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랭 바디우의 진리, 사건 그리고 주체

        홍기숙 ( Ki Sook Hong ) 한국해석학회 2015 해석학연구 Vol.36 No.-

        “바디우의 주체개념은 근대의 사유를 잇는가?” 본 논문은 알랭 바디우의 진리와 사건, 주체 개념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가 주장하고 있는 진리에 대한 사유의 정당성이 요청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바디우의 철학은 존재론으로 그리고 진리와 주체이론으로 대표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진리와 주체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논의의 내용과 의의를 살핀다. 과연 그의 전체 철학 내에서 진리 문제가 갖는 함의와 이 시대 속에서 그가 강력하게 주장하고자 하는 진리와 주체에 관한 이야기는 무엇인가? 바디우의 철학을 근거 짓고 있는 주된 개념들, 즉 진리와 주체 혹은 윤리라는 개념의 내용은 근대적 개념과는 사뭇 다르다 하더라도 근대사유의 연장선상에서의 요청과 당위성을 외치고 있는 만큼 시대적 분별력과 설득력을 지녀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바디우의 진리, 사건, 주체 개념이 그의 철학 내에서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으며, 특별히 『성 바울』이라는 저술과 그의 “사랑”이라는 개념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고찰하고 있다. 형이상학적 초월성이나 영원불변함 혹은 규범적인 성문화된 “진리”가 아니라, 일반적 상식과 지식으로 분별불가능한, 그의 표현대로 말하자면 “백과사전적 지식에 구멍을 뚫는” 진리는 사건이라는 우연적 도래를 그 특징으로 갖고 “모두에게 전달된다”는 보편성을 담지한다. 이러한 진리는 주체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이 주체는 실존적이지도 실체적이지도 않은, 말하자면 고전적 주체 개념과는 단절된 개념이다. 예측불가능한 “사건”에 의해 짜여지게 되는 이 주체는 공백의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며 진리를 향한 충실성을 강제성에 의해 부여받게 된다. 그리고 도래할 “진리”를 향해 나아간다. 진리와 사건, 주체는 바디우의 현 시대를 향한 처절한 개입이며 그 결과이고 또한 집요한 사유의 승리이다. Le concept du sujet chez A. Badiou, poursuit-il la pensee moderne ? A. Badiou soutient que ce qui nous est prescrit est un pas de plus dans la mderne, et non le passage a sa limite, soit le post-moderne, soit l``autre. Le propos de ce memoire est a examiner le probleme de la verite, de l``evenement et du sujet chez A. Badiou et a demander sa legitimite dans cette epoque. La pensee phiosophique chez A. Badiou est concernee par les duex domaines, c``est-a-dire d``un cote celui de l``ontologie comme presentation, d``autre cote celui de la verite, de l``evenement et du sujet. Cette fois-ci, nous considerons en limitant le recherche au probleme de la verite, de l``evenement et du sujet chez A. Badiou. Le premier chapitre s``accorde alors a consideration du probleme de la verite, de l``evenment et du sujet chez Badiou. Il insiste qu``≪une verite fait trou dans le savoir≫. C``est-a-dire que la verite ne peut pas saisir par la connaissance ou le savoir dans une situation consedere. Elle est toujours surnumeraire et indiscernable. Toute verite se tisse par le hasard de l``evenement qui est la matiere du sujet, alors elle vient toujours post-evenementielle. La deuxieme partie dans laquelle nous traitons ces concepts plus concretement est constituee par sa pensee de son oeuvre Saint Paul ou le surgissement du sujet chretien se commence par l``evenement, ou par le foudroiement comme Paul. Alors St. Paul pour Badiou est un penseur-poete de l``evenement ou plutot un militant. Et la troisieme partie consiste a situer le probleme du sujet dans une procedure generique de la verite. Son titre est l``amour comme une procedure generique de la verite. Nous traitons ses concepts ci-dessus dans le cas de l``amour. Et nous concluons ce memoire par cette question: “Pouvons-nous penser un sujet sans objet?”

