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filtrating Epidural Angiolipoma Involving Lumbar Spine

        Jeong-Han Kang(강정한),Hyeong-Seok Lee(이형석),Dae-Won Jung(정대원),Dong-Jun Ha(하동준),Jae-Yong Kwak(곽재용),Ui-Cheol Kim(김의철)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비교적 드문 침습형 경막 외 척추 혈관 지방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척추 혈관 지방종은 주로 흉추부에 호발하며 침습형의 경우에도 요추부보다 흉추부에 잘 이환된다. 특히 요추부에 이환된 침습형 경막 외 척추 혈관 지방종은 극히 드물다. 증례는 침습형 척추 혈관 지방종이 제4 요추체에 이환된 심한 요통 및 하지방사통으로 내원한 52세 여자 환자로 수술적 치료로 제4-5 후궁 절제술 및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적으로 치료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척추 혈관 지방종은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양성의 경과를 가진다. We report on an unusual case with infiltrating extradural spinal angiolipoma. Most spinal angiolipomas involve the thoracic spine and infiltrating ones are also located mainly at the thoracic levels rather than lumbar lesion. In particular, there are few cases of lumbar extradural infiltrating type spinal angiolipoma. One case is that of a 52-year-old female with infiltrating extradural spinal angiolipoma involving lumbar 4 (L4) vertebra, who underwent a L4?5 laminectomy and surgical removal of the tumor. We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with surgical treatment of the patient. Spinal angiolipoma has a benign course with a good postoperative outcome.

      • KCI등재

        A Typology of Organizational Behavior

        Kang Jeong-han(강정한),Han Sang Won(한상원)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0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39 No.2

        Four mode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re proposed by crossing two behavioral dimensions adopted from organizational ecology (inertia vs. change) and neoinstitutionalism (normative vs. deviant). Those four modes are innovative (deviant change), reformative (normative change), conservative (normative inertia), and reactionary (deviant inertia) modes in the life-cycle of organizational behavior. Also identified are two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underlying each behavioral dimension: low risk vs. high risk underlying inertia vs. change, and certainty vs. uncertainty underlying normative vs. deviant. Through the integration of inertia-conformity and risk-uncertainty dimensions, hypotheses are generated on how transition to the next mode can be either promoted or hindered by sociopolitical resourc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by intervention of the state and the civil society at the societal level. The typology and hypotheses outlined in this paper aim to further theoretical articulation and empirical tests on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organizational forms and institutions in the market.

      • KCI등재

        연구논문 : 응답자의 성격특성과 성향점수 매칭기법을 활용한 모바일 조사 향상방안 연구

        강정한 ( Jeong Han Kang ),강예원 ( Yewon Kang ),임정재 ( Jeong Jae L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성격특성변수를 활용하여 성향점수 매칭방법을 실시하고 성향점수 가중법을 보완하여 모바일 조사의 추정치 보정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조사회사의 협조하에 모바일 조사자료를 수집하고,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2009년 및 2011년도 자료를 준거자료로 삼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준거자료와 사회 인구학적 변수를 매칭시켜 모바일 응답자를 표집하여 성향점수 추정에 사용되는 변수를 성격특성 10문항만으로 최소화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집단으로 설정한 KGSS 응답자와 유사한 성향점수를 가진 모바일 응답자를 매칭으로 추출하여 모바일 응답자의 주관적 정치성향을 보정하였다. 분석의 결과 성향점수 매칭방법은 가중법과 일관되며 다소 향상된 추정결과를 보였는데, 인근이웃 매칭방법의 경우 자료 간 정치성향의 차이를 보정 전에 비해 33.6%, 성향점수 가중법에 비해 9.4%를 줄였으며, 두 자료 간 성격특성의 분포 또한 가장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격특성은 가변성이 적은 응답자 특성으로서 성향점수 계산에 유용함을 보였으며, 둘째, 신속성을 요구하는 모바일 조사의 특성에 맞게 적은 문항수를 보정방식에 활용 하였으며, 셋째, 매칭기법을 통해 보정의 직관성을 높이고 가중법을 포함한 성향점수 활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는 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reduce estimation biases from mobile survey b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respondents` personality. Firstly, we selected 2009 and 2011 Korean General Social Surveys(KGSS) as reference data and then sampled mobile survey respondents by one-to-one matching to those of 2011 KGSS based on sociodemographic dimensions. Secondly, we chose subjective political orientation as an outcome variable for estimation whose mean values are statistically identical between the two years of KGSS but more conservative than that of mobile respondents. Thirdly, we performed propensity score matching by 10 items of personality in a consistent way with propensity score weighting and produced a comparable but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weighting. Our conclusions are threefold: First, personality traits are stable enough to be a basis of propensity score. Second, combining pre-survey matching by sociodemographic traits and after-survey matching by the small number of items can provide a cost-effective way of bias correction by coping with impatient mobile respondents. Third, propensity score matching provides us with more intuitive tools than weighting to improve the validity of propensity score methods.

