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nti-Fatigue Activity of a Mixture of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aisne and Vaccinium bracteatum Thunb. Fruit Extract

        Joohyun Oh,Yoonyoung Han,Jimin Kim,Chansung Park,Doolri Oh,Hyojeong Yun,Gyuok Lee,Jaeyong Kim,Chulyung Choi,Yongwo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25 No.4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aisne and Vaccinium bracteatum Thunb. are commonly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food and both exhibi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erein, hot-water extracts of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aisne and Vaccinium bracteatum Thunb. fruits (1:1 mixture) were used to produce a complex extract NET-1601. The anti-fatigue activity of NET-1601 was evaluated in an in vitro oxidative stress model induced by treating C2C12 myotubes with H2O2. An exhaustive swimming test (EST) in vivo model was established using ICR mice. NET-1601-treated C2C12 myotubes (50, 100, and 200 ㎍/mL) with H₂O₂-induced oxidative stress displaye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ATP content, but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ll NET-1601-treated EST model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maximum swimming rates than control mice. Furthermore, serum lactate,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intramuscular glycogen levels were higher in NET-1601-treated mice than in control mice. In addition, mRNA levels of regulatory factors involved in muscle mitochondrial fatty acid β-oxidation increased upon NET-1601 treatment. Moreover,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S-transferase, and liver glutathion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higher in NET-1601-treated mice than in control mice. Reduced malondialdehyde levels indicated that NET-1601 treatment inhibited exercise-induced lipid peroxidatio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T-1601 retains antioxidant enzyme activity during oxidative stress, simultaneously enhancing both muscle function via glycogen and fatty acid oxidation, thereby exerting a positive effect on recovery from fatigue.

      • KCI등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와 개인정보 유출

        오주현 ( Joohyun Oh ),강정한 ( Jeong Han Kang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6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서 본인 및 타인의 개인정보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으로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연결망 특성에 따라 서비스의 개방성이 개인정보 확산을, 온 오프라인 관계의 중첩성이 개인정보의 조합을 촉진시킨다는 정보유출의 기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의 특성으로 친구 수와 사이버불링 경험에 주목하였다. 분석은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2012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본인의 개인정보 유출 영향 요인과 타인의 개인정보 유출 영향 요인을 각각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랐다. 특히 개방성과 온 오프라인 관계 중첩성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미니홈피나 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가 본인의 개인정보 유출 승산이 높은 것을 확 인했다. 둘째, 온라인 친구 수는 본인의 정보 유출에, 오프라인 친구 수는 타인의 정보유출에 영향을 미쳐 의도하지 않은 유출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이버불링 피해 및 가해 경험은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의 개인정보 유출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임을 확인했다. This paper examines determinants of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social networking services. We focus on two networking factors across different social networking services: openness and online-offline overlap. Openness encourages the spread of personal information, and overlapping relations between online and offline promote the combination of scattered pieces of information. Also, we pay attention to the number of friends and the experience of cyber-bullying as attributes of user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d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cross-sectional survey concerning young people``s usage of social media in 2012. We explored determinants of two dependent variables: the leakage of user``s own personal information and that of other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different networking services such as Cyworld``s Minihompy, Me2day, Twitter, Facebook and KakaoTalk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two types of leakage. Particularly, having high levels of both openness and online-offline overlap, Minihompy and Facebook exhibit higher odds of leakage of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an other services. Second, the significance of the number of friends suggests possibly unintende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Third, the experience of cyber-bullying which shows the highest effects on both types of information leakage could be a practically important factor in regard to information leakage from social networking services.

      • KCI등재

        노인일자리 사업의 필요성 및 효과성에 대한 실험연구

        오주현(Joohyun Oh),박용완(Yong Wan Park)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3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 그리고 준비되지 않는 노년기에 노인복지정책은 꼭 필요하다. 그러나 복지정책에서 인구학적 특성에따른 할당이 보편적인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정책은 경제적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세대갈등의 씨앗이 되기도한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국민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 프레이밍이 효과적인지 탐색하려는 목적을지닌다. 따라서 노인복지정책 중 세대갈등을 쉽게 목격할 수 있는 노인일자리 사업을 사례로 실험분석을 했다. 이를 위해 노인일자리사업의 뉴스 기사 프레이밍(복지정책 vs. 경제활성화 정책 vs. 복지&경제활성화 정책)과 정책에 노출되는 연령대(20, 30대 vs. 50, 60대)를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정책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는 3 × 2 집단 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20, 30대는 경제활성화와복지라는 두 가지 목적을 제시할 때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 한편 50, 60대는 정책 프레이밍과 관계없이 노인일자리사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복지보다는 경제활성화로 정책을 제시할 때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노인복지정책 포지셔닝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한다. Welfare policies for the older adults are essential to the unprepared older adults generation in an unprecedentedly fast population aged society. However, although the allo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welfare policies is a universal method, welfare policies focusing on older adults are seeds of the generational conflict centered on economic inter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olicy framing should be taken to positively enhance the public's attitude toward the older adults’s job project, which is part of the welfare policy for the older adults. To this end, we set up and conducted a 3 policy framing (Welfare Policy vs.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 vs. Welfare &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 × 2 age group (20s, 30s vs. 50s, 60s) between-subject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 showed that people in the young age group (the 20s and 30s) positively evaluated the need for policies when presenting the goal of the policy as Welfare &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 compared to others. On the other hand, people in the older adults group (the 50s and 60s) evaluated the older adults job project positively regardless of policy framing but showed a relatively more favorable attitude when suggesting policies to revitalize the economy rather than welfare.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and the direction of public relations of welfare policies for senior citizens are suggested.

