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적 방법을 이용한 소아의 하악과두 골절의 처치 : 증례 보고 A case report

        이정하,박성규,위유민,정현구,이봉규,이창섭 조선대학교 구강생물학연구소 2002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26 No.2

        The pediatric condylar fracture occurs very frequently in the mandible, but this injury is occasionally ignored due to difficulty of diagnosis and no cooperation of patient. The adequate initial diagnosis and active treatment must be performed because delayed and improper treatment lead to possible severe complication such as TMJ ankylosis and retardation of mandibular development. Most pediatric condylar fracture is mainly performed by the conservative or functional treatment. but it may be required open reduction according to cases. In this study, Activator is applied for functional treatment of pediatric condylar fracture and fair recovery of jaw function is acquired.

      • KCI등재

        한국 아쟁(牙箏)과 중국 알쟁(軋箏)의 악기학적 고찰

        이유정(You-J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아쟁(牙箏)은 현재까지 원형적인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지터류 찰현악기로 전통음악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오늘날 창작 국악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음악사적 연구의 자료가 충분치 않아 악기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아쟁의 악기학적 고찰을 위해 역사적으로 유래가 같은 중국 알쟁(軋箏)의 문헌기록과 음악도상(圖像)자료등을 통해 지터류 찰현악기의 기원, 악기의 형태, 연주자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국 알쟁과 한국 아쟁은 중국의 고대 전통악기인 축(筑)의 한 형태가 기원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류 지터류 찰현악기이지만 중국의 알쟁은 연주되는 목적과 장소에 따라 악기 형태가 달랐고, 연주자세도 서서 어깨에 고정시키거나 악기를 지면에 수평으로 고정시켜 연주하는 방법이 있었다. 한국의 아쟁은 고려 때 중국에서 전해진 악기의 형태와 바닥에 앉아서 받침대 위에 악기를 놓고 연주하는 방식이 지금까지도 큰 변화 없이 전승되어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악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음악사적 의의를 찾아봄으로써 전통음악과 국악기에 대한 보존과 발전을 위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한국과 중국 전통악기 연구자들의 학문적 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악기학에 대한 다각도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jaeng is the bowed string instrument among zither instruments in East Asia, which has a circular form to date, and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instrument in today"s creative Gugak along with traditional music. Looking at previous prior studies, musical instrument studies have not been actively conducted due to insufficient data from musical history studies, and this study looked at the origin, form of musical instrument, and performance methods of zither bowed string instrument through historical records of Chinese Yazheng and music drawings. The analysis of various documents showed that Ajaeng originated from an ancient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called Chuk. In terms of the performance style, the Chinese Yazheng had different musical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location of the performance, and there was a method of standing up and fixing the musical instrument horizontally to the ground. Ajaeng in Korea has been handed down without much change in the form of musical instruments introduced in China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way they sit on the floor and play on a pedestal.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it will help to preserve and develop tradition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musical.

      • 이진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신경회로망의 필기체 문자 인식

        이정문,유경산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7 産業技術硏究 Vol.17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neural pattern recognition from wavelet transform. We first analysis in BFT(Binary Field Transform) in character image. The proposed neural network and wavelet transform is able to improve learning time and scaling. The ability and effectiveness of identifying image using the proposed wavelet transform will be demonstrated by computer simulation.

      • KCI등재

        팜유로 튀긴 유과의 저장 중 품질 변화

        이유석,정해옥,이종욱 한국조리과학회 200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9 No.1

