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창 신성모 연구:광복 전후 활동과 평가 문제 고찰을 중심으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19 대종교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역사 속에 묻힌 독립운동가이자 제1공화국기 국방장관 신성모에 대해 처음 시도한 조사 성과다. 논자는 신성모의 생애를 정확히 알기 위해 유족과의 인터뷰를 통해 잘못된 신상 정보부터 바로 잡았고, 고향 의령과 중국, 영국 행적지를 답사했다. 첫째, 신성모는 1891년 5월 26일 경남 의령에서 태어나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고, 고학을 하면서 측량학을 배워 측량기수로 활동했다. 1909년 서울 보성전문학교에 입학했고, 손병희를 통해 천도교에 입교했다. 일제강점기에 신성모의 민족 운동 행적을 살펴보면 일제의 천도교와 교육에 대한 탄압을 목격하고 1912년에 자퇴하고서 조선 해군 창설의 뜻을 품고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그는 신규식의 학비 지원을 받아 1913년 우쑹상선학교에 입학했고 난징해군군관학교로 전학 가서 졸업한 뒤 중국 해군제독을 지낸 사젠빙(薩鎭氷) 휘하의 중국 해군 소위로서 군함 승무원, 그리고 무선전신국에서 활동했다. 신성모는 1919년에 베이징에 정착했고, 1920년 12월에 안희제의 자금을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중 안동현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었다가 석방되었다. 1921년 4월 신채호가 기초한 「이승만 성토문」에 연서했고, 5월 베이징 군사통일주비회 임시정부 및 임시의정원불승인 「선언서」에 서명하고 2가지 문건을 임정에 전달하는 임무를 완수했다. 1923년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킹에드워드 7세 항해대학을 졸업했다. 일본은 재유럽한인학생들에 대해 주소를 조사했고 신성모의 거주지도 첩보자에 의해 탐지되었다. 그는 졸업 후 영국과 인도를 오가는 상선에서 선장으로서 활동했다. 신성모는 비밀결사 대동청년단에서 임시정부에 자금을 전달하는 임무, 그리고 군사통일주비회에서 활약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 받았고, 1993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둘째, 광복이 되어 1948년 허정(당시 교통부장관)의 추천으로 이승만의 재가를 받아 11월 2일에 인도에서 귀국한 뒤 대한청년단 단장, 내무부장관, 2대 국방부장관을 역임했다. 1951년 한국전쟁이 발발하는 와중에 국민방위군사건, 거창사건으로 인해 지휘관으로서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곧바로 주일대사로 임명되어 일본에 갔다가 다시 귀국해서 해사위원회 위원장(1952), 대한조선공사 사장(1952~1953), 해양대학교 학장(1956)에 부임해 교육에 매진했다. 그러나 신성모는 거창사건과 김구암살사건이 언론에 불거지면서 충격 끝에 1960년 5월 29일 뇌일혈로 타계했다. 그는 배척 관계에 있던 정치인과 군·경 출신자, 언론인들에 의해 매도되었다. 특히 거창사건에 대한 서민호(1903∼1974) 의원의 규탄이 실린 동아일보 기사(1951/1960), 그리고 장흥 전 헌병사령관의 김구 암살 지령자라는 유고가 실린 월간 조선 보도(1984)가 신성모의 위상에 결정적인 타격을 준 것으로 고찰되었다. 국방부장관 시절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이전까지 한미 관계에 대한 신성모의 노력과 북한·일본의 국지적 침범에 대응한 행적 역시 한번도 조명된 적이 없다. 심지어 생몰연도에 대한 기본적인 신상조사조차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향후 신성모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선입견을 배제하고 실증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근현대사와 해양사에서의 위상, 그리고 전쟁사에 있어서 다각도의 학술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he first scientific research of Shin Sung-Mo(1891~1960), who was a fighter fo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s well as the 2nd defense minister(1949~1951) in the First Republic(1948~1960) in Korea. To gather accurate information on Shin Sung-Mo, the author interviewed his bereaved family members, and made a field study to Uiryeong, his birthplace and cities in China and England that Shin lived, thus correcting inaccurate records on Shin. First, Shin Sung-Mo was born in Uiryeong-gun, Gyeongsangnam-do on May 26, 1891, brought up by his widowed mother. In this early years, He learned surveying studying and worked as a surveyor. Shin got into Boseong College in 1909 and joined Cheondogyo on the invitation of Son Byeong-heui, the founder of the religious ideology established in early 20th century. The study of Shin’s nationalistic movement for independenc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found that after witness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suppressed Cheondogyo and education for Koreans he dropped out of college in 1912 and moved to Shanghai, China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Korean Navy. Shin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Shin Gyu-sik(1879~1922), a leading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in Shanghai, a leading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and entered Wusong Merchant Marine School of China in 1913. He later transferred to Nanjing Naval Academy. After graduating, Shin became an ensign in China’s Navy under Admiral Sa Zhenbing(1859~1952) and served as a warship crew. He worked in the wireless telegraph office. Shin settled in Beijing in 1919. In December 1920, he was arrested in Antung province by the Japanese police while he delivered war chest upon request of Ahn Hee-Je(1885~1943, born in Uiryeong, Independence activist)'s funds. Afterward, he was brough into Korea and set free. In April 1921, Shin Sung-Mo cosigned the declaration of denouncement of Syngman Rhee, which Shin Chae-Ho had drafted. In Armed Force Unification Council held in Beijing in May 17, 1921, he signed the declaration to opposed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established in Shanghai, and completed the mission of delivering it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1923, Shin Sung-Mo went to London, England, and graduated from King Edward Ⅶ Nautical Colleg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collected addresses of Korean students in Europe. They found address of Shin's residence with help of spies. After graduation, he worked as a captain in a merchant ship shuttling between England and India. Shin Sung-Mo, was posthumously awarded with the National Medal of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for his contribution to the missions in 1963 based on acknolegement for his roles in delivering funds to the Korea’s Provisional Government located in China as a member of the secret society of Dae-dong Young Men’s Party and had taken an active role in the Beijing Armed Force Unification Council he was buried in Daejeon National Cemetery in 1993. Second,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s rule, he returned home from India on November 2, 1948 and was appointed as the leader of Taehan Youth Corps, Minister of Interior, and 2nd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respectively by President Syngman Rhee based on recommendation of Huh Chung(1896~1988, a Constituent Assembly legislator). In 1951, at the early stage of Korean War, as the commander, he stepped down after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National Defense Corps Incident and the Geochang Massacre. However, it was not long before he was appointed to the Korean ambassador to Japan. After returning home from Japan, he again was appointed to the high commissioner of Maritime Commission(1952), CEO of the Korea Ship building Corporation(1952~1953), and the dean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1956). Unexpectedly, Korean media revisited the Geochang Massacre and the assassination of Kim Koo and his alleged involvement to the events in 1960. Shin got shocked by wrongly placed defamation and allegation and as a result, died of cerebral hemorrhage on May 29, 1960. Shin was strongly criticized by his rivals and opponents in politics, military, police and media for his involvement to the tragic incidents in Korean history before and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a Donga Daily’s column written by Assemblyman Seo Min-ho(1903∼1974) claimed that Shin Sung-Mo was accountable for the Geochang Massacre(1951/1960) and the Monthly Chosun claimed that Shin was mastermind to order Chang heung, a former provost marshal to assassin Kim Gu(1984) A series of medial revelation dealt a blow to Shin. Until recently, no studies have never shed light on the fact that from the years when Shin served as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to before the Korean War, he made an effort to promot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the US and played leading roles in fight against North Koreans and Japanese local military provocations. Furthermore, even there has been no investigation of the primary information on Shin such as his birth and death date. From now on, in order to make a fair evaluation on Shin Sung-Mo, it is necessary to exclude preconceived opinions, and evaluate his standing in terms of Korean modern and comtemporary history, Korean maritime development, and Korean war on the basis of accurate facts and references from various angles.

