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Efficient Interleukin-21 Production by Optimization of Codon and Signal Peptide in Chinese Hamster Ovarian Cells

        ( Hee Jun Cho ),( Byung Moo Oh ),( Jong-tae Kim ),( Jeewon Lim ),( Sang Yoon Park ),( Yo Sep Hwang ),( Kyoung Eun Baek ),( Bo-yeon Kim ),( Inpyo Choi ),( Hee Gu Lee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19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9 No.2

        Interleukin-21 is a common γ-chain cytokine that controls the immune responses of B cells, T cells, and natural killer cells. Targeting IL-21 to strengthen the immune system is promising for the development of vaccines as well as anti-infection and anti-tumor therapies. Howeve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L-21 is limited by the high production cost. In this study, we improved IL-21 production by codon optimization and selection of appropriate signal peptide in CHO-K1 cells. Codon-optimized or non-optimized human IL-21 was stably transfected into CHO-K1 cells. IL-21 expression was 10-fold higher for codon-optimized than non-optimized IL-21. We fused five different signal peptides to codon-optimized mature IL-21 and evaluated their effect on IL-21 production. The best result (a 3-fold increase) was obtained using a signal peptide derived from human azurocidin. Furthermore, codon-optimized IL-21 containing the azurocidin signal peptide promoted IFN-γ secretion and STAT3 phosphorylation in NK-92 cells similar to codon-optimized IL-21 containing original signal peptide.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don optimization and azurocidin signal peptides provide an efficient approach for the high-level production of IL-21 as a biopharmaceutical.

      • KCI등재

        방인근의 기독교 소설 연구 -방인근의 『긔독신보』 연재소설 「새나라를 차저서」를 중심으로-

        조경덕 ( Kyoung Duk Cho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Bang, In-keun was a publisher of Cho-sun-mun-dan and a modern Korean popular novelist. Those days, he wasn``t recognized as a writer by colleagues of literary circle. They regarded him as a writer who wrote dime novels. He accepted their criticism about his popular novels. In his later years, he repented of having not written Christian fictions that dealt with Christianity. He wished that he had been a writer of Christian fictions. But contrary to his repentance, I think that he is a memorable writer of Christian fictions because he produced achievements of Christian fiction history in Korea. He was a journalist in the Christian Messenger, Ki-Dok-Sin-Bo that was published by Presbyterian and Methodist from 1915 to 1937. In this, he wrote Christian children``s stories, essay, and novels named Searching utopia, Revolution, The song of birds that don``t cry. Specially, Searching utopia is a narrative that a libertine repents his the past through Cristian faith. I think that it is a memorable novel of Christian fiction history in Korea, because there were few Christian fictions at that time. Interestingly, his popular novel, Light of Evil city resembles with Christian novel, Searching utopia. For example, Two novels center on the love of a young students and a triple love affair. They represent that a City is the space of evil and a farm village is the space of good dichotomically. That is to say, Christian novel, Searching utopia has popular appeal. I think that it is not a feature of Bang``s Christian novels but a feature of Christian novel, because a purpose of Christian novels is to be read to many people for evangelizing. It shows that Christian narrative relates popularity.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기본 모드에서 동작하는 비동기 순차 회로의 시험 벡터 생성

        趙庚衍,李宰勳,閔炯福 성균관대학교 1998 학술회의지원논문목록집 Vol.1998 No.-

        비동기 순차 회로에 대한 시험 벡터를 생성하는 문제는 매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현재까지 이 문제 에 대한 알고리즘은 거의 없었다. 그리고, 기존의 접근 방식은 시험 벡터를 생성하는 동안에는 피이드백 루프를 절단하여 그 곳에 플립플롭이 있는 것처럼 가정하고 시험 벡터를 생성하는 방식이었다. 그래서, 기존의 알고리즘은 동기 순차 회로용 시험 벡터 생성 알고리즘과 매우 유사하였다. 이것은 시험 벡터를 생성할 때에는 비동기 순차회로를 동기 순차 회로로 가정하고 시험 벡터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생성된 시험 벡터가 비동기 순차 회로에 적용되었을 때, 대상 결함을 검출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 순차 회로에 대한 시험 벡터를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된 시험 벡터는 임계레이스(critical race) 문제와 순환(oscillation) 문제의 발생을 최소로 하면서 비동기 순차 회로의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성된 시험 벡터는 비동기 순차 회로에 대해서 대상 결함을 검출하는 것이 보장된다. Generating test patterns for asynchronous sequential circuits remains to be a very difficult problem. There are few algorithms for this problem, and previous works cut feedback loops, and insert synchronous flip-flops in the feedback loops during ATPG. The conventional algorithms are similar to the algorithms for synchronous sequential circuits. This means that the conventional algorithms generate test patterns by modeling asynchronous sequential circuits as synchronous sequential circuits. So, test patterns generated by those algorithms may not detect target faults when the test patterns are applied to the asynchronous sequential circuit under test. In this paper an algorithm is presented to generate test patterns for asynchronous squential circuits. Test patterns generated by the algorithm can detect tasget faults for asynchronous sequential circuits with the minimal possibility of critical race problem and oscillation. And it is guaranteed that the test patterns generated by the algorithm will detect taraet faults.

