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극로의 북한 행적과 『이극로 전집』의 과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3 No.-

        조선어학회 대표였던 이극로(1893~1978)는 광복 후 조선건민회를 조직해 정치계에 뛰어들었다. 1948년 남북연석회의 참석 후 평양에 잔류한 이후 1978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북한의 조선어학 토대를 다지고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그런데 이극로가 북한 정권 수립에 일조하고 대남선전선동의 선봉으로서 활동했던 이력은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극로는 김일성의 신임을 받아 북한 초대 내각 무임소상에서부터 승승장구하였으며, 반미 반이승만 발언을 지속했다. 한국전쟁 때는 대남선전선동에 앞장섰고, 군사정권 때는 반미 반박정희 강경 발언을 지속했다. 이극로의 민족어 연구와 공헌은 남한과 북한에서 공히 인정하는 바다. 그러나 김일성의 사상과 혁명 사업을 고수하고 선전하는 데 앞장섰던 그의 정치 행보는 남한에서 재평가될 것이고, 체제 찬양발언으로 인해 기념사업은 난관이 있을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2019년 『이극로 전집』(전4권) 간행 이후에 확인된 글을 보완한 총목록을 부록에 실었다.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Language Study Society Representative, Yi, Geugno (Kolu Li, 1893~1978) organized the Chosun KUNMIN-HOI (Strong People’s Society) and leapt into the political world. In 1948, he attended South-North Joint conference (joint conference with representative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stayed behind Pyongyang in North Korea. Afterward, until his death in 1978, he contributed to solidifying and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North Korea. However, the history of Yi, Geugno’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serving as the vanguard of propaganda against South Korea was not well known in the Koreas. Yi, Geugno earned the trust of Kim Il-sung. As a Minister without Portfolio in the first cabinet of North Korea, he went from strength to strength and continued to speak for anti-Americanism and against Syngman Rhee. During the Korean War, he took the lead in anti-American propaganda, and during the military regime in South Korea, he continued to speak for anti-Americanism and against Park Chung-hee. Yi, Geugno’s study of and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language are recogniz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his political actions, which were focused on adhering to and promoting Kim Il-sung’s ideas and revolutionary work, may be reevaluated in South Korea, and his commemorative project is expected to be experience difficulty due to his remarks in prai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this paper, a general table of contents that supplements the articles confirme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The Complete Works of Yi Geugno (all 4 volumes) in 2019 is included in the appendix.

      • KCI등재

        스프레이 공정을 이용한 nc-ZnO/ZnO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작 및 특성 분석

        조준희,Cho, Junhee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22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21 No.3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based on spray-pyrolysis deposition technique has attracted large attention due to simple and low-cost processibility while preserving their intrinsic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ir high process temperature limits practical applications. Here, we demonstrated the nc-ZnO/ZnO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via spray-pyrolysis as incorporating ZnO nanocrystalline nanoparticles into typical ZnO precursor. The nc-ZnO/ZnO FETs exhibit good quality of electrical properties. Our experiments reveal that nc-ZnO in active layer enhance electrical characteristics.

      • 이관구의 사학연구협회 조직과 『단기고사』 초고 검토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2 No.-