        콩기름과 팜유로 튀긴 유과를 20℃와 50℃에 저장하면서 분석한 결과 콩기름으로 튀겨 50℃에 저장한 유과의 산가는 2주에는 0.78mg/g에서 4주에 9.35mg/g으로 급격한 증가를 하였으나 팜유로 튀긴 유과는 저장 6주까지 변화가 없다가 저장 8주에서 2.08mg/g을 나타내었다. 과산화물가의 경우 콩기름으로 튀긴 유과를 50℃에서 저장하였을 때 저장 4주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 4주 이후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지방산의 변화는 20℃ 저장의 경우 저장 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50℃ 저장의 경우 콩기름과 팜유 모두 palmitic acid, stearic acid 및 oleic acid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감소하였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 콩기름으로 튀긴 유과는 4주 이후 이취미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7주가 지난 후에는 이취미가 보다 강하게 발생하였지만 팜유로 튀긴 유과는 4주째에 이취미가 약간 발생하였으나, 그 정도가 미미하였고, 8주째에도 이취미가 강하게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유과 튀김시 콩기름을 팜유로 대체한다면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유과에 비해 저장 기간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Yukwa is a popular Korean traditional fried rice snack. The high fat content and porous structure of Yukwa cause it to become rancid rapidly.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Yukwa, the Bandegi was fried with palm oil and soybean oil. The stability of Yukwa in lipid oxidation was determined by acid value(AV), peroxide value(POV),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 weeks of storage at 20℃ and 50℃.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AVs of soybean oil and palm oil during storage at 50℃ were increased up to 42.64 and 2.09 mg/g, respectively. The POV of soybean oil during storage at 50℃ was increased up to 4 weeks and then decreased. And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contents of stearic and oleic acid were increased, while linoleic and linoleic acid were decreased.

