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아질과 복합레진 접착부의 피로파괴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지연,김재곤,차경,백병주 大韓小兒齒科學會 199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and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s and fatigu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four dentin adhesive systems to dentin surface. 99 extracted human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and exposed dentin surfaces treated with four dentin bonding agents. Resin composite was bonded to dentin by use of commercial adhesive systems. Thensile bond strengths were determined in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1mm/min. and the fatigue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the fatigue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the Fatigue testing machine(Electro-dynamic type). Fractured dentin surfaces were examined by S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tensile bond strengths were 21.45MPa in All-Bond 2 group, 18.67MPa in AElite group, and 18.59MPa in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were higher than 10.29MPa in Gluma group(P<0.001). 2. The fatigue life of All-Bond 2, AELite and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were singificantly higher than Gluma group when a 24.13MPa cyclic flexure load was applied(P<0.001). 3. The fatigue life of All-Bond 2, AElite and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were decreased when a 39.21 or 45.25MPa cyclic flexure load was applied, but these were not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P>0.05). 4. In All-Bond 2, AElite and Scotchbond Multi-Purpose group, the fatigue fracture of resin/dentin interface occured within a resin-infiltrated area, but in Gluma group, at near its interface with adhesive layer.

      • KCI등재

        현미경을 이용한 난관복원술의 임상적 고찰

        윤태기,차광열,차선희,박종영,이우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2

        1989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2년간 차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미세수술에 의한 난관 복원술 265예중 1년이상 추적이 가능했던 180예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환자의 연령은 평균 32.2세 (25-42세)이며 불임수술후 복원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5 년 (2-10년)이었다. 2. 과거에 시술받았던 불임수술의 종류중 복강경시술이 9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중에서도 전기소작을 한 경우가 현저히 많았다. 3. 시행된 난관문합술의 부위별 분포는 협부-팽대부 문합이 65.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협부-협부, 자궁각-협부의 순이었다. 4. 복원수술후 난관의 길이는 5.1-6cm가 27.8%로 가장 많았으며, 난관의 길이가 4.1cm이상인 경우는 전체의 77.2%를 차지하였다. 5. 추적조사가가 가능했던 180예중 150예에서 임신이 확인되어 83.3%의 임신성공률을 보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만삭분만 83.6 %, 조기분만 0.7%, 자궁내 태아사망 1.3%, 자연유산 9.2%, 난관임신 3.9%였다. 6. 복원수술후 임신이 성립될 때까지의 경과기간은 평균 4.5개월 (1-25개월)이었다. 7. 불임시술 종류에 따라 임신성공률은 복강경에 의한 ring삽입의 경우 80.0%, 전기소작술의 경우 84.9%로 두 방법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8. 난관문합부위에 따른 임신성공률은 자궁각-협부 83.3%, 자궁각-팽대부 90.4%였으나 각 부위에 따른 임신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9. 수술후 난관길이에 따른 임신율은 7cm이상시 83.3%였으나 각 난관의 길이에 따른 임신 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0. 복원된 난관길이와 수술후 임신까지의 평균 경과기간은 4cm이하의 경우 4.3개월 4.1cm 이상의 경우 4.6개월로 난관의 길이가 임신경과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ring 2 year period from Jun. 1989 to Dec. 1990, 265 cases of microsurgical tubal reversal were performed and 180 cases of them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postoperatively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a General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easons for requesting reversal of sterilization were a loss of children (25.6%), remarriage (28.9%), change of attitude (45.5%). 2. The mean age was 32.2 years and 91.7% of them had been sterilized by laparoscopic cauterization . 3. The most common site of the anastomosis was isthmic-ampullar portion (65.5%). 4. The postoperative tubal length was 4.1cm or more in 77.2%. 5.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gnancy rate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vious sterilization, the site of tubal anastomosis and postoperative tubal length. 6. The tubal length did not influence the mean interval form operation to pregnancy. 7. The overall pregnancy rate after tubal reveral was 83.3% and the outcome of the pregnancy was as follows ; term pregnancy 83.6%, premature delivery 0.7%, IUFD 1.3%, spontaneous abortin 9.2%, ectopic pregnancy 3.9%.