        본고에서는 황해도 송화 출신 독립운동가 이관구(1885∼1953)가 1945년 서울에 월남해서 1949년까지 행적 중 사학연구협회 조직, 그리고 여러 저술 중 『단기고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이관구는 해방 직후 서울에서 4년 간 정치 활동과 군사 활동, 사회 활동을 활발히 했으나 기대만큼의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대신 1946년 9월 서울 성북동 5번지 의친왕 이강 별장(현재의 성락원) 내에 사학연구협회를 조직하고 그 회장으로서 연구와 집필 활동을 통한 문학, 역사, 철학 출판물에서 현대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관구는 사학연구협회를 통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비밀결사 독립운동 성격상 드러나기 힘들었던 사건과 일화, 고락을 같이 했던 동지들에 대한 기록도 이때 세상에 드러날 수 있었다. 서울 성북동 5번지는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기록이 담긴 『의용실기』와 같은 저술이 집필된 장소라는 사실만으로도 현대사적 가치를 무시할 수 없는 공간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화사유고』(2011)에서 처음 공개된 이관구 필사본 대야발의 「단기고사 중간서」와 황조복의 「단기고사서」를 분석한 결과, 전자의 경우 1949년에 출간된 『단기고사』의 내용과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대종교 경전 『삼일신고』(1912)를 23.4% 차용한 정황이 드러났으며, 이는 『단기고사』 초고(한문본) 중 일부로 판단되었다. 『단기고사』는 본래 모본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1949년 초판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규원사화』의 영향 그리고 대종교 신자인 이시영 내지 대종교 교리에 해박한 김두화 등의 교열을 거치면서 대종교 색채가 가미된 것으로 보인다. 광복 이후 위서 『환단고기』(1979)의 출현 사이 30년의 공백 기간 동안 이관구가 1949년과 1950년에 『단기고사』를 출판하고서 국립경찰전문학교를 통해 일선 경찰관 및 각 지방 유지들에게 널리 배포해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한 점은 의의가 있다. 비록 그렇더라도 독립운동가로서 이관구의 위상과 별개로 그가 남긴 저술에 대해 냉철한 서지 비판이 더욱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mainly examined Yi Kwan-gu (1885∼1953)’s organization of Sahakyonguhyuphoe of the traces of his activities in 1945 to 1949 when he came to and stayed in Seoul, as well as Dangigosa of his various writings. First, Yi Kwan-gu did not attain outcomes as expected although he actively engaged in political, military and social activities for four years in Seoul right after Korean independence in 1945. Instead, he organized Sahakyonguhyuphoe in the building of Prince Yi Kang’s villa located in 5 Seongbuk-dong, Seoul (current Sungrakwon). Through his research and writing activities as a chairman, the significance of modern history be found in his literary, historical, philosophical publications. Yi Kwan-gu had published many writings through Sahakyonguhyuphoe. Also, these publications disclosed episodes and anecdotes of his comrades sharing joys and sorrows with him, which were unrevealed because they were members of a secret organization. 5 Seongbuk-dong, Seoul was a place where writings such as Ouiyongsilgi that contained records of independence activists were published. Only with this fact, the place cannot be neglected.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Dae Yabal’s Dangigosa Jungganseo, Yi Gwan-Gu’s manuscript and Hwang Jo-Bok’s preface of Dangigosa Seo which was first open to the public in the Hwasayugo (2011), the former was differentiated from the contents of Dangigosa that was published in 1949. More specifically, as part of the draft of Dangigosa (written in Chinese), it adopted 23.4% of Samilshingo (1912), the scriptures of Daejonggyo. Dangigosa has been considered to have an original example. However, during the process of preparations for its first edition in 1949, it was influenced by Gyuwonsahwa and revised by Lee Si-young, a believer in Daejonggyo or Kim Du-hwa knowledgeable of Daejonggyo doctrines. It was then tinged with Daejonggyo. For thirty years when Hwandangogi (1979), a forged book emerged after Korean independence, Yi Kwan-gu not only published Danggigosa in 1949 and 1950 but also distributed it to first-line policemen and local community leaders so that he was able to contribute to stimulat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Nonetheless, it is necessary to conduct bibliographically critical review Yi Kwan-gu’s writings apart from his reputation as an independence activist.

      • 단재 정훈모의 생애와 활동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19 대종교연구 Vol.1 No.-