      •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 Ⅱ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는 우리 나라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지원 및 정책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정 특수학급 1개 학급,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시각, 청각,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5개 학교, 총 6개 학교(급)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활동은 사전활동, 본 조사활동, 사후활동으로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는데, 사전활동은 인터넷 혹은 각종 자료를 통해 해당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며, 사후활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진 조사내용을 보충 및 보완하고, 조사결과를 숙의하기 위한 정보공유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특히,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과정에서는 연구자가 연구대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를 구성 하고 있는 학교장, 교감,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인적 구성원들과 학교를 배경으로 한 내·외적 교육환경,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심층적이면서도 다면적인 조사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와 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주된 수단으로 하는 질적 분석방법의 적용은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실제에서 일반화될 수 있는 것은 아주 제한되어 있다는 점과 교육실제의 의미구조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교육실제가 전체적인 맥락속에서 조망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적절하고도 유용한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일련의 수행과정과 사전활동,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그리고 사후활동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은 교육적 차원과 복지적 차원이 병행되는 교육 서비스 제공기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총체적인 질 관리차원의 학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생현황 관리, 교육 요구사항 파악, 적절한 교육배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기존의 지역단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특수학급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특수학급 운영모델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교육여건 등이 다양한 것이 특징 이지만, 참조할 수 있는 기준적 인 특수학급 운영모델을 개발 · 보급하여 특수학급에 정착시키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갖은 틀 속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적 재량이 발휘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현재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의 장애가 중도·중복화 되는 경향이 해를 거듭 할 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및 지원대책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교육의 이념추구와 그에 따른 특수교육 정책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에 특수학교에 다수 배치되어 있던 경도 및 중등도 장애학생들이 특수학급으로 이동하면서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는 점차 중도·중복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는 이들 중도·중복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운영체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중도 및 중복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지원대책으로써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전담교사의 배치 및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조속히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의 중도 및 중복화 경향에 따라 치료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치료교육활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 실천에 있어서도 선택적 치료교육을 강조함으로써 치료교육이 학생이 갖고 있는 장애에 맞게 개별화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특수학교의 경우 치료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수가 부족하고, 치료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형편이어서 적절한 치료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강구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치료교육이 교실수업 자체에서 실천되도록 하는 노력이 단위학교에서 권고되어야 한다. 다섯째, 특수학교는 직업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인력 및 공간, 지원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특수학교 교육의 실제적 목표는 장애학생의 신변자립 및 사회적 자립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에 대한 지원이 현실적 수준에서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특수학교는 학생들의 장애정도가 이전보다 훨씬 중증화되고 있고, 심지어는 사물의 인지조차 어려운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이 지적능력을 가진 일부 학생들만의 교육으로 전략하여서는 안되며, 그 대상폭을 확대하여야 한다. 교과교육이 아닌 직업교육에서조차 소외되는 학생들이 없도록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또한 직업교육과 관련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장애학생들의 직업적 요구가 다양한데 비해 특수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학교간에 차별화되지 않은 채, 직종과 장애영역이 상호 고착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장중심의 직업교육, 지역사회와의 연계교육 및 산학연대를 통한 직업교육의 확대, 장애학생 취업직종 확대를 위한 노력 등이 요구된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지원 및 학교차원에서의 실행방략에 대한 대책의 강구가 요구된다. 특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은 일반학교와의 교류형태 혹은 특수학교에 적을 둔 개별학생이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의 통합교육은 주로 발달장애학생들을 지도하는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고, 후자의 통합교육은 감각장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이들 통합교육이 활성화되고, 실효성 있게 실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일반학교 교과서에 장애이해관련 자료의 삽입, 일반교사의 반편견 교수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이 요구되고, 단위학교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학생준비도 파악, 사전교육, 보조원의 지원 등과 같은 전반적인 통합교육 지원체제가 갖추어져야 한다. 끝으로 특수교육의 전환적 시점에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위상정립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청됨과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에 대한 세부적인 영역에 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d to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Based on analysis of the transfer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 theoretical studies on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alysis models and analysis factors were established.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survey questionnaire for quantitative analysi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or qualitative analysis. While implemen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belong to anthropological research, researchers visited schools and carried out comprehensive survey activities on the school personnel such as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environment of the schools and interaction among them. In implementing this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generalization is fairly restricted due to the various and uniqu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and each factors of educational practices should be viewed not in unrelated fragments but in the whole educational context. This qualitative research included one elementary course special class of a regular school and five special schools of different disability category; vision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sability, and emotional disturbance. The proces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eps; preparatory activities, main survey step, post survey activities. During preparatory activities, researchers collected materials about the schools through internet or other resources and during post survey activities they supplemented the data acquired and shared ideas and information to consult the survey result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cquired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set up to support special schools which have increasingly larger propo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recently since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disabilities tend to move to special classes of regular schools under the trend of inclusion education and accompanying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policies. The management of special schools need a large scale transfer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by developing prope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and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aide system soon. Second, efficient therapeutic education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The current seven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therapeutic education in order to meet each student's need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education. However, special schools suffer from shortage of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nd awareness on therapeutic education has not been properly promoted.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conditions and also to connect education and therapy in many ways. Third, special schools should be equipped with human resources, space and support system to provide appropriate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the ultimate practical goal of special schools can be said as each student's achievement of independent daily and social life, therefore, support for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its practices. Above all, vocational education should include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variety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needs in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do not reflect them properly with holding old-fashioned and specifically fixed occupation-disability relationships.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vide hands on vocational education, to promote connection with community and businesses to extend occup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state level and school level measures to activate efficient inclusion education should be set up. Inclusion education of special schools is usually implemented in two different ways. One is school level exchange programs mostly for schoo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ther is an individual student's visit and involvement in programs of a regular school and this type of inclusion is usually carried out for students with sensory impairments. In order to activate inclusion education more efficiently, state level initiative of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interposition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textbooks for non-disabled students, extension of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to support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tiprejudice instructions is in need and school level efforts to grasp students' readiness for inclusion, to provide preparatory education and to operate teacher aide system should be made. Fifth, since a special class is an institute providing welfare services as well as educational service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which is in charge of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network and management of comprehensive student services such as general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each student and appropriate placement. Existing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Sixth,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pecial class management models are needed as references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practices of special classes even though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conditions of regular schools which operates special classes vary. It is important to set up measures to extend discretionary power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fforts for the settlement of identity. transfer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hould be continued and subsequent researches need to be followed to investigate each factor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 KCI등재

