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골수종 세포의 간 침윤에 의한 비폐쇄성 황달을 보인 다발성 골수종 1예- 조직 검사로 진단한 다발성 골수종의 간 침범 -

        유미현,김현우,여영선,임정우,정우진,한은미,서철원,김순배,박수길,이상구 대한혈액학회 2005 Blood Research Vol.40 No.4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5% 미만에서 골수 이외의 조직 침범에 의한 증상이 동반된다. 저자들은 다발성 골수종의 간 조직 침범에 의해 비폐쇄성 황달이 동반되었던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전신 쇠약감과 체중 감소, 황달과 빈혈 및 단백뇨를 주소로 내원한 70세 남자 환자로, 내원 후 시행한 검사 결과 혈색소 8.5mg/dL, calcium 10.3mg/dL, creatinine 1.3ng/dL, AST 41IU/L, ALT 26IU/L, total bilirubin 4.0mg/dL, direct bilirubin 2.3mg/dL, alkaline phophatase 304IU/L, 24시간 소변 단백은 1,120mg이었다. B형,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고,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특별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원인을 알 수 없는 단백뇨에 대한 검사로 시행한 소변 단백 전기 영동 검사 및 면역 전기 영동 검사상 free lamda type light chain이 검출되었고, 이에 대해 시행한 골수 검사에서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하였다. 이후 황달에 대한 검사로 시행한 간 조직 검사상 다발성 골수종 세포의 간 조직 침범에 의해 비폐쇄성 황달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서 황달이 동반되어 있을 경우, 매우 드물지만 다발성 골수종 세포의 간 조직 침범에 의한 황달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만성 항체 매개성 거부 반응에서 경정맥 면역 글로불린으로 치료한 1예

        변승운 ( Seung Woon Byun ),여영선 ( Young Sun Yeo ),박정식 ( Jung Sik Park ),조영미 ( Yong Mee Cho ),박수길 ( Su Kil Park ) 대한신장학회 2009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8 No.4

        A 66-year-old male was admitted for increasing azotemia. He was diagnosed with chronic antibody-mediated rejection and had received a livingdonor renal transplant from his 32-year-old son prior to his admission. The peritubular capillaries of his kidney were diffusely positive on C4d immunostaining. It is known that there is an agreement between C4d staining and ser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data during rejection that is thought to have a humoral component. The role of alloantibodies in chronic renal allograft deterioration and the corresponding morphologic changes have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during the recent years. However the treatment guidelines for chronic antibody-mediated rejection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has been shown to decrease the titers of anti-HLA antibodies in highly sensitized patients awaiting transplant. There are also numerous proposed mechanisms regarding how IVIG exerts its immunomodulatory action. As we have experienced chronic antibody-mediated rejection and how IVIG treatment improves renal function, we recognize that IVIG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for treating certain subgroups of chronic allograft nephropathy patients with positive C4d staining and anti-HLA antibod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신장 ; Ezetimibe가 말기 신부전 환자의 혈중 지질 및 혈전 지표에 미치는 영향

        박경선 ( Kyung Sun Park ),여영선 ( Young Sun Yeo ),유미현 ( Mi Hyun Yoo ),최준석 ( Jun Seok Choi ),장지웅 ( Ji Woong Jang ),부선진 ( Sun Jin Boo ),유동준 ( Dong Jun Yoo ),김순배 ( Soon Bae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4