      • KCI등재

        단속적 원형봉합 (Interrupted Circular Suture) 전치 유착태반 제왕절개 수술시 지혈방법

        차경섭,계정웅,조주연,차광열,김수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전치태반으로 제왕절개 수술시 때때로 태반박리부위부터 짧은 시간에 많이 나오는 출혈은 수술시야를 흐리게 하고 급격히 환자의 혈압을 떨어뜨리게 된다. 전치태반으로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120예의 환자중에서 출혈부위의 단순봉합으로 지혈이 되지 않거나 태반박리 부위로부터 짧은 시간에 많이 나오는 출혈을 보이는 환자 20예에서 단속적 원형봉합수술을 시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착 전치태반이 있는 산모 20예의 제왕절개 수술에서 19예는 단속적 원형 봉합수술로 지혈에 성공하여 자궁적출 수술을 피할 수 있었으며 1예는 자궁적출 수술을 하였다. 2. 이 새로운 수술방법은 전치태반으로 제왕절개 수술시 자궁적출을 피하면서 지혈을 시도할 때 출혈량이나 수술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전치태반으로 인한 제왕절개 수술시 자궁적출을 해결책으로 사용하는 빈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apid accumulation of blood from the placental separation site during cesarean delivery for placenta previa sometimes obscures the surgical field and quickly leads to deterioration of the patient`s vital signs. We used the following technique in 20 cases of intractalbe bleeding among 120 cesareans for placenta previa. Following failure to control the bleeding by suture at the placental separation site via the lower segment cesarean incision, the vessels were ligated using interrupted 2-3 cm sutures at 1cm intervals in a circle around the bleeding area on the serosal surface of the uterus. The sutures were placed as deeply as possible in order to reach the endometrium. This led to marked decrease in bleeding and allowed the small vessels to be easily identified and l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mount of blood transfused and the operation time were gradually reduced as we became adapt in the use of this ptocedure. 2. Our experience suggests that this technique could reduce the use of hysterectomy in cesarean section for placenta previa.

      • KCI등재

        창문수술 (Window Operation) 바토린낭종과 농양치료

        차경섭,조주연,차광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

        본 저자들은 바토린선의 낭종과 농양을 간단하면서도 더욱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창문수술(window operation)을 개발하였다. 1986년 10월부터 1994년 2월까지 7년 5개월동안 79예의 모든 바토린선 낭종과 55예의 모든 바토린선 농양에 대하여 창문수술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 기간동안에 수술 부작용이나 재발은 1예도 없었다. 2. 창문수술은 바토린선의 낭종이나 농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quot;window Operation$quot; as a more effective way to treat Bartholin gland cysts and abscesses was developed. The window operation was attempted to treat all 79 cases of Bartholin cysts and all 55 cases of Bartholin abscesses during 7 years and 5 months from October 1986 to February 1994. Under local anesthesia, a small piece of skin including the cyst wall was excised in an oval shape, and suture was performed along the excised margin. Postoperative antibiotics were given in cases of acute inflammation before the window operation. A new mucocutaneous junction was observed in 4-week follow up period. No complications or recurrences have been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window operation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in the treatment of Bartholin gland cysts or abscess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흡임소파술에 굽은 칼만 (Karman) 씨흡입관 사용

        조주연,차선희,성혜리,김수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2

        주로 자연유산으로 인한 자궁 내용물 제거수술을 할 때 쉽게 굽어지는 플라스틱 흡이관인 칼만씨 흡입관을 굽혀서 사용한 것과 직선인 것을 사용하는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굽은 칼만씨 흡입관과 곧은 칼만씨 흡입관으로 수술을 하여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 부작용 발생률을 곧은 칼만씨 흡입관을 사용한 군에서는 17%였고 굽은 칼만씨 흡 입관 사용군에서 10%로서 굽은 칼만씨 흡입관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lt;0.05). 2. 수술시간은 곧은 칼만씨 흡입관을 사용한 군에서 9.58+-3.46(Mean+-S.D.)분, 굽은 칼만씨 흡입관사용군에서 12.18+-4.86(Mean+-S.D.)분으로서 굽은 칼만씨 흡입관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적게 걸렸다(p$lt;0.05). A curved Karman`s cannula that may give the benefit of reducing operating time and complications is introduced for suction crettage. The curved Karman`s cannula was made as follows : First, a 4-7cm portion of the straight Karman`s cannula is exposed to heat. When desired portion becomes soft, it is bent to a desired shape and angle (with 15 and 30),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uterus. Curved or straight cannulas were used alternatively every other year for 4 years from March 1990 to February 1994. Curved cannulas were used in 380 cases and straight cannuls were used in 423 cases in study period. A comparison study was carried out in 278 cases using the curved cannula and 321 cases using the straight cannula where follow up was possible until the subsequent menstrual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mplications rate was 17% using the straignt cannula and 10% using the curved cannula. There was lower complication rate using the curved cannula than the straight one(p$lt;0.05). 2. Operating time was 9.58+-3.46(Mean+-S.D.) minutes using the straight cannula and 12.18+-4.86(Mean+-S.D.) minutes using the curved cannula. It takes shorter operating time using the curved cannula than the straight one(p$lt;0.05).

