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극로의 북한 행적과 『이극로 전집』의 과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3 No.-

        조선어학회 대표였던 이극로(1893~1978)는 광복 후 조선건민회를 조직해 정치계에 뛰어들었다. 1948년 남북연석회의 참석 후 평양에 잔류한 이후 1978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북한의 조선어학 토대를 다지고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그런데 이극로가 북한 정권 수립에 일조하고 대남선전선동의 선봉으로서 활동했던 이력은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극로는 김일성의 신임을 받아 북한 초대 내각 무임소상에서부터 승승장구하였으며, 반미 반이승만 발언을 지속했다. 한국전쟁 때는 대남선전선동에 앞장섰고, 군사정권 때는 반미 반박정희 강경 발언을 지속했다. 이극로의 민족어 연구와 공헌은 남한과 북한에서 공히 인정하는 바다. 그러나 김일성의 사상과 혁명 사업을 고수하고 선전하는 데 앞장섰던 그의 정치 행보는 남한에서 재평가될 것이고, 체제 찬양발언으로 인해 기념사업은 난관이 있을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2019년 『이극로 전집』(전4권) 간행 이후에 확인된 글을 보완한 총목록을 부록에 실었다.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Language Study Society Representative, Yi, Geugno (Kolu Li, 1893~1978) organized the Chosun KUNMIN-HOI (Strong People’s Society) and leapt into the political world. In 1948, he attended South-North Joint conference (joint conference with representative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stayed behind Pyongyang in North Korea. Afterward, until his death in 1978, he contributed to solidifying and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North Korea. However, the history of Yi, Geugno’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serving as the vanguard of propaganda against South Korea was not well known in the Koreas. Yi, Geugno earned the trust of Kim Il-sung. As a Minister without Portfolio in the first cabinet of North Korea, he went from strength to strength and continued to speak for anti-Americanism and against Syngman Rhee. During the Korean War, he took the lead in anti-American propaganda, and during the military regime in South Korea, he continued to speak for anti-Americanism and against Park Chung-hee. Yi, Geugno’s study of and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language are recogniz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his political actions, which were focused on adhering to and promoting Kim Il-sung’s ideas and revolutionary work, may be reevaluated in South Korea, and his commemorative project is expected to be experience difficulty due to his remarks in prai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this paper, a general table of contents that supplements the articles confirme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The Complete Works of Yi Geugno (all 4 volumes) in 2019 is included in the appendix.

      • 이관구의 사학연구협회 조직과 『단기고사』 초고 검토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2 No.-

