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Nurses' management of older patients with post-anesthesia delirium: A Q methodology approach

        Kang,Minyeong(Minyeong Kang),Kim,Eun Young(Eun Young Kim),Chang,Sung Ok(Sung Ok Chang) 한국노인간호학회 2022 노인간호학회지 Vol.24 No.4

        Purpose: This is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nurses in Post Anesthesia Care Units (PACUs) in caring for older patients with emergence delirium using the Q-methodology. Methods: The Q-methodology, which is used to explore and understand human subjectivity, was applied. Thirty nurses who had experiences in providing nursing for delirium in older patients after surgery in a PACU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This study revealed three factors regarding the frame of reference of PACU nurses in detecting and managing older patients' emergence delirium: “detect the deviant changes leading to instability”, “focus on the patient’s degree of cognitive recovery within the framework of recovery time”, and “awareness of possible clues based on the patient’s underlying disease(s)”. Conclusio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s for more practical and accessible PACU nurse delirium education that reflects nurses’ subjective viewpoints explained by the three identified factors.

      • KCI등재후보

        위절제술 환자의 표준진료지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은희,김철규,이순교,김순덕,이혜옥,권정순,이경미,이민미,심순미,유용만,신종식,강은희,이상일,김병식,오성태,육정환,박수길 한국의료QA학회 2003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0 No.2

        Background : Gastric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in Korea. surgical operation is one of the major treatment modalities for gastric cancer patients. Therefore, gastrectomy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in General Surgery. There were variation in length of hospital stay and medical treatment for gastrectomy between three surgeons at Asan Medical Center. Clinical pathway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 tool for recucing the medical practice variatio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are proces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clinical pathway for gastrectomy in gastric cancer patients. Methods : The clinical pathway for gastrectomy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a multidisciplinary group in Asan Medical Center. A computerized clinical pathway program was developed and revised after a pilot test. A total of 145 patients underwent gastrectomy by three surgeons at Asan Medical Center. We compare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patient satisfaction, and unplanned readmission rate between the pre-pathway group(n=67) and the post-pathway group(n=78). We also investigat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the physicians and nurses who were main end-users of the clinical pathway. Results : The clinical pathway was applied to all target patients.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shortened from 12.7days to 10.6days(p<0.01). The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care process changed from 90.3% to 89.2%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but the difference was of satistically significant(p=0.761). Unplanned readmission rate was 2.9% in the pre-pathway group. More than 90% of physicians and nurses answered that the clinical pathway had been a useful tool in their medical practice.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for gastrectomy produced substantial reduction in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outcomes. The computerized clinical pathway program can be used as one of the powerful patient management tools for reducing the practice variations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are process in Korea hospital settings.

      • KCI등재후보

        8년간(1992~1999)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의뢰된 직업병 심의 사례 분석

        강성규,김규상,김양호,최정근,안연순,진영우,최병순,양정선,김은아,채창호,최용휴,김대성,박정선,정호근 대한산업의학회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2

        Objectives : Pneumoconisis and 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have been reported as main occupational diseases by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has reported various work-related diseases, however, these two diseases occupied almost a half of compensated cases. Therefore, it was not well known about the status of occupational diseases other than pneumoconiosis, NIHL, and cardio-cerebrovascular accident (CV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laimed cases as an occupational disease, that was requested to the Korea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Methods : The local office of the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LWC) has asked the KOSHA for confirmation of claimed cases as an occupational disease. We analyzed 379 cases requested from KLWC, the Ministry of Labor, employers, unions and occupational health agencies from 1992 to 1999. Results : Male was 80.7 % of the requested cases. Their mean age was 42 years old and 75.5 % of them were more than 35 years old. The requested cases were increased rapidly from 25 cases in 1992 to 108 cases in 1999 and the accept rate was 50.7 %. The majority of requested cases were respiratory diseases(22.4%), cancers(18.5%), Neuropsychiatric problems(14.5%), and musculoskeletal problems(13.5%). The accept rate was high in reproductive, respiratory, musculoskeletal and digestive disorders and low in neuropsychiatric, renal and otologic problems and occupational cancers. 73.6% of them were caused by chemical agents, especially 28.5 % were by organic solvents. 67% of them were clinically confirmed at university hospitals. A half of the cases were from KyongIn area, even the request came from the whole country. Conclusions : A claim was common in workers whose age was over 35 years old and exposure history was over 10 years. The respiratory diseases and neuropsychiatric disorders were still main problems in occupational health and occupational cancers was increasing even though its accept rate was not high yet.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입원 중인 베트남 참전 군인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