        고식적 검사로 간외 전이를 진단하지 못한 원발성 간암 환자에서 간이식 전에 시행한 전신 FDG-PET의 역할

        이원우,류진숙,양유정,김재승,여정석,문대혁,이승규 대한핵의학회 2002 핵의학 분자영상 Vol.36 No.6

        목적: 원발성 간암의 치료를 위해 간이식이 시행되고 있으나, 8-54%의 환자에서는 이식 후 원격 전이로 인한 재발이 보고 되고 있다. 이 연구는 간이식 예정인 원발성 간암 환자들에서 고식적인 검사로 진단하지 못한 간의 전이 진단에 있어서 FDG-PE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8월 이후 본원에서 간이식을 계획하고 전신 FDG-PET을 시행한 환자 중, FDG-PET 검사 이전에 복부 초음파와 CT, 흉부 x선 검사와 CT, 골스캔 등의 고식적인 검사를 시행하여 전이의 증거가 없거나(n=22), 애매한 이상 소견이 있었던(n=4) 원발성 간암 환자 26명(남:여=23:3), 평균 나이 55.7세)을 조사하였다. FDG-PET에서 양성을 보인 결과는 조직 검사나 임상적인 추적 검사로 전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고식적 검사에서 애매한 이상 소견이 있었던 환자 4명 중 3명의 6개 병변이 FDG-PET에서 국소 대사 항진을 보였고, 전이로 확인되어 간이식을 시행하지 않았다. 이 중 5 병변들은 의심되지 않았던 부위에서 새로 발견된 것이었다. 다른 1명은 PET에서 음성 소견으로 간이식을 시행하였다. 고식적인 검사에서 전이를 의심할 만한 소견이 없었던 22명 중에서는 5명의 환자에서 7개의 간의 국소 대사항진 병변들이 FDG-PET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들 줄 1명은 2 개의 전이 병변이 확인되어 간이식을 시행하지 않았다. 다른 4명의 환자들에서 보인 5개의 국소 대사항진 병변들은 양성병변으로 확인되었고 이 중 3명은 간이식을 시행하였다. 요약하면, FDG-PET으로 4명의 환자에서 고식적인 검사로 찾지 못하던 전이 병변을 찾아 불필요한 간이식을 피할 수 있었다. 모두 17명에서 간이식이 시행되었다. 간의 조직 검사 소견과 비교하였을 때 생존 원발성 간암을 진단하는 FDG-PET의 민감도는 55.6% (5/9)이었고, 특이도는 87.5% (7/8)이었다. 결론: FDG-PET 전신 스캔은 간이식 예정인 원발성 간암 환자들에서 이전에 시행한 고식적인 검사들로 진단하지 못한 전이 병소들을 추가로 진단하여 불필요한 간이식 수술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 Purpose: Liver transplantation (LT), one of the therapeutic options of primary liver cancer has been suffering from recurrence caused by metastasis in 8-54% of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FDG-PET is useful for detecting hidden metastasis in LT candidat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male:female=23:3, mean age 55.7 year) underwent FDG-PET. Their previous conventional diagnostic studies (CDS) like a abdomen US and CT, chest x-ray and CT, and bone scan were negative (n=22) or equivocal (n=4) for metastasis. Positive FDG-PET findings were confirmed by biopsy or clinical follow-up. Results: Among 4 patients with equivocal metastatic lesions on CDS, 3 had 6 hypermetabolic lesions on FDG-PET, which were confirmed as metastasis and subsequently LTs were cancelled. Of these, 5 lesions were initially negative on CDS. Remained 1 patient underwent LT with a negative FDG-PET result. Among 22 patients without metastasis on CDS, 5 had 7 hypermetabolic lesions on FDG-PET. One of these patients proved to have 2 metastatic lesions, and LT was cancelled. The other 4patients had 5 hypermetabolic lesions on FDG-PET, which were confirmed as benign lesions, and 3 patients of them underwent LT. In summary, FDG-PET was useful in avoiding 4 unwarranted LT by detecting unsuspected metastatic lesions on CDS. A total of 17 patients underwent LT. In comparison with patholog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FDG-PET for detecting viable primary liver cancer were 55.6% (5/9) and 87.5% (7/8), respectively. Conclusion: FDG-PET can detect additional hidden metastasis and contribute to reducing unwarranted LT in the patients with primary liver cancer. (Korean J Nucl Med 2002;36;368-80)

