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의 예후인자

        김준형,김희정,구남수,김영근,최준용,신소연,박윤선,김연아,김명수,정수진,최희경,송영구,이경원,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2

        배경 : Clostridium difficile에 의한 설사(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는 임상 경과가 다양하다. 최근에 유럽과 북미에서 C. difficile 감염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고전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이환률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원인이 새로운 균주의 탄생에 기인한다고 보고되었다. CDAD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세균성 요인과 숙주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8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CDAD가 진단된 20세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Cohort 연구를 하였다. 세균성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cdt A, cdtB, tcd A, tcd A rep 그리고 tcd B 유전자(binary toxin)를 확인하였다. 설사가 치료 시작 후 11일 이상 지속되거나, 2달 이내에 재발하거나, 수술 혹은 다른 시술이 필요한 경우, 사망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총 115예에서 toxin을 생성하는 C. difficile가 동정되었으며, Toxin A와 toxin B 모두 양성인 균이 91예, toxin B만 양성인 균이 24예였다. Toxin A 생성 여부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제산제를 사용한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toxin B만 양성인 균이 많이 동정되었다(P<0.05).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는 39예(33.9%)였고 76예(66.1%)에서 예후는 양호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70세 이상의 고령, 남성, 증상 발현 후 사용한 항생제의 개수 사용,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aminoglycoside, glycopeptide 사용, 당뇨 및 뇌졸중 병력이 있는 경우, 그리고 높은 Charlson index가 불량한 예후 인자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독립적인 예후 인자를 조사했을 때에는70세 이상의 고령(odds ratio=3.378, P=0.009), 증상 발현후 carbapenem 사용(odds ratio 7.210, P<0.001)이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결론 : 70세 이상의 고령과 증상 발현 후 carbapenem 사용이 CDAD 독립적인 불량한 예후인자이다. Background :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has a wide range of clinical manifestations. The prognostic factors of CDAD are not fully understood. Materialsand Methods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115 patients with CDAD from Aug. 2002 to Dec. 2003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gnostic factors of CDAD. Bacteriologic factors were determined by detecting the binary toxin gene, tcd A, tcd A rep and tcd B gene. Poor prognosis was defined as diarrhea more than 10 days even with classic treatment, recurrence, death, and moribund discharge. Results : Approximately 79% of isolated strains were toxin A+/B+ strains and 21% were toxin A-/B+ strai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gnosis between toxin A+ and toxin A- strains. 39 (33.9%) cases showed poor prognosis and 76 (66.1%) cases showed good prognosis. Un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the poor prognostic factors were old age over 70 years old, male, the number of antibiotics used after onset of symptom,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minoglycosides, glycopeptides after onset of symptom, history of DM and stroke, and high Charlson comorbidity index.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old age over 70 years old (odds ratio=3.378, P=0.009)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odds ratio 7.210, P<0.001) as the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 : Old age over 70 and the administration of carbapenems after onset of symptom were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CDAD caused by none-binary toxin producing strains.

      • SCISCIESCOPUS

        Identification of a sensitive urinary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for early detection of acute kidney injury

        Kim, Kyeong Seok,Yang, Hun Yong,Song, Hosup,Kang, Ye Rim,Kwon, JiHoon,An, JiHye,Son, Ji Yeon,Kwack, Seung Jun,Kim, Young-Mi,Bae, Ok-Nam,Ahn, Mee-Young,Lee, Jaewon,Yoon, Sungpil,Lee, Byung μ,Kim, Hyung TAYLOR & FRANCIS 2017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Vol.80 No.9

        <P>Acute kidney injury (AKI)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rate in patients but clinically available biomarkers for disease detection are currently not available. Recently, a new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SBP1), was identified for detection of nephrotoxicity using proteomic analy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ensitivity of urinary SBP1 levels as an early detection of AKI using animal models such as cisplatin or ischemia/reperfusion (I/R).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cisplatin (6 mg/kg, once i.p.) and sacrificed at 1, 3, or 5 days after treatment. Ischemia was achieved by bilaterally occluding both kidneys with a microvascular clamp for 45 min and verified visually by a change in tissue color. After post-reperfusion,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9, 24, and 48 hr intervals. Urinary excretion of protein-based biomarkers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In cisplatin-treated rats, mild histopathologic alterations were noted at day 1 which became severe at day 3.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SCr)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day 3. Levels of urinary excretion of SBP1,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a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were markedly elevated at day 3 and 5 following drug treatment. In the vehicle-treated I/R group, serum levels of BUN and SCr and AS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sham. Urinary excretion of SBP1 and NGAL rose markedly following I/R. The urinary levels of SBP1, NGAL, TIMP-1, and KIM-1 proteins excreted by AKI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Among these proteins, a marked rise in SBP1 was observed in urine of patients with AKI compared to normal subjects. Based upon receiver-operator curves (ROC), SBP1 displayed a higher area under the curve (AUC) scores than levels of SCr, BUN, total protein, and glucose. In particular, SBP1 protein was readily detected in small amounts of urine without purification. Data thus indicate that urinary excretion of SBP1 may be useful as a reliable biomarker for early diagnosis of AKI in patients.</P>