      • 평북 정주 배천 조씨 일가의 배달학교 설립과 경신참변

        조준희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3 No.-

        본고는 경신참변 희생자 가족의 일 사례로서 피해 학교 특성, 경신참변의 전개, 국가보훈처의 공훈 선양 문제 3가지 관점으로 세밀히 살펴본 성과물이다. 첫째, 경신참변 때 방화로 전소되어 폐교된 배달학교는 1918년 3월 서간도 통화현 반랍배에 정착한 평북 정주인들이 교포 2세의 민족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설립자는 조용석·김기전·이시열·승진 4인이다. 핵심 인물인 조용석은 배천 조씨 진사 입격자로서 많은 가산을 정리해 일가를 데리고 망명한 뒤 동향 김기전 형제와 함께 학교를 경영했고, 서간도 동창학교·흥동학교 교사 출신 이시열과 동창학교교사 출신 승진은 교사 경험을 살려 교육을 분담했다. 유일한 함경도 출신 강화린도 교사로 합류했다. 1918년 기준 배달학교 교직원의 평균 연령은 29.8세였으며, 50대 최고령자인 조용석이 교장을 맡고, 20대 강화린과 이시열이 교사로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다른 이들은 회계와 서무로서 보조하는 구조였다. 배달학교에서는 민족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항일의식을 고취하고 국치일과 개천절 등 민족 행사를 개최했다. 1919년에는 서간도에 확산된 3·1 운동에 참가했고, 신흥무관학교와도 교류했으며, 재만동포들에게 “의용군이 되어 2천만 민족을 구하고 3천리 강토를 회복하라”는 내용을 담은 격문을 돌리기도 했다. 그해 3월에 교사 이시열과 강화린이 독립운동에 투신해 각각 서로군정서와 신흥무관학교로 떠나면서 교사진에 공백이 생겼다. 둘째, 1920년 10월 23일 서간도 지역 반일지사와 민족학교에 대한 일제의 2차 ‘소탕’ 작전이 중국 장작림의 승인(10/17) 하에 개시되었다. 서간도에 출병한 일본군의 지휘 체계는 관동군 16사단 휘하로 요령성 철령에 있던 보병 제19연대장 스기야마(杉山) 대좌와 보병 1개 대대, 그리고 길림성 공주령에 있던 사쓰카(目) 중좌의 기병제20연대가 주도했다. 16사단장 시기모리 하루는 일본 서남단 가고시마 출신이었고, 스기야마는 사가현 출신이었다. 두 사람은 각각 육사 1기, 4기로 선후배 간이었다. 출병한 이들은 중국군 및 순경과 함께 중·일 합동으로 반일인사토벌에 나섰다. 스기야마 보병 대대는 10월 23일 ‘현지 불령선인 및 그에 가담한 마적들에게 위협할 목적’으로 동쪽으로 시위 행군을 개시했고, 사쓰카 기병대는 남쪽으로 행군을 개시했는데, 통화현을 향해 서쪽과 북쪽에서 협공 작전을 펼쳤다. 여기서 친일파 최정규가 이끄는 만주보민회가 흥경현에 출병한 관동군을 환영하고 적극 협조해 반일인사 체포에 전면으로 나섰다. 최정규와 27명의 조사원들은 10월 28일부터 스기야마의 명령을 받고서 10월 31일 천장절축일 축하회를 함께 하고서 다음날인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1개월 간 흥경현에서부터 관전현에 이르기까지 500여 명을 체포했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81명이 관동군에 의해 참살되었다. 『독립신문』의 서간도 피살자는 총 1,323명이었는데, 일본 측 기록보다 16배 많은 수치로 과장된 측면이 있다. 흥경현 개신교 계열 삼성학교에 이어 통화현 배달학교는 보민회의2번째 표적이 되었다. 11월 2일 반랍배에서는 배달학교 교장 조용석과 교감 김기선, 교사 조용주 3인, 그리고 현지 한족회 반일지사 4인(승병균·승대언·김기준·최찬화)이 체포되어 다음날 20km 끌려가 영액포진에서 참살되었다. 반랍배 7인 희생자는 배달학교 인근기슭에 묻혔는데 조용석과 조용주의 시신은 다시 고향으로 반장되었고, 5인의 시신은 현지에 안장된 채로 세월이 흘렀다. 관동군 측에서는 서간도 시위행군 작전의 성공이 전적으로 보민회덕분(반일지사 및 학교 선별 지목)임을 밝혔다. 따라서 서간도 지역경신참변의 가해자는 일본 관동군만이 아니라 만주보민회, 그리고 장작림과 그 휘하 중국인 관헌도 공범이다. 셋째, 국가보훈처에서는 반랍배 7인 희생자에 대해 1977년부터 1998년 사이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해 예우를 갖추었다. 나아가1993년 해외안장 독립유공자 실태조사단을 꾸려 7인 희생자 묘소를 확인하고 1994년부터 2007년까지 6인의 유해를 세 차례에 걸쳐 국립대전현충원에 봉환했다. 비록 당연한 업무지만 1977년부터 2007년까지 보훈처의 30년 노력은 높이 평가되어야 마땅하다. 다만 1996년에 중국 현지에서 반일지사지묘를 세우고 묘소를 단장할 때 『독립신문』(1921.1.21일자) 기록을 기준으로 조용주 대신 조동호라는 이명으로 묘비와 묘소가 복원되었다. 보훈처에서 조동호=조용수=조용주인 사실을 치밀하게 검증하지 않아 2007년에 유해(?)가 봉환되는 해프닝이 일어나 지금에 이른다. 조동호 곧 조용주의 유해는 고향으로 반장되어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 1차 사료와 족보 분석을 면밀히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사태다. 다음, 보훈처의 한자 오독으로 인한 1991년 조용석에 대한 중복포상 건은 논자의 민원제기로써 2017년에 정리되었다. 끝으로 조용주(수) 지사의 전해지지 못했던 훈장도 포상된 지 19년 만에 논자에 의해 유족에게 전수되었다. 그렇지만 그 과정은 험난했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 보훈처는 한 마디로 ‘관료적’ 태도로 일관했다. 구체적으로, 5년 이상 소요된 논자의 노력과 증거자료를 의도적으로 외면했고, 반대로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는 마치 자신들의 성과처럼 보도하는 반칙적 행동을 보였다. 잘못된 보도는 학위논문에 잘못 인용되기조차 했다. 2020년 경신참변 100주년을 맞아 평북 정주인들이 세웠던 통화현 배달학교와 반랍배 7인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는 의미 깊다. 그리고 피해 사례에서 멈출 것이 아니라, 조용석 일가에서 신흥무관학교생도 1명(조태연)과 광복군 1명(조동윤=조지영)이 배출된 영예로운 후손들의 역사도 같이 조명되어야 한다. 한편 친일 단체 만주보민회와 일본 관동군에 대해서도 잊지 말고 계속 추적하고 규명 작업을 이어나가야 한다. 중복 포상 문제 등 여전히 보훈처 내부에 마무리되지 못한 경신참변 희생자들에 대한 역사 바로 잡기 작업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本稿は、庚申惨変の犠牲者家族の一例として、被害学校の特性、庚申惨変の展開、国家報勲処の功勲宣揚の問題を、三つの観点から詳しく探ってきた成果である。 