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용서와 우울, 그리고 우울반응양식의 상관관계 연구

        홍석인(Suk-In Hong),진성오(Sung-Oh Jin),현명호(Myoung-Ho Hyun),배성만(Sung Man Bae),이승환(Seung-Hwan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용서와 우울간에 있어 우울반응양식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2명의 대학생이 Enright 용서심리 검사-한국어판, Beck 우울척도, 우울기분에 대한 반응양식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용서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우울반응양식이 용서와 우울을 매개한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용서와 우울과의 관련성에 있어 반추적 반응양식이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반면 반성적 반응양식은 우울과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에 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ve response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and depression. Enright Forgiveness Inventory-Korea, Responses to Depressed Mood Questionnair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22 undergraduate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forgiv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The ruminative response style was a significant mediator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and depression. However, the reflective response style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lin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as well as limitations. (Korean J Str Res 2009;17:63∼70)

      • KCI등재

        미국의 배심제와 그 시사점

        홍석한(Seokhan Hong)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1

        본 논문은 배심제의 전형을 보여주는 국가로 일컬어지는 미국 배심제의 현황을 검토해 봄으로써 국민참여재판 제도의 바람직한 개선을 위한 단초를 찾아보고 있다. 배심제는 미국 형사사법체계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미국의 배심제가 식민지 시절 영국으로부터 계수된 것이라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억압적인 식민통치에 대항하여 식민지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저항적 성격을 띠고 발전해 온 점에서 그 특수성을 인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방헌법에 직접 배심제와 피고인의 배심에 의해 재판을 받을 권리가 비교적 상세히 명시되어 있다는 점도 매우 중요한 규범적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배심제는 형사재판에서의 소배심을 의미한다. 이는 12인으로 구성된 배심원이 법관과 독립하여 유무죄에 대한 판단을 하되 만장일치로 평결을 하도록 하고, 이러한 배심원의 평결에 법관이 구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배심제에 대한 신뢰와 전형적인 요소들은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하지만 미연방대법원에 의하여 배심재판을 받을 권리에 대한 포기와 배심원의 수 및 만장일치 평결방식에 대한 변화가 인정되고, 양형에 대한 배심원의 개입과 평결효력의 예외적인 배제 가능성도 인정되는 등 그 탄력적 운용의 가능성이 일부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편, 우리의 국민참여재판 제도는 기본적으로 미국의 배심제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일반 시민이 재판에 직접 참여하여 유무죄에 대해 평결을 내리는 구조는 동일하다. 다만, 도입 당시 위헌성 논란을 계기로 적지 않은 변형이 이루어졌고, 시행된 지 이미 10년을 넘기고 있는 지금까지도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참여재판 전 절차에 걸쳐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폭 넓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들은 대체로 미국식 배심제의 전형에 보다 근접하는 내용으로 제도를 변경할 것인지와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가 최대한 구현되도록 하려면 배심제의 원형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국민참여재판이 헌법에 직접 근거를 둔 제도가 아니고 위헌성 논란이 여전히 존재하는 점이나 미국에서도 제도의 경직성을 극복하고 불합리한 결과를 배제하기 위한 최소한의 탄력적 운용이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American jury system which refers to the typical form of the system, and looks for tips for the desirable improvement of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in Korea. Jury system is an essential feature of the American criminal justice system. We can not deny that the American jury system was originated from England during the colonial era, but we can admi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developed with spirit of the resistance to protect the freedom and rights of citizens against oppressive colonial rule.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jury system and the right to a trial by the jury is detailed in the Constitution is a very important feature. Generally, jury system means the petit jury in a criminal trial. The focus is that a jury consisting of 12 jurors who are independent from the judge gives a verdict unanimously and the judge is bound by the jury"s verdict. In the United States, the typical elements of jury system is still working.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possibility of flexible operation is being accepted by the US Supreme Court.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y of renouncing the right to a jury trial, changing the number of jurors and the unanimous verdict are recognized. Also, the jury may intervene in the determination of punishment and the jury"s verdict can be ruled out exceptionally.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in Korea is basically based on the American jury system, an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s similar. However, a lot of differences were included due to the controversy with constitutionality and even now those differences has been in operation for more than 10 years without major changes. As a result,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have been widely conducted. These discussions are largely related to whether the system is to be changed in a way that is closer to the typical model of American jury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it is important to fully reflect the prototype of the jury in order to maximize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judiciary.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is not based on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re is still controversy about the constitutionality. Moreover,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some changes are recognized even in the United States to overcome the rigidity of the system and to exclude unreasonable consequences.