      • KCI등재

        소아 상완골 내과 골절의 치료 결과

        강정한 ( Jeong Han Kang ),양승현 ( Seung Hyeon Yang ),임극필 ( Kuk Pil Lim ),김휘택 ( Hui Taek Kim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4

        목적: 상완골 원위부 내과 골절에 대한 치료 결과를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소아 상완골 내과 골절에 대해 부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에서 치료 후 2013년 현재 상완골 원위부 성장이 완료된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예, 여자가 4예였으며 수상 당시의 나이는 2세에서 10세로 평균 4.6세였다. 수상 후 치료까지의 기간은 최소 1일에서 최고 6개월이었으며, 4예에서 수상 후 17일, 2개월, 2개월, 6개월 때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모든 골절이 Milch 1형이었으며, 5예에서 Kilfoyle 3형, 2예에서 2형이었다. Mayo 주관절 실행 점수와 운반각의 변화에 따라 최종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최우수 3예, 우수 3예, 보통 1예의 결과를 보였다. 모든 예에서 주관절 동통은 없었으며, 진단이 지연된 4예 중 1예에서 내반 변형으로 교정 절골술을 받았고 이들 모두 운동장애를 보였다. 치료가 지연되지 않은 3예에서는 정상 운동 범위를 보였다. 결론: 소아 상완골 내과는 연골로 구성되어 골절 시 단순 엑스선만으로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엑스선상 골절선이 보이지 않더라도 주관절 내측 부위의 부종과 압통 등을 보일 경우 자기공명영상 등의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과 함께 조기 치료하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Purpose: We evaluated outcomes of treatment in medial condyle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4 females, 3 males) who were treated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llowed-up until skeletal maturity after treatment were included.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fracture was 4.6 years (range, 2 to 10 years). Treatment was performed from 1 day to 6 months after the fracture: 4 patients underwent a surgical treatment for 17 days, 2 months, 2 months and 6 months after fracture, respectively. All fractures were Milch type 1. Five patients had Kilfoyle type 3, and two patients had type 2 fractures. Fin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and carrying angle. Results: There were 3 excellent, 3 good and 1 fair result at the final follow-up. There was no elbow pain in any of the patients. One of the four patients who underwent a late surgical treatment received corrective osteotomy due to cubitus varus. All four patients had a limitation of elbow motion. The other three patients who had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had a full range of motion. Conclusion: Diagnosis of medial condyle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based on plain radiograph is difficult in children due to its cartilaginous structures. When a patient shows pain, tenderness and swelling on the medial side of the elbow, an additional examination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y be required even if no fracture line is found in the radiograph. Accurate diagnosis and early treatment is important for good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연결망 불평등에 대한 학제적 이론화 모색

        강정한(Jeong-han Kang),조연정(Yeonjeong Jo)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4

