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MO 모델 기반의 Tele-Operation System을 이용한 TMO 성능평가

        이동근 ( Dongkeun Lee ),이한구 ( Hanku Lee ),이원사 ( Wonsa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TMO(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모델은 실시간 분산 처리 모델로써 설계 단계에서 명시된 주기를 가지고 분산된 노드들 사이에 메시지가 전달되며 이 메시지를 통해 각 노드들에게 주어진 작업이 수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TMO 모델을 TMO Tele Operation 모델을 이용하여 기존의 분산 처리 모델(HPJava, MPI 등)과 비교하여 TMO 모델의 성능의 장, 단점 및 더 좋은 실시간 분산 처리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성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Stepwise current electrical sintering method for inkjet-printed conductive ink

        Lee, Hyoseung,Kim, Dongkeun,Lee, Iksang,Moon, Yoon-Jae,Hwang, Jun-Young,Park, Kyoungwoo,Moon, Seung-Jae IOP Publishing 2014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53 No.5

        <P>An innovative electrical current sintering technique is applied to joule-heat conductive ink by increasing current gradually through a stepwise-form. This stepwise electrical sintering technique is devised to overcome thermal damage of printed conductive ink line during electrical sintering due to its high initial resistance. To monitor a stepwise electrical sintering method, in-situ specific resistance was measured. Surface morphology of the sample was observed by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By increasing the current gradually, the conductive line can endure higher current because the specific resistance has dropped gradually during the process. Finally, enhanced final-step current produces lower specific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ine than that obtained from a constant current-supplying electrical sintering method without damaging printed conductive line. (C) 2014 The Japan Society of Applied Physics</P>

      • SCIEKCI등재

        Prediction of Thermo-Mechanical Fatigue Life of IN738 LC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Lee, Jeong-Min,Seok, Chang-Sung,Lee, Dongkeun,Kim, Yongseok,Yun, Junghan,Koo, Jae-Mean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15 No.8

        This paper describes a study we performed on predicting the thermo-mechanical fatigue (TMF) life of the nickel-based superalloy IN738LC, which is the main material of gas turbine blades. Gas turbine blades experience mechanical fatigue and thermal fatigue as a result of centrifugal force and flames. Furthermore, gas turbine blades experience low cycle fatigue due to frequent startups and shutdowns. In the case of low cycle fatigue behavior that a large plastic deformation mainly occurs, the fatigue life can be decided by the plastic strain amplitude. The hysteresis loop of the material should be derived to obtain the plastic strain. However, precise experimental techniques are required to derive the hysteresis loop, which, in turn, require extensive time and effort.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imple method to obtain the hysteresis loop without the TMF test.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TMF test and obtained the hysteresis loop and fatigue life curves. We also derived the hysteresis loop and predicted the fatigue life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FEA).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s a result, the fatigue life of the IN738LC can be predicted with FEA.

      • KCI등재

        Preliminary Evaluation of Domestic Applicability of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Jongyoul Lee,Minsoo Lee,Heuijoo Choi,Kyungsu Kim,Dongkeun Cho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6 No.4

        현재 기준개념으로 개발하여 상용화 단계에 있는 심층 동굴 처분기술에 대한 대안으로서 지질학적 조건이 더 안정적인 지하 3~5 km의 심도에 사용후핵연료를 포함한 고준위폐기물을 처분하는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예비 평가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심부시추공 처분개념의 기술적 적용성 분석에 필요한 국내 기반암 분포특성 및 심부시추공 처분부 지적합성 평가 기술 분석과 대구경 심부시추기술을 평가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 설계 기준 및 요건에 적합한 심부시추공 처분용기 및 밀봉시스템 개념을 설정하여 예비 기준 심부시추공 처분 개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예비 기준 처분시스템에 대하여 열적 안정성 및 그래픽 처분환경에서의 처분공정 모사 등 다양한 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의 국내 적용성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예비평가를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심부시추공 처분시스템은 처분심도와 단순한 방법으로 인하여 안전성 및 경제적 타당성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지만, 불확실성을 줄이고 인허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 기술에 대한 현장실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결과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공학적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심부시추공 처분기술에 관심을 갖는 방사성폐기물 관리 이해당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to deep geological disposal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as a reference concept, the domestic applicability of deep borehole disposal technology for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including spent fuel, has been preliminarily evaluated. Usually, the environment of deep borehole disposal, at a depth of 3 to 5 km, has more stable geological and geo-hydrological conditions.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rock distribution in the domestic area were analyzed and drilling and investigation technologies for deep boreholes with large diameter were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design criteria and requirements for the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were reviewed, and preliminary reference concept for a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including disposal container and sealing system meeting the criteria and requirements, was developed. Subsequently, various performance assessments, including thermal stability analysis of the system and simulation of the disposal process, were performed in a 3D graphic disposal environment. With these analysis results,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domestic applicability of the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was perform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In summary, due to disposal depth and simplicity, the deep borehole disposal system should bring many safety and economic benefits. However, to reduce uncertainty and to obtain the assent of the regulatory authority, an in-situ demonstration of this technology should be carried out. The current results can be used as input to establish a national high-leve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policy. In addition, they may be provided as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stakeholders interested in deep borehole disposal technology.