        정훈모는 충남 홍성 출신 우국지사이자 종교지도자다. 그는 홍주의병 선봉장이었던 청양군수 정인희의 장남으로 태어나 영춘군수 등을 지내며 관료의 길을 걸었던 인물이다. 그는 지방 군수 재임 시절 애국계몽운동에도 관심을 보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었고, 대한자강회, 기호흥학회에도 가입하였다. 1909년 나인영(후의 나철)의 4차 도일 외교 시에 동참했다가 도쿄의 가이헤이칸 여관에서 백두산 도인 두일백을 만나 경전류를 전수받고 귀국한 뒤 나인영과 함께 단군교를 중광하고 포교에 열심히 활동하였다. 국조 단군에 대한 숭모 사상은 조선 말 백두산 도인 백봉이 이끈 단군교 전수 단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백봉 교단의 도맥은 홍암나철과 단재 정훈모 양인에게 나뉘어졌다. 그러나 나철이 유교 형식을 타파하고자 한데 비해, 정훈모는 유교사상과 의례를 버리지 못했던 차이가 있었다. 결국 두 사람은 사상적 차이로 1910년에 분립한 뒤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고, 정훈모는 일제강점 치하 국내에서 단군교를 지키기 위해 1910년부터 1936년까지 경전 간행과 교리의 체계화, 예식 정비에 주력하였다. 외압과 내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민족 경전’으로 알려진 천부경·삼일신고·성경팔리의 3대 경전 체계를 세운 장본인으로서, 한국종교사 서술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아이러니하게도 70년대부터 대종교에서는 반대파인 정훈모가 이루어 놓은 경전 체계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 백두산 도인 수장 백봉이 주창하여 나철과 정훈모의 단군교 중광 및 개천절 행사로 명맥이 이어져 오늘날 국경일로 제정되기까지 역사적 배경과 노력은 제대로 평가받아야 한다. 앞으로 정훈모는 나철과 함께 대종교 중광의 주역으로서 뿐만 아니라 최초 개천절(개극절) 행사를 함께했던 동지로서도 반드시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정훈모는 일제강점기라는 난세에 한민족 시조 단군의 역사와 의미를 찾기 위해 많은 고민과 실천을 하였고, 민족종교 단군교를 이끌었던 종교지도자였다. 나철이 신앙대상을 보편적 차원의 삼신으로 격상한 것에 비해, 정훈모는 단군교를 고수하며 교명의 명분에 맞게 단군문화의 보급과 확산에 헌신했다. 이를 위해 그는 단군교의 교리·교사·의례에 관한 서적을 수집하고, 정리해서 출판하는 일에 특히 관심을 기울였다. 일제에 의해 끝내 단군교가 폐교되자 그는 그간의 단군신앙운동 과정을 집대성한 『단군교부흥경략』을 출판해 그의 일관된 노력이 단군문화와 관련 서적의 정리와 보급에 있었음을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정훈모가 몸담았던 시흥 단군전은 비록 터만 남았으나 터 자체만으로도 향토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일제의 탄압과 한국전쟁, 1981년 철거를 거치면서 공간과 예식 문화가 사라졌으나, 다행히 단군전 예식자료가 모두 전해 와서 복원하는 데 문제없다. Cheong Hunmo(1868~1943) is a religious leader and a patriot from Hongseong, South Chungcheong Province. Born as the eldest son of Cheong Inhee(1849~1917), governor of Cheongyang County who led the Hongju Righteous Army against Japanese encroachment, Cheong walked the path of a bureaucrat, serving positions such as the governor of Yeongchun(in today's Danyang County, North Chungcheong Province). During his time as the county governor, he showed interest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believed that education would be the most important way in which his country could gain independence and achieve modernization. To this end, he joined groups such as Daehan-Jaganghoe and Giho-Heunghaghoe. In 1909, while accompanying Ra Inyoung’s(renamed as Ra Cheol afterwards) fourth diplomatic visit to Japan, he met Du Ilbaek, an ascetic from Mt. Baekdu, at the Gaiheikan Inn in Tokyo and was handed secret scriptures. Upon returning home, he reestablished a Dangun religious order with Ra Inyoung and actively engaged in the propagation of Dangunism. The ideologies centered around Dangun, the mythical founder of Korea, bega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y the secret religious circle led by Baekbong, again an ascetic from Mt. Baekdu, which aimed at secretly passing down the beliefs of the Dangun order. Baekbong's sect was continued by both Hongam Ra Cheol and Danjae Cheong Hunmo. The two were different in that Ra Cheol aimed at breaking up the Confucian ideology while Cheong Hunmo insisted on coexisting with Confucianism by retaining the Confucian ideas and rituals. The ideological differences eventually led them to part their ways in 1910. Since then to 1936, Cheong Hunmo focused his effort on publishing scripture commentaries, systemizing doctrines, and reorganizing ceremonies to protect Dangungyo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Despite external pressures and internal strife, he founded the system of three major scriptures, including Cheonbugyung, Samilshingo, and SeongKyeongpalli, also known as the “Nation's Major Scriptures”, making him indispensable in describing Korea's religious history. Ironically, since the 1970s, Daejonggyo, another homegrown religious order worshipping Dangun, has borrowed the scriptures of Cheong Hunmo, even though he had been one of the most vocal critics of Daejonggyo.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efforts that led to the declaration of the National Foundation Day as a holiday, from the advocacy of Baekbong, the ascetic master from Mt. Baekdu, to Ra Cheol and Cheong Hunmo’s reestablishment and continuation of Dangungyo and National Foundation Day ceremonies to the present day, must be properly recognized. Along with Ra Cheol, Cheong Hunmo should be given new acknowledgement not only as one of the principals of reestablishing Daejonggyo, but also as one who accompanied the first-year celebration of the National Foundation Day with Ra Cheol and his followers. Cheong Hunmo was the leader of Dangungyo, who shaped the religious order and took action to find the historical meaning of Dangun, the progenitor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turbulent times of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Ra Cheol elevated the religious dimension to the universal Gods of “Samshin”, Cheong Hunmo kept to Dangungyo, devoting himself to propagating and spreading the ideas of Dangun. To do so, he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collecting, organizing, and publishing books on the doctrines, history, and rituals of Dangunism. Even after the Dangungyo order was finally closed down by the Japanese rulers, he published Dangungyo-Buheong Gyungryak(roughtly translated as “Strategy to Rehabilitate Dangungyo”) which compiled the developments of Dangungyo movements, demonstrating that his consistent efforts were in organizing and propagating publications on Dangun ideas. Today, only the ruins of Cheong Hunmo’s Dangun-jeon Hall in Siheung remain, yet the site itself is still a valuable cultural asset. Although the historic site and the religious order disappeared with the Japanese suppression, the Korean War, and the demolition of the building in 1981, restoration is possible as the Dangun-jeon Hall’s Dangungyo ritual references all passed down to the present day.