一つ目に、庚申惨変の時に放火により全焼し廃校になった培達学校は、1918年3月に西間島の通化県の半拉背に定着した平北、定州人らが、同胞二世の民族教育を目的に設立された。設立者は趙庸錫、金基甸、李時説、承震の4人である。 核心人物である趙庸錫は白川趙氏の進士入格者として多くの家産を整理し、一家を連れて亡命した後、同郷の金基善兄弟と共に学校を経営し、西間島の東昌学校、興東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李時説と東昌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承震は、教師の経験を生かし教育を分担した。 唯一の咸鏡道出身の姜華麟も教師として合流した。1918年基準の培達学校の教職員の平均年齢は29.8歳で、50代の最高齢者である趙庸錫が校長を務め、20代の姜華麟と李時説が教師として学生たちを教え、他の者たちは会計と庶務として補助する構造であった。 培達学校では民族教育を通して青少年らの抗日意識を鼓舞し、国恥日や開天節など、民族的な行事を開催した。1919年には西間島に拡散した3·1運動に参加し、新興武官学校とも交流しながら、在満同胞らに「義勇軍になって二千万の民族を救い、三千里の領土を回復せよ」という内容の書かれた檄文を発した。同年三月、教師である李時説と姜華麟が独立運動に身を投じ、それぞれ西路軍政署と新興武官学校へ発つ本稿は、庚申惨変の犠牲者家族の一例として、被害学校の特性、庚申惨変の展開、国家報勲処の功勲宣揚の問題を、三つの観点から詳しく探ってきた成果である。 一つ目に、庚申惨変の時に放火により全焼し廃校になった培達学校は、1918年3月に西間島の通化県の半拉背に定着した平北、定州人らが、同胞二世の民族教育を目的に設立された。設立者は趙庸錫、金基甸、李時説、承震の4人である。 核心人物である趙庸錫は白川趙氏の進士入格者として多くの家産を整理し、一家を連れて亡命した後、同郷の金基善兄弟と共に学校を経営し、西間島の東昌学校、興東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李時説と東昌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承震は、教師の経験を生かし教育を分担した。 唯一の咸鏡道出身の姜華麟も教師として合流した。1918年基準の培達学校の教職員の平均年齢は29.8歳で、50代の最高齢者である趙庸錫が校長を務め、20代の姜華麟と李時説が教師として学生たちを教え、他の者たちは会計と庶務として補助する構造であった。 培達学校では民族教育を通して青少年らの抗日意識を鼓舞し、国恥日や開天節など、民族的な行事を開催した。1919年には西間島に拡散した3·1運動に参加し、新興武官学校とも交流しながら、在満同胞らに「義勇軍になって二千万の民族を救い、三千里の領土を回復せよ」という内容の書かれた檄文を発した。同年三月、教師である李時説と姜華麟が独立運動に身を投じ、それぞれ西路軍政署と新興武官学校へ発つことになり、教師陣に空白が生じた。 二つ目に、1920年10月23日、西間島地域の反日志士と民族学校に対する日帝の二次掃討作戦が、中国の張作霖の承認(10/17)の下で開始された。西間島に出兵した日本軍の指揮システムは、関東軍16師団の麾下として遼寧省の鉄嶺にいた歩兵第19連隊長の杉山大佐と歩兵一個大隊、そして吉林省の公州嶺にいた目中佐の騎兵第20連隊が主導した。16師団長の志岐守治は、日本の西南端に位置する鹿児島出身で、杉山正之は佐賀県出身だった。この二人はそれぞれ陸士1期と4期で、先輩後輩の間柄だった。 出兵した彼らは中国軍や巡警と共に日中合同で反日人士討伐に乗り出した。杉山歩兵大隊は10月23日、現地の不逞鮮人及びそれに加担た馬賊らに脅威を与える目的として東側へのデモ行進を開始し、目騎兵隊は南側への行軍を開始したが、通化県に向かって西側と北側で挟み撃ち作戦を展開した。 ここで親日派である崔昌圭が率いる満州保民会が興京県に出兵した関東軍を歓迎し、積極的に協力し合い、反日人士逮捕に全面的に乗り出した。崔昌圭と27人の調査員たちは、10月28日から杉山の命令を受けた四人が先発隊として出発し、残りの者は共に10月31日の天長節祝日の祝賀会に同席してから、翌日の11月1日から11月30日までの1ヵ月間、興京県から寛甸県に至るまで約500人を逮捕した。最終的に選ばれた81人が関東軍によって惨殺された。_独立新聞_の西間島で殺害された者は計1,323人だったが、日本側の記録より16倍多い数値であり、誇張された側面がある。 興京県のキリスト教系列の三成学校に続き、通化県の培逹学校は保民会の二番目の標的になった。11月2日、半拉背では培達学校の校長である趙庸錫と教頭の金基善、教師の趙龍珠の三人、そして現地の韓族会の反日志士である四人(承昞均、承大彦、金基畯、崔賛化)が逮捕され、翌日20km連行され英額佈鎮で惨殺された。半拉背の七人の犠牲者は、培達学校近くの裾野に埋められたが、趙庸錫と趙龍珠の遺体は再び故郷に移された後に葬られ、五人の遺体は現地に埋められたまま歳月が流れた。 関東軍側では西間島のデモ行進作戦の成功が全面的に保民会のおかげ(反日志士及び学校選別指目)で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したがって、西間島の地域での庚申惨変の加害者は、日帝関東軍だけではなく、満州保民会そして張作霖とその麾下である中国人官憲も共犯である。 三つ目に、国家報勲処では、半拉背の七人の犠牲者に対して1977年から1998年までの間に、建国勲章愛国章を追叙し礼遇を尽くした。さらに1993年、海外安葬独立有功者実態調査団を立ち上げ、七人の犠牲者の墓所を確認し、1994年から2007年にかけて、六人の遺骨を三度にわたり、国立大田顕忠院に奉還した。当然のことにしても、1977年から2007年までの報勲処の30年間の努力は高く評価されるべきである。 しかし、1996年に中国現地で反日志士之墓を建て、墓所を改装する際、_独立新聞_(1921年1月21日付)の記録によると、趙龍珠の代わりに趙東鎬という異名で墓碑と墓所が復元された。報勲処では、趙東鎬=趙龍洙=趙龍珠である事実を緻密に検証せず、2007年に遺骨(?)が奉還されるというハプニングが起き、現在に至る。趙東鎬、すなわち趙龍珠(洙)の遺骨は故郷に移された後に葬られ、初めから存在しなかった。一次の史料と系譜分析を綿密に行わなかったために生じた事態である。 次に、報勲処の漢字誤読による1991年の趙庸錫に対する重複褒賞の件は、論者の請願提起として2017年に整理された。 最後に、趙龍珠(洙)志士に渡されなかった勲章も、褒賞されてから19年ぶりに論者によって遺族に受け渡された。しかし、その過程は険しいもので、正確な情報を提供した際、報勲処は一言“官僚的”な態度を一貫し、五年以上も費やしてきた論者の努力と証拠資料を意図的に無視し、反対に問題が解決した際には、まるで自分たちの成果であるように報道するといった反則的な行動を見せた。誤った報道が学位__論文に誤って引用されることさえあった。 2020年の庚申惨変が100周年を迎え、平北、定州人らが設立した通化県培達学校と半拉背の七人の犠牲者に対する追慕は意味深いものである。そして、被害事例にとどまらず、民族教育者である趙庸錫一家から新興武官学校の生徒一名(趙泰淵)と韓国光復軍一名(趙東潤=趙志英)を輩出した栄誉ある子孫たちの歴史にも、スポットライトを当てなければならない。 一方、親日団体の満州保民会と日本関東軍に対しても忘れずに引き続き追跡し、究明作業を続け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 重複褒賞の問題など、依然として報勲処内部で決着がついていない庚申惨変の犠牲者に対する誤った歴史を正していく作業も継続し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だろう。

