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분야 암모니아 배출 인벤토리

        홍성창 ( Hong Sung-chang ),장은숙 ( Jang Eun-suk ),유선영 ( Yu Sun-young ),이규현 ( Lee Gyu-hyen ),김경식 ( Kim Kyeong-sik ),송새눈 ( Song Sae-nun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고농도의 미세먼지로 시민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양한 공급원에서 배출되고 많은 대기중 화학물질로 부터 형성된다. 농업분야에서 대기질소를 이용한 인공적으로 합성된 질소비료의 사용으로 농작물의 높은 생산성을 이루어왔으나 주변 환경에 오염부하로 작용한 측면도 없지 않았다. 농업을 둘러싼 환경에서 비점오염물질은 물 뿐 아니라 대기 중으로도 배출될 수 있다. 농업은 넓은 경계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물체를 포함하는 복잡한 시스템이다. 가축 사육과 농경지 작물재배 과정 중 배출되는 암모니아(NH3)는 초미세먼지 형성에 기여하는 대기 오염물질로 알려져 있다. 암모니아는 주로 가축사육, 분뇨처리 과정, 비료살포 및 산업공정에서 배출된다. 대기 중에 아황산가스(SO2)와 질소산화물(NOx)이 반응하여 황산암모늄과 질산암모늄이 함유된 초미세먼지를 생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대기중의 초미세먼지 중 72 % 가 2차 생성 초미세먼지 입자로 밝혀진 바 있다(2014, 환경부). 환경부는 청정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를 통해 CO, NOx, SOx, TSP, PM10, PM2.5, VOC, NH3 등 8가지 물질을 대기오염물질로 정하여 매년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CAPSS의 산정량을 보면 우리나라 암모니아 배출량의 78 %는 농업분야에서 배출되고 있다. 한편, 주요국의 암모니아 배출량 중 농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면 유럽 94 %, 미국 86 %, 중국 82 % 이다. 우리나라의 농업분야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 분류체계는 선진국 보다 단순하고 누락된 부분이 많다. 그러므로, 축산부문은 축사형태, 축종, 축분 보관방식, 축분 처리방식 및 가축 사육환경의 특성 등을 반영한 개선된 배출계수의 개발이 필요하다. 비료사용 농경지 부문도 작물의 종류, 재배 유형, 화학비료와 양분투입자재, 및 비료시용 시기 및 재배환경 특성을 반영한 향상된 배출계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도 질소비료의 사용량은 줄어들고 있지만 가축분 퇴비의 사용량 증가로 질소수지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신뢰도 높은 국가 암모니아 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세부분야별 정확한 배출계수를 개발뿐 만 아니라 가축 사육두수, 가축분 사용량, 비료 시용량, 작물별 재배면적 등의 활동자료(activity data)를 매년 갱신해야 한다. 이와 같은 활동자료들은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와 같은 정부기관과 다양한 협회들의 판매량 통계 등을 통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누락되거나 새로이 추가할 필요성이 높은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다양한 농업자재 생산자 협회의 협조가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이, 정확도가 향상된 암모니아 배출계수와 배출 인벤토리가 구축되면 암모니아 배출 저감기술을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피배액술로 치료한 십이지장 벽내 혈종 1예

        권창일 ( Chang Il Kwon ),최기현 ( Ki Hyun Choi ),고은향 ( Eun Hyang Ko ),이지현 ( Ji Hyun Lee ),송영준 ( Young Jun Song ),고광현 ( Kwang Hyun Ko ),홍성표 ( Sung Pyo Hong ),박필원 ( Pil Won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1

        Complicating intramural hematoma is an interesting, relatively unusual condition. Various etiologic factors have been described, with the most common being blunt trauma, anticoagulant therapy, Henoch-Schonlein purpura and blood dyscrasias. Most intramural hematomas resolve spontaneously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nd the prognosis is good. However, if the abdominal pain or obstruction does not resolve with medical management over seven to ten days, complications such as infarction or peritonitis may occur, and surgical intervention might be required. We report a case of intramural hematoma of duodenum treated with percutaneous drainage and embolization of bleeding focus which was complicated with acute pancreatitis after anticoagulation treatment in a patient with recurrent history of deep vein thrombosis. In addition, we reviewed reports of intramural hematoma of the duodenum and treatment strategies.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45-49)

