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大豆의 密植多收型 品種選定에 關한 育種學的 硏究 : 1報. 裁植密度反應의 品種間差異

        이홍석 서울대학교 1974 서울대학교 論文集 Vol.24 No.-

        The seven soybean varieties which are quite different in plant type were studied for the test of adaptability to the higher planting density in connection with the combination of three levels of row space and three levels of intra-row spac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nse planting responses for grain yield among varieties were different. Grain yie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planting density was increased. The decrease in intra-row space showed more contribution in increasing the grain yield than the row space. The SRF-300 and Verde showed outstanding increase in yield by decrease of the row space. The yield of these varieties was increased as the number of plants per unit area was increased, whereas Kwangkyo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yield and number of plants per unit area. Other varieties showed the increase of yield by increasing the density up to 110-150 plants per 3.3㎡, but grain yield was not increased by further increase of planting density. In same density, yields were considerably effected by the different combination of hill space and row space. The SRF-300 showed the highest grain yield under the most dense population, which may suggest outstanding adaptability of this variety. In case of sparse planting,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eties in main stem dependability for the grain yield was remarkab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lant type. In dense planting, however, varietal difference of the main stem dependability for the grain yield became smaller. Yields were entirely depended on main stem for the higher hield varieties under dense planting condition. 2. Leaf area index(LAI) was remarkably increased in response to dense planting, mainly by the decrease of intra-row space. The increase of LAI was different among the varieties. The grain yield was generally increased when LAI was increased up to 5, while the SRF-300 which has the best adaptability to dense planting showed maximum grain yield under the condition of LAI 3.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식도, 위, 십이지장에 발생한 삼중암 1예

        이홍석,김동춘,김성열,이영석,정강욱,장병국,정우진,박경식,조광범,황재석,안성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2 No.5

        Multiple primary cancer is defined as the multiple occurrence of malignant neoplasm in the same individual. The incidence of multiple primary cancer is 0.26∼1.43% in Korea, but this malady is increasing due to development of diagnostic modalities, the treatment of cancer and the recording of accurate cancer statistics. The most common site of multiple primary cancer in Korea is the stomach, colon, breast, cervix, liver and lung. We report here on a case of triple cancer that was located at the middle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in 75 year-old ma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2:333-337)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은 Billroth가 처음 보고한 이래 국내에서도 발생빈도가 0.26~1.43%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의학의 발달에 의한 평균 수명의 증가와 악성 종양에 대한 진단기술과 치료방법의 발달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을 진단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다발성 중복암의 호발 장기는 위장관계, 비뇨생식계, 폐, 유방, 간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도, 위, 십이지장에 순차적으로 발생한 삼중암에 대한 보고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75세 남자 환자에서 식도, 위, 십이지장에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조직학적으로 삼중암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근접감시용 무인항공기 시스템을 위한 영상 안정화 알고리즘

        이홍석,고윤호,김병수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내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This paper proposes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to stabilize shaken scenes by estimation and compensating its motion for close watching UAV(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proposed method the global motion between two continuous image is modeled by 6 parameters warping model, and the global intensity change caused by automatic exposure and cloud is linearly modeled. All modeled parameters are estimated by non-linear least square method based on Gauss-Newton algorithm considering only no outlier reg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rgence speed of the parameter estimation the proposed method uses a hierarchical searching scheme based on sub-sampling and different estimation precision criterions in each hierarch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effectively stabilize shaken scenes and requires 110ms for processing each frame.

      • 정신분열병 환자의 흡연에 대한 도파민 D2 수용체 유전자의 영향

        이홍석,김승현,이헌정,김태우,한덕정,김용구,김린,이민수,손봉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흡연에 미치는 DRD2 TaqⅠ다형성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 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흡연에 대한 유전학적 영향에 있어 분자잡종강세와 성별 차이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연구대상은 167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들이었으며, 이들 중 96명의 환자가 흡연군, 71명이 비흡연군에 포함되 었다. DRD2 TaqⅠRFLP 유전자형 분석이 피험자로부터 추출된 DNA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결 과: 전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Al 대립유전자의 빈도와 prevalence, 유전자형 분포, 이형접합제의 빈도에 있 어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남성 정신분열병 환자군(N=101)에서는 흡연군의 유전자형 분포(p=0.010), A1 대립유전자 prevalence(p=0.020), 이형접합체 빈도가 비흡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남성 정신분열병군에서 이형접합체군이 동형접합체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흡연율 을 보였으며, 비흡연군에서 이형접합체가 적게 나타났다. 비흡연 군에서 유전자형 분포가 Hardy-Weinberg equilibrium의 예측치를 벗어나는 양상이 나타났으나, 남녀가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 여 비흡 연 환자군 간에서 A1 prevalence(p=0.001), 유전자형 분포(p=0.00011), 이형접합체 빈도(p=0.00003) 에서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DRD2 유전자형은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성별에 따라 DRD2 A1 대립유전자의 유전적 영향이 반대로 미치는 성별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DRD2 유전자에서의 분자 잡종강세 현상이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하는 것이다. Objective:The authors examined the genetic effect of DRD2 Taq I polymorphism to the smoking in the Korean schizophrenics. Also this study examined molecular heterosis and gender difference in the genetic effect to smoking in schizophrenics. Methods: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167 schizophrenic patients, 96 smokers and 71 non-smokers. DRD2 TaqⅠRFLP genotyping was carried out with DNA extracted from subjects blood samples. Results:Among the total schizophrenics, the smok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non-smokers in respect to the frequency and prevalence of A1 allele, the genotype distribution, or frequency of heterozygotes. In male schizophrenics, genotype distribution of smoking patien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non-smoking patients(p=0.010), with a higher prevalence of A1 allele (p=0.020) and frequency of heterozygotes(p=0.005). In male schizophrenics, A1A2 heterozygot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moking rate than A1A1 or A2A2 homozygotes and non-smokers were deficient in heterozygotes. The deviation from Hardy-Weinberg expectations was observed in male and female non-smokers with opposite directions. Moreover,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between male and female non-smokers in A1 prevalence(p=0.001), genotype distribution(p< 0.00011), and frequency of heterozygotes(p<0.00003). Conclusion: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in the genotype distributions of the total sample could be explained by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genetic effect of DRD2 A1 allele to the smoking with opposite directions. Our findings support molecular heterosis at the DRD2 gene.