      • 정식기 프레임 구조강도 향상방안 연구

        이동근 ( Dongkeun Lee ),김영주 ( Young-joo Kim ),양승환 ( Seung-hwan Yang ),이상대 ( Sangdae Lee ),인현기 ( Hyunki I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정식기는 주로 노외에서 사용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매우 극심한 작업환경 하에 놓일 수 있다. 사용 중 정식기에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거나, 순간적인 충격하중이 가해져 취약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정식기를 지탱하는 프레임의 경우 강도 및 내구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식기의 사용조건을 고려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구조적 취약부위를 도출 한 후 취약부위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정식기의 구조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구조해석 대상은 새롭게 개발 중인 고추정식기의 프레임으로 전기모터 식으로 구동되는 반자동 정식기이다. 구조해석 수행 시 해석의 효율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해석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은 제거하였으며, 구조개선에 필요하지 않으나 제거함으로써 구조해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은 따로 경계조건을 부여하였다. 구조해석 결과 최대응력은 약 30MPa로 나타났는데, 이는 프레임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에 비해 매우 작은 수치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구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을 찾아내고, 발생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석을 통해 총 4곳의 취약부를 도출하였으며, 주로 굽힘 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해당 부위의 단면적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켜 굽힘에 의한 응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통해 취약부를 개선할 수 있도록 프레임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식기 프레임의 구조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정식기 호퍼 내구성 향상에 관한 연구

        이동근 ( Dongkeun Lee ),김영주 ( Young-joo Kim ),양승환 ( Seung-hwan Yang ),이상대 ( Sangdae Lee ),인현기 ( Hyunki I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정식기는 주로 노외에서 사용되므로 사용자에 따라 극심한 작업환경 하에 놓일 수 있다. 사용 중 정식기 호퍼에 토양이나 자갈, 돌 등에 의해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거나 순간적인 충격하중이 가해져 취약부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토양과 직접 맞닿는 삽날부의 경우 내구성을 고려한 설계/제작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형 반자동 정식기 개발에서 고추묘와 같은 초장이 긴 작물의 묘를 효과적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개선된 삽날에 대해 기존 삽날과 강도 및 강성을 비교하고, 그 결과가 삽날의 내구성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에는 양날 개폐 방식의 기존 및 개선삽날 2종이 사용되었으며, 각각 3회씩 정적 강도를 평가하였다. 실제 정식기 사용시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은 삽날에 수직한 방향의 압축하중으로 이를 모사하여 일정변위 속도로 삽날에 하중을 가하였으며, 시험 진행시 DAQ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하중 및 변위 데이터를 저장하여 시험 종료 후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P-δ 선도를 도출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삽날의 평균 최대하중이 개선삽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하중이 나타나는 지점의 변위의 경우, 기존삽날이 개선삽날에 비해 짧게 나타났다. 정적 강도측면에서 개선삽날이 기존삽날에 비해 최대 강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실제 호퍼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인자는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충격하중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기존삽날에 비해 낮은 강성을 가지는 개선삽날이 변형을 통한 충격에너지 흡수로 오히려 삽날 조립체(호퍼)의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할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기존 및 개선삽날을 적용한 호퍼에 대해 피로시험을 수행하여 관련 내용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