        Web 2.0 시대의 도래와 SNS 서비스를 통한 교류의 폭발적 증가는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해 사람간 상호작용이나 관계에 대한 통찰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라인 네트워크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는 네트워크 연구를 계산능력에 의존한 속도경쟁으로 이끈 측면이 있으며, 가상세계의 인간관계에 대한 이론적 통찰보다는 대규모 데이터의 효율적 지표화,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로지르는 공통의 패턴이나 연관관계, 즉 법칙의 발견에 주목해온 면이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온라인 인간관계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는 다소 혼란스런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본 연구는 멱함수 법칙으로 대변되는 연결 분포의 불평등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적 이론화 작업을 세 가지 학제적 측면에서 제안한다. 우선, 면대면 관계와 온라인 관계의 형성원리에 대한 통합적 이해는 멱함수 분포의 이면에 있는 정규분포적인 상호작용의 차원을 밝히는 것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이고 경험적 예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파레토 법칙을 응용한 상호작용의 폭을 정의하고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두 번째로 멱함수 법칙의 사회과학적 진단과 해석은 멱함수 분포의 순서 통계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보인다. 이와 연관하여, 연결 분포의 불평등을 해석할 때 멱함수 분포의 지수에 대한 최대우도추정치 및 파레토 법칙의 일반화를 바탕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세 번째로 멱함수 법칙의 창발적 생성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상의 사회적현상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이 필요함을 논하고, 그러한 모델의 원형으로서 쿠커-스메일(Cucker-Smale) 미분방정식 모델을 소개하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상과 같이 통계학적 분포론이나 미분방정식 모델을 통합한 학제적 이론화를 시도하는 것은, 융합 연구로 나아가고 있는 온라인 연결망 연구에 사회학적 통찰과 해석을 통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rrival of Web 2.0 and the explos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expanded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human interactions via online communications. Those opportunities, in conjunction with massive data-mining, led us to find general laws in online communication but brought us less sociological insight than we could have expected. This article attributes the disappointing contribution of sociology to the lack of theoretical frameworks for online networks and proposes interdisciplinary theory-building efforts threefold. First, the turn of research focus from the small-world network to the power-law network leaves us a missing-link between the normal distribution and the power-law distribut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concept of major tie-width as the link and provides an empirical example. Secondly, the socially meaningful interpretations of power-law distributions require us to correctly understand order-statistics and effectively summarize the degree of inequality in distribution. This article introduces a maximum-likelihood estimation for an exponent of power-law distribution and a generalized Pareto Principle as two indices of inequality. Thirdly, we need to explain how the power-law network emerges from micro-level human communications by a sociologically meaningful model. This article introduces Cucker-Smale model, the first analytic proof of emergent property, and explores its application to the power-law network. We believe that these three efforts can help understand the genesis and structure of online human networks and derive socially meaningful implications.

      • KCI등재

        현대 사회 이론의 생물학적 전환

        강정한(Kang, Jeong-han)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3 No.-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이 타당성을 잃은 이후 침묵해 있던 생물학적 사회 이론은, 20세가 중반 이후 새로운 방향으로 생물학적 전환을 맞이하였으며 21세기 들어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전환은 진보적, 선형적 진화를 가정했던 사회진화론으로부터 몰진보적, 무작위적 진화를 가정한 다윈으로의 복귀라 할 수 있으며, 전환의 배경에는 몸과 마음, 자연과 사회의 이원론을 극복하려는 노력과 함께 분자생물학의 발달에 따른 유전자적 환원론의심화도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환원론의 심화는 사회를 유전자 수준의 복제 원리로 설명하려는 사회 생물학적 사회이론도 발달시키는 한편 문화와 이타적 가치를 설명하려는 ESS 이론의 발전을 통해 유전자를 매우 추상적인 사회 이론적 개념으로 변화시켰다. 한편 인간유전자(genome)지도의 제작은 환원론의 완성보다는 분자, 세포, 개체군 등 관찰 수준에 상관없이 생물 시스템의 총체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드러내었다. 21세기의 이러한 생물학의 경향은 네트워크 복잡계에 대한 관심, 유전자 개념의 이론성, 귀납주의적 환원론의 극복 등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사회학과 융합ㆍ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융합의 노력이 자연의 사회화를 탐구하는 몸의 사회학과 만난다면, 자연과 사회가 갈등론적으로 통합하는 지점으로서의 뇌에 대한 사회 이론이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Biological social theories, awakening from their quite hibernation since Spence’s social Darwinism, have been turning to new directions with notable promise. These new directions have been stimulated by efforts to overcome dualism between body and mind, or nature and society on the one hand, and by intensified genetic reductionism of thriving evolutionary biology on the other hand. An axiomatic turn from the perspective of progressive, linear evolution to that of non-progressive, random evolution overarches those diverse stimulations. Even though the reductionism gave birth to contemporary biosociology, which did not appeal to sociologist much, reductionists’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altruistic human culture developed the theory of 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ESS), which transformed the concept of biological gene to an social theoretic concept. More recently, the completion of human genome map calls for sincere attentions to the common properties across different levels of biological systems, rather than confirming the triumph of genetic reductionism. These new directions as a whole have affinity to sociology because of their interest in network complexity, acceptance of theoretical concept for gene, and motivation to overcome inductive reductionism. When these new directions communicate with sociologists’ interest in socialization of nature, the social theory for brain may emerge as an effort to explain how nature and society are integrated through mutual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