      • 광복회 연구의 성과와 과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2 No.-

        광복회는 1910년대 국내 최대 항일 단체였고, 지금까지 대한광복회로 널리 알려졌다. 광복회에 대한 연구는 30년간 진행되었으며, 논자는 198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개척기’, 199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시도기’, 200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도약기’, 201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결실기’로 이름 붙여 보았다. 1980년대에는 7편의 논문이 나왔는데, 1983년 조동걸 교수가 처음 광복회 연구를 개척한 이래 80년대에 박영석-박환 부자의 광복회연구가 이어졌고, 권대웅도 동참했다. 90년대에는 논문 편수가 10편으로 80년대와 큰 차이 없으나 여러 연구자의 관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2000년대에는 논문이 20편으로 이전보다 배로 늘었고, 특히 박사학위논문 2편(김희주, 이성우)이 나왔다. 이 시기에 『박상진 자료집』 등이 발간되어 학계에 도움을 주었다. 북한 지역 광복회 인물과 행적을 확인할 수 있는 『의용실기』의 전산입력 작업도 처음 시도되었다. 2010년대에는 논문이 11편 나왔고, 기존 학설에 대한 비판 연구가 돋보인다. 그리고 『광복회 자료집』 Ⅰ·Ⅱ(2014)가 출간되었다. 광복회 연구의 과제로서는 첫째, 연구 성과물의 출간과 보급이 필요하다고 보였다. 둘째, 백과사전에 광복회 관련 항목이나 내용상 잘못된 곳이 있으면 최신 성과를 반영해 시정해야 한다. 셋째, 지리연구를 촉구해야 한다. 넷째, 광복회 인물 기초 자료 수집이 더 필요하다. 그간 사건을 중심으로 관련 인물들이 연구되어 개인에 대한 조사가 불충분하다고 보였다. 구술 자료의 중요성이 늘고 있는 학계 상황에서 족보나 문중, 후손에 대한 인터뷰도 다시 한 번 살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끝으로, 누락된 한국군의 역사에 광복회가 반드시 편입되어야 할 것이다. Gwangbokhoe, also known as Korean Gwangbokhoe, was the biggest anti-Japan organization in Korea in the 1910s. Research on Gwangbokhoe has proceeded for thirty years. Reviewing the existing research, I defined the 1980s as ‘the pioneering period of studies on Gwangbokhoe,’ the 1990s as ‘a trial period of the studies,’ the 2000s as ‘the leaping period of the research,’ and the 2010s as ‘the period of the fruition of research on Gwangbokhoe.’ There were seven articles released in the 1980s: professor Cho Dong-geol pioneered research on Gwangbokhoe in 1983 for the first time, followed by Park Young-seok and Park Hwan as well as by Kwon Dae-ung. There were ten papers in the 1990s, which we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e ’80s studies. However, multiple researchers conducted diverse studies with their own different research interests. There were twenty research papers presented in the 2000s, which specifically included two doctoral theses by Kim Hee-ju and Lee Sung-woo. As Source Book by Park Sang-jin was published at that time, it helped academia (develop research on Gwangbokhoe). Also, computation jobs inputting Ouiyongsilgi allowed one to discover figures of Gwangbokhoe from North Korea and their achievements. While there were eleven articles released in the 2010s. It is noticeable that these publications mainly criticized the existing theories on Gwangbokhoe. Additionally, Source Book of Gwangbokhoe Ⅰ·Ⅱ were published in 2014.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of studies of Gwangbokhoe. First, it is necessary to officially publish and distribute research results. Second, if there are incorrect contents related to Gwangbokhoe in an encyclopedia, they must be corrected through reflecting the latest results of research. Third, geographic research must be conducted. Fourth, more foundational data collection of Gwangbokhoe’s figures has to be collected. Research on individuals involved in Gwangbokhoe has been insufficiently conducted since the established studies, just touching upon the related figures, focused on events or incidents. Currently, the importance of oral data is increasing in academi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examine genealogy orinterviews with clans and descendants of Gwangbokhoe members. Finally, Gwangbokhoe, which has been omitted from a history of the Korean Military, must be included in the history.