      • 대종교 경전 형성 소사

        유영인 ( Yu Yeong In ) 한국신교연구소 2019 대종교연구 Vol.1 No.-

        대종교 경전 특히 초기 경전은 타종교와 대비되는 “도통 계승의 산물”이라는 변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도통의 중심에는 백두산을 근거지로 활동한 백봉 교단이 존재했다. 대종교의 경전 형성도 백봉 교단의 경전 전수로 시작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단계들이 이어졌다. ‘경전 형성 1기’는 백봉 교단으로부터 전수(傳受)한 종리(倧理)·종사(倧史)·종례(倧禮)로 구성된 경서(經書)류가 집성된 시기였다. 이는 새로운 종교의 창시를 위한 손색없는 구조로서 대종교 경전 구조의 원형과 표준을 제시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경전 형성 2기’는 초기 경전을 바탕으로 대종교단이 교리를 심화 발전시킨 시기였다. 교리의 발전은 종리와 종사로 이원화되어 진행되었고, 주목할 종리 결과물은 1917년 서일이 주관하는 대종교동도본사 명의로 발간된 『사책합부』였다. 이를 통해 『신사기』가 최초로 소개되고 나철과 서일의 기념비적 교리서들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경전 형성 3기’에 해당하는 김교헌 기는 대종교 경전 형성기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인 경전 변조가 행해진 시기였다. 백봉의 전통과 권위 그리고 대종교 종리 형성의 가장 중요한 인물인 나철과 서일의 종교 철학이 응축된 결과인 『사책합부』가 김교헌 기의 조·교·치 삼신론으로 무장한 이론가들에 의해 상당한 정도로 변조가 행해졌다. 대종교 성립과 확립을 이룩한 인물들의 관점에서 보면, 이 사건으로 대종교는 종법(倧法)이 붕괴되고 나아가 폐문에 상당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대종교는 피상적 모습과 달리 교조가 변경되고, 새로운 신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종교가 시작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김교헌에 이어 종권을 담당한 윤세복은 상당한 기간 동안 대종교의 대표 경전으로 유통되었던 『역해종경사부합편』을 간행하는 등 경전정비에 노력을 기울였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도 김교헌 기에 변조된 경전 구조를 원형으로 회복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묵인함으로써 변조된 경전의 전승과 유통에 기여하는 부정적 역할을 수행했다. 다음에 이어진 ‘경전 형성 5기’는 무지와 몰지각이 낳은 주체가 상실된 시대였다. 이 시기에 한때 대종교에 몸담았던 이유립이 대종교와 교리 상 이론(異論)으로 대종교를 떠나 그가 창교(創敎)한 신흥종교인 태백교를 위해 변조한 경전이 대종교 경전으로 편입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환웅 시대를 고대의 기원으로 삼고 있는 『천부경』과 『성경팔리』를 변조한 『참전계경』이 대종교 경전에 편입되어 조화·교화·치화 삼경(三經)이 대종교 경전 구조로 고정되어 통용되었다. The scripture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the composition of religion, contain a record of the enlightenment of the founder of a religion, but the Daejonggyo scriptures, especially the early scriptures, hav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a product of succession of religious tradition” versus other religions. At the center of the continuity was Baekbong denomination based on Baekdu Mountain. The formation of Daejonggyo scriptures began with the transfer of the scriptures of Baekbong. Starting with this, steps that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had continued. The first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scriptures was a period when a collection of religious works which consists of the religious doctrine of Daejonggyo, the ritual of Daejonggyo, and the religious history of Daejonggyo, which were received from Baekbong denomination, were gathered. This is a flawless structure for creating a new religious body and can be evaluated as the representation of a prototype of as well as a standard of structure of Daejonggyo scripture. The ‘Scripture Formation Period 2’ was the period when Daejonggyo deepened and pushed forward with the doctrine based on the early scriptures.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was carried out by the dualization of the religious doctrine of Daejonggyo and the religious history of Daejonggyo. The distinguished products of the religious doctrine of Daejonggyo was Sachaekhapbu(四冊合附), which was published in 1917 in the name of “The Eastern Headquarter of Daejonggyo”, which was headed up by Seo Il.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Shinsagi had been introduced and the monumental doctrines of Racheol and Seoil had appeared in the world. Sachaekhapbu was also a hidden secret document that revealed that the Jonggyeonghapbu published by Kim Gyoheon, which is the parent of the current version of Daejonggyo scriptures, is the products of falsification of Daejonggyo Scriptures. The period of Kim Gyoheon’s reign, which amounts to the third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scriptures, was the times in which daring attempts were made to falsify Deajonggyo Scriptures, which is said to be the most horrific event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criptures. Sachaekhapbu found itself being falsified to great extent by the Daejonggyo theorists equipped with Daejonggyo tritheism - God the creator, God the teacher, and God the governor,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Kim Gyoheon’s reig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in view of the figures who created and established the Daejonggyo, owing to the event, Daejonggyo had its doctrine collapsed and was forced to be plac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closing down the church.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with this event as its starting point, Daejonggyo as opposed to its superficial appearance had its founder changed and started a new religion based on new theological theory. There is no denying the opinion that the origin of the influence of current Daejonggyo which has dropped to the bottom is attributed to the falsification of Daejonggyo Scriptures. Moreover, the forces that took the lead in the falsification of the scriptures were ignorant of the consequences that might be caused by scriptural falsification later on. That is to say, if the falsification of the scriptures is acceptable, they did not realize that the attempt to alter the existing scriptural structures on the grounds of past examples of falsification would endlessly be made by the forces of another falsification in the future. It is true that Yun Sebok, who succeeded to the reign of Kim Gyoheon, made effort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scriptures, such as publishing Jongkyeongsabuhappyeon. Even though he was in an important position to turn the structure of falsified scriptures into the original state, by acquiescing the truth of scriptural tampering, he negatively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the altered scriptures. In the next period, ‘the 5th period of the scripture formation’ was a time when ignorance and lack of discretion resulted in the identity of Daejonggyo being lost. At that time, Lee Yulip, who once had played a role in Daejonggyo, left Daejonggyo due to his different view on the doctrinal theory of Daejonggyo and the scriptures transformed for Taebaekgyo, an emerging religion he had created, were incorporated into Daejonggyo scriptures. It was because of this incident that Cheonbukyeong, which has the ancient origin in Hwanung era and Chamjeonkyekyeong, the altered scripture for the emerging religion of Taebaekgyo, were incorporated into the scriptures of the Daejonggyo, and the three major scriptures of Deajonggyo, the scripture Creation, the scripture Teaching, and the scripture Governance, were fixed to the scriptural structure of Daejonggyo and has been used until now. Moreover, when we consider the standard and legitimacy of Daejonggyo scriptures as the Baekbong tradition, Cheonbukyeong, which has the least relation to that of Baekbong, has reached its place as the main scripture in the Three Scriptures. The current structure of Daejonggyo scriptures, which consist of the three major scriptures of Deajonggyo, the scripture Creation, the scripture Teaching, and the scripture Governance, with Cheonbukyeong being located in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three scriptures is like putting the cart before the horse from the standpoint of the early structure of Daejonggyo scriptures, which was formed by the transmission of Baekbong, that is, the religious doctrine of Daejonggyo, the ritual of Daejonggyo, and the religious history of Daejonggyo. The centennial of the formation of Daejonggyo scriptures was a time when the prototype of Daejonggyo scriptures was transformed and overturned by short-sightedness, reckless, august and ignorance. The result of the synchronic illumination of this short-lived history of formation of Daejonggyo scriptures is tragic but true. This tragic truth is the irony of history when recalling the voice of Baekbong, who had reproached the loss of an independent cultural consciousness under the banner of “oblivion of root and betrayal of wellspring”. Was not Daejonggyo a religion that emphasized the origin and source more than any other religion? The original scriptures symbolic of the roots of Daejonggyo had to endure great hardship in about 100 years of the history of formation of scriptures. The overriding task required to overcome these tragedies and to make a fresh start is to restore the structure of the transformed scriptures to the original form. This is indispensably required not only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doctrine of Daejonggyo based on original texts but also as a stepping stone for the revival of the weakened Daejonggyo. Furthermore, the source data and the synoptic view based on it are essential for exploring the mental phenomena of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in the academic field of humanities and sociology beyond the study of Daejonggyo. It is fortunate that in recent years, devoted efforts of enthusiastic researchers of the Daejonggyo have been able to see the emergence of collective products and the discovery of the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Daejonggyo that can restore the original shape. It is hoped that this result will play a role as a indispensible strategy to overcome the problems faced by the world as well as individuals and society beyond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like the waves of concentric circles.

