Jae-Sik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1

        2010년 4월 가막만 전역의 19개 정점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퇴적물의 입도 분포, 유기물의 기원, 알칼리 원소(Li, Na, K, Rb) 및 알칼리 토금속(Be, Mg, Ca, Sr, Ba)원소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해역의 퇴적물 유형은 대부분 Mud로 나타났다. Chlorophyll $a$, TOC, TN, TS 및 LOI의 경우 만의 북부해역과 어류양식장이 산재되어 있는 남측해역에서 높은 농도분포를 보였으며, 만의 중앙부에서 낮은 농도를 보였다. 이들 성분과는 반대로 산화환원전위의 경우 만의 중앙부에서 대체로 (+)값으로 산화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만의 북부해역과 남측해역에서 (-)상태로 환원환경 특성을 보였다. 유기물의 기원은 대부분 자생기원 유기물질 이였으나, 일부 정점에서 육상 및 박테리아성 유기물 기원 특성을 보였다. 알칼리 및 알카리 토금속 원소 중 Li, Na, K, Rb, Be, Mg, Ca 및 Sr의 경우 대부분의 정점에서 석영희석 효과에 의해 일차적으로 농도 분포가 결정된다. Ba의 경우 본 조사해역에서 중정석(Barite)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Sr 및 Ba의 경우 이차적으로 탄산염 희석과 산화환원전위에 의한 생지화학적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는 것으로 보인다. We measured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the grain size, loss on ignition(LOI), total organic carbon(TOC), total nitrogen(TN), total sulfur(TS) and metallic elements, in surface sediment collected from 19 stations in Gamak Bay in April 2010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dimentary types, the origin of organic matter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alkali(Li, Na, K, Rb) and alkaline earth(Be, Mg, Ca, Sr, Ba) elements. The surface sediments were mainly composed of mud.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TOC, TN, TS and LOI in sediment were the highest at the cultivation areas of fish and shellfish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parts of the bay. The redox potential(or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showed the positive value in the middle part of the bay, indicating that the surface sediment is under oxidized condition. The organic materials in sediment at almost all of stations were characterized by the autochthonous origin. Based on the overall distributions of metallic elements, it appears that the concentrations of alkali and alkaline earth elements except Ba in sediment are mainly influenced by the dilution effect of quartz. The concentrations of Sr and Ba are also dependent on the secondary factors such as the effect of calcium carbonate and the redox potential.

      • KCI등재

        황토살포에 의한 해수중 영양염류의 흡착제거기구

        김평중,허승,윤성종,Kim Pyoung Joong,Heo Seung,Yun Seong Jong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2

        황토살포에 따른 해수중 영양염 제거효율 및 제거기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황토의 입자 크기와 살포농도에 따른 경과시간별 해수중 영양염 농도변화를 실내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53$\mu$m 이하에서 500$\mu$m 크기범위의 황토입자를 해수중에 첨가하여 24시간이 경과 후, 인산인의 제거효율은 황토 살포농도에 따라 59$\~$$99\%$까지 변하였으며, 살포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효율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황토 입자크기에 따른 인산인의 제거효율의 차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규산규소의 제거효율은 황토입자 크기 및 살포 양의 차이에 관계없이 평균 약 $26\%$가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해수중 황토 살포 후, 인산인의 제거기구를 파악하기 위한 인의 존재형태별 분석결과는 $99\%$ 이상의 인산인이 철성분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에 의해 제거된다는 것을 나타내었고, 규산규소는 해수와 황토 내에 들어있는 양이온과의 이온교환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To assess the adsorption and removal mechanism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seawater by scattering yellow loess,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e change of nutrient concentration in seawater during the course of time depending on particle size and scattered concentration of the yellow loess. Twenty four hours after the addition of yellow loess in the size range of 0 $\mu$m to 500 $\mu$m in seawater, the removal rate of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yellow loes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among the removal rates depending on the size of yellow loess. On average, $26\%$ of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was reduced for the same period. No greate difference among the removal rate depending on both size and amount of yellow loess was found.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removal mechanism of DU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mostly the chemical bond with iron. More than $99\%$ of initial DU concentration was likely to be removed by this mechanism. In the case of inorganic dissolved silicate, the removal mechanism was likely to be attributed to a cation exchange between the yellow loess and seawater.