      • 원자력발전소용 제어역지밸브의 내진특성에 대한 연구

        홍성창(Sung Chang Hong),김재형(Jae Hyung Kim),송치성(Chi Sung Song),김병덕(Byoung Duk Kim),김상교(Sang Kyo Kim),김한수(Han Soo K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CCCV(Controlled Closure Check Valve) has a role of sealing the reverse flow at the operation stop of pump for the protection the pump, valve, and the water tank. And the CCCV must have the capacity of the required design flow rate.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the qualification of operation test under loading condition is required in the seismic condition according to ASME QME-1-2007. But the experimental method in vibration test has the difficulty in preparing the loading condition for fluid flow. So the numerical method is required in this situation. In this study, the numerical study on the operation test of the CCCV in the seismic condition was performed. The prediction of the variation of the operation of CCCV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body's geometric condition and the loading condition by the design requirement and fluid flow.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제균치료에서 Levofloxacin 병합요법의 효과

        이지현 ( Ji Hyun Lee ),홍성표 ( Sung Pyo Hong ),권창일 ( Chang Il Kwon ),편래현 ( Lea Hyun Phyun ),이병석 ( Byoung Sok Lee ),송한얼 ( Han Ul Song ),고광현 ( Kwang Hyun Ko ),황성규 ( Seong Gyu Hwang ),박필원 ( Pil Won Park ),임규성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1

        목적: 현재 사용하는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1차 제균 요법은 치료실패가 15-20%이며, 주로 항생제 내성과 연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H. pylori 제균치료에서 기존 1, 2차 제균요법과 levofloxacin을 포함한 병합요법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부터 2005년 9월까지 H. pylori 양성 진단을 받고 제균 치료를 받은 26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141명에서 levofloxacin 포함 병합요법을, 126명에서 기존 PPI 삼제요법을 시행하였다. Levofloxacin 병합요법은 levofloxacin 200㎎ bid, amoxicillin 1.0 g bid, rabeprazole 20㎎ bid를 7일간 투여하였고(LAP), PPI 삼제요법은 clarithromycin 500㎎ bid, amoxicillin 1.0g bid, rabeprazole 20㎎ bid를 7일간 투여하였다 (CAP). 이들 중 1차 제균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은 2차 치료로 levofloxacin 병합요법 또는 사제요법을 시행 받았다. 사제요법은 metronidazole 500㎎ bid, tetracycline 1.0g bid, rabeprazole 20㎎ bid, bismuth subcitrate 240㎎ bid를 7일간 투여하였고(MTPB), levofloxacin 병합요법은 1차 치료로 CAP 삼제요법을 시행 받았던 환자들에서는 LAP 삼제요법을, 1차 치료로 LAP 삼제요법을 시행 받았던 환자들에서는 levofloxacin 200㎎ bid, clarithromycin 500㎎ bid, rabeprazole 20㎎ bid를 7일간 투여하였다(LCP). 제균치료가 끝나고 최소 4주 이상 지난 후 요소호기검사로 제균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양 군에서 성별, 연령, 진단, 흡연, 음주 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LAP군과 CAP군의 제균율은 per protocol 분석에서 69.8%와 74.0%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 지 않았고, 2차 제균치료의 제균율은 LAP군과 MTPB군에서 각각 62.5%와 40.0%로 LAP군의 제균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52, p=0.34). 치료 중 약물부작용에 의한 탈락은 양 군 모두에서 없었고, 부작용도 LAP군에서 1.4%, CAP군에서 4.0%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 음주, 흡연 여부는 제균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기저 질환에 따른 제균율의 차이도 없었다. 결론: Levofloxacin 포함 병합요법은 기존의 H. pylori 1차 제균요법과 제균율에서 유사하며, 부작용과 환자 유순도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levofloxacin 포함 병합요법은 H. pylori 1차 제균치료에 있어 효과적이며, 기존의 제균치료에 실패한 환자에서 구제요법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failure rates of first and second line therapies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eradication range from 15 to 20%.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levofloxacin based triple therapy compared with standard triple or quadruple therapy for H. pylori eradication in Korea. Methods: We enrolled two hundred and sixty seven patients with presence of H. pylori infection. One hundred and forty-o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levofloxacin based triple therapy (LAP; levofloxacin, amoxicillin, proton pump inhibitor; PPI), and 126 patients were treated with standard triple therapy (CAP; clarithromycin, amoxicillin, PPI). We retreated the patients who had failed in H. pylori eradication with standard quadruple second-line therapy (MTPB; metronidazole, tetracycline, PPI, bismuth subcitrate) or levofloxacin based therapy (LAP or LCP; levofloxacin, clarithromycin, PPI). Results: In first line therapy of H. pylori eradication, the eradication rates of levofloxacin based triple therapy and standard triple therapy were 69.8% and 74.0% respectively (p=0.52). In second-line therapy, the eradication rate of levofloxacin based triple therapy and standard quadruple therapy were 62.5% and 40.0% respectively (p=0.34). Conclusions: Levofloxacin based triple therapy is effective as standard regimen to eradicate H. pylori infection and is useful for an alternative rescue therapy as well.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19-24)

