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BM 구축을 위한 쌍화탕의 실험 연구 문헌 분석

        이준경(Lee Junkyoung),이남헌(Lee Namhun),하혜경(Ha Hyekyoung),이호영(Lee hoyoung),서창섭(Seo Changsub),정다영(Jung Dayoung),이진아(Lee Jinah),신현규(Shin Hyunkyu) 한국한의학연구원 2008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4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activity and safety of Ssanghwa-tang by analyzing domestic papers and theses about Ssanghwa-tang. Methods: Domestic papers and theses related to Ssanghwa-tang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se papers were then classified by year, experimental method, and activity subject.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1. The study of Ssanghwa-tang started from 1981 and continued steadily 1990s and it was decreased 2000s. 2. The paper of Ssanghwatang was entire domestic paper, 20 volumes. 3. In classified by experimental method and animal of Ssanghwa-tang paper, more than a half study used rat in vivo experiment. Furthermore clin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about anti-fatigue effect of Ssanghwa-tang and Ssanghwatang was proved a safety herbal medicine in acute toxicity experiment. 4. Decursin, glycyrrhizin, paeoniflorin were determined in Ssanghwa-tang by using HPLC analysis. 5. As these studies were classified by subject, papers related to anti-fatigue effect were most abundant by 7 papers. Besides there were several papers related to liver funtion, anti-inflammatory, alleviation, smooth muscle relaxation effect and so on. 6. According to experimental data, it is supported that Ssanghwa-tang was safety herbal medicine and it has a several activity about anti-fatigue, anti-inflammatory, alleviation, smooth muscle relaxation. Conclusion : Many study of basic science experiments and clin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and reported on Ssanghwa-tang in domestic journal. Ssanghws-tang is being used in various ways associating with anti-fatigue. anti-inflammatory. alleviation and smooth muscle relaxation. furthermore Ssanghwatang was proved a safety herbal medicine in acute toxicity experiment. However, studies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Ssanghwatang need to be completed at the clinical level.

      • '聖德大王神鐘'의 음향특성에 관한 통계적 패턴분석

        박석윤,구본초,김태호,박봉서,송인호,심규복,여영선,윤영재,이동욱,이문희,이인선,이재성,이정은,이창진,인민호,임양호,장영주,장혜경,최규선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忠南科學硏究誌 Vol.30 No.1