      • 일제하 개천절 수호 교단 간 활동 근거지 비교 연구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19 대종교연구 Vol.1 No.-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흑백논리로써 “대종교는 항일 단체, 단군교는 친일 단체”로 인식하고서 연구를 진행해 왜곡된 성과를 축적해 왔다. 대종교와 단군교는 뿌리가 같은 종교로 나철과 정훈모가 1909년 음력 1월 15일 한성부 북부 재동 8통 10호(가회동 14번지)에서 단군교로 출발했고, 개극절(개천절의 초명) 행사를 자문동(현재의 원서동)에서 같이 했다. 그렇기 때문에 공평한 조건에서 서울의 개천절 행사를 중심으로 대종교와 단군교의 전개과정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첫째, 나철(1863∼1916)이 교주로 있던 대종교는 1914년에 총본사를 북간도 화룡현으로 이전하면서 서울 ‘북촌’에 남도본사를 두었고, 1930년까지 한반도 교구를 관할했다. 간동 31통 5호에 있던 남도본사는 1921년에 가회동 23번지(318평, 1,051㎡)와 계동 101번지(539평, 1,782㎡)에 각각 설립되어 약 300미터의 거리를 두고 경쟁 관계가 되었다. 전자의 가회동 남도본사는 국어학자 신명균(1889∼1940), 종교인 김용기(1876~?) 등이 주도했고 1924년에 회선시교당으로 이름을 바꾸어 공식 활동을 지속했다. 그러나 계동남도본사의 세력이 커지면서 1924년 말에 끝내 문을 닫게 된다. 반면 계동 101번지 건물은 거물급 친일파 윤덕영(1873~1940)이 구입한 것이며, 친일파들의 막대한 자금력으로써 개천절 등 많은 행사를 지속했고 교육사업과 경전편찬도 전개했다. 강우(1862∼1931)를 비롯한 대종교 남도본사 간부진과 대종교청년회, 대종교진흥회도 모두 계동에 집결되었다. 그러나 1926년 대종교진흥회장 박용태(1888~1938)가 교비 2500원(현재 가치 1,578만원)을 가지고 중국 톈진으로 가서 독립운동 자금으로 활용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남도 본사에 대한 지원이 끊기게 되었다. 이에 남도본사 지도자들은 계동을 떠나 1927년 효자동 106번지에 남일도본사를 복원했다가 간동 88번지를 거쳐 1930년 2월에 고양군 한지면 신당리 162번지 묘지땅으로 이전해서 겨우 유지했다. 그러나 지도자 강우가 병환으로 운영을 하지 못하면서 결국 폐문되고 말았고 그도 1년 뒤 사망했다. 둘째, 정훈모(1868~1943)가 교주로 있던 단군교는 1910년 10월 12일 서울 중부 니동 자택에 총본부를 설치하고 활동을 개시했다. 단군교 총본부는 이후 박동, 와룡동, 경운동 등 북촌의 남단 지역에서 포교 활동하는 과정에서 1912년부터 1915년까지 정훈모가 교주의 자리에서 밀려나는 내분을 겪고서 다시 복귀해 1921년에 북촌을 벗어나 서울 ‘동촌’인 충신동, 동숭동, 연건동 등지에서 1929년까지 활동했다. 정훈모는 유교 사상과 의례를 기반에 두고 국조 단군에 대한 예식을 정비해 어천절을 승어대제로, 개천절을 강어대제로 이름을 바꾸어 제례를 계속 지냈다. 1930년 10월 3일 식도원 주인으로서 부를 축적한 안순환(1871~1942)의 지원으로 경기도 시흥군(현재의 서울 금천구 시흥 4동) 녹동서원 내에 단성전을 지으면서 6년간 활동하던 중 1936년 일제에 의해 폐교되었다. 1910년에 개극절이 개천절로 바뀌고 오늘날 국경일로 제정되기까지 일제하 서울에서 개천절 수호에 노력했던 대종교 남도본사와 단군교 총본부의 역할, 지도자들의 공적, 그리고 예식에 대해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The academic world has accumulated its share of distorted studies presenting a black-and-white view that “Daejonggyo is anti-Japanese and Dangungyo is pro-Japanese.” Daejonggyo and Dangungyo have the same religious root as Ra Cheol, and Cheong Hunmo established Dangungyo on January 15, 1909, under the lunar calendar, at 8-10 Jae-dong, Bukbu, Hanseongbu(14 Gahoe-dong). The ceremony of Gaegueuk-jeol(original name of Gaecheon-jeol) at Jamun-dong(now Wonseo-dong) was also held at the same tim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Daejonggyo and Dangungyo focusing on the religious rituals of Gaecheon-jeol in Seoul under impartial circumstances. First, Daejonggyo and its leader, Ra Cheol(1863~1916), moved their Chongbonsa (headquarters) to Helong-County, China, in 1914, and left the Namdobonsa(the Seoul branch office with jurisdiction over Daejongyo dioceses south of Baekdu Mountain) at “Buckchon”, Seoul, in order to manage the Korean Peninsula diocese until 1930. Namdobonsa, which was originally located at 31-5 Gan-dong, was rebuilt at 23 Gahoe-dong and at 101 Gyedong, respectively, and each competed against the other within a 300-meter distance. The Gahoe-dong Namdobonsa, led by leaders such as Shin Myeong-kyun(1889~1940), a Korean linguist, and Kim Yong-ki(1876~?), a religious man, changed its name to Hoeseon Sigyodang(the Church of Daejonggyo) and continued its official activities. However, it eventually closed down in late 1924 as the Gyedong Namdobonsa grew much bigger. On the other hand, the building at 101 Gyedong was owned by Yun Deok-yeong(1873~1940), who used the massive funds provided by his groups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to organize numerous activities including Gaecheon-jeol rituals, educational enterprises, and publication of its scriptures. The executive staff of Daejonggyo Namdobonsa(the Korean Peninsula diocese) including Kang Woo(1862~1931), the Daejonggyo Youth Association, and the Daejonggyo Promotion Society also assembled in Gyedong and eventually they all united. However, after Park Yong-tae(1888~1938), the leader of Daejonggyo Promotion Society, was found guilty of embezzling its operating expenses of 2,500 won(current value: 15.78 million KRW) to fu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ianjin, China, in 1926, the financial support for Namdobonsa was terminated. This led the executive staff to leave Gyedong and re-establish Namdobonsa at 106 Hyoja-dong in 1927, which moved again to 88 Gan-dong, and then finally, in February 1930, it was established in a building within a cemetery at 162 Sindang-ri, Hanji-myeon, Goyang-gun(now Sindang-dong, Seoul). However, when Kang Woo's failing health hindered him from performing his administrative duties, the organization eventually closed down and Kang Woo died a year later. Second, Dangungyo with Cheong Hunmo(1868~1943) as its leader established its Chongbonbu(headquarters) at Ni-dong, Jungbu, Seoul(now Unni-dong) on October 12, 1910, and commenced its activities. Amid its propagation activities conducted in the south of Buckchon, such as in Bak-dong, Waryong-dong, and Gyeongun-dong from 1912 to 1915, Cheong Hunmo was ousted from the leadership due to an internal conflict. After assuming leadership again, Cheong left Buckchon in 1921 and continued his work in Chungsin-dong, Dongsung-dong, and Yeongeon-dong, the “Dongchon” of Seoul, until 1929. He organized religious rituals for Dangun(the founder of Gojoseon, the first Korean nation) based on Confucian ideals and the Confucian ritual system and changed Eocheon-jeol to Seung-eo-Daeje, and Gaecheon-jeol to Gang-eo-Daeje. On October 3, 1930, the Dansung-jeon Hall shrine was built in Nokdongseowon(Confucian Academy) at Siheung-gun, Gyeonggi-do Province(Siheung 4-dong, Geumcheon-gu, Seoul), with financial support from An Sun-hwan(1871~1942), who had accumulated much wealth as the president of the Sikdowon Restaurant; however, activities continued there for six years until the shrine was shut down by the Japanese police in 1936. This study seeks to cast new light on the endeavors, achievements, and religious ceremonies of Daejonggyo Namdobonsa and Dangungyo Chongbonbu and their leaders in preserving the spirit of Gaecheon-jeol from its conception as a Gaegueuk-jeol until its enactment as a national holida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 1911년 대종교 공주시교당 사건 연구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2 No.-

