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저장에 따른 착즙 유자 과즙의 품질 평가

        이경미,이미순,황진봉,정진웅 한국식품영양학회 199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0 No.2

        본 연구는 유자과즙과 유자를 이용한 제품개발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생유자를 벨트식 착즙법^9)으로 착즙한 유자 과즙(Sample Ⅰ)과 이를 5℃에서 1년간 저장한 유자 과즙(SampleⅡ)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SampleⅡ는 SampleⅠ에 비하여 수분은 3% 정도의 증가를 보였고, soluble solid가 1° brix 이상 감소되었다. pH는 2.68에서 2.84로 증가하면서 산도가 5.83에서 5.23으로 감소되었다. 비타민 C는 50% 이상 감소하였고,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약 20∼30% 정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밖의 일반성분들과 유리당, 지방산 및 총아미노산 함량의 감소는 0.1∼1.0% 정도로 변화 정도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Sample Ⅰ과 Ⅱ의 향기성분을 gas chromatography로 비교 분석한 결과, 분리된 peak의 수는 70여 개인데, mass spectrometer로 확인할 수 있는 성분은 13개에 불과하였고, 주된 향기성분은 탄화수소류로 limonene, terpinene, terpineol, terpinolene 등이다. 1년간 저장함에 따라서 향기성분은 약 30∼50% 정도 감소되고, 미량 함유되어 있던 성분들은 거의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ample Ⅰ 및 Ⅱ로 10% 희석음료로 제조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당배합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nges of quality in citron(Citrus junos Sieb) juice between sampleⅡ stored at 5 for 1 year after extraction and sample Ⅰ made from raw citrons by the belt-pressing extraction method. Compared with sample Ⅰ, the soluble solid of sample Ⅱ was decreased more than 1° brix, and the moisture increased 3%. The acidity reduced from 5.83 to 5.23 as the pH rose from 2.68 to 2.84. Although it decreased more than 50% in vitamin C and over 20∼30% in amino acid, the changes of the other proximate components, amino nitrogen and free sugar content were very little the range 0.1∼1.0%. Volatile compounds in citron juices between sample Ⅰand Ⅱ were analyzed by GC and GC-MS. Sample Ⅰ and Ⅱ showed about 70 of volatile compounds. But only 13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mass spectrometer.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aromatic compounds of limonene, terpinene, terpineol and terpinolene. Amounts of volatile compounds in citron juices depended on the storage period. The recovery of volatile compounds of citron juices, reduced 30∼50% after storage for 1 year and the trace component disappeared during storag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ing color, aroma,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and sugar recipe were not significantly.