        목적: 고지혈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주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로, 고지혈증의 교정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많은 수의 말기 신부전 환자들이 고지혈증에 대한 약물 치료를 시행함에도 혈중지질 이상이 적절하게 교정되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었던 지질강하제와 다른 작용 기전을 갖는 새로운 약제인 ezetimibe는 정상 신장기능을 가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우수한 지질 교정 효과와 내약성 및 안정성을 보였다. 이에 본원에서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을 시행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ezetimibe 단독치료 시와 ezetimibe와 simvastatin을 병용하였을 때의 지질 강하 효과와 항 염증 효과 및 항 혈전 효과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3개월 이상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100 mg/dL 이상인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으로 나누었다. ezetimibe 단독투여군에 속한 환자에게는 ezetimibe 10 mg을 하루 1회 복용하도록 하였고,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에 속한 환자에게는 ezetimibe 10 mg과 simvastatin 10 mg의 혼합 제재를 하루 1회 복용하도록 하였다. 두 군 모두 8주간 약제를 복용하였다. 두 군의 환자 모두 연구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에 채혈을 하였다. 지질 지표로서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수치를 측정하였다. 염증 표지자로서 hs-CRP와 fibrinogen을 사용하였고, vWF는 내피세포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혈관 내 혈전 생성의 지표로 D-dimer를 측정하였다. 결과: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 간에는 평균 연령, 성별, 투석 기간, 체질량지수에 차이가 없었다. 말기 신부전을 초래한 원인 질환에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간 질환, 갑상선 질환의 유병률에도 차이가 없었다. Calcium-channel blocker, β-blocker,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및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의 사용 빈도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중 지질수치의 기저치 및 hs-CRP, fibrinogen, vWF, D-dimer의 기저치에서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제사용 8주 후 ezetimibe 단독투여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각각 14.7%와 21.9% 감소하였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 지방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hs-CRP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 fibrinogen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vWF와 D-dimer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약제사용 8주 후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각각 29.8%와 42.4% 감소하였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 지방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hs-CRP, fibrinogen, vWF, D-dimer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지질 지표와 hs-CRP, fibrinogen, D-dimer 수치의 변화 정도는 투석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vWF는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 모두에서 복막투석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 간에 부작용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결론: Ezetimibe는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단독사용 시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내피세포 손상을 포함한 지혈 요소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tatin과의 병용사용 시에는 단독사용 시와 비교하여 훨씬 더 우수한 혈중 지질 강하 효과를 나타내었고, 지혈 요소들도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ezetimibe는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statin과의 병용 투여 시에 말기 신부전 환자의 혈중 지질이상을 교정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제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Aims: Dyslipidemia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end-stage renal disease (ESRD) patients. Most of them are dyslipidemic despite the use of lipid-lowering agents. Ezetimibe is a novel chemical entity that inhibit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dietary and biliary cholesterol.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ezetimibe on the lipid profile, inflammation markers, endothelial injury, and thrombogenesis in ESRD patients. Methods: Sixty-five patients with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levels≥100 mg/d were recruited: 33 patients were on hemodialysis and 32 patients were on peritoneal dialysis. They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ezetimibe (10 mg) monotherapy group and the ezetimibe (10 mg) plus simvastatin (10 mg) combination therapy group. Both drugs were administered for 8 week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seline demographic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onotherapy group, the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reduced by 14.7 and 21.9%, respectively.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or triglyceride levels. Fibrinogen increased significantly (p=0.04).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the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reduced by 29.8 and 42.4%, respectively. There was an additional 15.1% reduction in total cholesterol and an additional 20.5% reduction in LDL cholesterol compared with monotherapy. Several patients complained of minor adverse effects and only one patient in the ezetimibe monotherapy group discontinued medication, because of diarrhea. Conclusions: In ESRD patients, ezetimibe used as combination therapy with a statin is more effective than ezetimibe monotherapy in ESRD patients. (Korean J Med 77:461-471, 2009)

      • '聖德大王神鐘'의 음향특성에 관한 통계적 패턴분석

        박석윤,구본초,김태호,박봉서,송인호,심규복,여영선,윤영재,이동욱,이문희,이인선,이재성,이정은,이창진,인민호,임양호,장영주,장혜경,최규선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忠南科學硏究誌 Vol.30 No.1