      • KCI등재

        임신중독증 환자의 뇨칼슘에 관한 연구

        권장연,차동수,이영진,김경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

        임신 3기에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부속 원주기독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산모중, 임신중독증으로 진단된 38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임산부 55례를 대조군으로 하여 24시간 뇨 알부민, 혈청 칼슘, 24시간 뇨 칼슘, 혈청 크레아티닌, FEca, 신사구체 여과치, 혈청 요산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4시간 뇨 알부민 값은 대조군에 비하여 경증 전자간증 및 중증 전자간증에서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p$lt;0.05) 2. 혈청칼슘 농도는 대조군에서는 8.74+-0.90mg/dl이었으며, 경중 전자간증은 8.86+-0.89mg/dl, 중증 전자간증이 8.68+-0.90mg/dl이었으며, 대조군과 각 군간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3. 24시간 뇨 칼슘치의 평균값을 보면 대조군에서는 44.22+-40.19mg/24hr이었고, 경중 전자간증에서는 86.44+- 100.01mg/24hr이었고,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280.54+-232.61mg/24hr이었다. 각군간의 24시간 뇨 칼슘치를 비교해보면 대조군과 경중 전자간증(p$lt;0.05), 대조군과 중증 전자간증(p$lt;0.001), 경중 전자간증과 중증 전자간증(p$lt;0.05)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여 임신중독 증상이 심해짐에 따라 의의있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4. 혈청 크레아티닌의 평균값을 보면 대조군에서는 0.67+-0.27mg/dl, 경중 전자간증에서는 0.74+-0.16mg/dl,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0.92+-0.21mg/dl이었고 중증 전자간증과 대조군(p$lt;0.001), 중증 전자간증과 경중 전자간증(p$lt;0.05)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여 임신중독증이 심해짐에 따라 의의있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5.FEca는 대조군에서 0.48+-0.42%, 경중 전자간증에서는 0.69+-0.75%,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3.16+-2.15%로서 임신중독증이 심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보이며 대조군과 중증 전자간증(p$lt;0.001), 경중 전자간증과 중증 전자간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lt;0.05). 6. 신사구체여과치의 평균값은 대조군은 94.95+-74.03mg/ming, 경중 전자간증에서는 84.94+-38.93ml/min, 중증 전자간증에서는 68.32+-22.39ml/min로 임신중독증이 심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7. 혈중 요산값은 대조군에 비하여 경중 전자간증 및 중증 전자간증에서 유의있게 증가하였다(p$lt;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24시간 뇨 알부민 및 24시간 뇨 칼슘, FEca, 혈청 요산이 임신중독증의 경중과 원인 및 치료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We studied the urinary calcium excretion in 93 patients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mong all deliveries, 38 women who were diagnosed for preeclampsi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group and 55 women were selected for the control group. The 24-hrs albuminuria, total serum calcium, 24-hrs urinary calcium excretion, serum creatinine, FEca, creatinine clearance and serum uric acid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24-hrs albuminuria value was 87.12+-72.36 mg/24hr in the control group, 996.43+-1089.94 mg/24hr in the mild preeclampsia group and 2040.52+-2189.36 mg/24hr in the severe preeclampsia group, show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oth groups(p$lt;0.05). 2. Total serum calcium level in those with preeclampsi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ecrease. 3. The mean 24-hrs urlnary calclum excreation in normotensive pregnant women was 44.22+-40.19 mg/24hr, significantly(p$lt;0.05) different from the 86.44+-100.02mg/24hr for the mild preeclampsia patients and from the severe preeclampsia value of 280.54+-232.61mg/24hr(p$lt;0.001). The last value is also significantly(p$lt;0.05) different from the mild preeclamptic one. 4. The mean serm creatinine value was 0.67+-0.27mg/dl in control group, 0.74+-0.16mg/dl in mild preeclampsia 0.92+-0.21mg/dl in severe preeclampsia. 5. The hypercalcluris in the women with preeclampsia was associated with a increased fractional excretion of calclum. 6. Mean creatinine clearanc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preeclampsia patients. 7. Serum uric acid level in the preeclampsia group was sign(ficantly in creased (p$gt;0.05)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e conclude that the above results show that 24-hrs albuminuria, 24-hrs urinary calclum excretion, serum creatinine, FEca, serum uric acid levels may be important indicator for the severity and possible care of toxemia and that more research in this ares is worth do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자궁내막암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권장연,정인배,한상원,차동수,김경률,신승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7