      • KCI등재후보

        “순수다자”로서의 존재와 “일자”로서의 진리 : 알랭 바디우의 “존재와 사건”

        홍기숙(Hong Ki-soo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6 사회와 철학 Vol.0 No.12

        순수다자”로서의 존재와 “일자”로서의 진리라는 큰 제목 하에 이 논문은 바디우에게 있어서의 존재문제와 진리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그러나 내용의 방대함을 이유로 이 번 논문은 그 시리즈 중 첫 번째 것이 될 수밖에 없으며, 여기선 주로 바디우의 “존재문제”에만 집중하여 다루었다. 특히 바디우가 플라톤의 깃발을 높이 치켜세운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또 그의 존재론적 개념은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그의 저서『존재와 사건』을 통해 의미를 좁혀 집약적으로 보고자 하였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들뢰즈와의 연관 속에서 플라톤의 독해를 중심으로 두 철학자의 대립지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바디우의 존재론은 하이데거의 “존재와 존재자”간의 구분을 따르는 사유체계로서 이전의 철학적 전통과 많은 부분 결별을 이루고 있으면서도, 철저히 서양 존재론의 역사 한 가운데 서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첨예한 논쟁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의 존재론은 “일자란 없다”로부터 출발하여 “순수다수”로서의 존재 혹은 “공백”으로서의 존재를 말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현존”과 구별되는 용어로써 “현시”라는 개념 하에 펼쳐지는 그의 존재 개념은 수학 안에 존재론의 역사를 위치 지운다. 플라톤의 사상에서도 역시 바디우는 “일자”는 버리고 “다자”만 취하며, 들뢰즈의 “플라톤 뒤집어엎기”에 반하여 그 근거와 타당성 없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바디우에 대한 평가보다는 그의 철학에 대한 연구의 첫 발 딤딤에 만족하고자 한다. 이어 나올 연구논문 속에서 지금은 잘 정리되어 있지 않지만 그에 대한 평가를 어느 정도 이루어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 KCI등재

        인지면담을 이용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모델 개발

        김신미,영선,선우,김진실,기숙,Kim, Shin Mi,Hong, Young Sun,Hong, Sun Woo,Kim, Jin Shil,Kim, Ki 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feasible form of a Korean version of advance directives (K-AD). Methods: Sixteen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0 aged 20~50 years and nine aged 65 years or older. Using a draft version of the K-AD, cognitive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to establish a culturally acceptable form of advance directives whose directions can be understood and responded accordingly by the general population. Results: Cognitive interviews revealed areas of concerns for the draft version of K-AD: lack of instructions or clarity for technical and medical terms, context complexity and inadequate response categories. The draft version was revised by rewording, offering examples and rearranging the context. Editorial style was added with appropriate uses of bold fonts, bullet-points and underlines to facilitate interviewees' cognitive responses. Conclusion: Study results feasibility of the revised version of the K-AD. Further study should be performed with a larger number of participants to develop a K-AD with an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의료의향서 사용 집단을 대상으로 초안에서 도출된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콘텐츠의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실제 사용자 집단에서 인지적, 심리적 및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문장과 문항으로 구성된 문서를 구축하여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실제 사용자인 일반 성인의 보건의료정보 문해력과 정서적 수용성 및 작성 과정을 고려하여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초안을 바탕으로 인지면담(Cognitive Interviewing) 방법을 통한 문항 개발 과정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9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포함한 16명의 인지면담에 장애가 없는 성인이었다. 결과: 총 2회기에 걸친 인지면담 결과를 분석한 후 최종적으로 3개 속성(가치관, 의료지시[9문항] 대리인 지정)을 중심으로 총 430개 단어로 구성되는 모델을 확정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문서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인지면담을 사용하였으며 그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최종 모델을 위해서는 대규모 양적 연구를 통해 가용성을 검증하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여 모델을 확정하는 과정이 포함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Serial Brain MRI Findings in CNS Involvement of Familial Erythr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A Case Report