        대종교는 1904년 음력 10월 3일(양력 11.9) 백두산 도인 백봉이 창시했고, 1909년 음력 1월 15일(양력 2.5) 나철과 정훈모가 중심이 되어 서울 지부 선포식인 중광식을 거행했다. 서울 지부의 초기명칭은 단군교였고 1910년 음력 7월 30일(양력 9.3)까지 18개월간 한시적으로 사용되었다. 단군교의 교세는 날로 커져서 1910년 8월 전국 교인 수는 21,539명에 달했고, 1911년 황해도, 함경도, 대구, 충청남도에 지방 시교당을 개설해 나갔다. 백봉은 1910년 10월 3일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를 반포하고 대종교의 교의인 오대종지를 나철에게 전했다. 그런데 충남도장관을 역임하고 있던 친일 관료 박중양이 충남 공주 사립명화학교 곧 공주 시교당에서 배포하던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를 압수했다. 1911년 2월 7일 그는 내용을 분석해“백봉의 오대종지가 황당무계한 설이고, 국권회복과 민족단결을 고취시키기 때문에 독이 퍼질 우려가 있다” 고 총독부에 밀고해 공주시교당 사건을 일으켰고 학교 폐쇄를 강경하게 요청했다. 그러나 일본 측의 답변은 오히려 감정을 배제하고 관망하는 자세로 냉철하게 판단했다. 대종교단에서는 본 사건의 심각성을 인지하고서 1911년 2월 27일에 오혁(오기호)을 공주시교당 으로 파송하고 수습했다. 공주시교당 사건의 여파로 대종교 도사교 나철은 결국 전략상 종지부터 경전까지 백봉 관련 내용을 대폭 삭제하기에 이른다. 첫째, 1911년 2월 이후 백봉으로부터 받은 오대종지 중 4개를 수정했다. 특히 민족주의 정신이 담긴 안고기토((백두산) 터전을 안정되게 방비할 것) 종지를 “집에서 고요히 복을 구하라”는 ‘정구이복’으로 바꾼 점은 심각한 변화였다. 둘째, 백봉 교단으로부터 삼신일체 신관이 담긴 『대종교신리』(1910)를 받았으나 이를 폐기하고 신관을 새로 정립해 1911년 음력 1월 15일(양력 2.13)에 『신리대전』을 펴냈다. 또한 대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인 『삼일신고』 발굴자 겸 전수자가 백봉인데 발굴경위가 담긴 기록을 삭제하고서 1912년에 출간했다. 셋째, 박중양의 밀고로 국내에서 대종교 시교 활동이 어렵게 되자 나철은 1914년에 총본사를 북간도 화룡현 청호에 이전한 뒤 백두산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4도본사를 설치해 조직을 정비했다. 이러한 대응책은 대종교 계열 독립운동 단체의 기반 형성에도 일조했다는 것이 학계 통설이다. 그러나 애합족우 종지를 어기고 신규식(1880~1922)을 상하이로 파견해 중국 혁명가들과 손잡고 청나라를 무너뜨린 신해혁명에 가담시켰다는 사실은 대종교의 근간이 흔들린 중차대한 사안이었다. 오늘날 대종교의 공식 교주 명단에 대종교 창시자 백봉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학계와 대종교 측의 주장대로 결코 일제의 탄압이 원인이 아니라, 친일 관료 박중양의 고발로 파생된 피해의식과 일련의 시교 전략 수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논자가 최초로 밝힌 1911년 2월 ‘대종교 공주시교당 사건’을 통해 기존 학계의 통설과 종단 공식기록에서 삭제된 대종교 초기 역사가 바로잡혀야 한다. Daejonggyo was founded by Baekbong (?~?), an ascetic coming from Mt. Baekdu, on October 3, 1904 of the lunar calendar (November 9 of the solar calendar). In order to reestablish a Dangun religious, its ceremony was held on January 15, 1909 of the lunar calendar (February 5 of the solar calendar) and led by patriots Ra Cheol (1863~1916) and Cheong Hunmo. This ceremony also proclaimed the Seoul Branch of Daejonggyo. The initial name of the Seoul Branch was ‘Dangungyo’ and this name was temporarily used for 18 months until July 30, 1910 of the lunar calendar (September 3 of the solar calendar). The religious influence of Dangungyo was growing day by day: the number of nationwide members reached 21,539 as of August 1910. Also, they established Dangun Church in Korean province and cities including Hwanghaedo, Hamgyeongdo, Chungcheongnamdo, and Daegu. Baekbong promulgated Dangungyo-Odaejongjipomyongseo on October 3, 1910 and delivered the Five Creeds in Daejonggyo to Ra Cheol. However, Park Jung-yang (1872~1959), a pro-Japanese official who served as Minister of Chungcheongnamdo, seized the Dangungyo-Odaejongjipomyongseo, which was distributed by Chungnam Gongju Private Myunghwa School that was Daejonggyo Gongju Dangun Church. After analyzing Baekbong’s Five Creeds, he claimed that as “an absurd theory” it not only “encouraged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and national unity,” but also “might spread the poison.” Park then informed on it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n February 7, 1911. Accordingly, the Gongju Dangun Church incident occurred. Also, he urged the shutdown of a Daejonggyo school.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ok a level-headed stance on the incident and sat on the fences without any emotional invention. Due to an aftermath of the Gongju Dangun Church incident, Ra Cheol, the religious sect leader of Daejonggyo eventually and strategically removed Baekbong-related contents from Creeds and Daejonggyo scriptures. First, four of the Five Creeds, having been received from Baekbong, were revised since February 1911. In particular, in this revision, it was a serious change from the nationalist Creed of Ahngogito, meaning “Defend the Mt. Baekdu shrine!,” to Jeongguyibok that means “Silently seek for a blessing at home.” Second, Daejonggyo-Shinri which contained the hieratic of Daejonggyo was abrogated and the hieratic was reestablished since it was received from the Baekbong religious body (1910). As a result, Shinridaejeon was published on January 15, 1911 of the lunar calendar (February 13 of the solar calendar). In addition, the Samilshingo, the most important scriptures of Daejonggyo was published after records of Baekbong, as an excavator and an initiator, were completely removed from it. Third, due to the sycophancy of Park Jung-yang, Daejonggyo's activitie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Korea, so Ra Cheol moved the General Headquarter to Cheongpaho(current Qinghucun), Helong-Prefecture in North Gando in 1914. He maintained the four headquarters in East, West, North, and North, centering on Mt. Baekdu. It is a common view in academia that these countermeasure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Daejonggyo-based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it resulted in a crucial issue shaking the foundation of Daejonggyo as the countermeasures breached the Creed of Aehapjokwoo that means “Ethnic Koreans and Manchurians, reconcile with one another!” As a result of the countermeasures, Shin Gyusik (1880~1922) was dispatched to Shanghai to join the Chinese revolutionaries and bring them to participated in the Xinhai Revolution that eventually destroyed the Qing Dynasty. Currently, Baekbong, the Daejonggyo founder is not included in the list of Daejonggyo's official religious sect leaders. As both academia and Daejonggyo argue, this exclusion of Baekbong was not caused by Japanese oppression, but resulted from a victim mentality of the religious body, which Park Jung-yang’s charge generated, as well as from a strategical revision of a series of religious teaching. Through ‘Daejonggyo ’s Gongju Dangun Church Incident’ in February 1911 firstly revealed by the author, an initial history of Daejonggyo that disappeared from both the established general theories on Daejonggyo in academia and official references of the religion must be corrected.