      • KCI등재

        미국의 사물인터넷 발전과 법적 대응

        홍석한(Hong Seok Han)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3

        사물인터넷이 경제적, 사회적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이 국가경제와 국민생활에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한 광범위하고 세밀한 검토, 문제점 및 부정적인 효과에 따른 법적 대응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비롯한 헌법적 관점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람의 개입이 없이 자동화되고 상호 연결된 여러 사물들이 스스로 정보의 수집, 전송, 처리의 주체가 되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는 무엇보다 개인정보와 사생활 침해에 대한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는 만큼, 무엇보다 이에 대한 법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헌법적 틀을 벗어나지 않는 사물인터넷의 발전, 기본권 보호에 위배되지 않는 사회적 변화를 위해서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미국의 사물인터넷 발전 현황과 개인정보 보호를 중심으로 한 법적대응에 관한 진행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미국은 2013년 국제데이터협회의 사물인터넷 준비지수 평가에서 G20 국가들 가운데 1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하여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국가로서 민간기업에 의하여 사물인터넷기술의 발전과 활용영역의 확대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여러 도시들과 국가 차원의 지원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서는 민간부문을 아우르는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모종의 변화가 초래될 조짐이 보이고 있는바, 백악관과 연방거래위원회가 매우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공정정보처리원칙을 기초로 한 연방차원의 개인정보 관련 입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역시 경제적 효과에만 초점을 둔 일방적인 지원 위주의 정책을 지양하고 사물인터넷이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와 같은 기본권에 미칠 영향에 대한 세밀한 평가, 현행법에 의한 대응 가능성 내지 관련 법령의 제·개정 필요성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후속조치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It is predicted that Internet of Things(IoT) will create revolutionary changes in society and the economy. However, countermeasures in law should be preceded to prevent the negative effects on living of the people of IoT and in these countermeasures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ncluding the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maintained. In the IoT context, physical objects connected through internet and embedded with sensor collect, process, and transmit information without explicit human intervention. With the increased connectivity between devices, the risks to security and privacy becomes greatly multiplied and the most urgent thing is to lay the legal groundwork for personal data protect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United States’ current condition of the IoT and legal regime of data protection. As a leading country in the IoT field, US held the second rank in the IDC's G20 ranking through the lens of the IoT. Companies are stepping up technical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businesses, and cities and government are institutionally support them.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appointed as a problem that US legal system is not enough to protect personal privacy from companies. However, there are signs of changes. The White House has issued a report titled “Consumer Data Privacy in a Networked World: A Framework for Protecting Privacy and Promoting Innovation in the Global Digital Economy” on Feb. 2012. Also, Federal Trade Commission(FTC) issued “IoT: Privacy & Security in a Connected World” on Jan. 2015. These both reports ar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federal law for personal data protection on the bases of Fair Information Practice Principles(FIPPs). Considering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challenges raised by the Io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also avoid one-sided policy to support IoT. Most of all, the government should analyze the effect of the IoT on the privacy and pay more attention to counterpla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law.