        본고에서는 황해도 송화 출신 독립운동가 이관구(1885∼1953)가 1945년 서울에 월남해서 1949년까지 행적 중 사학연구협회 조직, 그리고 여러 저술 중 『단기고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이관구는 해방 직후 서울에서 4년 간 정치 활동과 군사 활동, 사회 활동을 활발히 했으나 기대만큼의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대신 1946년 9월 서울 성북동 5번지 의친왕 이강 별장(현재의 성락원) 내에 사학연구협회를 조직하고 그 회장으로서 연구와 집필 활동을 통한 문학, 역사, 철학 출판물에서 현대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관구는 사학연구협회를 통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비밀결사 독립운동 성격상 드러나기 힘들었던 사건과 일화, 고락을 같이 했던 동지들에 대한 기록도 이때 세상에 드러날 수 있었다. 서울 성북동 5번지는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기록이 담긴 『의용실기』와 같은 저술이 집필된 장소라는 사실만으로도 현대사적 가치를 무시할 수 없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화사유고』(2011)에서 처음 공개된 이관구 필사본 대야발의 「단기고사 중간서」와 황조복의 「단기고사서」를 분석한 결과, 전자의 경우 1949년에 출간된 『단기고사』의 내용과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대종교 경전 『삼일신고』(1912)를 23.4% 차용한 정황이 드러났으며, 이는 『단기고사』 초고(한문본) 중 일부로 판단되었다. 『단기고사』는 본래 모본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1949년 초판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규원사화』의 영향 그리고 대종교 신자인 이시영 내지 대종교 교리에 해박한 김두화 등의 교열을 거치면서 대종교 색채가 가미된 것으로 보인다. 광복 이후 위서 『환단고기』(1979)의 출현 사이 30년의 공백 기간 동안 이관구가 1949년과 1950년에 『단기고사』를 출판하고서 국립경찰전문학교를 통해 일선 경찰관 및 각 지방 유지들에게 널리 배포해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한 점은 의의가 있다. 비록 그렇더라도 독립운동가로서 이관구의 위상과 별개로 그가 남긴 저술에 대해 냉철한 서지 비판이 더욱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mainly examined Yi Kwan-gu (1885∼1953)’s organization of Sahakyonguhyuphoe of the traces of his activities in 1945 to 1949 when he came to and stayed in Seoul, as well as Dangigosa of his various writings. First, Yi Kwan-gu did not attain outcomes as expected although he actively engaged in political, military and social activities for four years in Seoul right after Korean independence in 1945. Instead, he organized Sahakyonguhyuphoe in the building of Prince Yi Kang’s villa located in 5 Seongbuk-dong, Seoul (current Sungrakwon). Through his research and writing activities as a chairman, the significance of modern history be found in his literary, historical, philosophical publications. Yi Kwan-gu had published many writings through Sahakyonguhyuphoe. Also, these publications disclosed episodes and anecdotes of his comrades sharing joys and sorrows with him, which were unrevealed because they were members of a secret organization. 5 Seongbuk-dong, Seoul was a place where writings such as Ouiyongsilgi that contained records of independence activists were published. Only with this fact, the place cannot be neglected.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Dae Yabal’s Dangigosa Jungganseo, Yi Gwan-Gu’s manuscript and Hwang Jo-Bok’s preface of Dangigosa Seo which was first open to the public in the Hwasayugo (2011), the former was differentiated from the contents of Dangigosa that was published in 1949. More specifically, as part of the draft of Dangigosa (written in Chinese), it adopted 23.4% of Samilshingo (1912), the scriptures of Daejonggyo. Dangigosa has been considered to have an original example. However, during the process of preparations for its first edition in 1949, it was influenced by Gyuwonsahwa and revised by Lee Si-young, a believer in Daejonggyo or Kim Du-hwa knowledgeable of Daejonggyo doctrines. It was then tinged with Daejonggyo. For thirty years when Hwandangogi (1979), a forged book emerged after Korean independence, Yi Kwan-gu not only published Danggigosa in 1949 and 1950 but also distributed it to first-line policemen and local community leaders so that he was able to contribute to stimul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Nonetheless, it is necessary to conduct bibliographically critical review Yi Kwan-gu’s writings apart from his reputation as an independence activist.

      • 어린이집 등하원 관리를 위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개발

        조준희(Cho Junhee),김혁진(Kim hyeokjin),박경주(Park gyeongju),노수진(Noh sujin),최희정(Choi Heejung),윤익준(Yoon Ikjun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초기의 어린이집 등하원 알림 방식은 보안적 측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재공하지 못했다. 추후 연구를 통해 라즈베리파이 얼굴인식을 이용한 등하원 알림 방법이 개발되었고 이는 기존의 NFC와 Beacon을 사용한 방법들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더 정확한 얼굴인식을 위해 Haar Cascade와 LB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개인의 얼굴 학습 및 인식 방법을 제안하고 FCM을 통해 알림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initial daycare center access notification method did not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in terms of security. Through further research, a method of access notification using Raspberry Pi face recognition was developed, and This has become more reliable than the existing methods using NFC and Beac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ividual’s facial learning and recognition method using Haar Cascade and LBP algorithms for more accurate face recognition, and It provides notification service through FCM.