      • KCI등재

        배우의 말하기, 목소리의 연극성 - 구자혜 연출과 ‘여기는 당연히, 극장’의 연극을 중심으로

        이경미 한국연극학회 2019 한국연극학 Vol.1 No.70

        구자혜 연출과 극단 <여기는 당연히, 극장>의 배우들은 지난 몇 년 사이 한국사회에서 발생한 일련의 불온한 정치, 사회적 사건, 그리고 사람들 자체의 사회적 편견과 무관심으로 인해 고통 받는 타자들에 귀 기울이며 이를 적극적으로 무대화한 대표적인 예술가들이다. 무엇보다 그들은 기존의 연극관습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시각 보다는 청각을 기반으로 관객의 감각을 건드리면서, 이를 통해 우리 사회 안의 억눌린 타자들과 관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접점을 제시한다. 그들의 연극에서는 의도적으로 배우를 제외한 여타의 무대장치 및 기타 연극적 수사가 가능한 한 최대로 제거된다. 이때 배우는 예의 그 역할연기를 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별다른 움직임 없이 오로지 아주 작거나 아주 큰 음량, 아주 높고 센 톤, 그리고 단절과 반복을 거듭하는 자신의 도드라진 말하기 하나로 극장 공간을 가득 채운다. 이때 아이러니한 것은 그 목소리가 정작 배우 본인이 하고 있는 말의 내용과 상황을 계속해서 고의적으로 교란시킨다는 점이다. 관객으로서는 어떻게든 극의 상황을 따라가기 위해 자신의 청각을 잔뜩 곤두세워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렇게 하다고 해도 말의 내용 전체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처럼 말이 아닌 말하기, 내용이 아닌 목소리가 최대치로 전면에 도드라지게 부각되기 때문에, 이들의 극장은 보는 공간 보다는 오히려 소리를 듣고 감각하는 공간에 가깝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러한 배우들의 목소리 및 말하기를 중심으로, 구자혜 연출과 ‘여기는 당연히, 극장’의 배우들의 연극이 갖는 미학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한다. 물론 이때 배우의 목소리가 실현하는 연극성은 재현적 기호가 아닌 ‘물질’이라는 미학적 개념의 관점에서 논의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최근 현대 공연예술 안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여러 연극미학적 담론들 및 연관 공연들이 추가로 제시될 것인데, 이는 구자혜 연출과 ‘여기는당연히, 극장’의 연극들이 갖는 의미를 동시대 연극과 관련된 학술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함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이들의 작업이 재현의 한계를 넘어서서 새로운 의미의 연극적 현존을 성취하는 것이자 궁극적으로 언어를 비롯해 정치, 경제 등 일체의 거대담론에 의해 배제되고 소외된 타자를 소환하는 또 하나의 정치적이고 동시에 미학적 행위임을 입증하고자 한다. 끊임없이 연극이 관객과 ‘제대로’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아 실천하는 한 연출가, 한 극단의 작업을 이론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이러한 시도가 갖는 차별적이면서도 동시대적인 미덕을 되짚는 한편, 이러한 실험들이 가져올 향후 한국연극의 미래적 가능성은 무엇인지 알아볼 것이다.

      • KCI등재

        Categorization of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Based on the Properties of -i/-ka

        이경미,박우경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9 영어영문학21 Vol.32 No.1

        This study explores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DNCs), structures where two NPs with the nominative case markers -i/-ka usually appears in order. This peculiar phenomenon raises the question of the real subject in a sentence.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we group DNCs into three categories based not only on their syntactic structures but also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NPs: NP1 as the focus or topic, NP1 as the topic, and NP1 as the grammatical subject. When in possessive relations, NP1 moves out of NP2 to satisfy a pragmatic feature such as focus or topic in the first category. In the second category, NP1 is a hanging topic in loc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NPs. The last category displays a subject-theme relation between the two NPs, with NP1 as the grammatical subject. In terms of Korean postpositional particles, -i/-ka in NP1 is an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 in the first and the second groups, and it is a nominative postpositional particle in the third group.

      • KCI등재

        韓・中・日 고전문학 속의 ‘기다리는 여성’

        이경미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본고는 한중일 고전 문학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기다림의 동기와 그 결말을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 그 속에 반영된 당시의 여성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여성의 기다림의 동기로는 1) 여성으로서 남성으로부터 사랑받고 싶은 욕망을 근간으로 하는 개인적 동기와 2) 남편 혹은 연인의 입신양명과 출세를 위해 참고 견디며 기다리는 사회・윤리적 동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고, 그러한 기다림의 결과로서 1) 재회의 기쁨을 누리며 절개를 칭송받거나 아니면 기다림으로 인한 원망이 남성의 반성과 참회로 해원되는 긍정적 결말과 2) 기다림에 지쳐 출가 등으로 여성으로서의 삶을 포기하는 모습으로서의 자기파멸이나 기다림의 분노와 복수의 용광로 속에서 그 한(恨)을 해소하지 못하고 자신과 남성이 철저히 파괴되는 자타파멸의 부정적 결말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대 한중일 사회의 봉건적 가부장제와 일부다처제의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의 기다림은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었고, 그 기다림의 동기 또한 다소 억압적이고 수동적인 면이 있었다. 그러나 그 기다림의 결말은 긍정적인 경우도 있었으나, 부정적인 경우도 적지 않았다. 나아가 기다림은 현세에 그치지 않고 내세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바, 이는 비록 당시의 여성들이 유교적 윤리로 인해 현실세계 속에서 해소하지 못한 여성 본연의 고통과 절망이 죽음이라는 탈출구를 통해 펼쳐진 초현실세계속에서 폭발하는 형태이기도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여성들의 기다림의 동기와 결말은 유교적 봉건사회라는 기본 바탕에서는 동일해 보일 수 있으나, 한중일 각국의 문화와 정서에 의하여 변형되고 새롭게 재구성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will look at the motivations and conclusions of ‘Waiting women’ in Ancient litera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First of all, the motive of a woman's waiting can be divided into 1) personal motive based on the desire to be loved by men as a woman, and 2) social and ethical motives that wait for husband or lover and as a result of such waiting, she will get 1) the joy of reunion, to be praised for the joy of reviving, or 2) to give up one's life as a woman's self-defection or giving up as a woman's repentance. In the social structure of feudal patriarchal system and polygamy customs of ancient Chinese, Korean and Japanese societies, the waiting of women inevitably existed, and the motive of the waiting was also somewhat oppressive and passive. However, the ending of the waiting was positive in some cases, but it was also negative. Furthermore, the result of waiting is revealed not only in the present world, but also as the form of the explosion in the surreal world, in which women at that time were unable to express the feeling in the real world due to Confucian ethics. The motivations and endings of these women's waiting may seem the same on the basis of a Confucian feudal society, but they can also be found to be transformed and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ultures and ethical settings of Korea, China and Japan.