      • KCI등재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기본소득의 가능성과 한계

        홍석한(Hong, Seokhan)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1

        사회통합은 국가를 구성하는 원동력 즉, 헌법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임과 동시에 형성된 헌법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한 조건이다. 본 논문은 사회통합의 실현과 관련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기본소득이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한계를 검토한다. 기본소득의 의미, 헌법적 근거와 법적 성격을 살펴보고, 사회통합의 헌법적 의의와 함께 정치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영역에서 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과제를 점검한 다음, 기본소득이 통합을 달성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한계에 대해 고찰한다. 기본소득은 소득이나 자산에 대한 평가, 근로 여부에 대한 심사를 하지 않고, 개인을 단위로 하여 모든 구성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현금을 의미한다. 정기성, 현금지급성, 개별성, 보편성, 무조건성을 개념적 징표로 하며, 이러한 특징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제도화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국가는 통합에 기초하여 성립과 존속이 가능하다. 사회통합은 정치적・사회경제적・문화적 측면의 동질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헌법이 기능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헌법은 이러한 동질성의 확보를 국가의 과제로 삼으며, 오늘날 분열과 양극화를 방지하고 정치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영역에서 통합을 도모하기 위한 많은 규정들을 담고 있다. 기본소득은 모든 구성원이 시민의 지위를 실질적으로 향유하며 민주주의적 논의와 공적 과제의 해결 과정에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정치적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본소득은 재분배를 통한 사회경제적 통합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복지제도와 유사할 뿐 아니라 보편성과 무조건성으로 인하여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보다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을 수 있다. 나아가 일자리 나눔, 노동과 자본의 불균형 완화, 성별에 따른 차별의 해소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사회경제적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밖에도 기본소득은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자신의 선호에 따라 정신적 가치의 창조에 이바지하거나 공동체의 문화적 발전과 통합을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동력이 될 수 있다. 문화의 창조 및 향유를 가능하게 하는 물질적 지원, 관심에 따른 모임과 소통, 교류를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이 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문화적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처럼 기본소득이 정치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은 이론적 차원에서 기본소득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전제로 한 것이다. 기본소득은 기존의 복지제도와 구분되는 혁신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도화될 수 있다. 그만큼 도입에 대한 정치적・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쉽지 않고 그 과정에서 상당한 갈등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기본소득 도입에 따른 효과 역시 상당한 논쟁의 대상으로서 검증이 쉽지 않고 따라서 기본소득이 정치적・사회경제적・문화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력을 단정할 수도 없다. 기본소득의 의미와 가능성은 다양한 관점에서 충분히 검토되어야 하며, 사회통합과 관련해서도 기본소득이 통합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는지, 그러한 가능성은 과연 어떠한 조건에서 발휘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필요가 있다. Social integration is a condition for forming constitution, that is, the driving force that constitutes a state, and a condition for the constitution to function properly. This thesis examin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basic income to realize the social integration. After examining the meaning of basic income,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tasks for realizing integration in the political, socio-economic and cultural spheres are reviewed. It also examin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basic income that can contribute to achieving integration. First, basic income can contribute to political integration by providing conditions for all members to substantially enjoy the status of citizens and to participate autonomously and actively in the process of democratic discussions and solving public issues. Next, basic income is similar to the existing welfare system in that it pursues socio-economic integration through redistribution, and it can be given a more special meaning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due to its universality and unconditionality. In addition, it can contribute to socio-economic integration by working positively in job sharing, easing the imbalance between labor and capital, and resolving gender discrimination. Finally, basic income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spiritual value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or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for the cultur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he community.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cultural integration b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mmunity members to share culture through material support that enables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culture, gatherings, communication, and mutual exchanges based on interest.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basic income can contribute to political, socio-economic, and cultural integration as described above is based on a positive outlook on the effect of basic income on a theoretical level. Basic income is innovative that is distinct from the existing welfare system, requires enormous financial resources, and can be institutionalized in various ways. As such, it is not easy to come up with a political and social consensus on introduction, and considerable conflict can arise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 effect of basic income is also subject to considerable debate, and it is not easy to verify, and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basic income on social integration.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basic income should be thoroughly review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research needs to be continued on whether basic income can be a new alternative for integration and under what conditions such an effect can be realiz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장애인법(ADA)에 대한 고찰 ― 장애의 개념과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의 내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Hong, Seokhan) 미국헌법학회 2021 美國憲法硏究 Vol.32 No.1

        1990년 제정된 미국의 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ADA)은 장애인 차별금지와 관련한 권리장전으로 평가되면서 세계 각국의 입법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07년 제정된 우리나라의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차별금지법」)도 미국 장애인법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러한 배경을 염두에 두면서 본 논문은 미국 장애인법상 장애의 개념과 고용 영역에 적용되는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의 법리를 분석하고, 우리의 「장애인차별금지법」과 비교함으로써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에 미국 장애인법에 대한 개관, 장애인법상 장애의 개념과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의 내용에 대한 분석, 이러한 장애의 개념과 합리적 편의제공 의무에 대한 평가 및 우리 「장애인차별금지법」과의 비교, 「장애인차별금지법」개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수행한다. 미국 장애인법은 현재의 손상뿐만 아니라 과거의 손상, 나아가 손상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까지 포함하여 장애를 폭넓게 인정하면서 장애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을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미국 장애인법과 우리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장애 개념의 유형은 서로 유사하다. 하지만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연계차별이 적용되는 관계의 범위를 축소시키고, 장애의 요건으로 장기간에 걸친 상당한 제약을 요구한다는 측면에서 「장애인차별금지법」의 보호범위가 보다 축소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미국의 장애인법은 고용 영역에서 합리적 편의제공을 하지 않는 것을 금지되는 차별의 하나로 포함시킨다. 그리고 합리적 편의제공의 예를 개방적이고 폭넓게 규정하면서도 사용자는 편의제공으로 인해 사업의 운영에 과도한 부담 가해진다는 점을 입증함으로써 항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과도한 부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고려되는 요소들이 구체적으로 열거되어 있고 외부 지원의 가능성은 비용으로 인한 과도한 부담의 항변을 배제한다. 세밀하게 이익을 조정하고 분쟁의 소지를 축소시키고 있는 것이다. 우리 「장애인차별금지법」도 장애인에 대한 정당한 편의제공의 거부를 금지되는 차별로 규정하고 있다. 다만, 제공해야 하는 정당한 편의의 내용을 한정적으로 열거하면서 적용대상 사업장의 범위를 한정하는 반면, 편의제공 의무에 대한 항변사유는 폭넓게 인정하고 있다. 또한 과도한 부담인지와 관련한 판단 요소에 공적 지원의 가능성을 포함하지 않고 있는 점에서도 편의제공 의무의 강도는 미국에 비하여 약하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장애의 개념이나 합리적 편의제공의 내용이 불변의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사회적 및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만큼 이들 개념과 내용도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가운데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정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에는 미국 등 선진 각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개선에 반영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ADA), enacted in 1990, was evaluated as a bill of rights related to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enacting the anti-discrimination acts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uth Korea also established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APDPD) in 2007 under the influence of this international trend and ADA.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paper analyzes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the duty of the reasonable accommodations applied to the employment field in the ADA, and tries to find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m with the APDPD. To this end, an overview of the ADA, analysis of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duty of the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the ADA, evaluation of these definitions and duty, comparison with APDPD will be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PDPD. The ADA broadly defines disability, including the current physical or mental impairment, a record of such an impairment, and being regarded as having such an impairment, and stipulates the requirements for disability in detail. It is not specified as a requirement of disability that impairment will last longer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of ADA and APDPD is similar. However, APDPD reduces the scope of association discrimination and disability is defined as a physical or mental impairment or loss of function substantially limits an individual"s personal or social activitie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Meanwhile, ADA broadly stipulates the examples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in the field of employment. If the covered entity can demonstrate that the reasonable accommodations would impose an undue hardship on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it is not a prohibited discrimination to refuse to comply with the duty of the reasonable accommodations. However, factors to be considered are specifically list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undue hardship, and the possibility of funding from outside excludes the claim of undue hardship. APDPD also stipulates refusing to provide legitimate convenience to the disabled persons without justifiable grounds as prohibited discrimination. However, while limiting the scope of covered workplaces by listing the types of legitimate convenience, the reason for claiming is widely recognized, and in determining whether it is excessive burden or undue hardship, the possibility of external funding is not considered.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duty to provide legitimate convenience in APDPD is not based on an unchanging neutral and objective standard. As the ripple effect of APDPD is so great,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and the types of legitimate convenience need to be determined through social consensus while considering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this process, efforts to improve the APDPD must also be carried out by referring to the ADA.