      • 박은식 「서도여행기」의 민족사적 의의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2 No.-

        구한말 평안도는 화서학파 박문일과 박문오 형제의 인맥적 토대가 확고히 다져졌다. 박문오의 장남 박동흠은 박문일·박문오 사후 가문을 이끌며 평안도 유림의 종장으로 추앙받았다. 그런데 을사늑약 이후 화서학파 동문인 박은식이 유림계의 개혁 운동을 제창해 유림 전체의 총체적 반성과 성찰을 여론화시켰다. 박동흠은 유림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적극 동참해 양명학을 받아들이고, 서북학회에 가입했으며, 가산군에 육영학교를 설립해 신학문 습득과 신교육 등 애국계몽운동을 솔선했다. 박동흠과 주변 인사들은 그의 뒤를 이어 유신학교, 덕 달학교, 오천학교, 오산학교 등을 세웠다. 평안도 지역에서 1908년 5월부터 서북학회 지교가 승인·확산되어 가자 박은식은 1909년 7월에 6개교(평남 2개교[일신·대성], 평북 4개교[창동·한흥·오산·육영]), 1910년 5월에 다시 12개교(평남 4개교[안흥·중원·봉명·대성], 평북 7개교[유신·오산·오천·신흥·덕달·육영·진명], 황해도 1개교[조양])를 시찰했다. 박은식은 서북학회 지교 설립을 권유하거나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에도 직접 답사했다. 신민회 계열의 평양 대성학교와 안주 협성안흥학 교도 방문했는데, 뒤에 신민회 사건에 연루되는 오희원이나 명이항 등 인사와 만났던 점도 주목되었다. 박은식의 유림계 개혁 운동에 영향을 받아 사상적 전환을 하게 된 평안도 유림 주도 세력은 의병 운동이 아닌 애국계몽운동을 실천했다. 비록 설립된 학교들이 일제 때 폐교되었으나 1915년에 이르러 국내 최대 항일 단체인 광복회 평안도지부의 핵심 세력이 되었다. 이를 통해서 박은식의 「서도여행기」는 감성적인 기행문의 차원을 넘어 1910년대 항일민족운동의 초석과 그 사상적 동력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A foundation of personal connections of Mun-Il and Mun-O Park brothers of the Hwaseo school was fully established in Pyeongando in the late Joseon. After the Park brothers’ passing, Dong-Heum, Mun-O Park’s eldest son, leading the family, was highly esteemed as a master of Confucians in Pyeongando. However, after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1905, Eun-Sik Park, an alumnus of the Hwaseo school advocated the reformation of Confucian schools so that he publicized the general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f the whole Confucian scholars. Although Confucian schools dissuaded Dong-Heum Park, he not onl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formation, accepted the philosophy of Yang-Ming Wang, and joined Seobukhakhoe but also founded Yukyoung school in Gasan County (current Bakcheon County, Pyeonganbuk-do). Through this school, he took the initiative in offering, providing students with new learning as well as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 addition to Dong-Heum, his companions, as local figures, following him, founded Yushin School, Deokdal School, Ohcheon School, and Osan School. As branches of Seobuk School were approved in May 1908 in the Pyeongando region, they spread over the region since then. Eun-Sik Park inspected six of these schools in July 1090: two in the southern Pyeongando[Ilshin and Daesung] and four in the northern Pyeongando [Changdong, Hanheung, Osan and Yukyoung]). In May 1910, he additionally checked twelve schools (four in the southern Pyeongando [Anheung, Jungwon, Bongmyeong and Daesung] and seven in the northern Pyeongando [Yushin, Osan, Ocheon, Sinheung, Deokdal, Yukyoung, Jinmyeong], and one in Hwanghaedo [Joyang]). Eun-Sik Park recommended local figures to establish branches of Seobuk School or personally traveled to areas with strong conservative inclination. He also visited Daesung School in Pyongyang and Hyupsung Anheung School in Anju. Both schools were affiliated with Shinminhoe. Moreover, it was noted that he met several figures, including Hee-Won Oh and Yi-Hang Myung, who were involved in the Shinminhoe Incident. Confucian schools in Pyeongando, affected by Eun-Sik Park’s reformation of Confucian schools, made an ideological shift. Their leading groups drove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instead of the loyal troops movement. Although those schools were clos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became the core influence of the Pyeongando branch of Restoration Society, the biggest anti-Japan organization in Korea. In this respect, Eun-Sik Park's Seodoyeohaenggi (A travelogue to Seodo) acquires historical significance since it not only served as the cornerstones of the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in the 1910s but also had its ideological power beyond the level of a sentimental travelo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