      •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활용한 패션업체의 마케팅 사례에 관한 연구: SPA 브랜드의 컨텐츠 분석을 중심으로

        조준희 ( Junhee Cho ),박철 ( Cheol Park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7 경상논집 Vol.37 No.1

        세계 각국의 의류 브랜드가 우리나라 시장에 퍼지기 시작했으며 날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 더욱 개방되어가는 무역환경으로 해외 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고가의 명품 브랜드는 물론, SPA브랜드의 열풍으로 인해 향후 패션 업체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SNS를 통한 마케팅이 날로 증가하면서 앞으로 패션업체들이 새롭게 소비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통로를 SNS 마케팅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SNS가 기존 패션 기업들 이외에도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SPA브랜드 기업들에게 기존의 크고 작은 비용을 줄이고,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해보았다. Fashion brands from around the world are spreading in Korea. The entry of overseas brands into Korea is expected to intensify competition among SPA brands as well as expensive luxury brands.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to attract customers through SNS marketing. This research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SPA brand companies to sale their cloths through social media. We anlyzed the contents of SNSs(Twitter and Me2day) of the Uniqlo and Eight seconds, SPA brands. As the results there found differences of content between two SNSs and two SPA brands. Marketing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 일제하 개천절 수호 교단 간 활동 근거지 비교 연구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19 대종교연구 Vol.1 No.-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흑백논리로써 “대종교는 항일 단체, 단군교는 친일 단체”로 인식하고서 연구를 진행해 왜곡된 성과를 축적해 왔다. 대종교와 단군교는 뿌리가 같은 종교로 나철과 정훈모가 1909년 음력 1월 15일 한성부 북부 재동 8통 10호(가회동 14번지)에서 단군교로 출발했고, 개극절(개천절의 초명) 행사를 자문동(현재의 원서동)에서 같이 했다. 그렇기 때문에 공평한 조건에서 서울의 개천절 행사를 중심으로 대종교와 단군교의 전개과정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첫째, 나철(1863∼1916)이 교주로 있던 대종교는 1914년에 총본사를 북간도 화룡현으로 이전하면서 서울 ‘북촌’에 남도본사를 두었고, 1930년까지 한반도 교구를 관할했다. 간동 31통 5호에 있던 남도본사는 1921년에 가회동 23번지(318평, 1,051㎡)와 계동 101번지(539평, 1,782㎡)에 각각 설립되어 약 300미터의 거리를 두고 경쟁 관계가 되었다. 전자의 가회동 남도본사는 국어학자 신명균(1889∼1940), 종교인 김용기(1876~?) 등이 주도했고 1924년에 회선시교당으로 이름을 바꾸어 공식 활동을 지속했다. 그러나 계동남도본사의 세력이 커지면서 1924년 말에 끝내 문을 닫게 된다. 반면 계동 101번지 건물은 거물급 친일파 윤덕영(1873~1940)이 구입한 것이며, 친일파들의 막대한 자금력으로써 개천절 등 많은 행사를 지속했고 교육사업과 경전편찬도 전개했다. 강우(1862∼1931)를 비롯한 대종교 남도본사 간부진과 대종교청년회, 대종교진흥회도 모두 계동에 집결되었다. 그러나 1926년 대종교진흥회장 박용태(1888~1938)가 교비 2500원(현재 가치 1,578만원)을 가지고 중국 톈진으로 가서 독립운동 자금으로 활용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남도 본사에 대한 지원이 끊기게 되었다. 이에 남도본사 지도자들은 계동을 떠나 1927년 효자동 106번지에 남일도본사를 복원했다가 간동 88번지를 거쳐 1930년 2월에 고양군 한지면 신당리 162번지 묘지땅으로 이전해서 겨우 유지했다. 그러나 지도자 강우가 병환으로 운영을 하지 못하면서 결국 폐문되고 말았고 그도 1년 뒤 사망했다. 둘째, 정훈모(1868~1943)가 교주로 있던 단군교는 1910년 10월 12일 서울 중부 니동 자택에 총본부를 설치하고 활동을 개시했다. 단군교 총본부는 이후 박동, 와룡동, 경운동 등 북촌의 남단 지역에서 포교 활동하는 과정에서 1912년부터 1915년까지 정훈모가 교주의 자리에서 밀려나는 내분을 겪고서 다시 복귀해 1921년에 북촌을 벗어나 서울 ‘동촌’인 충신동, 동숭동, 연건동 등지에서 1929년까지 활동했다. 정훈모는 유교 사상과 의례를 기반에 두고 국조 단군에 대한 예식을 정비해 어천절을 승어대제로, 개천절을 강어대제로 이름을 바꾸어 제례를 계속 지냈다. 1930년 10월 3일 식도원 주인으로서 부를 축적한 안순환(1871~1942)의 지원으로 경기도 시흥군(현재의 서울 금천구 시흥 4동) 녹동서원 내에 단성전을 지으면서 6년간 활동하던 중 1936년 일제에 의해 폐교되었다. 1910년에 개극절이 개천절로 바뀌고 오늘날 국경일로 제정되기까지 일제하 서울에서 개천절 수호에 노력했던 대종교 남도본사와 단군교 총본부의 역할, 지도자들의 공적, 그리고 예식에 대해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The academic world has accumulated its share of distorted studies presenting a black-and-white view that “Daejonggyo is anti-Japanese and Dangungyo is pro-Japanese.” Daejonggyo and Dangungyo have the same religious root as Ra Cheol, and Cheong Hunmo established Dangungyo on January 15, 1909, under the lunar calendar, at 8-10 Jae-dong, Bukbu, Hanseongbu(14 Gahoe-dong). The ceremony of Gaegueuk-jeol(original name of Gaecheon-jeol) at Jamun-dong(now Wonseo-dong) was also held at the same tim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Daejonggyo