      • KCI등재

        위례 신도시 공유 전동 킥보드 GPS데이터 분석을 통한 이용실태 분석 및 개선사항

        홍석도(Seok-Do Hong),유연우(Yen-Yoo Yo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개인교통수단(PM, Personal mobility)이란 신개념 교통수단으로 전기를 이용하여 1인 또는 2인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다. 개인교통수단은 목적지까지 차를 타기에는 너무 가깝고 걷기에는 멀게 느껴지는 애매한 거리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최근에는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물론 거리의 보행자, 도로의 운전자에게도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퍼스널모빌리티 이용환경 구축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공유 전동킥보드의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상 속 이용실태를 세밀하게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둘째, 공유 전동킥보드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으로 직접 대여 반납 할 수 있어 편리하며 이동 할 때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대여하고 목적지 앞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성도 굉장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주된 대여, 반납 장소를 찾고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무질서한 기기 배치, 이용지역 확장 보다는 사용이 많은 장소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대여와 반납에 대한 세심한 접근을 한다면 이용자와 보행자에게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ersonal mobility (PM) is a new concept of transportation used by one or two people using electricity. Personal transportation aims to move quickly and conveniently over an ambiguous distance that is too close to the destination and too far to walk. In particular, as electric kickboard sharing services have become more common in recent years, they are receiving great popularity from citize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n alternative solution as it is acting as a risk not only to users but also to pedestrians and road drivers. Therefore, in order to present measures to establish and improve a safe personal mobility utiliza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based on GPS data from shared electric kickboards, the usage status in everyday life was examined and analyzed in detail. Second, it is convenient to rent and return shared electric kickboards directly to applications regardless of time, and it is highly accessible to rent them from their location and reach their destin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careful access to rental and return could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users and pedestrians by installing a cradle in a place where there is more use than disorderly device placement and expansion.

      • KCI등재

        석탑의 불연속면 거칠기에 따른 구조거동평가

        홍석일(Hong, Souk-Il),신효범(Shin, Hyo-Bum),김덕문(Kim, Derk-Moon),김호수(Kim, Ho-Soo) 대한건축학회 2011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7 No.10

        Generally, stone pagoda 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by stacking the masonry stone members. The problem about the safety and stability of masonry stone structure is due to the structural behavior of discontinuum surface between the contact stones rather than the failure by the lack of material strength. The masonry stone structure has the big difference with the analysis method of continuum structure as discontinuum structure. Therefore, the masonry stone should be treated as discontinuum structure that can express mechanical behavior of discontinuum surface between the contact stones. The friction between contact stones of discontinuum structur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behavior of discontinuum surface. Especially, the roughness of discontinuum surface affects the friction. Therefore, we carry out the direct shear test of discontinuum surface fo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behavior according to roughness of the discontinuum surface of stone pagoda and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um surface according to various roughness. Also, we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um surface to stone pagoda model. Finally, we estimate the structural behavior of stone pagoda according to the friction of discontinuum surf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