      • 이극로의 북한 행적과 『이극로 전집』의 과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3 No.-

        조선어학회 대표였던 이극로(1893~1978)는 광복 후 조선건민회를 조직해 정치계에 뛰어들었다. 1948년 남북연석회의 참석 후 평양에 잔류한 이후 1978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북한의 조선어학 토대를 다지고 발전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그런데 이극로가 북한 정권 수립에 일조하고 대남선전선동의 선봉으로서 활동했던 이력은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극로는 김일성의 신임을 받아 북한 초대 내각 무임소상에서부터 승승장구하였으며, 반미 반이승만 발언을 지속했다. 한국전쟁 때는 대남선전선동에 앞장섰고, 군사정권 때는 반미 반박정희 강경 발언을 지속했다. 이극로의 민족어 연구와 공헌은 남한과 북한에서 공히 인정하는 바다. 그러나 김일성의 사상과 혁명 사업을 고수하고 선전하는 데 앞장섰던 그의 정치 행보는 남한에서 재평가될 것이고, 체제 찬양발언으로 인해 기념사업은 난관이 있을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2019년 『이극로 전집』(전4권) 간행 이후에 확인된 글을 보완한 총목록을 부록에 실었다.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Korean Language Study Society Representative, Yi, Geugno (Kolu Li, 1893~1978) organized the Chosun KUNMIN-HOI (Strong People’s Society) and leapt into the political world. In 1948, he attended South-North Joint conference (joint conference with representative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North and South Korea), and stayed behind Pyongyang in North Korea. Afterward, until his death in 1978, he contributed to solidifying and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North Korea. However, the history of Yi, Geugno’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serving as the vanguard of propaganda against South Korea was not well known in the Koreas. Yi, Geugno earned the trust of Kim Il-sung. As a Minister without Portfolio in the first cabinet of North Korea, he went from strength to strength and continued to speak for anti-Americanism and against Syngman Rhee. During the Korean War, he took the lead in anti-American propaganda, and during the military regime in South Korea, he continued to speak for anti-Americanism and against Park Chung-hee. Yi, Geugno’s study of and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language are recogniz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his political actions, which were focused on adhering to and promoting Kim Il-sung’s ideas and revolutionary work, may be reevaluated in South Korea, and his commemorative project is expected to be experience difficulty due to his remarks in prai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this paper, a general table of contents that supplements the articles confirme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The Complete Works of Yi Geugno (all 4 volumes) in 2019 is included in the appendix.

      • 광복회 연구의 성과와 과제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2 No.-

        광복회는 1910년대 국내 최대 항일 단체였고, 지금까지 대한광복회로 널리 알려졌다. 광복회에 대한 연구는 30년간 진행되었으며, 논자는 198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개척기’, 199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시도기’, 200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도약기’, 2010년대를 ‘광복회 연구의 결실기’로 이름 붙여 보았다. 1980년대에는 7편의 논문이 나왔는데, 1983년 조동걸 교수가 처음 광복회 연구를 개척한 이래 80년대에 박영석-박환 부자의 광복회연구가 이어졌고, 권대웅도 동참했다. 90년대에는 논문 편수가 10편으로 80년대와 큰 차이 없으나 여러 연구자의 관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2000년대에는 논문이 20편으로 이전보다 배로 늘었고, 특히 박사학위논문 2편(김희주, 이성우)이 나왔다. 이 시기에 『박상진 자료집』 등이 발간되어 학계에 도움을 주었다. 북한 지역 광복회 인물과 행적을 확인할 수 있는 『의용실기』의 전산입력 작업도 처음 시도되었다. 2010년대에는 논문이 11편 나왔고, 기존 학설에 대한 비판 연구가 돋보인다. 그리고 『광복회 자료집』 Ⅰ·Ⅱ(2014)가 출간되었다. 광복회 연구의 과제로서는 첫째, 연구 성과물의 출간과 보급이 필요하다고 보였다. 둘째, 백과사전에 광복회 관련 항목이나 내용상 잘못된 곳이 있으면 최신 성과를 반영해 시정해야 한다. 셋째, 지리연구를 촉구해야 한다. 넷째, 광복회 인물 기초 자료 수집이 더 필요하다. 그간 사건을 중심으로 관련 인물들이 연구되어 개인에 대한 조사가 불충분하다고 보였다. 구술 자료의 중요성이 늘고 있는 학계 상황에서 족보나 문중, 후손에 대한 인터뷰도 다시 한 번 살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끝으로, 누락된 한국군의 역사에 광복회가 반드시 편입되어야 할 것이다. Gwangbokhoe, also known as Korean Gwangbokhoe, was the biggest anti-Japan organization in Korea in the 1910s. Research on Gwangbokhoe has proceeded for thirty years. Reviewing the existing research, I defined the 1980s as ‘the pioneering period of studies on Gwangbokhoe,’ the 1990s as ‘a trial period of the studies,’ the 2000s as ‘the leaping period of the research,’ and the 2010s as ‘the period of the fruition of research on Gwangbokhoe.’ There were seven articles released in the 1980s: professor Cho Dong-geol pioneered research on Gwangbokhoe in 1983 for the first time, followed by Park Young-seok and Park Hwan as well as by Kwon Dae-ung. There were ten papers in the 1990s, which we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e ’80s studies. However, multiple researchers conducted diverse studies with their own different research interests. There were twenty research papers presented in the 2000s, which specifically included two doctoral theses by Kim Hee-ju and Lee Sung-woo. As Source Book by Park Sang-jin was published at that time, it helped academia (develop research on Gwangbokhoe). Also, computation jobs inputting Ouiyongsilgi allowed one to discover figures of Gwangbokhoe from North Korea and their achievements. While there were eleven articles released in the 2010s. It is noticeable that these publications mainly criticized the existing theories on Gwangbokhoe. Additionally, Source Book of Gwangbokhoe Ⅰ·Ⅱ were published in 2014.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of studies of Gwangbokhoe. First, it is necessary to officially publish and distribute research results. Second, if there are incorrect contents related to Gwangbokhoe in an encyclopedia, they must be corrected through reflecting the latest results of research. Third, geographic research must be conducted. Fourth, more foundational data collection of Gwangbokhoe’s figures has to be collected. Research on individuals involved in Gwangbokhoe has been insufficiently conducted since the established studies, just touching upon the related figures, focused on events or incidents. Currently, the importance of oral data is increasing in academi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examine genealogy orinterviews with clans and descendants of Gwangbokhoe members. Finally, Gwangbokhoe, which has been omitted from a history of the Korean Military, must be included in the history.