      • KCI등재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하녀(下女) -하녀와 여주인간의 서사 유형을 중심으로-

        이경미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9 No.-

        본고는 고대 한중일 봉건적 신분 제도 아래에서 최하층에 위치해 있었던 하녀와 그녀들의 여주인과의 서사구조가 선과 선, 선과 악, 악과 선, 악과 악의 유형으로 펼쳐지는 작품분석을 통해 가부장적 봉건사회의 이면(裏面)을 관통했던 그녀들의 협력, 갈등, 동조와 배반의 이야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비록 주인과의 관계 속에서만 그 존재가치가 인정되었던 하녀들이었지만, 일부는 여주인과의 협력으로 정의를 구현하고, 자아실현마저 이루기도 하였다. 나아가 가부장사회가 여성에게 철저히 금지했던 남성의 영역에까지 침범하여 남성을 능가하는 혁혁한 업적을 이루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봉건적 신분사회가 당시 하녀들에게 요구하였던 순종과 희생의 미덕의 구현과 더불어 감추고 억눌려 있었던 여성본연의 감정인 질투와 욕망의 왜곡된 발산의 결과로 이중고(二重苦)를 겪는 비극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결말 또한 주인에게 지극히 충성되고 헌신적인 하녀들은 칭송받고 그들의 삶도 행복한 결말로 보상받는 것과 반대로 그렇지 못한 하녀들에게는 처참한 결말만이 기다리고 있었다. 이것은 봉건적 신분제도의 이데올로기적인 순응을 그 시대 여성들, 그 중에서도 가장 취약한 보호의 대상이 되었던 하녀에게 내면화시킨 또 다른 결과물이기도 하였다. This paper delves into stories of handmaiden experiencing cooperation, conflict, agreement and treachery that were prevalent in a patriarchal fedualist society. It completes its task by analyzing a narrative structure presenting a relationship between handmaiden who comprised the lowest social stratum and their mistress in four types (as good versus good, good versus evil, evil versus good and evil versus evil). While handmaiden only earned their places when they were held in servitude, some established justice through cooperation with their mistress and achieved identity. Moreover, these handmaiden entered fields that were forbidden to them by patriarchy and left remarkable accomplishments that surpassed those of their male counterparts. Yet, they also were victims of feudalism. It required obedience and sacrifice as their virtues and their distorted expressions of jealousy and desire- intrinsic feelings of female- were destructive to their lives. Those highly loyal and committed to their masters were only worthy of praise and rewarded plentifully. However, those who were not were subject to harsh treatment. Feudalist societies created this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to inject the idea of ideological submission to handmaiden who were left least protected.