        1981년 1월부터 1993년 6월까지 12년간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았던 6명을 대상으로 임상 병리학적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내막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평균연령은 56.1±3.3세였다. 2. 1987년을 기준하여 전반기 대 후반기 환자수를 비교하면 2.5배의 증가를 보였다. 3. 분만력은 5회이상인 경산부가 41.7%로 가장 많았고, 미경산부는 31.6%였다. 4. 조직학적 분석결과는 선암이 59.6%를 차지하였다. 5. 자궁내막암의 주된 임상증상은 폐경기 이후 질출혈이 75.0%환자에서 나타났고 다음은 하복통으로 36.1%였다. 6. 자궁내막암의 임상기적 분류결과는 제 1기가 21예(58.3%), 제 2기가 5예(13.9%), 제 3기가 6예(16.7%), 제 4기가 4예(11.1%)였다. 세포분화도는 임상병기가 진행될수록 그 분화도가 낮았다. 7. 임상병기와 자궁의 크기 및 임파전이 사이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골반 임파절제술을 시행한 8예중 2예에서 임파전이 소견이 있었고 임상병기 제 II기, III기 환자였다. 8. 자궁내막암에서 질세포진 검사의 양성률은 27.8%였고 자궁내막 소파술의 진단율은 100%였다. 9. 자궁내막암 유발인자로서 불임증, 고혈압, 비만증 등이 있었다. 10. 자궁내막암의 전이장소로는 복막 및 대망, 폐, 직장, 대장으로 나타났다. A clinico-pathological study was made on a series of endometrial carcinomas experienc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1981 to June 30, 1993.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endometrial carcinoma was 56. 2. Annual incidence of endometrial carcinoma increased above 2.5 times during the period of 6 years from 1987 to 1993 compared to that of the 6 years from 1981 to 1986. 3. The proportion of nulliparity was 31.6%. 4. The most common histopathologic subtype of the endometrial carcinoma was adenocarcinoma(59.6%). 5. As to the presenting symptoms, postmenopausal abnormal vaginal bleeding was encountered in 76.7%, and lower abdominal pain was in 36.1%. 6.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adopted from FIGO classification, stage I was found in 58.3%, stage II in 13.9%, stage III in 16.7%, stage IV in 11.1%. The higher the differentiation, the lower the clinical stage of endometrial carcinoma in stage III and IV. 7. Uterine size and lymph node metastas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regardless of clinical stage of endometrial carcinoma. 8. As a diagnostic method of endometrial carcinoma, Pap.smear showed low positive rate(27.8%), but fractional curettage of endometrium revealed 100% of diagnostic accuracy. 9. Risk factor of endometrial carcinoma were infertility, hypertension and obesity.

      • KCI등재

        난구를 형성하고 있는 과립성세포 (난구세포) 가 생쥐배아 난할율에 미치는 영향

        권장연,한상원,한혁동,차동수,김대현,이영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4

        난구세포가 생쥐 1세포기 접합체의 포배기 난할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Ham`s F-10배양액, 10% 제대혈청을 첨가한 Ham`s F-10배양액에서 난구세포를 제거한 1세포기 접합체,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1세포기 접합체의 난할율을 비교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난구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1세포기 접합체의 포배기 난할율이 난구세포를 제거한 1세포기 접합체의 포배기 난할율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난할율을 보여 난구세포가 1세포기 접합체의 포배기 난할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To study the effect of cumulus cells on the development of mouse embryos, one cell stage zygotes with cumulus cells(one cell stage zygotes-cumulus mass) and one cell stage zygotes without cumulus cells, which were treated with hyaluronidase, were cultured in Ham`s F-10 and Ham`s F-10 with 10% cord serum. Development of the blastocyst of one cell stage zygotes with cumulus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evelopment of the blastocyst of one cell stage zygotoes without cumulus cells in Ham`s F-10 and Ham`s F-10 with 10% cord serum(P$lt;0.05, P$lt;0.017). In our results, cumulus cells which surround one cell zygotes promote the development of embryos.

      • KCI등재

        복막에 발생한 유두양 장액성 악성종양 1 예

        권장연,한상원,차동수,김대현,조미연,이영인,엄기명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0

        저자 등은 본원에서 복막에 발생한 유두양 장액성 악성종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apillary serous carcinoma of the peritoneum, though biologically and histologically similar to papillary serous carcinoma of the ovary and malignant mesothelioma, is a distinct clinicopathologic entity and should be classificed as a distinct carcinoma separate from the other two for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to therapentic intravention and prognosis.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apillary serous carcinoma of the peritoneum and it is presented with brief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