      • KCI등재
      • KCI등재

        목포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박승윤,김상수,김평중,조은섭,김숙양,최윤석,김병만,김대욱,Park, Soung-Yun,Kim, Sang-Soo,Kim, Pyoung-Joong,Cho, Eun-Seob,Kim, Sook-Yang,Choi, Yoon-Suk,Kim, Byong-Man,Kim, Dae-Uk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1979년부터 2009년까지 31년 동안 목포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5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계절별로 년 4회 수온, 염분, 부유물질, 화학적산소요구량, 용존산소, 영양염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수소이온농도 및 인산인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표 저층 간의 차이가 컸었다. 공간적 분포특성은 수온과 수소이온농도 및 용존산소는 표층과 저층 공히, 인산인과 질산질소는 저층에서 정점 간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 조사항목에서는 정점 간 차이가 컸으며 주성분 분석결과 영산강 하구역인 정점 1과 중간인 정점 2~4 및 비교적 외해 측인 정점 5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계절별로는 질산질소를 제외한 전조사 항목에서 유의성이 입증되었고, 정점별로 차이가 있어 내측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큰 상태이었고 외해 측으로 갈수록 변화폭이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30년 동안 수질의 장기 변동은 표층 네 그룹, 저층 두 그룹으로 구분되어 항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수온, 수소이온농도 및 화학적산소요구량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용존산소는 불규칙한 변곡선 형태이며, 영양염류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1990년 후반부터 그 폭이 커지는 경향으로 2009년에는 약간 안정화되는 특정을 보였으나, 경인연안, 아산연안, 천수만 및 군산연안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Long-term trend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Mokpo coastal areas of the Yellow Sea, Korea from 1979 to 2009.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5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SS), chemical oxygen demand (COD), dissolved oxygen (DO) and nutrien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pH and DO were not clear among stations but the seasonal variations were distinct except ammonium. The trend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during 30 years revealed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Spatial water qualities were discriminated into 3 clusters by PCA; station cluster 1, 2~4, and 5. Annu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discriminated into 4 surface water clusters and 2 bottom water clusters by PCA. By this multi-variate analysis, the annual trends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water temperature, pH and COD tended to increase from late 1980's, salinity to decrease, phosphate to increase from 1994 and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to increase, due to the input of fresh water same as shown in Kyoungin coastal area, Asan coastal area, Choensoo bay and Gunsan coastal area.

      • KCI등재

        Ra동위체로 본 하계 동해 남부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10^{\circ}C$ 이하 냉수괴의 기원

        양한섭,김평중,이재철,문창호,YANG Han-Soeb,KIM Pyoung-Joong,LEE Jae-Chul,MOON Chang-Ho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4