      • KCI등재

        Evaluating the effects of honey bee (Apis mellifera L.) venom on the expression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flammation-related genes in co-culture of adipocytes and macrophages

        Kim Hee‐Yeon,Jo Min Jeong,Nam So Yung,Kim Kwang Min,Choi Moon Bo,Lee Yong‐Ho 한국곤충학회 2020 Entomological Research Vol.50 No.5

        Obese adipose tissue is characterized by adipocyte hypertrophy and a massive macrophage infiltr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macrophages with mature adipocytes releases pro-inflammatory cytokines. This chronic inflammatory state can contribute to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such as insulin resistance,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refore, we can attempt to prevent and treat obesity-related diseases by inhibiting macrophage infiltration and blocking their interaction with adipocytes. Honey bee (Apis mellifera) venom (BV)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Although BV is used to treat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few studies have addressed its use in obesity-associated inflamm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hibitory effects of BV on lipid accumulation in differentiating preadipocytes,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macrophages and adipocyte-macrophage co-culture system. We treated 3 T3-L1 preadipocytes with BV during differentiation. We later measured lipid accumulation and gene expression of master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fter RAW264.7 and 3 T3-L1 cells were pretreated with BV, RAW264.7 cells were activated with LPS or co-cultured with pretreated 3 T3-L1 cells. Gen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insulin sensitizing genes was measured in these cells. BV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C/EBPα and PPARγ gene expression during intermediate and late 3 T3-L1 cell differentiation. BV also suppressed gen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OX-2, iNOS, MCP-1, TNF-α, IL-1β and IL-6)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and in co-culture of 3 T3-L1 adipocytes and RAW264.7 macrophages. However, adiponectin and GLUT-4 expression were both significantly increased by BV in co-cultur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BV attenuates adipocyte hypertrophy and improves obesity-related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adipose tissue.

      • KCI등재후보

        국내 HIV 감염자에 있어서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의 치료효과 및 영향분석

        김명수,신소연,박윤선,김연아,구남수,김준형,김영근,최준용,송영구,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3

        목적 : 전 세계적으로 에이즈 감염자가 4,000만명을 넘고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하루에 2.1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며 2006년까지 누적 감염자가 4,500명을 넘고 있다. 여러 가지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개발된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부터 HIV 감염자에 대한 3제 병합요법이 시작되었으나 그 효과에 대한 우리나라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으로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2005년 12월까지 진료한 HIV 감염자 중 1997년 10월이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 가운데 이전의 항레트로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력이 없으면서, 1년 이상 HIV-RNA 및 CD4+ T 림프구 수의 정기적인 측정인 가능한 1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임상적인 특징과 6개월과 12개월째 HAART에 대한 치료효과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결과 : 세브란스병원에서 2005년 12월까지 451명이 에이즈로 진료를 받았고, 1997년 이후 HAART를 시행받으면서 1년 이상 HIV RNA 및 CD4+ T 림프구수의 정기적인 측정이 가능한 환자는 141명으로 127명(90.1%)이 남자였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대가 50명(35.5%), 40대가 50명(35.5%)로 가장 많았다. HAART 시작 당시에 28명(19.9%)이 에이즈 정의질환을 동반하고 있었고, 74명(52.5%)은 에이즈 정의질환은 아니지만 기회감염을 동반하고 있었다. 121명(85.8%)의 환자에게 단백분해효소억제제를 기반으로 하는 처방이 이루어졌고, 20명(14.2%)의 환자에게는 비뉴클레오시드 역전사억제제를 기반으로 하는 처방이 이루어졌다. 치료 시작 당시 CD4+ T 림프구수는 평균 207/mm³(IQR 73-299)였고, 평균 HIV RNA는 70,800 copies/mL (4.85 log copies/mL)였다. HAART 시행 12개월 후에 평균 CD4+ T 림프구는 143 cells/mm³증가하였고, 96명(68.1%)에서 100 cells/mm³이상의 증가를 나타냈다. 치료반응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2개월 후 100 cells/mm³이상 증가한 군이 초기 CD4+ T 림프구수가 적었다(P=0.01). HIV RNA 바이러스는 치료 당시보다 6개월후에 1.76 log copies/mL만큼 감소하였고, 12개월 후에는 1.88 log copies/mL만큼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HAART 시행 후 HIV RNA는 6개월째 103명(73%)이 400 copies/mL 미만의 결과를 보였고, 12개월 후 90명(63.8%)에서 50 copies/mL 미만으로 측정되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다. HIV RNA를 치료반응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6개월째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12개월 후에는 50 copies/mL 미만인 군이 나이가 더 많은것으로 나타났다(P=0.009). 대상 환자 141명 가운데 초기처방을 중간에 변경한 경우가 57명(40.4%)이었고, 처방 변경의 주된 이유는 약제 부작용과 관련된 것이었다. 결론 : 국내에서 에이즈 감염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HAART의 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치료 결과와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 앞으로 대규모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국내 에이즈 환자들의 특성 규명과 이에 알맞은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겠다. Background : Recently, 2.1 persons per day are reported to be HIV infected and totally more than 4,500 HIV infected persons have been officially reported until 2006 in Korea. We started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 for HIV patients from 1997. Data on the efficacy of antiretroviral therapy are limited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HIV infected patients treated with HAART for more than 1 year were included. We studied the therapeutic response of antiretroviral therapy in patients with AIDS and without previous antiretroviral therapy who were treated until Dec 2005 in Severance hospital. Results : More than 450 were diagnosed as HIV infected in Severance hospital. Among these HIV infected patients, 141 patients including 14 females were included. 121 of the 141 patients (85.8%) were treated with PI based regimen, and 20(14.2%) were treated with NNRTI based regimen. The initial mean CD4 T cell count was 207/mm³ (IQR 73-299) and the mean HIV RNA level was 70,800 copies/mL. After 6 months of HAART, 103 patients (73%) had fewer than 400 copies of HIV RNA copies/mL. After 12 months of HAART, 90 patients (63.8%) had fewer than 50 copies of HIV RNA copies/mL. The mean increase in the CD4 T cell count from baseline to 12 months was 143 cells/mm³. After 12 months, 96 patients (68.1%) had increased more than 100 cells/mm³. Conclusion : This report the therapeutic response of HAART in Korea which the prevalence of HIV infection is now increasing. Overall, the outcomes are similar to those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Further large scale prospective cohort study is needed.