        조경수,유정현,서정수,유경하,홍기숙,김학진,Cho, Kyung-Soo,Yoo, Jeong-Hyun,Suh, Jeong-Soo,Ryu, Kyung-Ha,Hong, Ki-Sook,Kim, Hak-Jin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3

        Familial erythr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is a fatal early childhood disorder characterized by multiorgan lymphohistiocytic infiltration and active hemophagocytosis. Involvement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is not uncommon and is characterized by rapidly progressive tissue damage affecting both the gray and white matter. We encountered a case of familial erythr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with CNS involvement. Initial T2-weighted MRI of the brain demonstrated high signal intensity in the right thalamus, though after chemotherapy, which led to the relief of neurologic symptoms, this disappeared. After four months, however, the patient`s neurologic symptoms recurred, and follow-up T2-weighted MR images showed high signal intensity in the thalami, basal ganglia, and cerebral and cerebellar white matter. Brain MRI is a useful imaging modality for the evaluation of CNS involvement and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가족성 혈액탐식성 림프조직구증다증은 여러조혈기관에 림프조직구가 침윤하며 주로 적혈구를 탐식하는 좨?막?유아기에 발현하며 예후가 매우 불량한 좨?甄? 이 좨??중추신경계의 침범은 드물지 않고, 냅?백졀 회색좇?모두 침범하여 신경손상, 신경교종, 괴사와 탈수초화를 일으킨다. 응湄湧?경험한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가족성 혈액탐식성 림프조직구증다증 1예는 T2강조영상에서 우측 시상에 고신호 병변이 있쒼?이는 화학요법 후에 신경학적 증상의 호전?함께 소실되쓴? 4개월 후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며, 시상, 대낢袖핵, 대냄?소냅?백좆?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 병변들이 관찰되쓴? ?자기공명영상은 가족성 혈액탐식성 림프조직구증다증의 환자에서 중추신경계의 침범을 진단하고 치료 효갭?판정하며 재발을 발견하는 데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 SCOPUSKCI등재

        유아원 소아의 구인강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군과 항균제 내성에 관한 연구

        김경효,이종은,황일태,유경하,영미,김경희,이근,강은숙,홍기숙,Kim, Kyung Hyo,Lee, Jong Eun,Whang, Il Tae,Ryu, Kyung Ha,Hong, Young Mi,Kim, Gyoung Hee,Lee, Keun,Kang, Eun-Suk,Hong, Ki-S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3