      • KCI등재

        양액재배(養液栽培)에 있어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질소반응(窒素反應)에 관(關)한 연구(硏究) 1.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및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대두품종(大豆品種)의 근류착생(根瘤着生), 전질소(全窒素) 및 Allantoin 질소함량(窒素含量)과 종실중(

        이홍석,구자환,Lee, Hong-Suk,Ku, Ja-Hwan 한국토양비료학회 198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2 No.3

        4개(個) 대두(大豆) 품종(品種) 및 1개(個)의 근류비착생계통을 공시(供試)하여 근류균의 접종여부(接種與否)와 4수준(水準)의 질소농도(窒素濃度) 및 2수준(水準)의 재식밀도조건(栽植密度條件)에서 대두(大豆)의 양액재배시험(養液栽培試驗)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류의 착생은 근류균의 접종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增加)되었고 품종별(品種別)로는 생육중기(生育中期)에는 clark에서 가장 많았으나 개화기미(開花期未)에는 황금콩에서 가장 많았고 팔달콩에서 가장 적었으며 양액중(養液中)의 질소농노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되었는데 그 정도는 품종(品種)에 따라 달랐으며 밀식(密植)의 경우에 개체당(個體當) 근류(根瘤)의 착생수(着生數)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식물체중(植物體中)의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다소(多少) 차이가 있으며 품종별(品種別)로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높고 근류균의 접종(接種)에 의하여 증가(增加)되었으며 밀식(密植)에 의하여 감소(減少)되었다. 그리고 양액중(養液中)의 질소농도 증가(增加)에 의하여 생육중기(生育中期)에는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는데 개화기말(開花期末)에는 근류균 접종 시에는 전질소 함량이 별로 증가(增加)하지 않았으나 근류균 비접종 시에는 질소농도(窒素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3. 줄기 중의 allantoin질소 함량은 전체적으로 볼때에 팔달콩에서 떨어지고 근류균의 접종에 비하여 크게 증가(增加)되어 allantoin질소 함량은 근류의 착생과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인 정상관(正相關)을 나타내었고 그 증가정도(增加程度)는 질소농도가 높은 경우에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질소농도(窒素濃度)가 높은 경우 및 밀식(密植)의 경우에 allantoin질소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그런데 근류균 비착생계통에서는 질소농도(窒素濃度)에 관계없이 allantoin질소 함량이 매우 낮았다. 4. 줄기 중의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에 대한 allantoin 질소함량(窒素含量) 비율(比率)은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증대(增大)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 및 팔달콩에서, 그리고 밀식조건(密植條件)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근류비착생계통에서 매우 낮았다. 그리고 질소농도(窒素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현저히 감소(減少)하였고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높게 나타났다. 5. 종실중(種實中)의 조지방(粗脂肪) 함량(含量)은 양액중(養液中)의 질소농도(窒素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또는 밀식(密植)에 의하여 감소(減少)되었고 근류균 접종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6. 종실(種實) 중(中)의 조단백(粗蛋白) 함량(含量)은 양액(養液)의 질소농도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되는 경향이었고 근류균의 접종 및 재식밀도(栽植密度)의 영향은 현저하지 않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s of nitrogen concentration of cultural solution, rhizobium inoculation, and planting density on nodulation, contents of total-N and allantoin-N of the plants, and contents of crude fat and protein of the seeds with 4 cultivars and 1 non-nodulation isogenic line (Hwangeumkong, Jangbaegkong, Paldalkong, Clark, non-nodulating Clark) in nutri-culture. Modul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rhizobium inoculation and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nitrogen concentration of the cultural solution and planting density, and more nodule per plant was observed in Hwangeumkong than other cultivars. Total nitrogen contents of the soybean plant were higher in Hwangeumkong and Janbaegkong compared with other two cultivars, and were increased by rhizobium inoculation and the increase of nitrogen concentration of the cultural solution except in case of $R_3$ stage of non-inoculation of rhizobium, and was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planting density. Allantoin nitrogen contents of stem were lower in Paldalkong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an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rhizobium inoculation, and thus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nodulation. Allantoin-N contents were also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and was very low in case of non-nodulating isogenic line at any level of nitrogen concentration. The contents of crude fat of the seed were lower in cases of higher nitrogen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and more plants per pot, but no effects of rhizobium inoculation was observed.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were tend to increase by the increase of nitrogen concentration, but were little effected by rhizobium inoculation and planting density.