      • 니클라스 루만 체계이론의 문예학적 수용

        조경식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人文科學 Vol.78 No.-

        1920년에 발표된 페르디낭 드 소쉬르 Ferdinand de Saussure의 『일반 언어학의 기본물음들 Grundfragen der allgemeinen Sprachwissenschaft』은 학문론 Wissenschaftstheorie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획을 긋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것은 언어학이란 개별학문의 영역의 한계성을 넘어서 인문과학 전반에 영향을 끼친 구조주의의 담론화와는 다른 성격의 것이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학문과 학문의 대상 사이의 일반적인 관계에 대한 진술이다.

      • 폴리에스테르 섬유 감량시스템용 프로세서 타이트레이터 개발

        조진호,이흥락,이종현,김명남,구성모,김무영,진경찬,유병희,강민수,김국진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3 연차보고서 Vol.1993 No.-

        폴리에스테르 섬유 감량시스템의 제어를 위해서는 처리조 내에서 감량되는 섬유가 목표 감량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해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성소다용액의 초농도 및 섬유 감량 정도의 정확한 측정과 감량 종료시간의 산출 및 이에 따른 종료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감량기 전용의 자동적정장치를 개발하였다. To control caustic soda treatment system for the polyester fabric reduction, we need the device to determine that the fabric has been arrived target reduction value. In this study, we develope an automatic process titrator for the caustic soda treatment system. Major functions of the target titrating system are accurate measurements of the caustic soda concentration and then producing the end point signal for caustic soda treatment system.

      • KCI등재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성인 남녀의 장골 및 경골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조용석,김경원,이경호,박현진,서상수,오상엽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2 No.3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mineral density of iliac and tibial bone which are frequently selected as autogenic bone graft donor sites,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as a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bone graft donor site.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61 male and 70 female volunteer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involved between Jan. 1998 to Sept. 1999. W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iliac and the tibial bo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 evaluated the data using the SAS system for Window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was used for control. Results : Ag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correlation matrix between physical and bone variables. Height and weight showed lower correlation of linear increment. In 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demonstrated linear decrease irrespective of the lumbar, ilium, and tibia. In wo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cubic form, which increased in the third and forth decade. So it had a peak bone mass on about 35 year-old, thereafter, the change of bone density slowly decreased until 50 year-old, but it rapidly decreased after 50 year-old and it slowly decreased again after 65 year-old. Both in all subjects and subject with osteoporosis,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lumbar and tibia, but ilium was irrespective. Conclusion : In patients of aged or with osteoporosis, ilium demonstrated less tendency of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than tibla. So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ed that ilium seemed better donor site for autogenic bone graft than tibia.

      • KCI등재

        초등학교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닭고기 주요리의 급식품질 확보를 위한 HACCP 시스템 적용연구

        조경동,이복희 한국조리과학회 200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hygiene standards for chicken entrees(deep-fried breast chicken, chicken and potato in red pepper paste and smothered chicken) served with in 3 different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s during 2002. The study evaluated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the food facilities, and determined the physical and microbiological hazards for the production of chicken entrees based on the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The kitchen layouts needed to be remodeled for the separation of soiled and clean work areas. The pH values for all items were over 6.0, which require careful attention. The microbial assessments of 3 chicken items revealed that the TPC, coliform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within normal ranges, but Salmonella was found at several stages in the production of all products, with the exception of smothered chicken. The bacterial counts of the kitchen utensils and cooks' hands exceeded acceptable limits, and workers' sanitary practices were poor in terms of sanitary handling and holding of foods and utensils. The CCPs determined related to the steps of receiving, cooking and breaking of egg shells. From our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chicken entrees should be prepared and served very carefully, as salmonella was detected at several stages during meal production, and the aim of the HACCP system is to secure against food-borne illnesses due to reckless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 KCI등재
      • 알루미늄계 수처리 응집제 적용시의 부유물질 응집거동에 관한 연구

        조경숙,김동수,이종목 이화여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7 이화환경연구 Vol.1 No.-

        A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coagulation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s made up of kaolin using Al-based inorganic polymeric coagulants; PACS(Poly Aluminium Chloride silicate) and PASS (Poly Aluminium Silicate Sulfate). PACS was found to be superior to PASS in its coagulating ability almost two times as much. The variation of ζ-potential of suspended particles in the sign and magnitude was closely related to the turbidity removed behavior. For the application of two coagulant mixtures, the overall coagulating power was a function of the mixing ratio and, in case of sequential dosage of two coagulants, the entire coagulation feature was governed by the firstly dosed coagulant. When a same amount of coagulant was dosed in partition to the supernatant water of one time treated wastewater, the final turbidity of two time treated supernatant water showed a lower value compared with the case that all amount of coagulant was dosed at one time. The size of coagulum formed using PACS was larger than that using PASS and it was thought that the coagulum size was determined by the coagulating power of coagulant. Slow mixing time and rate were considered to be influential on the degree of turbidity removal, but not on the ζ-potential of particles.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was established for a better turbidity removal and beyond this range the turbidity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