and Dangungyo focusing on the religious rituals of Gaecheon-jeol in Seoul under impartial circumstances. First, Daejonggyo and its leader, Ra Cheol(1863~1916), moved their Chongbonsa (headquarters) to Helong-County, China, in 1914, and left the Namdobonsa(the Seoul branch office with jurisdiction over Daejongyo dioceses south of Baekdu Mountain) at “Buckchon”, Seoul, in order to manage the Korean Peninsula diocese until 1930. Namdobonsa, which was originally located at 31-5 Gan-dong, was rebuilt at 23 Gahoe-dong and at 101 Gyedong, respectively, and each competed against the other within a 300-meter distance. The Gahoe-dong Namdobonsa, led by leaders such as Shin Myeong-kyun(1889~1940), a Korean linguist, and Kim Yong-ki(1876~?), a religious man, changed its name to Hoeseon Sigyodang(the Church of Daejonggyo) and continued its official activities. However, it eventually closed down in late 1924 as the Gyedong Namdobonsa grew much bigger. On the other hand, the building at 101 Gyedong was owned by Yun Deok-yeong(1873~1940), who used the massive funds provided by his groups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to organize numerous activities including Gaecheon-jeol rituals, educational enterprises, and publication of its scriptures. The executive staff of Daejonggyo Namdobonsa(the Korean Peninsula diocese) including Kang Woo(1862~1931), the Daejonggyo Youth Association, and the Daejonggyo Promotion Society also assembled in Gyedong and eventually they all united. However, after Park Yong-tae(1888~1938), the leader of Daejonggyo Promotion Society, was found guilty of embezzling its operating expenses of 2,500 won(current value: 15.78 million KRW) to fu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ianjin, China, in 1926, the financial support for Namdobonsa was terminated. This led the executive staff to leave Gyedong and re-establish Namdobonsa at 106 Hyoja-dong in 1927, which moved again to 88 Gan-dong, and then finally, in February 1930, it was established in a building within a cemetery at 162 Sindang-ri, Hanji-myeon, Goyang-gun(now Sindang-dong, Seoul). However, when Kang Woo's failing health hindered him from performing his administrative duties, the organization eventually closed down and Kang Woo died a year later. Second, Dangungyo with Cheong Hunmo(1868~1943) as its leader established its Chongbonbu(headquarters) at Ni-dong, Jungbu, Seoul(now Unni-dong) on October 12, 1910, and commenced its activities. Amid its propagation activities conducted in the south of Buckchon, such as in Bak-dong, Waryong-dong, and Gyeongun-dong from 1912 to 1915, Cheong Hunmo was ousted from the leadership due to an internal conflict. After assuming leadership again, Cheong left Buckchon in 1921 and continued his work in Chungsin-dong, Dongsung-dong, and Yeongeon-dong, the “Dongchon” of Seoul, until 1929. He organized religious rituals for Dangun(the founder of Gojoseon, the first Korean nation) based on Confucian ideals and the Confucian ritual system and changed Eocheon-jeol to Seung-eo-Daeje, and Gaecheon-jeol to Gang-eo-Daeje. On October 3, 1930, the Dansung-jeon Hall shrine was built in Nokdongseowon(Confucian Academy) at Siheung-gun, Gyeonggi-do Province(Siheung 4-dong, Geumcheon-gu, Seoul), with financial support from An Sun-hwan(1871~1942), who had accumulated much wealth as the president of the Sikdowon Restaurant; however, activities continued there for six years until the shrine was shut down by the Japanese police in 1936. This study seeks to cast new light on the endeavors, achievements, and religious ceremonies of Daejonggyo Namdobonsa and Dangungyo Chongbonbu and their leaders in preserving the spirit of Gaecheon-jeol from its conception as a Gaegueuk-jeol until its enactment as a national holida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 가능성 있는 불변식과 검증반례에 기반한 테스트케이스 생성을 위한 제안