      • KCI등재

        토성별 지하수위가 밀, 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이홍석,박의호,송현숙,구자환 韓國作物學會 199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0 No.2

        토성과 지하수위를 달리하여 맥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반응을 알아보고자 올보리와 그루 밀을 공시하여 1992년 10월∼1993년 6월에 걸쳐 550l의 대형 포트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성을 식양토와 사양토로 조성하여 전 생육기에 거쳐 지하수위가 20cm, 30cm, 40cm, 50cm, 70cm가 되도록 조절하고 비가림 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지상부건물중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밀보다 보리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고 지하부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증대하였는데 그 정도는 보리에서 더욱 뚜렷하였으며 지하수위의 상승은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에 더욱 크게 영향하였다. 2. 생육후반기(93년 5월 18일)의 신선엽수와 신선엽면적는 보리와 밀 모두 지하수위 30∼40cm 이상에서 감소하였고 가장 많은 신선엽수와 신선엽면적은 사양토는 지하수위 50cm, 식양토는 지하 수위 70cm에서 나타났다. 3. 엽록소 함량은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보리가 밀보다 토성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광합성 능력은 지하수위 20cm에서 뚜렷이 저하하였다. 4. 출수기는 지하수위가 높아지면서 촉진되어 지하수위 20cm의 경우에 사양토에서 보리의 경우 2∼3일, 밀의 경우 4일 정도 빨라졌고 식양토에서는 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등숙기는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촉진되어 지하수위 20cm에서 보리의 경우 5∼7일, 밀의 경우 10일 정도 빨라졌다. 5. 수량은 토성에 따라 지하수위 50∼70cm에서 가장 많았으며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 되어 지하수위 20cm에서 가장 크게 떨어졌는데 그 감소 정도는 보리에서 71.1%(식양토)∼72.2%(사양토)였고 밀에서 41.0%(식양토)∼60.0%(사양토)이었다. 6. 수량구성요소 면에서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보리와 밀 모두 줄었으나 이삭당립중은 보리에서는 증가했고 밀에서는 감소하였다. 7. 수량과 엽록소 함량간에 보리와 밀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에서는 신선엽면적이, 밀에서는 지상부건물중, 지하부에 대한 지상부중량 비율이 수량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토성에 따라 지하수위 50∼70cm에서 맥류의 생육과 수량은 최대가 되며 비교적 안전한 지하수위는 사양토에서는 30cm, 식양토에서는 40cm라 하겠으며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수량감소비율은 보리에 비하여 밀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optimum water table level for the growth and yield of barley(var. Olbori) and wheat(var, Grumil), Olbori and Grumil were grown in the 550 liter plastic pot filled with silt loam or sandy loam, During the whole growth period, the water table adjusted to be 20, 30, 40, 50, and 70cm, Higher water table was resulted in the decrease in plant height and top dry weight, but in the increase of the ratio of top to root dry weight, especially in barley, This suggested that high water table level affected more the growth of top than that of root, The number and area of green leaves were decreased as the water table was higher than 30 to 40cm at the late growth period(May 18, 1993), The largest number and area of green leaves were shown at 50cm of water table in sandy loam and at 70cm in silt loam, As the water table was high, the leaf chlorophyll content was low, And barley was affected more significantly than wheat by soil texture, The photosynthetic activity was decreased remarkably at 20cm water table, Heading period was 2 to 3 and 4 days earlier at the 20cm water table of sandy loam in barley and wheat, respectively, However this earlier heading was not shown in silt loam, Grain filling was accelerated 5 to 7 days earlier in barley and 10 days in wheat grown at 20cm water table, The highest yield was present at 50 and 70cm water table, The yield was decreased remarkably at 20cm water table, resulting that yield reduction ratio of barley was 71.1% and 72, 2%, and that of wheat was 41.0% and 60, 0% in sandy loam and silt loam, respectively, High water table decreased the number of spike per unit area, but increased the seed weight per spike in barley, However, High water table reduced the seed weight per spike in whe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yield and leaf chlorophyll content in wheat and barley, Yield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green leaf area in barley, and with top dry weight, ratio of top to root dry weight 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tic activity in wheat. The optimum water table was 50 to 70cm in wheat and barley, They grew fairly well at 30cm water table of sandy loam, and at 40cm of silt lo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