      • KCI등재후보

        호중구 감소성 발열을 보인 고형암 환자의 임상양상 및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인자

        구남수,김준형,최유경,정세진,오형중,윤기태,김연아,신소연,김명수,김영근,박윤선,최준용,송영구,이경원,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5

        목적 : 항암요법을 시행받고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환자에서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그람양성균균혈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종양내과에서 고형암으로 진단받고 항암요법을 시행받은 18세 이상의 암환자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있었던 28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항암요법을 시행받은 고형암 환자 중 288예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하였다. 이중 원인을 찾을 수 있었던 경우는 130예로 전체 45.1% 이었으며 미생물학적 확인감염(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MDI)은 53예(18.4%) 이었다. 균혈증이 동반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의 원인균 분포를 보면 총 53예에서 그람양성균이 27예 분리되어 50.9%를 차지하였고 그람음성균이 25예(47.2%), 진균 1예(1.9%) 순이었다. 그람양성균 중에서 methicillin 내성 포도상구균의 비율은 35% 이었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중심정맥 카테터와 연관된 감염이 있는 경우, 구내 점막염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이 높았다. 결론 :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 환자에서그람양성균 균혈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특히 중심정맥 카테터와 연관된 감염이 있는 경우, 구내 점막염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 환자에서 발열 당시에 위와 같은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glycopeptide의 조기 사용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 : Recently, there has been a rise of prevalence of gram positive infection among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The proportion of antibiotic-resistant gram positive infection has been growing lately,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rate of MRSA infection was over 70%. It brings to careful consideration of early glycopeptide treatment in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if gram positive infection is suspected. Also until now, most studies concerning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ere mainly related to hematologic malignancy rather than solid tumor.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isk factors for gram positive bacteremia in a cohort of 288 solid tumor patients who were more than 18 years old and had neutropenic fever after chemotherapy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4 at the Department of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Seoul. Results : We identified the cause of fever in 130 (45.1%) cases, of which 53 (18.4%) cases were blood stream infection. Gram positive organism was isolated in 27 cases which comprises 50.9% of blood stream infections, followed by gram negative organism (47.2%) and fungus (1.9%).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ram positive bacteremia was associated independently with central venous catheter (CVC) infection, oropharyngeal mucositis,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in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solid tumor. Conclusions : Gram positive bacteremia was common among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in solid tumor and was associated with CVC infection, oropharyngeal mucositis,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The early use of glycopeptide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such conditions.