        조준희(Junhee Cho),한동수(Dongsoo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B

        Model checking 을 활용한 테스트 케이스의 생성은 여러 논문에서 제시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정형명세서의 존재를 가정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생성된 테스트 케이스는 호출상황에 맞지 않게 만들어지게 된다. 이런 테스트 케이스들은 오류를 발생시키더라도 사용자에 의해 종종 무시되곤 한다. 즉, 사용자가 잠재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사전조건(precondition)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테스트 케이스에서처럼 대상 함수가 사용될 가능성이 적은 것 이다. 이 논문에서는 (1)시스템 수준에서의 테스팅이 가능할 정도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나 (2) 함수에 대한 정형 명세서나 사전/사후 조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3) 단위 테스팅을 통해 구조적 커버리지(structural coverage)를 특정 기준치만큼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서 테스트 케이스의 생성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 1911년 대종교 공주시교당 사건 연구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2 No.-

        대종교는 1904년 음력 10월 3일(양력 11.9) 백두산 도인 백봉이 창시했고, 1909년 음력 1월 15일(양력 2.5) 나철과 정훈모가 중심이 되어 서울 지부 선포식인 중광식을 거행했다. 서울 지부의 초기명칭은 단군교였고 1910년 음력 7월 30일(양력 9.3)까지 18개월간 한시적으로 사용되었다. 단군교의 교세는 날로 커져서 1910년 8월 전국 교인 수는 21,539명에 달했고, 1911년 황해도, 함경도, 대구, 충청남도에 지방 시교당을 개설해 나갔다. 백봉은 1910년 10월 3일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를 반포하고 대종교의 교의인 오대종지를 나철에게 전했다. 그런데 충남도장관을 역임하고 있던 친일 관료 박중양이 충남 공주 사립명화학교 곧 공주 시교당에서 배포하던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를 압수했다. 1911년 2월 7일 그는 내용을 분석해“백봉의 오대종지가 황당무계한 설이고, 국권회복과 민족단결을 고취시키기 때문에 독이 퍼질 우려가 있다” 고 총독부에 밀고해 공주시교당 사건을 일으켰고 학교 폐쇄를 강경하게 요청했다. 그러나 일본 측의 답변은 오히려 감정을 배제하고 관망하는 자세로 냉철하게 판단했다. 대종교단에서는 본 사건의 심각성을 인지하고서 1911년 2월 27일에 오혁(오기호)을 공주시교당 으로 파송하고 수습했다. 공주시교당 사건의 여파로 대종교 도사교 나철은 결국 전략상 종지부터 경전까지 백봉 관련 내용을 대폭 삭제하기에 이른다. 첫째, 1911년 2월 이후 백봉으로부터 받은 오대종지 중 4개를 수정했다. 특히 민족주의 정신이 담긴 안고기토((백두산) 터전을 안정되게 방비할 것) 종지를 “집에서 고요히 복을 구하라”는 ‘정구이복’으로 바꾼 점은 심각한 변화였다. 둘째, 백봉 교단으로부터 삼신일체 신관이 담긴 『대종교신리』(1910)를 받았으나 이를 폐기하고 신관을 새로 정립해 1911년 음력 1월 15일(양력 2.13)에 『신리대전』을 펴냈다. 또한 대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인 『삼일신고』 발굴자 겸 전수자가 백봉인데 발굴경위가 담긴 기록을 삭제하고서 1912년에 출간했다. 셋째, 박중양의 밀고로 국내에서 대종교 시교 활동이 어렵게 되자 나철은 1914년에 총본사를 북간도 화룡현 청호에 이전한 뒤 백두산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4도본사를 설치해 조직을 정비했다. 이러한 대응책은 대종교 계열 독립운동 단체의 기반 형성에도 일조했다는 것이 학계 통설이다. 그러나 애합족우 종지를 어기고 신규식(1880~1922)을 상하이로 파견해 중국 혁명가들과 손잡고 청나라를 무너뜨린 신해혁명에 가담시켰다는 사실은 대종교의 근간이 흔들린 중차대한 사안이었다. 오늘날 대종교의 공식 교주 명단에 대종교 창시자 백봉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학계와 대종교 측의 주장대로 결코 일제의 탄압이 원인이 아니라, 친일 관료 박중양의 고발로 파생된 피해의식과 일련의 시교 전략 수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논자가 최초로 밝힌 1911년 2월 ‘대종교 공주시교당 사건’을 통해 기존 학계의 통설과 종단 공식기록에서 삭제된 대종교 초기 역사가 바로잡혀야 한다. Daejonggyo was founded by Baekbong (?~?), an ascetic coming from Mt. Baekdu, on October 3, 1904 of the lunar calendar (November 9 of the solar calendar). In order to reestablish a Dangun religious, its ceremony was held on January 15, 1909 of the lunar calendar (February 5 of the solar calendar) and led by patriots Ra Cheol (1863~1916) and Cheong Hunmo. This ceremony also proclaimed the Seoul Branch of Daejonggyo. The initial name of the Seoul Branch was ‘Dangungyo’ and this name was temporarily used for 18 months until July 30, 1910 of the lunar calendar (September 3 of the solar calendar). The religious influence of Dangungyo was growing day by day: the number of nationwide members reached 21,539 as of August 1910. Also, they established Dangun Church in Korean province and cities including Hwanghaedo, Hamgyeongdo, Chungcheongnamdo, and Daegu. Baekbong promulgated Dangungyo-Odaejongjipomyongseo