      • 전북 농업지역 습식침적물의 화학적 특성 구명

        김진호 ( Jin-ho Kim ),홍성창 ( Sung-chang Hong ),김민욱 ( Min-wook Kim ),이송덕 ( Song-du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본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가장 높은 동절기(’20.12월말∼’21.3월말)에 전라북도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습식침적물에 대한 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습식침적은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강우나 강설에 의해 지표면으로 떨어져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미세먼지의 경우는 건식침적이라고 할수 있으며, 이는 농업생태계에 습식보다 그 영향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초미세먼지의 전구물질이니 암모니아 발생이 높은 농업지역을 논,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으로 구분하여 습식침적물의 화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이온의 대표성을 지닌 EC의 평균 농도는 정읍 > 장수 > 완주 > 고창 의 순이었다. 정읍과 장수는 논 농업과 과수원지역으로 시설재배지 및 밭농업지역인 완주와 고창보다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미세먼지의 건식침적과 습식침적과의 상관관계 뿐 아니라 습식침적과 농업생태계의 영향관계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PJ0149092021)”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시계열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수온도 분포분석

        최승필(Choi Seung Pil),육운수(Yook Woon Soo),홍성창(Hong Sung Chang),송영선(Song Yeong S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핵발전소의 운영을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전소 주변의 해수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으로는 비교적 큰 원자력 발전소에 속하는 울진 원자력 발전소의 근해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원자력 발전소 온배수에 대한 환경 문제의 감시는 해안지역이며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이므로 현장 감시에 대하여 어려운 점이 많다. 핵발전소 주변의 온도분석을 위해서 비교적 취득이 용이하고 수면온도 변화탐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Landsat 5위성영상과, Landsat 7 위성영상을 활용하였다. 대상지역의 Landsat 영상에 대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방사휘도 및 온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핵발전소 주변 인근해 지역과 온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동쪽으로 3㎞ 떨어진 동일 면적의 지역과 비교 하여 보았을 때 약 2℃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ch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due to cooling water around nuclear power station. Study area is around of Uljin nuclear power station, which is relatively large power station. There are many problems in monitering environmental change around of nuclear power station, because area is relatively large. We used Landsat 5, 7 Imagery which are useful in temperature analysis and can be easily obtained. After we georeferenced Landsat Imagery, radiance and sea surface temperature were calculated. As a result, As we compared sea surface temperature of surrounding area of nuclear power station with same area located 3 ㎞ east, there are 2.049℃ temperature difference.

      •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건조성 방안

        이주호(Shin Jongick),강인수(Kang In Soo),신종익(Lee Ju Ho),홍성창(Hong Song Chang) 한국경제연구원 2005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5-29 No.-