      • KCI등재

        CD ROM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이 단기입원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과 수술 후 자가간호 수행을 위한 지식에 미치는 효과

        황연자,박연환,박인선,김남이,김정미,김진영 성인간호학회 2004 성인간호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rsing education using a CD ROM on the anxiety and knowledge of the patients having minor surgery. Method: Forty patients hospitalized in K hospital in Seoul from April to August 2002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experimental group, twenty patients received nursing education on the operational procedures and post-operational care. The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nursing care only. Anxiety experienced by patients was measured b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knowledge was measured by an instrument developed by Rahe et a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level between two groups. However,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postoperative knowledge level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CD ROM program. Conclusion: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CD ROM before minor surgery proved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knowledge of patients and contribute to their self care after discharge. To decrease anxiety of the surgery,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mbined with supprortive emotional nursing intervention, such as touch, and massage.

      • 곰팡이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규명

        남궁준,연승우,백남수,김태한,김영호,김창진,김기원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8 藥學論文集 Vol.14 No.-

        Helicobacter pylori is a Gram-negative bacterium which causes chronic gastritis and is associated with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and gastric carcinoma. In the process of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H. pylori from soil microorgani는, fungus No. 60686 was isolated. After fementaion of No. 60686, the antibacterial compound was isolated, purified and followed by extraction of mycelium with orgainic solvents, acetone and ethyl acetate, through silica gel chromatography, LH-20 gel chromatography and HPLC.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es of the compound by IR, ^1H- and ^13C-NMR, FAB/Mass spectrophotomer, the compound having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idenfitied as chaetoglobosin A (C_32H_36N_2O_5), a cytochalasan derivativ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aetoglobosin A was tested against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by paper disk method. Among the test strains of 9 Gram-positive bacteria and 18 Gram-negative bacteria containing 4 H. pylori strains, the growth of 4 H. pylori strains and 3 S. aureus strains (SG 511, 285 and 503) was only inhibited by chaetoglobosin A. Also it was shown that its growth inhibition against H. pylori strains was stronger than that against S. aureus strains at the treatment of the same concentrati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chaetoglobosin A has a specific growth inhibition against H. pylori of the tested bacteria.

      • KCI등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확진되고 Atovaquone과 Azithromycin으로 치료한 Human Babesiosis 1예

        윤기태,김연아,구남수,김준형,정세진,김홍정,송경호,최유경,신소연,김영근,김명수,박윤선,최준용,송영구,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5

        저자들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통하여 B. microti에 의한 인체 바베시오시를 진단하였으며, atovaquone과 azithromycin 병합요법을 사용하여 치유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uman babesiosis is a tick-borne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Babesia species. The clinical diagnosis is difficult because of nonspecific symptoms like flu. Rapid diagnosis of human babesiosis is microscopic examination in peripheral blood smear (Giemsa-stain) which reveals characteristic forms of an intracellular quadruplet parasite. But differentiation between Babesia microti and Plasmodium species can be quite difficult because of the morphologic similarity. We experienced a case of human babesiosis. The patient was a 62-year old Korean male who had been in New Jersey, U.S.A for 2 months. We initially diagnosed as malaria infection because the peripheral blood smear revealed intracellular single ring form organism. But the patient w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by the treatment with chloroquine regimen. Finally we confirmed human babesiosi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abesia microti. We treated the patient successfully with a regimen of atovaquone and azithromycin which has fewer adverse reactions than a regimen of clindamycin and quinine.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GO-39 : Prognostic significance of treatment-induced pathologic remission and adjuvant chemotherapy after interval cytoreduction following neoadjuvant chemotherapy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 Shin Wha Lee ),( Kyu Rae Kim ),( Dae Yeon Kim ),( Jong Hyeok Kim ),( Young Man Kim ),( Young Tak Kim ),( Joo Hyun Nam1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4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0 No.-

        목적: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rognostic role of pathological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NACT) and adjuvant management in unresectable advanced ovarian cancer (AOC) patients. 방법: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94 unresectable AOC patients treated with NACT followed by interval debulking surgery (IDS). Pathological response was classified as follows: complete remission (CR) in the absence of residual disease, microscopic (microPR) in the presence of microscopic tumor foci, and macroscopic (macroPR) when macroscopic residual disease was detected. Adjuvant management was classified to two groups: the one was treated with 3 cycles of adjuvant chemotherapy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more than 3 cycles. 결과: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istribution of baselin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3 pathologic groups.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was 28 months CR, 16 in microPR, and 13 in macroPR (p<0.05). Median overall survival was 52 months in CR, 32 in microPR, and 21 in macroPR (p<0.05). Median PFS was not different between 3ACT and 6ACT, but median O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6ACT wh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platinum-respondors (28 months vs. 34 months). 결론: The pathologic response to NACT is associated with a favorable prognosis. Additionally, the sufficient adjuvant chemotherapy was important. The careful clinical setting is necessary for the patients treated with IDS following N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