      • KCI등재

        이질적 연결망 기반 사회자본이 사회통합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SNS의 역할

        오주현(Oh, Joohyun),강정한(Kang, Jeong-ha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1 No.4

        본 연구는 SNS가 사회자본의 활성화를 통해 사회통합적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을까란 물음에서 출발했다. 연결망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회자본의 형태를 동질적 연결망 기반 사회자본으로는 결속(bonds)을, 이질적 연결망 기반 사회자본으로는 가교(bridges)와 연결(linkages)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가교를 공간을 가로지르는 수평적 이질성으로, 연결을 사회적 계층을 가로지르는 수직적 이질성으로 구분 지었다. 사회자본의 효과가 개인적 이득을 넘어 사회통합적 관심으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결속에 따른 신뢰 효과와 가교에 따른 정보 효과를 넘어서는 연결에 따른 이해 및 공감의 형성이 중요함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으며,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를 활용하여 검증했다. 인과적 효과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 결과, 다양한 직업군의 지인 연결망, 즉 수직적으로 이질적인 사회자본을 가질 때 시민참여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사회자본의 이질성은 SNS 사용에 따른 인과적 효과로 보기는 어려워 SNS가 이질적 사회자본의 형성 보다는 유지 기능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SNS 활용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We explore what are sufficient conditions for social capital to be effective on the societal level and if SNS can nurture those conditions in terms of people’s participatory interests in social integration. Among three forms of social capital we classify bonds as homogeneous social capital and bridges and linkages as heterogeneous ones, and particularly, focus on linkages which connect vertically heterogenous social stratifications and are hypothesized to improve people’s interests in social integrations. For empirical analysis, we used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and observed that SNS users showed greater heterogeneity in both bridges to other countries and linkages to diverse occupations. We also observed that more linkages to other occupations promoted higher interests both in civic engagement and in local community. Robustness tests on causality revealed that SNS usage did not causally promote heterogeneous social capital and we discuss how the role of SNS can be improved.

      • KCI등재

        고령소비자의 비대면 상거래 이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 소비자 혁신성과 스마트폰 이용능력을 중심으로

        오주현(Joohyun Oh) 한국정보사회학회 2021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2 No.3

        본 연구는 고령소비자의 비대면 상거래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TV홈쇼핑, 온라인쇼핑 구매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비대면 상거래 구매 여부로 ‘비대면 상거래 비이용 집단’, ‘TV홈쇼핑만 이용하는 집단’, ‘온라인쇼핑만 이용하는 집단’, ‘TV홈쇼핑, 온라인쇼핑 모두 이용하는 집단’으로 구분하고 소비 행위를 예측하는 요인인 소비자 혁신성과 전자상거래에 필수 능력인 스마트폰 이용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다. 분석을 위해 2019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베이비붐 세대와 75세 미만 전기 노인이 대상이다. 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온라인쇼핑만 이용하는 집단과 모두 이용하는 집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이용 집단과 TV홈쇼핑만 이용하는 집단과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소비자 혁신성, 스마트폰 이용능력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했다. 비대면 상거래 비이용자를 기준으로 TV홈쇼핑 구매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기능적 혁신성과 쾌락적 혁신성이 높을수록 TV홈쇼핑 구매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쇼핑 구매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형에서는 쾌락적 혁신성과 스마트폰 이용능력의 영향력을 확인했다. 한편 TV홈쇼핑에서만 구매 경험이 있는 집단과 온라인쇼핑 구매 경험이 있는 집단의 차이는 스마트폰 이용능력임을 확인했다. 본 연구결과는 비대면 상거래에 초점을 맞춰 집단을 유형화하고, 집단 간 특성을 가시화했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 과정에서 비대면 상거래를 이용하는 고령소비자의 경우 소비자 혁신성이 높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마케팅 측면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nior consumers’ non-face-to-face shopping channels (television home shopping, online shopping) use and the effect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using them.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consumer innovativeness, which is well known to predict consumer behaviors and smartphone skills needed to use online shopping channels. In order to analyze Korea Media Panel Data in 2019 were used. The respondents are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older adults under 75. Results showed that senior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non-users, those who only use television home shopping, and those who use online shopping malls. Online shopping users showed higher consumer innovativeness and higher smartphone skills than non-users and those who only use television home shopping. Non-users represent the lowest innovativeness as well as smartphone skills.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higher functional and hedonic innovativenes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elevision home shopping than the non-user group. In addition, hedonic innovativeness and smartphone skills positively affect the use of online shopping.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only use television home shopping and those who use online shopping is smartphone skill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 and marketers for senior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digital literacy programs for older adults to buy kinds of goods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Second, marketers could refer to the senior consumer’s innovativeness for marke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