      • KCI등재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의 죽음과 사랑

        이경미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본고는 한중일 고전 문학 작품 속 여성의 죽음과 사랑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문학 작품 속 고대 여성들의 죽음과 사랑에 관한 인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 그 속에 반영된 당시의 여성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여성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유형으로 1) 이루지 못한 사랑에 대한 절망으로서의 죽음 2) 내세에서는 사랑이 지속되길 바라는 구원의 죽음이라는 두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어서 죽음 후에도 지속되는 사랑의 유형으로는 1) 생전에 이루지 못한 사랑을 죽음 후 질투와 분노로 파괴하며 소유하는 사랑 2) 죽음이라는 장애물을 초월하며 한층 증폭되는 사랑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고대 한중일 봉건사회의 가부장적 사회윤리제도 안에서 여성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사랑의 모습이 다소 억압적이고 수동적인 면도 있었지만, 때로는 죽음 후에야 비로소 자신의 소리를 내며 적극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동력이 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다. 나아가 한중일 삼국 모두 가부장제도의 일부다처제, 처첩제도로 억눌린 사랑받고 싶고 사랑을 지속하고 싶은 욕구가 ‘죽음’이라는 형태를 통해서 어느 정도 해소되는 일종의 카타르시스의 장(場)으로서도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aims to seek the meaning of the love and death of women in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The love and death of women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iewpoint toward the death and love. One of the categories is the love that destroys the women. To be detailed, Death as despair is one thing and the death of redemption the other. The other category is the love that survives after death. Destructive love and transcendental love are those. Even though the motivation of death of women was somewhat being oppressive and passive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feudal society, it can be seen sometimes as driving force for making positive changes and pursuing aggressive changes after death. The desire to be loved and to be endured can be transformed into catharsis in polygamy through the form of death.

      • KCI등재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거울

        이경미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65

        거울은 오랜 시간 축적된 한중일 고대 여성들의 문화적 산물(産物)이며, 동시에 문학적 상상력이 발휘된 예술의 결정체였다. 여성들은 이러한 거울을 바라봄으로 자신의 여성성을 발견하기도 하였으며, 때로는 종교와 민간신앙에 기인한 거울의 주술적 능력을 통해서 미래를 점치기도 하였다. 한편 여성의 진실한 모습이 거울에 비춰짐으로 성찰과 반성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지만, 반대로 욕망이 투영됨으로써 비극의 발단이 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거울은 헌신과 사랑의 정표(情表)이자, 헤어진 연인들에게는 합일(Oneness)의 그날을 기약하는 신물(信物)이자 구원의 표징(表徵)으로까지 승화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고전 문학 속의 여성들에게 있어서 거울과의 마주침은 새롭고 다양한 분열의 시작과 끝을 경험하는 체험의 장(場)이 되었다. 때로는 동반자로, 때로는 동맹자로 일생동안 여성을 성장, 변화시켜 나갔으며, 어느 순간 여성들은 시대를 반사하는 거울 그 자체가 되었던 것이다.