        '神鐘'이라는 호칭에 걸맞은 '聖德大王神鐘'의 특징 가운데 이미 알려진 다음과 같은 기존 연구 결과들을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종의 성분에서 구리(78-84%)와 주석(11.21-15.51%)의 비율이 절묘하게 이루어져서 '韓國梵鐘'의 '천년의 소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리와 주석뿐만 아니라 납과 아연과 철과 니켈성분도 나타나며, 또한 종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에서 각기 성분비율이 다르다. 둘째, '聖德大王神鐘'은 다른 '韓國梵鐘'들에서는 볼 수 없는 유황성분이 미량이지만(0.22%) 존재한다. 셋째, 종의 구조상 주조과정에서의 불가피한 불균일성과 표면의 조각과 문양 및 덤쇠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한 미소 비대칭성을 보인다. '韓國梵鐘'의 음향특징 가운데 하나인 '맥놀이'(pulsating phenomenon)는 비대칭성으로 인한 비습한 진동수 2개가 조화 진동해 합성된 진동의 진폭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넷째. '韓國梵鐘'의 전형적 특징 가운데 하나인 音管이 종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音管 상부와 하부의 직경에 차이가 있다. 이 音管은 높은 음 및 騷音의 음향조절 및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 다섯째, 종체의 하부 밑으로는 鳴洞을 설치하게 되어 있다. 鳴洞은 공명진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한국종' (Korean Bell)으로 불리는 '韓國梵鐘'의 전형적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는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를 통계적 패턴분석으로 접근해 보았다.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를 발견해 보고자. 음향신호를 ASCII코드로 변환하였으며, 추출을(samping ratio)이 22,050H2인 음향신호 시계열 자료를 리샘플링(resampling)하여 1.000Hz의 시계열 자료로 변환하여, 음향 신호의 통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비교적 짧은 시간(10여초)의 음향신호이지만. 음향패턴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음향패턴에 따라 제1구간에서 제6구간까지 여섯 단계로 분류하여, 단계별 시계열자료의 定常性을 점검하고 '聖德大王神鐘'의 신비한 음향적 특징을 통계적 패턴으로 접근한 결과를 각 구간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區間打聲은 여타의 區間音과는 음향패턴이 현저히 다를 뿐만 아니라, 진폭이 크고 불규칙적인 騷音으로 판별되어 음향신호로 볼 수가 없으므로,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神鐘'의 제2區間 기본 主淸音(Ⅰ음, Ⅱ음)은 극히 짧은 순간음이지만, 이후의 區間에서만 나타나는 派生音(Ⅲ음. Ⅳ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음이면서도 騷音이 거의 개입되지 않은 밝은 淸音으로서, '神鐘'의 신비한 音특성 즉 장중하고 영롱하면서도 고요한 음파 패턴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 셋째, 제3區間音은 한 마디로 말하기가 쉽지 않으며, 조금은 복잡한 음향패턴변화를 보인다. 즉 제2區間 기본음향인 主音(Ⅰ음, Ⅱ음)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기본 主音(Ⅰ음, Ⅱ음)이 派生音(Ⅲ음, Ⅳ음)을 생성해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생성과정에서 미세한 騷音들이 개입되어 있으나,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으로 騷音이 처리되어, 제3區間에서 騷音들이 점차 제거되어 시나브로 사라져 가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넷째. 제4區間淸音은 기본 主淸音(I음, Ⅱ음)과 派生淸音(Ⅲ음, Ⅳ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네 가지 淸音(I음, Ⅱ음, Ⅲ음, Ⅳ음)만이 자리잡게 되는데, 騷音의 필터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騷音 시나브로 제거기능이 제3區間에서 이어 제4區間에서도 작동된 결과 깨끗한 네 가지 淸音(I음, Ⅱ음, Ⅲ음, Ⅳ음) 음향신호가 초반부에 나타나고 있다. 