        교육개혁은 문민정부 때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결과를 보면 ‘수요자중심의 교육’이라는 구호 외에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학생 등 교육 수요자들은 교육에 관한 선택권이 크게 제한되어 있다고 하고, 교직원 등의 교육주체들도 교육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한다. 교육에 문제가 많다는 것은 다들 인식하는 데도, 왜 다른 분야와 달리 교육제도 개혁이 어려운 것일까? 교육이념의 다양성으로 인한 개혁방안에 대한 이견, 시민단체의 영향력 증대, 정부나 정치권의 개혁 의지 미흡 등이 주요 원인이다. 하지만, 그간의 교육개혁 방안에 기인하는 바도 크다. 그간의 개혁은 평준화 해제(혹은 대폭 보완), 사립학교와 대학의 자율성 제고, 교육개방 등 한쪽은 취하고 다른 쪽은 버리는 방안이었다. 그런데, 이 같은 방안은 반대세력이 현존하는 경우 추진되기가 어렵다. 정부나 정치권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개혁도 이제는 다른 분야와 같이 ‘투명성’과 제도개혁을 위한 ‘선(先)여건조성’으로 접근해야 한다. 개혁내용도 중요하지만, 개혁방법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좋은 개혁방법은 모든 제도를 고치지 않더라도 많은 문제가 해결된다. 학교와 교육에 관한 정보가 공개되면 개별 학교들은 좋은 학교로 인정받기 위해 선의의 경쟁을 벌이게 되어 학생들은 더 좋은 교육을 받게 될 것이다. 학교나 교육에 관한 정보는 학생과 학부모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도 공개되어야 할 사안이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 행정, 정치 등 각 분야의 개혁은 정보공시를 통한 투명성 제고에 역점을 두었고, 이를 통해 각 분야에 누적된 많은 문제들이 개선되었다. 서구국가에서는 학교정보가 이미 공개되고 있다. 미국은 2001년에 ‘학업향상법(No Child Left Behind)’이 제정되어 교과별 학업성취 추이, 학교 폭력, 우수배치과정(Advanced Placement Course) 통과 비율 등 대부분의 학교정보가 공시된다. 영국에서도 학교감독법(School Inspections Act)에 의해 학습의 질, 주요 과목의 평가결과 등이 공개된다. 프랑스와 호주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도 이제 단위 학교의 교육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초·중등학교에는 학교운영회의 운영내용, 학업성취도, 진학률, 수학능력시험 결과 등을, 대학교에는 학과별 진학 및 취업률, 연구 성과, 대학 재정, 교수 충원율 등이 공시되어야 한다. 각 지방 교육청은 관할지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공개해야 한다. 이같은 학교정보 공개를 위해서는 ‘교육정보공개에관한특별법’(가칭)을 제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현행 고교 평준화제도는 학교 및 학생의 선택권을 제한할 뿐 아니라, 학교에 대한 광범위한 규제를 실시하는 데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평준화의 병폐를 단계적으로 해소하는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즉 평준화를 해제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먼저, 지역간·계층간의 교육 격차를 해소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교육격차해소에관한법률’(가칭)을 제정해야 한다. 또한, 교육주체들이 스스로 교육의 질을 개선하도록 학교정보를 공개하고, 자립형 학교를 중학교 및 공립으로 확대해야 한다. 수석교사제 도입, 교장 초빙제 확대 등을 통한 교원인사 체제를 개선하고, 교육자치와 일반자치를 일원화하는 방안으로 교육 지방자치를 내실화해야 한다. 또한 대학의 학생선발권을 확대하고, 교과서 질을 개선하도록 교과서를 다양화해야 한다. The educational reform in Korea has been launched in 1993. However it hasn’t been different much except for a slogan, ‘the education based on the users’. The parents and students say that the choice related to the school is still limited a lot and the teachers also point the seriousness of the educational issues. Why is it so difficult to reform the educational system unlike other fields like business and administration, even though many people are aware of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ne of the reasons is probably the way of reform. Such reforms as the cancellation of the equalization policy, the extention of the self-control in the private schools, the opening of educational market necessarily result in opposition from the political party and civil groups and blocking reform. Therefore the way of educational reform should be changed and transparency should be introduced in educational system.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schools and education were opened, schools would compete to be recognized as a good school, and students could get better education.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the key reform in every fields was transparency and most of the issues related to each field was improved a lot, opening information to the public. In America, ‘No Child Left Behind Act’ 2001 regulates that school provides such information as the achievement of each subject’s study, the pass rate of the ‘advanced placement course’. There are similar laws in England, France and Australia. In Korea, ‘A special law related to opening educational information (a tentative name)’ should be enacted. The information includes minutes of ‘school management’s committee’, the level of studying achievement,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higher stage of education, the consequency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for the college entrance. Regarding the equalization policy in high school, the circumstance should be settled first to release the equalization by stages. Most important is to solve the gab of the education between locals and classes. To achieve this purpose, ‘A law of lessening the educational gab(a tentative name)’ should be made. Also necessary are the opening the school information to the public, variety of textbook in public school, and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in education.