        목 적: 폐구균은 영유아와 소아에서 세균성 뇌막염, 중이염, 부비동염 등의 주요한 원인균으로 혈액과 중추 신경계로 전파가 잘되며 사망률이 높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페니실린은 물론 여러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폐구균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의료계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폐구균의 상기도 보균율과 항균제 내성 양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임상에서 경험적 항균제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연구자는 서울 지역 유아원에 다니는 5세 이하 소아에서 폐구균의 상기도 보균율과 혈청군 및 분리된 균의 항균제 감수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 법: 1998년 3-6월까지 서울지역의 5개 유아원에서 5세 이하 소아 209명을 대상으로 소독된 면봉으로 이들의 구인강 점막을 세게 문질러 검체를 얻고 이 중 63명에서 폐구균을 분리하였다. 이 때 폐구균은 형태, optochin 검사, 그람 염색, 및 catalase 검사로 동정하였다. 이 중 구인강에서 분리된 폐구균 59균주를 대상으로 penicillin, cefotaxime, vancomycin, chloramphenicol,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etracycline, erythromycin, oxacillin, ciprofloxacin에 대해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폐구균의 혈청군은 48균주에서 검사가 가능하였으며 group specific antisera를 이용한 Quelling 반응으로 미국의 Birmingham에 있는 University of Alabama에서 시행하였다. 결 과: 전체 소아의 구인강에 존재하는 폐구균의 보균율은 30.1%이었으며, 연령별로는 1세 미만은 없었으며, 1세가 25%, 2세가 16.1%, 3세가 31%, 4세가 34.4%, 5세가 33.3%였다. 폐구균에 대한 항균제 내성 양상을 보면 tetracycline은 89.8%, erythromycin은 76.3%, oxacillin은 72.4%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은 58.6%, chloramphenicol은 22.0%, cefotaxime은 6.7%의 내성율을 보였으며, vancomycin에 는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페니실린 내성율은 66.0% 이었고 페니실린 감수성 균주와 내성 균주에서의 타 항균제에 대한 내성 비교시 페니실린 감수성 균주의 경우 cefotaxime, vancomycin, ciprofloxacin 등에 모두 감수성이 있었으며, tetracycline,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erythromycin, oxacillin에 21-75%의 내성을 보였다. 반면 페니실린 내성 균주의 경우 cefotaxime에 58.3%의 내성을 보였으며, tetracyclin, oxacillin, erythro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각각 94.8-97.4%의 내성을 보여 대체로 페니실린 감수성 균주는 다른 항균제에도 감수성을 보였으나, 페니실린 내성 균주는 타항균제에도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페니실린 다제 내성균주는 76.3%였다. 혈청군 검사가 가능하였던 49균주 중 혈청군 19가 12례로 가장 많았고 6이 9례, 3이 8례, 23이 6례, 29가 5례, 그밖에 13, 14, 16, 22, 31 및 34형이 있었다. 혈청군에 따라서 페니실린 내성에도 차이를 보여 혈청군 19, 23 및 29에서는 모두 감수성이 없었으며 혈청군 6에서는 1균주에서 감수성이 있었으나 혈청군 3에서는 7균주에서 감수성이 있어 혈청군에 따라 penicillin에 대한 감수성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 론 : 유아원 소아 중 30.1%의 구인강에서 폐구균이 분리되었고, 분리된 폐구균은 페니실린을 비롯한 여러 항균제에 높은 내성율을 보였다. 구인강에서 분리된 폐구균 중 혈청군 19가 가장 많았고 6, 3, 23, 29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폐구균은 혈청군에 따라서 페니실린 내성에 차이를 보여 주었다. 폐구균의 내성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항균제의 적절한 사용과 유아원과 같은 집단시설의 환경 개선, 2세 미만 소아에게 적절한 백신 개발 및 예방접종 등 적극적인 노력이 수반되 Purpose : Penicillin- and multidrug-resistant S. pneumoniae poses a serious threat to clinicians because the rate of resistance of S. pneumoniae to penicillin in Korea has surged up to the world's highest leve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arriage rate, serogroup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 pneumoniae isolated from oropharynx in children. Methods : From March to July 1998, 209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were recruited from five day care centers. The carriage rate for pneumococci was obtaine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were determined with the E-test and agar dilution methods. Serogrouping was performed on 48 of the pneumococcal isolates by the Quellung reaction. Results : The carriage rate of S. pneumoniae was 30.1%.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were available for 59 of the isolates. Sixty-six percent of isolates were not susceptible to penicillin, and multidrug-resistance was observed in 76.3% of the isolates. A high proportion of the penicillin-resistant strains showed associated resistance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etracycline, erythromycin, and oxacillin. The most prevalent oropharyngeal serogroups were 19, 6, 3, 23, and 29. Resistance of the pneumococcal isolates to penicilli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rogroups. All of the strains of serogroup 19, 23, and 29 was resistant to penicillin but 87.5% of serogroup 3 strains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Conclusion : The resistance rate of S. pneumoniae isolated from oropharynx in children was very high to penicillin and other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reduction of the drug-resistant rate of S. pneumoniae, clinicians should be required to be more judicious in their use of antimicrobial agents.

      • KCI등재

        한국판 사전의료의향서(K-AD)의 가용성 평가

        김신미(Kim, Shin Mi),선우(Hong, Sun Woo),김진실(Kim, Jin Shil),기숙(Kim, Ki Sook) 한국간호교육학회 2014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0 No.4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feasibility of Korean Advance Directives (K-AD) developed earlier. Method: From January 1 to February 28, 2013,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adults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established by the author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The feasibility of K-AD was multi-dimensionally evaluated through four criteria: cognitive, psychological, document making and socially expecting asp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s,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tests via the SAS 9.1.3 program. Results: The feasibility of K-AD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p=.003), educational level (p<.001), religion (p=.002),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p=.039).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asiness with K-AD by gender (p=.008) and education (p=.047) were significant. Perceived simplicity of AD differed significantly by religion (p=.005), and the necessity of AD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p=.025) and religion (p=.005). Conclusion: K-AD are sufficiently feasible to be tentatively utilized in practic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K-AD on the basis of multiple aspects. However, further studies involving diverse populations and methodologies to validate the usefulness of K-AD are warranted.