        김애리,박종,김율,노희송,박광희,김은숙,김형철,홍강식,류소연,강명근,김기순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7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2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hospitalized Vietnam veterans. Material and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hospitalized Vietnam veterans of 5 veterans hospitals in Korea from September 13 to 23, 2004. Inform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disease history, family func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mean of life satisfaction was 21.48(±6.03), and the mean of depression was 53.10(±9.64).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mild depression 24.0%, moderate depression 43.5% and severe depression 25.0%.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as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lower. Family function and ag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Life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hospitalized Vietnam veterans.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psychosocial approaches such as improve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in care of hospitalized Vietnam veterans is required.

      • SCISCIESCOPUS

        Inhibition of Cytokine-Mediated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Rat Insulinoma Cells by Scoparone

        Kim#, Eun Kyung,Kwon#, Kang Beom,Lee, Ju Hyung,Park, Byung Hyun,Park, Jin Woo,Lee, Hern Koo,Jhee, Eun Chung,Yang, Jeong Yeh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2007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Vol.30 No.2

        <P>Cytokines produced by immune cells infiltrating pancreatic islets are important mediators of β-cell destruction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Scoparone (6,7-dimethoxycoumarin) is known to have a wide range of pharmacological properties <I>in vitro</I>.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coparone on cytokine-induced β-cell dysfunction were examined. Presence of scoparone significantly protected interleukin-1β (IL-1β) and interferon-γ (IFN-γ)-mediated cytotoxicity of RINm5F, a rat insulinoma cell line, and preserved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in rat pancreatic islets. Scoparone also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IL-1β and IFN-γ-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 finding that correlated well with reduced levels of the inducible form of NO synthase (iNOS) mRNA and protein.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scoparone inhibited iNOS gene expression appeared to involve the inhibition of NF-κB activation. These results revealed the possible therapeutic value of scoparone for the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progression.</P>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직업적 노출에 의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노출수준 : 3예의 사례와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이선웅,김은아,김대성,고동희,강성규,김병규,김민기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2

