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세 물 흐름 측정장치의 개발과 상아세관액의 수력학에의 응용

        이인복,김민호,김선영,장주혜,조병훈,손호현,백승호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나노리터 수준의 물 흐름을 계측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 상아질의 물 투과성을 측정하여 치아과민증 치료제와 상아질 접착제의 상아세관 밀폐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미세흐름 측정장치는 첫째,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모세관과 광 센서부, 둘째 물의 흐름을 추적하는 서보모터와 구동부, 셋째, 모터의 회전을 측정하여 물의 이동량으로 변화하는 엔코더와 컴퓨터 기록장치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잇다. 본 장비를 이용하여 교합면이 절단되어 노출된 상아질의 물 투과도와 치아과민증 치료제인 BisBlock과 자가부식형 상아질접착제인 Clearfil SE bond의 상아질 밀폐효과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나노리터 수준의 물 흐름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상아질의 물 투과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2. 삭제 후 노출 연마된 상아질은 0.84 - 15.2 nL/s의 물 투과도를 보였고 Oxalate 제재인 BisBlock 이나 자가부식형 접착제 Clearfil SE bond 적용시 투과도가 39.8 - 89.6%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real-time measurement of fluid conductance and to investigate the hydrodynamics of dentinal fluid.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parts: (1) a glass capillary and a photo sensor for detection of fluid movement, (2) a servo-motor, a lead screwand a ball nut for tracking of fluid movement, (3) a rotary encoder and software for data processing. To observe the blocking effect of dentinal fluid movement, oxalate gel and self-etch adhesive agent were used. BisBlock (Bisco) and Clearfil SE Bond (Kuraray) were applied to the occlusal dentin surface of extracted human teeth. Using this new device, the fluid movement was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each agent was applied. The instrument was able to measure dentinal fluid movement with a high resolution (0.196 nL) and the flow occurred with a rate of 0.84 to 15.2 nL/s before treatment. After BisBlock or Clearfil SE Bond was used, the fluid movement was decreased by 39.8 to 89.6%.

      • KCI등재후보

        온도 및 매트릭스 특성 변화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역학적 특성 및 구조적 거동 변화

        정우영,장준호,백민호,Jung. Woo-Young,Jang. Jun-Ho,Back. Min-Ho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3

        섬유강화 복합재료(Fiber Reinforced Polymers, FRP)는 우주, 항공, 국방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어져왔고, 현재는 선박, 자동차, 화학공정, 건축자재, 스포츠 용품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 전반까지에 널리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들 복합재료를 기반시설물에 대한 구조적 재료로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유념해야 할 것은 복합재료의 높은 인화성과 낮은 열 저항성이다. 따라서 고온환경 하에 복합재료의 재료적 성질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주변온도와 수지(resin)재료 변화에 따른 복합재료 물성치 및 거동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약 30분 동안 상온부터 250까지의 온도조건에서 복합재료의 인장시험 규격인 ASTM D3039/D3039M의 절차에 따라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고온인장시험을 통하여 복합재료의 역학적 성질이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로 매트릭스의 열분해 및 연소과정으로 인한 분해과정에 기인한다. 또한 구조물의 거동변화에 있어서 수지(resin)에 따른 물성치 변화 특성은 구조물의 처짐 거동에 있어 상대적으로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composites are used extensively in aerospace, marine, automotive, infrastructure, chemical processing and sporting good applications. A concern with using FRP composites in some engineering structures is their high flammability and poor fire resistance In this research, material properties of FRP composites at increasingly high temperatures was measured and verified. The obtained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composite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ASTM D3039/D3039M and tested to a wide range of heat conditions with temperatures from Room-temp. to 300 for times up to 30 min. It is foun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RP composites dropped with increasing heat or temperature. The reduction to the properties was due mainly to thermal degradation and combustion of the polymer matrix.