      • 단재 정훈모의 생애와 활동

        조준희 ( Cho Junhee ) 한국신교연구소 2019 대종교연구 Vol.1 No.-

        정훈모는 충남 홍성 출신 우국지사이자 종교지도자다. 그는 홍주의병 선봉장이었던 청양군수 정인희의 장남으로 태어나 영춘군수 등을 지내며 관료의 길을 걸었던 인물이다. 그는 지방 군수 재임 시절 애국계몽운동에도 관심을 보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었고, 대한자강회, 기호흥학회에도 가입하였다. 1909년 나인영(후의 나철)의 4차 도일 외교 시에 동참했다가 도쿄의 가이헤이칸 여관에서 백두산 도인 두일백을 만나 경전류를 전수받고 귀국한 뒤 나인영과 함께 단군교를 중광하고 포교에 열심히 활동하였다. 국조 단군에 대한 숭모 사상은 조선 말 백두산 도인 백봉이 이끈 단군교 전수 단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백봉 교단의 도맥은 홍암나철과 단재 정훈모 양인에게 나뉘어졌다. 그러나 나철이 유교 형식을 타파하고자 한데 비해, 정훈모는 유교사상과 의례를 버리지 못했던 차이가 있었다. 결국 두 사람은 사상적 차이로 1910년에 분립한 뒤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고, 정훈모는 일제강점 치하 국내에서 단군교를 지키기 위해 1910년부터 1936년까지 경전 간행과 교리의 체계화, 예식 정비에 주력하였다. 외압과 내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민족 경전’으로 알려진 천부경·삼일신고·성경팔리의 3대 경전 체계를 세운 장본인으로서, 한국종교사 서술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아이러니하게도 70년대부터 대종교에서는 반대파인 정훈모가 이루어 놓은 경전 체계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 백두산 도인 수장 백봉이 주창하여 나철과 정훈모의 단군교 중광 및 개천절 행사로 명맥이 이어져 오늘날 국경일로 제정되기까지 역사적 배경과 노력은 제대로 평가받아야 한다. 앞으로 정훈모는 나철과 함께 대종교 중광의 주역으로서 뿐만 아니라 최초 개천절(개극절) 행사를 함께했던 동지로서도 반드시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정훈모는 일제강점기라는 난세에 한민족 시조 단군의 역사와 의미를 찾기 위해 많은 고민과 실천을 하였고, 민족종교 단군교를 이끌었던 종교지도자였다. 나철이 신앙대상을 보편적 차원의 삼신으로 격상한 것에 비해, 정훈모는 단군교를 고수하며 교명의 명분에 맞게 단군문화의 보급과 확산에 헌신했다. 이를 위해 그는 단군교의 교리·교사·의례에 관한 서적을 수집하고, 정리해서 출판하는 일에 특히 관심을 기울였다. 일제에 의해 끝내 단군교가 폐교되자 그는 그간의 단군신앙운동 과정을 집대성한 『단군교부흥경략』을 출판해 그의 일관된 노력이 단군문화와 관련 서적의 정리와 보급에 있었음을 실천으로 보여주었다. 정훈모가 몸담았던 시흥 단군전은 비록 터만 남았으나 터 자체만으로도 향토자원으로서 가치가 높다. 일제의 탄압과 한국전쟁, 1981년 철거를 거치면서 공간과 예식 문화가 사라졌으나, 다행히 단군전 예식자료가 모두 전해 와서 복원하는 데 문제없다. Cheong Hunmo(1868~1943) is a religious leader and a patriot from Hongseong, South Chungcheong Province. Born as the eldest son of Cheong Inhee(1849~1917), governor of Cheongyang County who led the Hongju Righteous Army against Japanese encroachment, Cheong walked the path of a bureaucrat, serving positions such as the governor of Yeongchun(in today's Danyang County, North Chungcheong Province). During his time as the county governor, he showed interest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believed that education would be the most important way in which his country could gain independence and achieve modernization. To this end, he joined groups such as Daehan-Jaganghoe and Giho-Heunghaghoe. In 1909, while accompanying Ra Inyoung’s(renamed as Ra Cheol afterwards) fourth diplomatic visit to Japan, he met Du Ilbaek, an ascetic from Mt. Baekdu, at the Gaiheikan Inn in Tokyo and was handed secret scriptures. Upon returning home, he reestablished a Dangun religious order with Ra Inyoung and actively engaged in the propagation of Dangunism. The ideologies centered around Dangun, the mythical founder of Korea, bega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y the secret religious circle led by Baekbong, again an ascetic from Mt. Baekdu, which aimed at secretly passing down the beliefs of the Dangun order. Baekbong's sect was continued by both Hongam Ra Cheol and Danjae Cheong Hunmo. The two were different in that Ra Cheol aimed at breaking up the Confucian ideology while Cheong Hunmo insisted on coexisting with Confucianism by retaining the Confucian ideas and rituals. The ideological differences eventually led them to part their ways in 1910. Since then to 1936, Cheong Hunmo focused his effort on publishing scripture commentaries, systemizing doctrines, and reorganizing ceremonies to protect Dangungyo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Despite external pressures and internal strife, he founded the system of three major scriptures, including Cheonbugyung, Samilshingo, and SeongKyeongpalli, also known as the “Nation's Major Scriptures”, making him indispensable in describing Korea's religious history. Ironically, since the 1970s, Daejonggyo, another homegrown religious order worshipping Dangun, has borrowed the scriptures of Cheong Hunmo, even though he had been one of the most vocal critics of Daejonggyo.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efforts that led to the declaration of the National Foundation Day as a holiday, from the advocacy of Baekbong, the ascetic master from Mt. Baekdu, to Ra Cheol and Cheong Hunmo’s reestablishment and continuation of Dangungyo and National Foundation Day ceremonies to the present day, must be properly recognized. Along with Ra Cheol, Cheong Hunmo should be given new acknowledgement not only as one of the principals of reestablishing Daejonggyo, but also as one who accompanied the first-year celebration of the National Foundation Day with Ra Cheol and his followers. Cheong Hunmo was the leader of Dangungyo, who shaped the religious order and took action to find the historical meaning of Dangun, the progenitor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turbulent times of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Ra Cheol elevated the religious dimension to the universal Gods of “Samshin”, Cheong Hunmo kept to Dangungyo, devoting himself to propagating and spreading the ideas of Dangun. To do so, he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collecting, organizing, and publishing books on the doctrines, history, and rituals of Dangunism. Even after the Dangungyo order was finally closed down by the Japanese rulers, he published Dangungyo-Buheong Gyungryak(roughtly translated as “Strategy to Rehabilitate Dangungyo”) which compiled the developments of Dangungyo movements, demonstrating that his consistent efforts were in organizing and propagating publications on Dangun ideas. Today, only the ruins of Cheong Hunmo’s Dangun-jeon Hall in Siheung remain, yet the site itself is still a valuable cultural asset. Although the historic site and the religious order disappeared with the Japanese suppression, the Korean War, and the demolition of the building in 1981, restoration is possible as the Dangun-jeon Hall’s Dangungyo ritual references all passed down to the present 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