        배경: TCE는 심각한 전산적 피부염과 관련 있는 것으로 몇몇 사례들을 통해서 보고되어 왔으나,기존의 사례 보고들에서 노출평가가 수행된 사례는 드물었고 추정되는 노출량 역시 매우 다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CE 노출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3예를 확인하고 각 사례들에 대한 작업재연을 통해 노출수준을 추정하였으며,이를 통해 TCE의 직업적 노출수준과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을 포함하는 전신적 박탈성 피부염 발생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증례: 사례 1은 24세 필리핀인 여자로 TCE를 이용한 탈지작업을 시작한 35일 후 발진을 포함한 피부증상이 발생하였고 증상이 진행되면서 간기능 이상이 발견되었다. 환자는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과 독성간염으로 진단되었고 증상발생 39일 간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증상발생 전 약물 복용력은 없었고 바이러스 감염 등의 비직업적 원인은 찾을 수 없었으며,작업재연을 통한 TCE의 개인 노출수준 은 TWA 21.9 ppm과 32.3 ppm이었다. 사례 2는 47세 한국인 남자로 TCE를 이용한 탈지 작업을 시작한 20일 후 발진을 포함한 피부증상이 발생하였고 증상이 진행되면서 간기능 이상이 발견되었다. 환자는 중독성 표피괴사증 또는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전격성간염 및 동반된 패혈증으로 진단되었고 증상발생 42일 간부전 및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증상발생 전 약물복용력은 없었고 바이러스 감염 등의 비직업적 원인은 찾을 수 없었으며,작업재연을 통한 TCE의 개인 노출수준은 TWA 30.1 ppm이었으며 세척조 주위의 지역시료는 TWA 116.5 ppm∼229. 7 ppm 이었다. 사례 3은 22세 베트남인 여자로 TCE를 이용한 탐지작업을 시작한 30일 후 발전을 포함한 피부증상이 발생하였고 증상이 진행되면서 간기능 이상이 발견되었다. 환자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및 동반된 독성간염으로 진단되었고 증상발생 37일 증세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증상발생전 약물복용력은 없었고 바이러스 감염 등의 비직업적 원인은 찾을 수 없었으며,작업재연을 통한 TCE의 개인 노출수준은 TWA 107.2 ppm이었다. 고찰: TCE에 노출된 일부의 사람들에서 노출 후 2주에서 5주 사이에 심각한 급성 간염이 동반되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고,이번의 연구결과와 기존의 연구를 종합 할 때 TCE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사람의 상당수는 노출기준 이상의 고 노출에 노 출 후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TCE에 대한 고 노출을 막기 위해 TCE 세척작업에 대한 작업환경 확인과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동시에 노출 후 증상발생기간의 일관성과 노출기준 이하의 저 노출에서의 감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을 고려하여,작업시작 후 1개월경의 특수건강검진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 ground: Trichloroethylene (TCE) has been reported to be related to severe generalized exfoliative dermatitis frequently accompanied by toxic hepatitis. The measurements of environmental exposure were limited in the previous case reports and the reported exposure values were also diverse. We reviewed three cases of Stevens-Johnson syndrome associated with TCE. The work environment was measur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after the cases occurred. From the study results, we inten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CE exposure level and Stevens-Johnson syndrome. Case report: Case 1. A 24-year-o1d Filipino female worker developed a skin rash 35 days after starting to use TCE for degreasing. The skin rash developed into a bullous eruption and the liver function findings were abnormal. She was diagnosed with Stevens-Johnson syndrome and toxic hepatitis. She died of hepatic failure 39 days after the onset of the first symptom. She had no previous history of taking medicine or viral infection. The work environment measured 22.0 to 32.3 ppm (Personal exposure level) with TWA. Case 2. A 47-year-o1d Korean male worker developed a skin rash, 20 days after starting to use TCE for degreasing. The skin rash developed into a bullous eruption and the liver function findings were abnormal. He was diagnosed with Stevens-Johnson syndrome, toxic hepatitis and sepsis. He died of hepatic failure and sepsis 42 days after the onset ofthe first symptom. He had no previous history of taking medicine or viral infection. The work environment measured 30.1 ppm (Personal exposure level) and 116.5∼229.7 ppm (area exposure level close to the degreasing rnachine) with TWA. Case 3. A 22-year-old Vietnamese female worker developed a skin rash 30 days after starting to use TCE for degreasing. The skin rash developed into a bullous eruption and the liver function findings were abnormal. She was diagnosed with Stevens-Johnson syndrome and toxic hepatitis. Her symptoms improved and she was discharged 37 days after the onset of the first symptom. She had no previous history of taking medicine or viral infection. The work environment measured 107.2 ppm (Personal exposure level) with TWA. Discussion: These three case reports and the previously reported case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people susceptible to TCE develops Stevens-Johnson syndrome after high-level TCE exposure (above the TWA occupational exposure limit of 50 ppm). Therefore, work environmental survey and improvements to the TCE degreasing process are essential to prevent high exposure. Furthermore, considering the consistency of the latency period in symptoms and the possibility of sensitization in low-level exposure, we recommend that the first specific health examination also should be conducted 1 month after workers have commenced wor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