      • KCI등재

        폐암과 폐 염증성질환의 동적양전자방출단층검사(Dynamic 18F-FDG PET)의 유용성

        박훈희(Hoon-Hee Park),노동욱(Dong-Wook Roh),김세영(Sei-Young Kim),동경래(Dong-Kyeong Rae),이민혜(Min-Hye Lee),강천구(Chun-Goo Kang),임한상(Han-Sang Lim),오기백(Ki-Back Oh),김재삼(Jae-Sam Kim),이창호(Chang-Ho Lee)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4

          목적: 양전자방출단층검사(Fluorine-18 2-Deoxy-D-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¹?F-FDG PET)는 가시적 영상분석과 반정량적 섭취계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폐의 염증성 질환과 폐암을 구별 및 진단하는 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표준화섭취계수(Standardized Uptake Value: SUV)가 폐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지만, 이는 폐 조직에 있어서 반정량적, 정량적 분석을 통한 동적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¹?F-FDG PET 검사에서 폐 질환의 동적 섭취 분석이 보다 정확한 대상질환의 진단을 유용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시간-방사능 곡선(Time-Activity Curve: TAC), 표준화섭취계수-동적곡선(Standardized Uptake Value-Dynamic Curve: SUV-DC), 패트락 분석법(Patlak analysis: Glucose Metabolic Rate(MRGlu))을 토대로 얻은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진단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BR>  대상 및 방법: 폐 질환을 가진 17명의 환자를 대상을 하여, 각각 60분간 Dynamic ¹?F-FDG PET검사를 시행하였다. 획득한 정보를 통하여 폐질환의 형태를 따라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를 그린 후, 반정량적 분석인 TAC, SUV-DC와 정량적 분석인 Patlak analysis를 각각의 군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BR>  결과: Dynamic ¹?F-FDG PET을 통한 분석결과, TAC 형태는 초기 혈류상에서 폐의 염증성 질환과 폐암의 구분이 어려웠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폐암의 곡선이 염증성 질환의 경우보다 확연히 증가하였다. SUV-DC의 경우는 TAC 형태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가졌다. Patlak analysis 분석결과, 대동맥 영역에서는 폐의 염증성 질환이 폐암보다 높은 혈액 방사능을 보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염증성 질환의 혈액 방사능이 극히 낮아졌다. 반면, 병변 조직에서는 폐암이 가장 높은 섭취를 보였으며 폐의 염증성 질환은 중간 정도에 머물렀다.<BR>  결론: TAC와 SUV-DC 분석에서 폐암과 폐의 염증성 질환은 각각 고유한 그래프 형태를 띠었으며 Patlak analysis에서 역시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법을 토대로 좀더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비침습적으로 폐의 질환을 구별하는 데 보다 적절하고 유용한 진단적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diagnostic utility of fluorine-18 2-deoxy-D-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hpy (¹?F- FDG PET) for the non-invasive differentiation of focal lung lesions originated from cancer or inflammation disease by combined visual image interpretation and semi-quantitative uptake value analysis has been documented. In general, Standardized Uptake Value(SUV) is used to diagnose lung disease. But SUV does not contain dynamic information of lung tissue for the glucose.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hypothesis that analysis of dynamic kinetics of focal lung lesions base on ¹?F-FDG PET may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lung disease. So we compared Time Activity Curve(TAC), Standardized Uptake Value-Dynamic Curve(SUV-DC) graph pattern with Glucose Metabolic Rate(MRGlu) from Patlak analysis.<BR>  Methods: With lung disease, 17 patients were examined. They were injected with ¹?F-FDG over 30-s into peripheral vein while acquisition of the serial transaxial tomographic images were started. For acquisition protocol, we used twelve 10-s, four 30-s, sixteen 60-s, five 300-s and one 900-s frame for 60 mins. Its images were analyzed by visual interpretation TAC, SUV-DC and a kinetic analysis(Patlak analysis). The latter was based on region of interest(ROIs) which were drawn with the lung disease shape. Each optimized patterns were compared with itself.<BR>  Results: In TAC patterns, it hard to observe cancer type with inflammation disease in early pool blood area but over the time cancer type slope more remarkably increased than inflammation disease.<BR>  SUV-DC was similar to TAC pattern. In the result of Patlak analysis, In time activity curve of aorta, even though inflammation disease showed higher blood activity than cancer, at first as time went by, blood activity of inflammation disease became the lowest. However, in time activity curve of tissue, cancer had the highest uptake and inflammation disease was in the middle.<BR>  Conclusion: Through the examination, TAC and SUV-DC could approached the results that lung cancer type and inflammation disease type has it’s own difference shape patterns. Also, it has outstanding differentiation between cancer type and inflammation in Patlak and MRGlu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is methods, it will helpful to separation lung disease.