또한 높은 음의 음향조절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발휘되어, 제4區間에서 두 번째 높은 고주파 派生淸音인 Ⅲ음이 점차로 감소하면서 시나브로 사라져간다. '神鐘'의 장엄하면서도 영롱한 소리에는 어린아이의 울음소리와 유사한 고주파가 작지만 조화롭게 혼합되어 있어서, 다른 '韓國梵鐘'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음파의 특징이 발견되고 있다. 아마도 '神鐘'이라는 명칭보다 '에밀레종'이라는 애칭이 생긴 까닭이, 바로 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 派生淸音(Ⅲ음, Ⅳ음)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섯째. 제5區間淸音은 제4區間淸音과 큰 차이는 아니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제5區間에서는 초반부에 3개의 淸픔(I음, Ⅱ음, Ⅳ음)이 나타난다. 그러나 점차 세 가지 淸音(I음, Ⅱ음, Ⅳ음) 중에서 가장 높은 派生淸音인 Ⅳ음마저 시나브로 사라져간다. 높은 音의 음향조절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音管의 지속적인 기능에 기인한 것이다. 여섯째. '神鐘'의 제6區間主淸音은 派生淸音(Ⅲ음, Ⅳ음)은 다 사라지고 최종적으로 남게되는 기본 主淸音(I음, Ⅱ음)이다. 따라서 제6區間主淸音은 제2區間 기본 主淸音과 동일한 낮은 주파수의 主淸音(I음, Ⅱ음)이다. 그러나 제6區間主淸音은 제2區間 기본 主淸音(I음, Ⅱ음)에 비해 진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지속시간도 훨씬 길게 나타나는, 신비하고도 절묘한 '聖德大王神鐘'의 음향적 신비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본질적 淸音의 음향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종체의 하부 밑에 설치한 鳴洞이 공명진동을 지속적으로 확대재생산하여 일어난 결과이다. 따라서 주석(11.21-15.51%)의 절묘한 비율, 각기 다른 종체의 상부와 중부 및 하부의 성분비율로 인한 종의 구조상의 불균일성, 종체 표면의 조각이나 문양 및 덤쇠와 같은 인위적인 요인들에 의한 미소 비대칭성, 그리고 音管의 騷音 필터기능과 높은 음향조절기능 및 鳴洞의 공명진동기능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비로소 아름답고도 신비한 제6區間主淸音을 창출해내고 지속적 힘찬 맥놀이의 에너지가 된다. 즉 제6區間主淸音이 출현한 후에야 비로소, ‘韓國梵鐘'의 특징인 비교적 일정한 시간격인 약 2.5초(2-3초) 간격으로 지속되는 主淸音의 힘찬 '맥놀이' (pulsating phenomenon)가 시작되며, 이러한 '神鐘'의 신비한 '맥놀이현상'도 이후 오랜 시간 지속된다. 또한 '神鐘'의 기본 네 음파(I음, Ⅱ음, Ⅲ음, Ⅳ음)의 frequency를 살펴보면. 네 음파마다 변화패턴과 변화의 폭은 조금씩 다르나 매우 짧은 시간에 frequency의 미세한 변화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바. 이러한 frequency의 지속적 미세한 변화가 힘찬 '맥놀이'(pulsating phenomenon)를 유발하여 오랜 여운으로 들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6단계별 다양한 음향적 패턴변화로 인해 '聖德大王神鐘'의 신비로운 종소리가 우리의 심금을 울려주고 있음을 통계적 패턴분석을 통해 접근하였다. Recently the crack of 'King Seongdeok Bell' is issued. The secret of 'King Seongdeok Bell' sounds have not been clarified completely, and though tried to make the duplicate several times, anyone could never imitate. The pipe lines and resonator (vibrational hoops) are features of Korean bell. The pipe lines make low frequency, the original sound, remain the inside of the bell and high frequency emit itself to reduce white noise. The vibration hoops make the original sound translate stable sounds and tune it to spread at a d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und waves of the bell. using time series analysis with data translated into ASCⅡ code. Six steps are easier to be identified by ACF and periodogram, and a vibration is showed in ACF and data with excluding white noise is showed in periodogram.