      • KCI등재

        젠더관점에서의 난자 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한 검토

        이유정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4 이화젠더법학 Vol.6 No.2

        이 글은 황우석 박사 연구팀에 난자를 제공한 여성 2명이 국가와 난자채취 시술을 한 병원 2곳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한 사건의 1, 2심 판결을 젠더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비판하는 글이다. 1, 2심 법원은 모두 (1) 원고들이 자발적인 의사에 의해 난자를 제공하였고,(2) 사전에 시술의 부작용이 고지되었기 때문에 병원은 설명의무를 다하였다는 이유로 원고 패소 판결을 선고하였다. 위 판결에 대해서는 젠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1) 원고들이 난자를 제공한 이유는 기망 또는 강압에 의한 것으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 (2) 본인에게 아무런 이득이 없는 연구를 위해 임상실험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더 높은 정도의 자기결정권이 보장되어야 하며, 더 높은 수준의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3) 난자채취가 여성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시술의 부작용과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있어야만 한다. (4)난자채취로 인한 정신적?신체적인 증상은 손해로 인정되어야 한다. (5) 여성들이 난자를 제공하는 이면에는 여성에게 억압적이고 차별적인 사회·문화·정치적인 배경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자발성’을 판단해야 한다. (6) 자발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난자제공 및 난자를 이용한 실험이 무제한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 이 판결은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젠더의 문제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앞으로 생명공학의 연구와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구체적인 경험을 법이론으로 만들어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and criticize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the court rulings of the first and second trials in the case where two women, who donated eggs to Professor Hwang’s research team, filed a compensation claim against the government and 2 hospitals where the eggs have been extracted. For both instances, the court ruled against the plaintiffs because (1) the plaintiffs donated the eggs voluntarily and (2) the side effects of the surgery had been informed beforehand.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rulings above may raise the following issues: (1)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o view that the plaintiffs provided the eggs due to fraud or coercion. (2) In cases where a woman is the subject of a clinical demonstration for a study that does not directly benefit her, a higher degree of self-determination should be guaranteed, and she should be provided with adequate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3) There should be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side effects and the risks of the surgery since collection of eggs is a medical surgery that has a very large impact on the female body. (4) The physical/mental symptoms due to collection of eggs should be considered as a loss. (5) The ‘voluntariness’ of the two plaintiffs who donated the eggs should be judg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presence of the oppressive and discriminatory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background in Korea. (6) The existence of willingness should not allow for the donation of eggs or the unlimited experiments using eggs. This court decision provide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gender issue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There should be efforts to create legal theories regarding the specific experience of women in the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process of biotechnology.

      • KCI등재

        Helicobacter pyloir 양성 소화성 궤양에서 lansoprazole 포함 삼제요법의 제균율 및 제균판정에 있어서 요소호기검사의 유용성

        정혜경,곽재진,유민아,배기선,권정미,이종수,김도영,문일환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3

        목적 : 본 연구는 Helicobacter pylori (이하 H. polyri) 양성인 소화성 궤양 환자에서 lansoprazole 포함 삼제요법의 제균율을 알아보고, 제균 치료 후 제균 판정에 있어서 요소 호기 검사(Urea breath test, 이하 UBT) 및 신속요소분해(rapid urease test, 이하 RUT test)와의 일치율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에서 H. polyri 양성인 소화성 궤양환자에서 lansoprazole 60㎎+amoxicillin 2g+clarithromycin 1g의 약제를 2회 분복하여 1주간 복용하는 삼제요법을 실시하였다. 최소 4주후 추적 상부위장관내시경을 실시하였고, 전정부와 체부에서 각각 RUT를 실시하였으며 UBT(5분, 20분)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는 총 46명으로 남자 34명(48±13세), 여자 12명(53±14세)이었다. LAC 삼제요법의 제균율은 40/46명(87.0%)이었고, 궤양의 치유율도 42/46명(91.3%)이었다. RUT와 20분 UBT 결과가 모두 음성이었던 경우는 41예, 모두 양성이었던 경우는 4예로 RUT와 UBT는 97.8% (45/46)의 일치율을 보였고, 1예는 UBT는 음성이었으나 체부에서 시행한 RUT가 양성이었다. 5분 UBT 검사가 양성이었던 예는 14/34 (41.2%) 이었고, 이 14예 중 12예(85.7%)는 20분 UBT 검사 음성, RUT 음성이었다. 결론 : Lansoprazole과 amoxicillin, clarithromycin 1주일 병합요법은 H. polyri 양성인 소화성 궤양 환자에서 87.0%의 제균율을 나타내어 우수한 효과를 보였고, 요소호기검사는 제균 치료 후 제균 판정에 유용한 비침습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for its eradication rates of lansoprazole-based triple therapy in Korea, and the results are controversial. Therefore, we undertook to investigate the eradication rate of lansoprazole-based triple therapy, and compare the concordance rate of urea breath test (UBT) and rapid urease test (RUT) in evaluating H. pylori eradication. Methods : Patients with acute peptic ulcer who were H. pylori-positive were recruited by prospective, consecutive manner. They received lansoprazole 30 ㎎ b.d., amoxicillin 1 g b.d. and clarithromycin 500 ㎎ b.d. for 1 week. Upper endoscopy was performed after 4 weeks to check for ulcer healing, and UBT and RUT were performed to evaluate H. pylori eradication status. Results : A total of 46 patients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all compliant. H. pylori eradication rate was 87.0% (40/46) and ulcer healing rate was 91.3% (42/46). Forty one patients showed negative in both UBT and RUT, and 4 patients revealed positive in both tests, therefore, the concordance rate of UBT and RUT was 97.8% (45/46). Conclusion : Our study showed that 1-week lansoprazole-based triple therapy was effective in H. pylori eradication and ulcer healing. UBT can be an effective, noninvasive method for evaluating H. pylori status after H. pylori eradication.