        '神鐘'이라는 호칭에 걸맞은 '聖德大王神鐘'의 특징 가운데 이미 알려진 다음과 같은 기존 연구 결과들을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종의 성분에서 구리(78-84%)와 주석(11.21-15.51%)의 비율이 절묘하게 이루어져서 '韓國梵鐘'의 '천년의 소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리와 주석뿐만 아니라 납과 아연과 철과 니켈성분도 나타나며, 또한 종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에서 각기 성분비율이 다르다. 둘째, '聖德大王神鐘'은 다른 '韓國梵鐘'들에서는 볼 수 없는 유황성분이 미량이지만(0.22%) 존재한다. 셋째, 종의 구조상 주조과정에서의 불가피한 불균일성과 표면의 조각과 문양 및 덤쇠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한 미소 비대칭성을 보인다. '韓國梵鐘'의 음향특징 가운데 하나인 '맥놀이'(pulsating phenomenon)는 비대칭성으로 인한 비습한 진동수 2개가 조화 진동해 합성된 진동의 진폭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넷째. '韓國梵鐘'의 전형적 특징 가운데 하나인 音管이 종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音管 상부와 하부의 직경에 차이가 있다. 이 音管은 높은 음 및 騷音의 음향조절 및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 다섯째, 종체의 하부 밑으로는 鳴洞을 설치하게 되어 있다. 鳴洞은 공명진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한국종' (Korean Bell)으로 불리는 '韓國梵鐘'의 전형적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는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를 통계적 패턴분석으로 접근해 보았다.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를 발견해 보고자. 음향신호를 ASCII코드로 변환하였으며, 추출을(samping ratio)이 22,050H2인 음향신호 시계열 자료를 리샘플링(resampling)하여 1.000Hz의 시계열 자료로 변환하여, 음향 신호의 통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비교적 짧은 시간(10여초)의 음향신호이지만. 음향패턴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음향패턴에 따라 제1구간에서 제6구간까지 여섯 단계로 분류하여, 단계별 시계열자료의 定常性을 점검하고 '聖德大王神鐘'의 신비한 음향적 특징을 통계적 패턴으로 접근한 결과를 각 구간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區間打聲은 여타의 區間音과는 음향패턴이 현저히 다를 뿐만 아니라, 진폭이 크고 불규칙적인 騷音으로 판별되어 음향신호로 볼 수가 없으므로,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神鐘'의 제2區間 기본 主淸音(Ⅰ음, Ⅱ음)은 극히 짧은 순간음이지만, 이후의 區間에서만 나타나는 派生音(Ⅲ음. Ⅳ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음이면서도 騷音이 거의 개입되지 않은 밝은 淸音으로서, '神鐘'의 신비한 音특성 즉 장중하고 영롱하면서도 고요한 음파 패턴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 셋째, 제3區間音은 한 마디로 말하기가 쉽지 않으며, 조금은 복잡한 음향패턴변화를 보인다. 즉 제2區間 기본음향인 主音(Ⅰ음, Ⅱ음)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기본 主音(Ⅰ음, Ⅱ음)이 派生音(Ⅲ음, Ⅳ음)을 생성해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생성과정에서 미세한 騷音들이 개입되어 있으나,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으로 騷音이 처리되어, 제3區間에서 騷音들이 점차 제거되어 시나브로 사라져 가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넷째. 제4區間淸音은 기본 主淸音(I음, Ⅱ음)과 派生淸音(Ⅲ음, Ⅳ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네 가지 淸音(I음, Ⅱ음, Ⅲ음, Ⅳ음)만이 자리잡게 되는데, 騷音의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騷音 시나브로 제거기능이 제3區間에서 이어 제4區間에서도 작동된 결과 깨끗한 네 가지 淸音(I음, Ⅱ음, Ⅲ음, Ⅳ음) 음향신호가 초반부에 나타나고 있다. 또한 높은 음의 음향조절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발휘되어, 제4區間에서 두 번째 높은 고주파 派生淸音인 Ⅲ음이 점차로 감소하면서 시나브로 사라져간다. '神鐘'의 장엄하면서도 영롱한 소리에는 어린아이의 울음소리와 유사한 고주파가 작지만 조화롭게 혼합되어 있어서, 다른 '韓國梵鐘'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음파의 특징이 발견되고 있다. 아마도 '神鐘'이라는 명칭보다 '에밀레종'이라는 애칭이 생긴 까닭이, 바로 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派生淸音(Ⅲ음, Ⅳ음)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섯째. 제5區間淸音은 제4區間淸音과 큰 차이는 아니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제5區間에서는 초반부에 3개의 淸픔(I음, Ⅱ음, Ⅳ음)이 나타난다. 그러나 점차 세 가지 淸音(I음, Ⅱ음, Ⅳ음) 중에서 가장 높은 派生淸音인 Ⅳ음마저 시나브로 사라져간다. 높은 音의 음향조절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지속적인 기능에 기인한 것이다. 여섯째. '神鐘'의 제6區間主淸音은 派生淸音(Ⅲ음, Ⅳ음)은 다 사라지고 최종적으로 남게되는 기본 主淸音(I음, Ⅱ음)이다. 따라서 제6區間主淸音은 제2區間 기본 主淸音과 동일한 낮은 주파수의 主淸音(I음, Ⅱ음)이다. 그러나 제6區間主淸音은 제2區間 기본 主淸音(I음, Ⅱ음)에 비해 진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지속시간도 훨씬 길게 나타나는, 신비하고도 절묘한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본질적 淸音의 음향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종체의 하부 밑에 설치한 鳴洞이 공명진동을 지속적으로 확대재생산하여 일어난 결과이다. 따라서 주석(11.21-15.51%)의 절묘한 비율, 각기 다른 종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의 성분비율로 인한 종의 구조상의 불균일성, 종체 표면의 조각이나 문양 및 덤쇠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한 미소 비대칭성, 그리고 音管의 騷音 필터기능과 높은 음향조절기능 및 鳴洞의 공명진동기능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비로소 아름답고도 신비한 제6區間主淸音을 창출해내고 지속적 힘찬 맥놀이의 에너지가 된다. 즉 제6區間主淸音이 출현한 후에야 비로소, ‘韓國梵鐘'의 특징인 비교적 일정한 시간격인 약 2.5초(2-3초) 간격으로 지속되는 主淸音의 힘찬 '맥놀이' (pulsating phenomenon)가 시작되며, 이러한 '神鐘'의 신비한 '맥놀이현상'도 이후 오랜 시간 지속된다. 또한 '神鐘'의 기본 네 음파(I음, Ⅱ음, Ⅲ음, Ⅳ음)의 frequency를 살펴보면. 네 음파마다 변화패턴과 변화의 폭은 조금씩 다르나 매우 짧은 시간에 frequency의 미세한 변화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바. 이러한 frequency의 지속적 미세한 변화가 힘찬 '맥놀이'(pulsating phenomenon)를 유발하여 오랜 여운으로 들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6단계별 다양한 음향적 패턴변화로 인해 '聖德大王神鐘'의 신비로운 종소리가 우리의 심금을 울려주고 있음을 통계적 패턴분석을 통해 접근하였다. Recently the crack of 'King Seongdeok Bell' is issued. The secret of 'King Seongdeok Bell' sounds have not been clarified completely, and though tried to make the duplicate several times, anyone could never imitate. The pipe lines and resonator (vibrational hoops) are features of Korean bell. The pipe lines make low frequency, the original sound, remain the inside of the bell and high frequency emit itself to reduce white noise. The vibration hoops make the original sound translate stable sounds and tune it to spread at a d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und waves of the bell. using time series analysis with data translated into ASCⅡ code. Six steps are easier to be identified by ACF and periodogram, and a vibration is showed in ACF and data with excluding white noise is showed in periodogram.