      • 실리카흄을 흔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

        홍창우,김태경,김경진,김성환,김남윤,심도식,이정호,윤청호,백민경,원치문,박제선,이주형,정경일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1996 석재연 논문집 Vol.1 No.-

        콘크리트 구조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설계단면이 증대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경제적 손실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단면을 감소시키면서도 소요의 하중에 안전한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조물 건설에 기초가 되는 고품질, 고내구성의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 시멘트비 및 혼화재 비율하에서 소요의 워커빌리티가 확보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시간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 증기 양생하여, 압축, 인장, 휨강도 뿐만 아니라 파괴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시료 제작시 시멘트 입자 사이의 공극 및 불연속 영역을 충전하여 고밀도화하기 위한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시멘트 비표면적이 상당히 작은 초미립 분말인 실리카흄을 이용하였다. 또한 AE감수제 및 고성능 유동화제를 사용하여 혼화재의 첨가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워커빌리티의 감소를 방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일정 양생 지속 시간하에서 온도의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 인장 및 휨강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일하게 일정 온도하에서 양생 지속시간이 커짐에 따라 강도들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긴 지속 양생 조건하에서 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나타났다. The compressible, tensible, and flexibleresist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is analyzed by the experimentation in the present study. For the test, we cure several samples with the silica fume as a mixture being become dense the spaces between the particle of cement under the variation of both the temperature and the curing-interval. Then, the superplasticizer and the ezcon are also used to satisfy the required workability for construction. The compressible, tensible, and flexible resistances to a stress a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the time interval for the curing.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overal fra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s improved by mixing the silica fume into the cement.

      • Analysis of Cause and Prognosis for Acute Hepatitis with High Aminotransferase Levels

        ( Min Kyung Back ),( Seok Hyun Kim ),( Byung Seok Lee ),( Eaum Seok Lee ),( Hyuk Soo Eun ),( Jong Seok Joo ),( Woo Sun Rou ),( Jae Ho Park ),( Myung Hee Kim ),( Min Seong Kim ),( Deok Yeong Kim ) 대한간학회 2018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8 No.1

        Aims: Acute hepatitis can sometimes lead to serious complications of liver failure leading to death, and in some cases i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causing chronic and socioeconomic loss.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of cause,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for patients with acute hepatitis with high aminotransferase level at admiss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27 patients clinically diagnosed with acute hepatitis whose aminotransferase levels were elevated 10 times or more at the time of admission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7. The recovery time of the disease was defined as the decrease in aminotransferase level and total bilirubin level within the normal range.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 of acute hepatitis was toxic hepatitis(40.0%, n=93). The proportion of acute viral hepatitis A, acute viral hepatitis B, acute viral hepatitis C and acute viral hepatitis EBV were 23.3%(n=53), 5.7%(n=13), 1.3%(n=3) and 1.3%(n=3), respectively. In addition, Alcoholic hepatitis, Autoimmune hepatitis, HBV reactivation and acute hepatitis of unknown cause were 2.6%(n=6), 5.7%(n=13), 2.2%,(n=5) and 16.7%(n=38),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for acute hepatitis was within 2weeks, and the duration of recovery was within 2 to 4weeks. 5 patients progressed to fulminant hepatitis and died. Two of them died by HBV reactivation, and the remaining three patients died from acute hepatitis B, toxic hepatitis and acute hepatitis of unknown etiology,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ause of acute hepatitis affects disease prognosis more than aminotransferase levels at admission. However, since aminotransferase levels may affect the patient’s recovery rate or duration of hospitalization, periodic follow-up of aminotransferase levels is necessary. Especially when chronic hepatitis B is reactivated, the rate of progression to fulminant hepatitis is high. Disease control and close monitoring of chronic hepatitis B is therefore necessary.