      • 중량물 운반시 잡기유형에 따른 근전도 분석

        이훈식,강영택,윤양진,정미라,유국종,서국웅,김정태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1999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1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G changes of the body according to method the holding during carrying objec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utilizing EMG analyses for five male and five female adults as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he higher muscle action potential of vertical holding was shown than that of right holding when carrying objects in MMH work in proportion to the weight of the object. The came from the subjects using their brachial muscles much to maintain the angles of their wrist joints and elbow joints for keeping their stable postures while walking. 2. The higher muscle action potential of right holding was shown in right and left elector-muscles of their spines(L1-L2, L4-L5) while carrying in all stages of weights except 25kg objects than that of vertical holding. These results were caused from more use of brachial muscles than elector-muscles of spines in carrying weight objects. So vertical holding is more effective in carrying weight objects at a short distance than right holding.

      • Dihydroflavonol 4-reductase 유전자를 이용한 담배의 형질전환

        유정아,이원숙,이주안,김영채,박영두 경희대학교식량자원개발연구소 2006 硏究論文集 Vol.25 No.-

        본 연구는 화색과 관련된 DFR 유전자를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 방법으로 담배(Nicotiana tabaccum L.)에 형질전환 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배추의 DFR 유전자를 CaMV 35S promotor와 nos terminator를 운반하는 식물 발현용 vector, pCAMBIA 1302에 삽입하였다. 재조합된 벡터 pCAMBIA 1302-DFR은 Agrobacterium tum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담배 식물체 잎 절편체를 형질전환한 후 MS 배지에 1.5 mg·L^(-1) BA, 50 mg·L^(-1) hygromycin 및 200 mg·L^(-1) cefotaxim이 첨가된 1차 선발배지에서 신초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신초는 100 mg·L^(-1) hygromycin과 200 mg·L^(-1) cefotaxim이 첨가된 2차 선발 배지에서 뿌리를 유기하였다. 뿌리가 형성된 재분화 개체는 온실에서 재배하였으며 재배된 담배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고 DFR 유전자의 담배 genome내로의 전이여부를 hygromycin primer를 이용하여 PCR 방법으로 확인한 바 형질전환 개체에서 예상했던 365 bp 단편을 볼 수 있었으나 형질전환을 시키지 않은 식물체에서는 PCR 산물을 확인 할 수 없었다. PCR 검정으로 확인된 담배는 화색변이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온실에서 재배 중에 있다. Dihydroflavonol 4-reductase (DFR) gene was introduced into tobacco (Nicotiana tabaccum L.) plants using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To introduce this gene, DFR gene was cloned into plant binary vector, pCAMBIA 1302, harboring CaMV 35S promotor and nos terminator. After infection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containing pCAMBIA 1302, transformed shoots were induced from first selection medium (MS medium + 1.5 mg·L^(-1) BA + 50 mg·L^(-1) hygromycin + 200 mg·L^(-1) cefotaxim). To confirm the transfer of DFR gene in the genome of tobacco plants, PCR was conducted using primers of the hygromycin gene. A PCR fragment of 365 bp was obtained from each transformed plants, which is the predicted size of the hygromycin gene but not from nontransformed plants. Transformed tobacco plants are growing in the greenhouse to analyze phenotypic variation, especially flower co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