      • Nonnegative tensor factorization for continuous EEG classification.

        Lee, Hyekyoung,Kim, Yong-Deok,Cichocki, Andrzej,Choi, Seungjin World Scientific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al systems Vol.17 No.4

        <P>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continuous EEG classification, where we employ nonnegative tensor factorization (NTF) to determine discriminative spectral features and use the Viterbi algorithm to continuously classify multiple mental tasks. This is an extension of our previous work on the use o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for EEG classification. Numerical experiments with two data sets in BCI competition, confirm the useful behavior of the method for continuous EEG classification.</P>

      •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muscle mass retention in hibernating bats: Role of periodic arousal

        Lee, Kisoo,So, Hyekyoung,Gwag, Taesik,Ju, Hyunwoo,Lee, Ju-Woon,Yamashita, Masamichi,Choi, Inho Wiley Subscription Services, Inc., A Wiley Company 2010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Vol.222 No.2

        <P>Hibernators like bats show only marginal muscle atrophy during prolonged hibernation.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hibernators use periodic arousal to increase protein anabolism that compensates for the continuous muscle proteolysis during disuse. To test this hypothe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3-month hibernation (HB) and 7-day post-arousal torpor (TP) followed by re-arousal (RA) on signaling activities in the pectoral muscles of summer-active (SA) and dormant Murina leucogaster bats. The bats did not lose muscle mass relative to body mass during the HB or TP-to-RA period. For the first 30-min following arousal, the peak amplitude and frequency of electromyographic spikes increased 3.1- and 1.4-fold, respectively, indicating massive myofiber recruitment and elevated motor signaling during shivering. Immunoblot analyses of whole-tissue lysates revealed several principal outcomes: (1) for the 3-month HB,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Akt1 (p-Akt1) and p-mTOR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SA bats, but p-FoxO1 levels remained unaltered; (2) for the TP-to-RA period, p-Akt1 and p-FoxO1 varied little, while p-mTOR showed biphasic oscillation; (3) proteolytic signals (i.e., atrogin-1, MuRF1, Skp2 and calpain-1)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HB and TP-to-RA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sistive properties of torpid bat muscle against atrophy might be attained primarily by relatively constant proteolysis in combination with oscillatory anabolic activity (e.g., p-mTOR)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of arousals occurring throughout hibernation. J. Cell. Physiol. 222: 313–319, 2010. © 2009 Wiley-Liss, Inc.</P>