      • KCI우수등재

        사회혁신을 추동하는 사회적경제: 공동체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미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6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ocial economy activating social innovation of ‘Relations of consump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of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 cases of community housing. In particular, I attempted to analyze social innovation of ‘Relations of consumption’ focusing on co-production and co-construc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of social relations’ focusing on commons. In order to examine the abovementioned aspects,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for theoretical discussions and qualitative research on community housing ca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sidents, suppliers, and a public official in Seoul. Results indicated that community housing wa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residents’ needs, private suppliers’ problem awareness and public policy support.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ere promoting social innovation of ‘Relations of consump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reparing and operating housing and spreading the value of community housing. In additio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have supported the ‘commoning’ of resident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commons, expansion into the community and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governance. However, in the social innovation of ‘Relations of consumption’, co- production of community housing, in which tenants, suppliers, and the public are combined, is taking place, but it was identified as a limitation because co- construction, which means the user’s participation in policy design, has not been achieved. In addition, the community housing functioned as a commons in relation to the social innov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of social relations’, but there were insufficient institutional devices to prevent conflicts that could occur between memb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1) social economy played a role in driving social innovation of ‘Relations of consumption’ and ‘Spatial configuration of social relations’ by activating co-production and commons; (2)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was able to promote co-production because it prioritized public interest and social value over profit, and was able to undertake the costs, time and effort for supplying the co-production system;This study is thu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role of social economy in terms of co-production and commons activation by newly interpreting its potential in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innovation, which has so far not been discussed organical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starting point for social innovation as different viewpoints and solutions required to solve complex and diverse social problems. 본 연구는 공동체주택의 형성과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소비관계 사회혁신’과 ‘사회 적 관계의 공간구성 관련 사회혁신’을 활성화하는 사회적경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 다. 특히, ‘소비관계 사회혁신’은 공동생산(co-production)과 공동수립(co-construction) 을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의 공간구성 관련 사회혁신’은 커먼즈(commons)를 중심으 로 사회적경제 조직의 역할이 무엇인지 분석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를 위한 문헌 연구와 공동체주택 사례에 대한 질적 연구를 병행했으며, 의도적 표집 방식으로 선정된 공동체주택 4곳의 입주자와 공급자, 서울시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 행했다. 그 결과, 공동체주택은 입주자와 공급자, 공공의 필요와 문제의식, 정책적 지원 등이 맞물리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경제 조직은 주택 설립을 준비하고 운영하며 공동체주택의 가치를 확산하는 전 과정에서 ‘소비관계의 사회혁신’을 촉진하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경제 조직은 입주자들의 커머닝(commoning) 활동 을 뒷받침하고, 커먼즈 형성 및 공익적 운영, 민주적 거버넌스 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 침으로써 ‘사회적 관계의 공간구성 관련 사회혁신’이 활성화되는 데 일조하고 있었다. 그러나 ‘소비관계의 사회혁신’에서 입주자와 공급자, 공공이 결합하는 공동체주택의 공 동생산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용자의 정책 설계 참여를 핵심으로 하는 공동수립은 이 루어지지 않아 한계점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사회적 관계의 공간구성’과 관련해 공동 체주택은 커먼즈로서 기능하고 있었지만, 구성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상황을 사전에 방지하고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는 미비해 커먼즈의 안정성을 위협하 는 불안요소로 파악되었다. 이상과 같이 공동체주택 사례를 바탕으로 사회적경제 영역에서 활성화되는 사회혁 신 과정을 분석해 도출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주택의 사례는 사회적경제가 공동생산과 커먼즈를 활성화함으로써 사회혁신의 주요 유형인 ‘소비관 계의 사회혁신’과 ‘사회적 관계의 공간구성 관련 사회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과정에서 사회적경제는 이용자들의 참여와 민주적 거버넌스를 확대해 이 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필요를 만족시키면서 공동의 가치를 구현하고 있었다. 둘째, 사 회적경제 조직이 공동생산을 촉진할 수 있었던 것은 이윤보다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가 치를 우선 고려하는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었다. 즉, 사회적경제 조직은 공동생산 방 식의 주택 공급을 실현하고자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 및 수고를 감수하고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그동안 유기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던 사회적경제와 사회혁신 의 관계에 대해 사회적경제가 갖고 있는 잠재력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공동생산과 커 먼즈를 활성화하고 사회혁신을 촉진하는 사회적경제의 역할을 분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전과 다른 관점과 해법이 요구되 는 지금, 사회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작은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Parenting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이경미,차효성 한국간호과학회 2021 Asian Nursing Research Vol.15 No.4

        Purpose: Clinical nurses who are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 experience extreme parenting stress linked to their hospital work environment and shift work, differing from that generally experienced by mother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parenting stress scale that considers the clinical nurses’ form of work and its characteristics. Methods: The scale items were initially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a literature review and were revised and mod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content validity testing by experts. The developed instrument was evaluated using data from 157 clinical nurses in South Korea who were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 Results: In the instrument validation stage, 19 items categorized in four factors (psychological burden, physical and mental fatigue, work shift, and work environment) were derived from construct validity, and the cumulative explanatory power was 56.6%. Furthermor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external construct were confirmed. Cronbach’s a of the final instrument was .86 (range: .81-.86).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newly developed parenting stress scale for clinical nurses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it uses a 4-point Likert scale. A higher mean score by factor indicates a higher level of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Conclusion: This instrument would be beneficial to measur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mong nurses who work in hospitals and evaluate factors related to their parenting stress to devise effective interv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