        하계 한국 동해 남부 연안해역의 4개 단면에서 1991년 9월 $2{\sim}8$일 사이에 수온관측 및 Ra동위체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온의 연직분포를 보면, 북쪽 단면 A와 B에서는 강한 계절수온약층이 대체적으로 표층 $10{\sim}30m$ 사이의 수층에 존재하고, 단면 C에서는 $30{\sim}50m$ 수층에 수온약층이 나타난다. 단면 D에서는 특이하게 2개의 수온약층이 존재하고 연안쪽 정점에서 바깥쪽 정점으로 갈수록 수온약층의 존재수심은 급격히 깊어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수온약층 상부에는 수온 $20^{\circ}C$이상의 대마난류표층수가 존재하고, 수온약층 바로 아래 수층에는 수온 $12{\sim}7^{\circ}C$의 대마난류중층수가 나타나며, 이 아래 수층에는 기원이 불분명한 $10^{\circ}C$이하의 냉수괴가 나타나고, 수심 약 150 m 이심층에는 $1^{\circ}C$이하의 동해고유수가 존재한다. 9개 정점의 $2{\sim}3$개 수층에서 채수한 해수의 Ra동위체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마난류표층수의 특성값은 Ra-228이 $225{\pm}23$ dpm/kl, Ra-226이 $99{\pm}6$ dpm/kl이며, Ra-228/Ra-226 방사능의 비는 $1.9{\sim}2.6$범위였다. 대마난류중층수의 특성값은 Ra-228이 $71{\pm}12$ dpm/kl로 표층수중 농도의 약 1/3정도이고, Ra-226은 $80{\pm}6$ dpm/kl이며, 두 동위체의 비는$0.7{\sim}1.1$범위였다. 한편, 수온 $2{\sim}6^{\circ}C$범위의 냉수괴는 Ra-228이 $59{\pm}10$ dpm/kl이고, Ra-226은 $85{\pm}9$ dpm/kl였으며, 두 동위체의 비는 $0.6{\sim}0.9$범위였다. $65{\sim}120$ m 사이의 수층에서 수온 $2{\sim}6^{\circ}C$범위를 보이는 냉수괴의 기원을 밝히기 위하여 수온에 대한 용존산소 및 Ra동위체의 농도(혹은 동위체비)의 diagram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냉수괴는 북한한류수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T-O_2$ diagram으로는 이 냉수괴의 기원은을 알기 어려웠지만 Ra동위체의 농도를 이용하면 보다 명료하게 그 기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동해에서 Ra동위체의 연직분포 측정은 각종 수괴의 혼합확산이나 변질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Radium isotopes were measured together with oceanographical parameter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East Sea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2{\sim}8$, 1991. In September, there were various water masses vertically distributed in this region due to formation of strongly seasonal thermoclines. These water masses were characterized by activity of radium isotopes as well as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Among the water masses, Japan Sea Proper Water(JSPW) below $1^{\circ}C$ had the highest Ra-226 activities but the lowest Ra-228 concentrations. However, Tsushima Surface Water (TSW) above $20^{\circ}C$ in water temperature had the highest Ra-228 which decreased sharply with depth. In TSW, Ra-228 activities were in the range of $194{\sim}270$ dpm/kl, which were approximately 10 times higher than JSPW. Activity ratios(A.R's) of Ra-228/Ra-226 were $1.9{\sim}2.6$ for TSW, $0.7{\sim}1.1$ for Tsushima Middle Water(TMW) of $12{\sim}17^{\circ}C\;to\;0.4{\sim}0.7$ for North Korea Cold Water(NKCW) with $1{\sim}7^{\circ}C$ and below 0.2 for JSPW. The Ra-228/Ra-226 ranged from 0.6 to 0.9 in the cold waters of $2{\sim}6^{\circ}C$, which were observed at depth of $65{\sim}120\;m$ in this study area. Radium isotopes provided a useful means of identifying origins of the cold water which occurred annually at intermediate or bottom layers in the southern coastal zone of the Korean East Sea. By plotting radium isotopes against water temperature, it could be observed clearly that the cold waters between $2{\sim}6^{\circ}C$ did not originate from the mixed water of JSPW and TMW but from NKCW.

      • KCI등재

        해양성 발광박테리아를 이용한 해양환경 독성평가 시험법 개발: N-Tox test

        이규태,박경수,김평중,Lee, Kyu-Tae,Park, Gyung-Soo,Kim, Pyoung-Joong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2

        해양 기원의 발광박테리아 Vibrio fischeri를 이용한 발광박테리아 독성시험법은 1980년대 초반에 소개된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용되어오다 1998년 국제공인시험법으로 등재되어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시험법은 테스트하고자하는 화학물질이나 환경시료에 발광박테리아를 30분간 노출시킨 후 나타나는 발광량 감소의 정도로서 독성 유무나 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신속성, 정밀성, 민감성, 경제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시험생물의 유지/배양없이 상용화된 키트 제품을 이용하여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성 발광 박테리아 독성평가 키트로 판매되는 상용화제품(N-Tox)을 이용하여 수행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험법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시험항목으로는 시료 주입량, 발광량과 같은 기본 항목 테스트와 표준독성물질을 이용한 정도관리 테스트, 화학물질 및 현장시료에 대한 테스트가 포함되었다. 이 시험법은 자동화되어 누구나 쉽게 수행이 가능하면서도, 시험 결과 독성물질에 대한 용량-반응 관계가 확실하게 평가되고, 정밀도가 뛰어나며, 현장시료 독성평가에 이용할 수 있을 정도의 민감성을 지닌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아직 생물검정이 보편화되지 않은 국내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표준독성시험방법의 하나로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Luminescent bacterial toxicity test was first introduced in the early 1980s, registered as international standard method in 1998 and now widely used as a common toxicity test method. This toxicity test uses luminescent bacterium, Vibrio fischeri, originated from marine environment as a test organism. The degree of toxicity can be evaluated from the comparison of luminescent emission intensity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to toxicants and materials from various environmental matrix for 30 min. This test can be carried out by using commercial products and its results are sensitive and precise. This research is on the feasibility of adopting luminescent bacterial test as a domestic standard test protocol. Using commercial products,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injection volume and light emission, and to evaluate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concentrations and light emissions. Also, the feasibility of the application to environmental media and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were checked. The results of serial toxicity tests revealed that the preliminary luminescent bacterial toxicity test was robust and suitable as a standard method.