      • KCI등재

        Methyl Jasmonate 처리에 의한 벼 유묘의 저온장해 경감 효과

        이철원,홍성창,송범헌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1 No.3

        MeJA처리에 의한 벼 幼苗의 低溫反應을 검토하고자 MeJA의 濃度를 달리하여 온도처리 12시간 前 莖葉에 3회 噴霧處理하여 低溫(주/야 5/5℃) 및 適溫處理(주/야 25/20℃)하고 7일간 常溫에 재배한 후 草長, 乾物重, 赤枯, 生存率, 電解質流出度, 無機成分含量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草長은 저온구의 MeJA 처리구에서는 공시품종 모두 무처리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적온구의 MeJA 처리구는 공시품종 모두 묘의 草長이 증가되었다. 2. 葉數는 저온구의 MeJA 처리구는 공시품종 모두 무처리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온구의 MeJA 처리구에서는 공시품종 모두 葉數가 증가되었다. 3. 乾物重은 저온구에서 MeJA 1μmole 처리구의 다산벼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서진벼는 큰 차이가 없었고, 적온구 MeJA 1μmole 처리구에서는 공시품종 모두 증가되었다. 4. 저온하에서 다산벼의 MeJA 처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잎의 赤枯를 경감시켰고, MeJA 1μmole 처리구의 묘 생존율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電解質流出度 (electrolyte leakage)는 적온구보다 저온구에서 높았으며, 적온구에서는 품종간,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저온구에서는 다산벼는 서진벼보다 전해질유출도가 현저하게 높았고, MeJA 처리는 전해질유출도를 경감시켰다. 6. 저온구 다산벼 MeJA 처리에서 무처리보다 全窒素含有率이 낮았으며 서진벼는 全窒素, 燐酸, 칼리,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무처리보다 낮아 MeJA 처리는 유묘의 體內 窒素含有率을 낮춰 冷害를 輕減시켰다. 7. 乾物重과 電解質流出度와는 負의 상관관계(-0.79)에, 全窒素含有率과 乾物重과도 負의 상관관계(-0.59)에 있으며 全窒素含有率과 電解質流出度와는 正의 상관관계(0.75)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hyl jasmonate(MeJA) on the chilling tolerance of rice seedlings. Two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Dasanbyeo developed by crossing Indica×Japonica and Seojinbyeo of Japonica, which have shown different growth characteristics were used. The seedlings were grown with two different temperatures of 5/5℃ and 25/20℃(day/night)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rice seedlings. Plant heights of Dasanbyeo and Seojinbyeo were higher with treatment of MeJA at both temperatures of 5/5℃ and 25/20℃ than those with the control. Number of leaves of Dasanbyeo and Seojinbyeo cultivated at 5/5℃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reatment of MeJA, while it at 25/20℃ was a little more with treatment of MeJA than those of the control. Dry matter weights of Dasanbyeo and Seojinbyeo grown with treatment of MeJA were increased at 5/5℃ and 25/20℃. Electrolyte leakage of two rice varieties was much higher with 5/5℃ than that with 25/20℃. Also, the electolyte leakage was clearly reduced with treatment of MeJA. Survival ratio of Dasanbyeo with treatment of 1μmole MeJA at 5/5℃ was higher about 80.3% than that of the control about 75.3%. The correlation coeffiecint was significantly negative in between dry matter weight and electrolyte leakag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otal nitrogen content and dry matter weight was negative,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nitrogen content and electrolyte leakage was positive.

      • KCI우수등재

        학교 대 과외:한국 교육의 선택과 형평

        이주호,홍성창 한국경제학회 2001 經濟學硏究 Vol.49 No.1

        한국 교육에 있어서 학교와 과외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본고는 우리나라 과외에 관한 광범위한 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학교교육에 의하 여 충족되지 못한 교육에 대한 초과 수요가 과외의 급팽창을 가져오고 이에 따라 교육의 형평성이 훼손되는 우리 교육에서의 한 중요한 측면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 본고는 우리의 교육이 양적 팽창을 통한 학 교교육 기회의 복대라는 주요 목표를 빠른 기간에 달성하는데는 성공하였으나 교 육의 효율성은 물론 형평성에 중요한 문제점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