      • KCI등재

        자간전증과 저체중아 임신부에서의 혈청내 태반성장인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이제연 ( Je Yeon Lee ),양가영 ( Ga Young Yang ),박소연 ( So Yeon Park ),홍기숙 ( Ki Sook Hong ),오세진 ( Se Jin Oh ),박미혜 ( Mi Hye Park ),전선희 ( Sun Hee Chun ),김영주YoungJu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1

        목적 임신과 관련된 태반질환은 임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태반성장인자(placental growth factor, PlGF)는 여러 혈관생성인자 중 하나로, 자간전증 시 태반과 혈액에서 감소하며, 저체중아 임신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조군과 자간전증군, 저체중아군의 혈청 PlGF 농도의 비교를 통해 임상적인 진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40명의 정상 대조군, 30명의 자간전증군, 30명의 저체중아를 가진 산모군에서 혈청 샘플을 채취하였으며, 혈청 PlGF 수치는 TriagePlGF검사를 통해 측정되었다. 통계방법은 Kruskal-Wallis test와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를 이용하였다.결과 자간전증 임신부의 혈청 PlGF (21.17±15.27 pg/mL)는 정상군(133.70±158.80 pg/mL)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 <0.01), 저체중군에서의 혈청 PlGF (95.65±210.36 pg/mL)는 정상군에 비해 낮은 농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혈청 PlGF는 대조군에 비해 자간전증군과 저체중군에서 감소되었으며, 자간전증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추후 전향적 연구와 같은 추가적 연구를 통해 혈청 PlGF 수치는 자간전증 및 저체중군의 위험도를 가지는 여성에서 진단척도로서의 유의한 지표가 될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Objective Placental growth factor (PlGF) is one of the many angiogenic factors, which is decreased in placenta and serum during preeclampsia (PE) and also associated with pregnancies complicated by small for gestational age. In this study, we compared serum PlGF levels with different groups (controls, PE patients, pregnant women with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and evaluated the usefulness of PlGF for diagnosis. Methods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time of delivery from 40 women with uncomplicated pregnancies, 30 women with PE, 30 women with pregnancies complicated by SGA fetuses. Serum PlGF level was measured in all the samples using Triage PlGF test. We used the Kruskal-Wallis test and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Results Maternal serum PlGF concentration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E (21.17 ±15.27 pg/m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complicated pregnancies (133.70 ±158.80 pg/mL, P <0.01) and PlGF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SGA fetuses (95.65 ± 210.36 pg/mL)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Decreased PlGF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E and SGA, PlGF concentration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complicated pregnancies. By further prospective investigation, we may expect that the PlGF levels during pregnancy will be a marker to identify women at risk for the development of PE and SGA.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Im^Rx, Abbott)를 이용한 혈청 Thyrotropin(TSH)의 측정

        홍기숙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6 No.1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 (MEIA) for thyrotropin (TSH) was evaluated and resultswere compared with those of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procedure. Coefficient ofvariations of within day precision was 3.8-9.6% and those of between day precision was 3.6-17.2%. Correlation between the MEIA(Y) and two site IRMA(X) was excellent (Y= 1.0445X-0.1538. r=0.9948). The sensitivity of the assay (mean± 2 SD of the zero standard) was 0,0158μIU/ml. The concentration measured in 497 healthy subjects were ranged from 0.2-3 μIU/ml(mean 1.37 μIU/ml. SD 0.59). Conclusively, MEIA is more fully automated than IRML well correlated with IRMt canbe reliable method for screening test of thyroid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