      • KCI등재

        Daily Vari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Wonmun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in Late Summer

        강창근,이필용,김평중,최희구,KANG Chang-Keun,LEE Pil-Yong,KIM Pyoung-Joong,CHOI Hee-Gu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3

        Daily variatio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POC) and some factors controlling its level were examined for a semi-enclosed bay(Wonmun Bay, south coast of Korea), in which a lot of suspended oyster culture farms existed, in September, 1992. Observations were made at hourly interval. In spite of the relatively short survey period, strong short-term variation of POC concentration could be observed. Concentrations of POC were the range of $58{\sim}582{\mu}g/l(average 272{\mu}g/l)$ and their variation pattern was similar to those of chlorophyll a with the range of $0.90{\sim}7.25{\mu}g/l(average 3.35{\mu}g/l)$. The low C/N ratios also suggested that marine microalgae was a major component of POC for Wonmun Bay. Primary production, average $1.97\;gC/m^2/day$, was the main source of POC beacuse the supply of POC via freshwater input and exchange with the outer part of the bay was little. Oyster population also excreted a small amount of POC. About $40\%$ of produced POC was decomposed heterotrophically. Another important cause for the fluctuation of observed POC was tidal cycle. Considerable POC, which amounted $37\%$ of produced POC, was lost from the bay due to flushing by tidal cycle. It was also calculated that about $16\%$ was transported onto the sediment. It seemed that a part of POC was consumed by oyster and other heterotrophs. 진해만의 서남단에 위치하고 수하식 굴 양식의 주산지로서 널리 알려진 반폐쇄성 내만해역인 원문만에서 굴의 성장기인 9월에 주요 성장에너지원인 입자유기탄소의 일변동 양상과 농도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몇몇 요인을 조사하였다. 1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입자유기탄소의 농도는 비교적 짧은 조사기간에도 불구하고 큰 변동을 보였는데 최저 $58{\mu}g/l$에서 최고 $582{\mu}g/l$범위(평균 $272{\mu}g/l$)였고, 유사한 일변동 양상을 보인 Chlorophyll a의 농도는 0.90에서 $7.25{\mu}g/l$(평균 $3.25{\mu}g/l$)범위였다. 또한 낮은 C/N비($3.1{\sim}7.7$)는 만내의 미세조류가 입자유기탄소의 주요 구성요소임을 시사하였다. 조사수역에서 입자유기탄소의 양은 외부로부터의 유입을 거의 기대할 수 없어 비교적 높은 미세조류의 기초생산(평균 $1.97gC/m^2/day$)에 크게 의존하며 양식굴의 배설도 일부분을 차지하였다. 생산된 입자유기탄소의 약 $40\%$ 정도가 분해과정으로 제거되고 간조시 $36\%$에 달하는 입자유기탄소가 만외측으로 흘러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 $16\%$의 입자유기탄소는 저질중으로 퇴적되는 것으로 추산되었고 일부는 양식굴과 그외 타가영양생물에 의한 섭이로 소모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서식환경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의 성장과 글리코겐 및 헤모글로빈량의 변화

        박미선,임현정,김평중,PARK Mi Seon,LIM Hyun Jeong,KIM Pyoung Joong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2