on October 3, 1910 and delivered the Five Creeds in Daejonggyo to Ra Cheol. However, Park Jung-yang (1872~1959), a pro-Japanese official who served as Minister of Chungcheongnamdo, seized the Dangungyo-Odaejongjipomyongseo, which was distributed by Chungnam Gongju Private Myunghwa School that was Daejonggyo Gongju Dangun Church. After analyzing Baekbong’s Five Creeds, he claimed that as “an absurd theory” it not only “encouraged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and national unity,” but also “might spread the poison.” Park then informed on it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n February 7, 1911. Accordingly, the Gongju Dangun Church incident occurred. Also, he urged the shutdown of a Daejonggyo school.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ok a level-headed stance on the incident and sat on the fences without any emotional invention. Due to an aftermath of the Gongju Dangun Church incident, Ra Cheol, the religious sect leader of Daejonggyo eventually and strategically removed Baekbong-related contents from Creeds and Daejonggyo scriptures. First, four of the Five Creeds, having been received from Baekbong, were revised since February 1911. In particular, in this revision, it was a serious change from the nationalist Creed of Ahngogito, meaning “Defend the Mt. Baekdu shrine!,” to Jeongguyibok that means “Silently seek for a blessing at home.” Second, Daejonggyo-Shinri which contained the hieratic of Daejonggyo was abrogated and the hieratic was reestablished since it was received from the Baekbong religious body (1910). As a result, Shinridaejeon was published on January 15, 1911 of the lunar calendar (February 13 of the solar calendar). In addition, the Samilshingo, the most important scriptures of Daejonggyo was published after records of Baekbong, as an excavator and an initiator, were completely removed from it. Third, due to the sycophancy of Park Jung-yang, Daejonggyo's activitie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Korea, so Ra Cheol moved the General Headquarter to Cheongpaho(current Qinghucun), Helong-Prefecture in North Gando in 1914. He maintained the four headquarters in East, West, North, and North, centering on Mt. Baekdu. It is a common view in academia that these countermeasure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Daejonggyo-based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it resulted in a crucial issue shaking the foundation of Daejonggyo as the countermeasures breached the Creed of Aehapjokwoo that means “Ethnic Koreans and Manchurians, reconcile with one another!” As a result of the countermeasures, Shin Gyusik (1880~1922) was dispatched to Shanghai to join the Chinese revolutionaries and bring them to participated in the Xinhai Revolution that eventually destroyed the Qing Dynasty. Currently, Baekbong, the Daejonggyo founder is not included in the list of Daejonggyo's official religious sect leaders. As both academia and Daejonggyo argue, this exclusion of Baekbong was not caused by Japanese oppression, but resulted from a victim mentality of the religious body, which Park Jung-yang’s charge generated, as well as from a strategical revision of a series of religious teaching. Through ‘Daejonggyo ’s Gongju Dangun Church Incident’ in February 1911 firstly revealed by the author, an initial history of Daejonggyo that disappeared from both the established general theories on Daejonggyo in academia and official references of the religion must be corr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