      • Persistent Brain Network Hom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Dendrogram

        Hyekyoung Lee,Hyejin Kang,Chung, M. K.,Bung-Nyun Kim,Dong Soo Lee IEEE 2012 IEEE transactions on medical imaging Vol.31 No.12

        <P>The brain network is usually constructed by estimating the connectivity matrix and thresholding it at an arbitrary level. The problem with this standard method is that we do not have any generally accepted criteria for determining a proper threshold. Thus, we propose a novel multiscale framework that models all brain networks generated over every possible threshold. Our approach is based on persistent homology and its various representations such as the Rips filtration, barcodes, and dendrograms. This new persistent homological framework enables us to quantify various persistent topological features at different scales in a coherent manner. The barcode is used to quantify and visualize the evolutionary changes of topological features such as the Betti numbers over different scales. By incorporating additional geometric information to the barcode, we obtain a single linkage dendrogram that shows the overall evolution of the network.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etworks is then measured by the Gromov-Hausdorff distance over the dendrograms. As an illustration, we modeled and differentiated the FDG-PET based functional brain networks of 24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26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and 11 pediatric control subjects.</P>

      • Enhancement of Hot Electron Flow in Plasmonic Nanodiodes by Incorporating PbS Quantum Dots

        Lee, Changhwan,Choi, Hyekyoung,Nedrygailov, Ievgen I.,Lee, Young Keun,Jeong, Sohee,Park, Jeong Young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8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10 No.5

        <P>The enhancement, of hot electron generation using plasmonic nanostructures is a promising strategy for developing photovoltaic devices. Here, we show that hot electron flow generated in plasmonic Au/TiO2 nanodiodes by incident light can be amplified when PbS quantum dots are deposited onto the surface of the nanodiodes. The effect is attributed to efficient extraction of hot electrons via a three-dimensional Schottky barrier, thus giving new pathways for hot electron transfer. We also demonstr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hotocurrent and Schottky barrier height when using PbS quantum dots with varying size and, ligand treatments that allow us to control the electric properties, (e.g., band gap. and Fermi, level, respectively) of the PbS quantum dots. This simple method introduces a new technique for further improving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in-film photovoltaic devices.</P>

      • Semi-Supervised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Hyekyoung Lee,Jiho Yoo,Seungjin Choi IEEE 2010 IEEE signal processing letters Vol.17 No.1

        <P>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is a popular method for low-rank approximation of nonnegative matrix, providing a useful tool for representation learning that is valuable for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When a portion of data are labeled, the performance of clustering or classification is improved if the information on class labels is incorporated into NMF. To this end, we present semi-supervised NMF (SSNMF), where we jointly incorporate the data matrix and the (partial) class label matrix into NMF. We develop multiplicative updates for SSNMF to minimize a sum of weighted residuals, each of which involves the nonnegative 2-factor decomposition of the data matrix or the label matrix, sharing a common factor matrix. Experiments on document datasets and EEG datasets in BCI competition confirm that our method improves clustering as well as classific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tandard NMF, stressing that semi-supervised NMF yields semi-supervised feature extraction.</P>

      • PCA-based Linear Dynamical Systems for Multichannel EEG classification

        Lee, Hyekyoung,Choi, Seungjin 한국뇌학회 2002 한국뇌학회지 Vol.2 No.1

        뇌파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와 인간 간의 인터페이스는 인간의 뇌와 컴퓨터 간의 새로운 통신 채널을 제공하며, 뇌파의 패턴분류는 컴퓨터-인간 인터페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분석과 선형동적시스템을 결합한 새로운 뇌파 패턴분류기를 구성하여 오른손이나 왼손의 움직임을 상상하는 데이터를 분류해보았다. EEG-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BCI) provide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human brain and computer. The classification of EEG data is an important task in EEG-based BCI. In this paper we present methods which jointly emplo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linear dynamical system(LDS) modeling for the task of EEG classification. Experimental study for the classification of EEG data during imagination of a left or right hand movement confirms the validity of our proposed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