        서식 환경 조사 결과 수온은 1992년에는 웅촌이, 1993 년에는 송도가 높았으며, 염분은 1992년 1월에서 5월을 제외하고는 송도 양식장이 더 높았다. 부유물질과 chlorophyll a 함량 및 저질내 COD는 송도가 높았고, DO, DIP, DIN 및 저질내 총황화물은 웅촌이 높았다. 피조개의 성장과 생리 상태를 분석한 결과, 성장, 연체부지수, 체내 글리코겐 함량과 헤모글로빈 함량 모두 송도의 피조개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송도의 피조개가 생식소 발달도 빨랐다. 본 시험에서 피조개 성장과 생리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환경 요인은 먹이생물의 양과 저질의 총황화물량으로 추정되었다.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cultured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and pre-estimation of the harvest of it,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at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hysiological conditions of the arkshell in the two experiment sites near the Chinhae Bay, Korea. For the analysis of habit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DIP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 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suspended solids and chlorophyll a of bottom water and T-S (total sulfide) 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of surface sediment were measured, To determine physiolosical condition of cultured arkshell, shell length, fatness, glycogen, hemoglobin content and gametogenesis were examined. Water temperature were higher in Woongchon than in Songdo in 1992, and were Higher in Songdo in 1993. Salinity were higher in Songdo than in Woongchon except from January to May in 1992. COD, suspended solids and chlorophyll a content were higher in Songdo than in Woongchon, while the contents of sediment sulfide, DO, DIP and DIN were higher in Woongchon. Based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ondition of arkshell were quantity of food and total sulfide content in the bottom sediment.

      • KCI등재

        여자만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박승윤,김상수,김평중,조은섭,김병만,전상백,장수정,Park, Soung-Yun,Kim, Sang-Soo,Kim, Pyoung-Joong,Cho, Eun-Seob,Kim, Byong-Man,Jeon, Sang-Baek,Jang, Su-Je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1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7 No.3

        1976년부터 2010년까지 35년 동안 여자만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경향을 조사하였다. 3개 정점에서 수층(표층과 저층)별 계절별로 년 4회 수온, 염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 및 영양염류에 대해 조사한 결과, 표층수와 저층수 간에는 수온, 염분,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및 아질산질소도 차이가 있었으나(p<0.05), 그 외 수질항목은 표 저층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공간적 분포 특성은 염분, 화학적산소요구량, 암모니아질소 및 용존무기질소는 정점간 높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p<0.0001), 그 외 조사항목에서는 정점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계절별로는 수소이온농도에서는 유의성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 모든 조사 항목에서는 유의적이 차이가 입증되었다($p{\leqq}0.0438$). 정점별 계절별 평균치의 주성분 분석결과 여자만 안쪽의 정점 1에서는 염분과 수소이온농도는 낮고, 화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 및 영양염류는 높은 상태이었으며, 만 입구 측으로 갈수록 반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1년 동안 수질의 장기 변동은 네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항목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수온,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부유물질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염분는 불규칙으로 점차 낮아지는 상태이며, 영양염류중 인산인은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증가 상태이었고, 그 후 1980년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용존무기질소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1990년 후반부터 그 폭이 커지는 추세로 2010년에는 평년의 1/3 수준의 특징을 보였다. 여자만에서 수질 특성은 경인연안, 아산연안, 천수만, 군산연안 및 목포연안과 마찬가지로 육수 유입의 원인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Long-term trend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in the Yeoja Bay of South Sea, Korea from 1976 to 201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3 station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gen ion concentration (pH), dissolved oxygen (DO), chemical oxygen demand (COD), suspended solids (SS) and nutrients.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emperature, pH and DO were not clear among stations but the seasonal variations were distinct except ammonium. The trend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during 31 years revealed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Spatial water qualities were discriminated into 2 clusters by PCA; station cluster 1 and 2~3. Annual water qualities were clearly discriminated into 4 clusters by PCA. By this multi-variate analysis, the annual trends we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water temperature, COD and SS tended to increase from late 1970's, decreased salinity, and increased phosphate from 1991 to 2001 and increased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Water quality was showed by the input of fresh water same as those of Kyoungin coastal area, Asan coastal area, Choensoo bay, Gunsan coastal and Mokpo coastal area in the Yeoja B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