      • SCOPUSKCI등재

        혈액 투석 환자에서 epoetin alfa와 darbepoetin alfa의 조혈 효과 비교: 무작위 교차 연구

        이지영 ( Ji Young Lee ),변승운 ( Seung Woon Byun ),여영선 ( Young Sun Yeo ),양원석 ( Won Seok Yang ),박수길 ( Su Kil Park ),박정식 ( Jung Sik Park ),장재원 ( Jai Won Chang ) 대한신장학회 2009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8 No.5

        Purpose: We aim to compare the erythropoietic effects of epoetin-α (EA, 4000 IU SC thrice a week) with those of darbepoetin-α (DA, 60ug IV weekly, conversion rate to EA=200:1). Methods: Forty one stable hemodialysis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randomized crossover study. After a washout period of erythropoietin stimulating agents (ESA), the patients with hemoglobin (Hb) level of ≤11.0 g/dL were randomly assigned to DA or EA and we measured Hb and reticulocyte levels. When Hb reached >11.0 g/dL, we stopped ESA. When Hb level decreased to ≤11.0 g/dL again, we switched to alternative ESA and repeated the rest of the steps. Results: Thirty six patients (M:F=20:16, age 62±11 years, Kt/V 1.65, nPCR 1.13 g/kg/day) completed the stud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aseline parameters between DA and EA during the period of the clinical trial. The rate of Hb level increase (EA 0.29 g/dL/week, DA 0.30 g/dL/week, p=0.76) and decrease (EA 0.45 g/dL/week, DA 0.38 g/dL/week, p=0.14)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periods. After ESA stopped, the duration of decreased Hb level of ≤11.0 g/d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 weeks in EA vs. 3.9 weeks in DA, p=0.86). Erythropoietin resistance index was 10.59 in the EA period.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0.97 in DA period (p=0.49). Nine patients (25%) showed a >30% change in EA efficiency relative to DA efficiency.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rythropoietic parameters for both EA and DA.

      • KCI등재후보

        ERCP 시술과 연관된 장 천공의 임상 경과

        최정식,민영일,김명환,이상수,박도현,송문희,오형철,변대근,김민경,여영선,한지민,서동완,이성구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4 Clinical Endoscopy Vol.29 No.2

        Background/Aims: The management of small-bowel perforations associated with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or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is still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atment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ERCP -related perforations in a single tertiary medical center. Methods: Of 18,379 cases of ERCPs performed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3, twenty-six patients (0.14%) with perforation were identified and medical chart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EST were performed in 10,231 patients and perforation occurred in 18 patients. Four out of 18 patients with small-bowel perforation related to EST underwent surgical operation and the rest 14 patients recove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lone. Of the rest 8 perforation patients unrelated to EST, perforation occurred during the insertion of endoscope in 7 patients and catheter manipulation in 1 patient. All but one perforations associated with mechanical injury by endoscope itself were managed with an emergent laparotomy, and the one patient with perforation related to catheter manipulation recove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Conclusions: A small-bowel perforation related to endoscope per se usually required a surgery, but sphincterotomy related perforations rarely did so.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 of small-bowel perforations associated with ERCP and/or EST were 0.14% and 0%, respectively, in a single tertiary medical center. 목적: ERCP 및 내시경적 유두 괄약근 절개술(Endoscopic sphincterotomy, EST)은 담도 및 췌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수기이다. 서울아산병원에서 ERCP 및 EST에 연관되어 발생한 장 천공의 빈도, 치료 성적 및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지난 12년 간(1990. 1~2003. 12) 서울아산병원에서 시행된 18,379예의 ERCP중에서 장 천공이 발생한 환자 26명(0.14%)을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기록을 통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중 EST는 총 10,231예에서 시행되었고 EST와 연관되어 천공이 발생한 환자는 18명이었다. 결과: EST 후에 천공이 발생한 18명 중 4명(22%)에서 개복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나머지 14명(78%)은 보존적 요법(금식, 비위관 삽관, 항생제 등)만으로 호전되었다. EST와 연관되지 않은 천공환자 8명 중 7명은 십이지장경 자체에 의한 기계적 손상에 의해 천공이 발생하였으며, 1명은 도관의 조작 중 천공이 발생하였다. 내시경 자체에 의해 천공이 발생한 경우는 clipping을 할 수 있었던 1명을 제외하고는 6명에서 응급 개복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도관에 의해 천공이 발생하였던 환자는 보존적 요법 후 호전되었다. 개복 수술이 시행된 10명 중 8명은 시술 도중이나 시술 당일에 천공을 인지하여 그 날 중으로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한 환자는 시술 다음 날 천공이 인지되어 수술이 시행되었고 나머지 한 환자는 보존적 요법에 실패하여 천공 42일 만에 개복 수술이 시행되었다. 장 천공이 발생한 26명 중 사망한 사람은 1명도 없었으며, 결국 모두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결론: ERCP 및 EST와 관련되어 발생한 장 천공의 빈도는 0.14%였으며 사망환자는 없었다. 내시경 자체에 의하여 천공이 발생한 경우는 수술적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며, EST와 관련되어 발생한 천공의 경우에는 대부분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다. 보존적 치료 도중 임상 경과가 악화되는 경우에는 외과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수술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