      • 도시방재를 위한 현안 및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적 연구

        백민호(Min Ho Back)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07 Crisisonomy Vol.3 No.1

        본고에서는 도시방재를 위한 현안 및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적 연구로서 재난발생의 환경변화의 검토로 지구적차원의 재난발생 추이와 우리나라의 재난발생현황에 대해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또한, 도시형 재난에 대한 검토로 도시형재난의 원인과 전망,도시 재난관리의 특수성과 도시방재의 주요현안에 대해 정리하였고, 도시방재를 위한 기술적 가능성, 도시재난관리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능, 도시방재계획을 위한 위험도평가의기능,도시방재정보의 요구도 조사사례를 정리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a pending issue and counterplan for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checks that a global misfortune and our country's misfortun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rranges that an urban disaster; a reason and prospect of an urban disaster, a speciality of urban disaster management, a pending issue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also considers that a technical ability for an urban disaster prevention, a capacity of an urb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a concept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in an urban plan.

      • KCI등재

        대학캠퍼스 공간관리를 위한 AR 기술 적용 방안

        백민호 ( Back Min Ho ),전한종 ( Jun Han Jo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6

        최근 건축업계는 건축물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이루어졌다. 바람직한 유지관리 계획을 통해 관리·운용예산의 절감, 에너지 절감, 사용자의 안전 등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맥락에서의 효과적인 건축물의 유지 및 관리 문제는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CAFM과 같은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면서 건축물의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좀 더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들이 증가하였다. 건축물의 유지 관리를 위해 잘 구축된 정보들을 실제로 사용자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쉽게 전달하고 관리할 지에 관한 가시화적인 프레젠테이션의 문제는 관리시스템을 위한 외부의 표현에 관한 이슈라고 할 수 있는데, CAFM환경 내에 건물 정보를 가시화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통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공간 내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현실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간감 또는 실제감이 특히나 중요한 건축 분야에서 좀 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려는 방법에 대해 모색해 왔고, 본 연구는 프레젠테이션 방법의 하나로서 AR 환경의 도입을 통해 건물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AR기술과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하여 공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스템을 대학 캠퍼스에 적용하여 기존캠퍼스의 공간정보를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건물 정보 데이터베스의 효과적인 가시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Recently, the building industry have made unceasing efforts to seek effective control of buildings. Through healthy maintenance planning, they can achieve operating budget, energy savings and the user`s safety, within this context, Build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problem is very important matter. With the emergence of the system such as CAFM, researches to manage information quickly and effectively by using computers have been increased. Therefore, the field of architecture seek about how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we proceed to a study on building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AR as one of the presentation methods. In addition, we built space management system by using AR technology and location based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effective visualization methods to manage the campus building information database more systematically by applying our system.

      •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선택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백민호(Min-ho, Back),오대식(Dae-sick, Oh),전한종(Han-jong, Jun) (사)한국CDE학회 2015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동계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effective use of big data. In particular, until now extracts the rules and patterns from a large amount of various data that little-known, is growing social interest to use the information. Big data is simply to extract information that is not limited to extract not well known information by monitoring the social issues but develop customized service model through the simulation, formulates support services, and a policy can be the ultimate purpose is to cooperate to achieve a happy society. However, the reality is still that such as academic research and discussion for effective use of big data from residential, urban, architecture in the social sciences. In this study, as part of the effective use of big data and take advantage of government 3.0 public data that the current government is promoting, based on the database to select the type of furniture properties by residential location and housing type, it is an object of this by indexing to construct a data rule. In this study, it is Summarizing to the public data Obtain meaningful result value. It plans to leverage the data subsystem for establishing decision support systems needed for decision-making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by residential location and housing type sel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