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시민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정당화 논리로서 ‘Cogito ergo sum’

        사회와철학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2009 No.17

        <P>이 글은 데카르트 철학―특히 그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에 따른 새로운 철학체계의 정립 의도 및 방법론적 전략―에 관한 지금까지의 관행적인 해석상의 문제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해 봄으로써 ‘텍스트 중심주의’에 지나치게 한정하여 이루어진 ‘전통적인 데카르트 상(像)’에 반(反)하여, 데카르트 철학과 그 근본토대로서 ‘Cogito ergo sum’을 17세기 당시의 시ㆍ공간적 맥락과 현실적 상황에 연관지어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비판적으로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글은 무엇보다 철학의 제1원리로서 기능하는 ‘Cogito ergo sum’과 그것에 기초한 데카르트의 철학적 기획은, ‘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던 17세기 당시 유럽의 ‘낡은 신분제적 질서’를 타파하고 ‘인간 중심의 근대 시민사회’를 건립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한편으로는 그러한 근대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 구현의 ‘이념적 정당화 논리’로서 개진된 것이라는 점을, 다른 한편으로는 그처럼 탈종교적이며 탈신분제적인 근대적 시민사회 질서를 구현해 나갈 선도적 주체로서 당시 부상하고 있던 ‘시민계급’의 시대적 역할과 이해관계를 대변하고 옹호하는 ‘계급적 정당화 논리’로서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사회철학의 관점에서 규명해 보고자 한다.</P>

      • KCI등재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와 현실 권력 추수주의의 결합 : 김형효의 자생적 철학체계 수립 기획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김형효는 본래 서구철학의 본산지라고 할 유럽의 한복판에서 서양의 철학과 사상, 문화를 공부했으며 그에 심취했던 전형적인 유학파(留學派) 철학자였다. 그럼에도 70년대 초반, 패기만만한 소장 사회철학자 김형효는 ‘한국적 특수성의 체험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보편적 이론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지적 모험과 고민에 빠져 있었다. 아울러 그 방향으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를 정립해 나가고자 시도하였다. 그렇게 해서 (잠정) 도달한 곳이 ‘양가성(兩價性) 논리에 기초한 (사회)철학체계’이다. 김형효는 그 같은 자신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한국사회의 현실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자 했으며 실제 정치일선에 뛰어들어 사회현실의 변화를 꾀하고자 기도하였다. 곧 그의 현실 참여적인 철학적 움직임은, 박정희 유신정권을 거쳐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에 이르기까지, 정치 현장에 적극 개입하여 정책 수립에 관여하는 등 예의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수행을 통해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문제는 김형효가 구상하여 제시한 나름의 ‘독창적인’ 철학적 사상체계가 ‘과연 고유한 자생적 철학체계로서의 자격 조건을 갖추고 있는가?’하는 점이다. 더불어 ‘그러한 문제성 있는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감행된 현실 정치에로의 개입이 제대로 된 철학적 방향성과 규범적 정당성을 지닌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방식이었는가?’하는 점도 깊이 있게 검토해 봐야 할 또 다른 중요한 문제점이다. 이러한 물음들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은 1970년대 유신정권과 뒤 이은 80년대 신군부 군사독재 정권 하에서 선도적인 현실 참여적 사회철학자로서 맹활약했던 김형효의 독창적 철학체계의 본질과 실체를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도 외래 (서구)철학에 대한 각주달기 철학에서 벗어나 고유한 사상체계를 수립하고자 했던 그의 ‘자생철학 수립 기획’이 애초의 목표와 달리, ‘독재 정권의 이념적 정당화 기획’으로 변질되게 만든 ‘근본 원인’을 비판적으로 폭로해 보여주는 데 주안점이 두어져 있다. 곧 그러한 원인은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에 자리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그것이 현실 권력에 대한 무반성적 추수주의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결정적으로 초래된 것이라는 점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여 주고자 한다. In the early 1970s, Kim Hyung-Hyo as an ebullient young philosopher was caught in the serious intellectual agony on the philosophical theme, that is to say “How can a universalist philosophical thoughts system be created based on Korean unique specificity of situation?” Thus in that direction displaying the creative imagination, Kim tried to establish his own original practical philosophy type. In so doing, the destination at which he had arrived temporally was the social philosophy type based on ‘the logic of ambivalence’. Also in reliance on such his own proper practical philosophy type, Kim Hyung-Hyo made an attempt to engage himself directly in the various politicalsoci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For example, he really plunged into the full-time politics and endeavored to solve and change the difficult political-ideological situations and obstacles, from Park"s Yooshin Regime to Chun"s Neo-Military Dictatorial Regime. The question is “Did Kim"s original philosophy type ‘in his own way’ fulfill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as the proper spontaneous philosophical system?” Besides, “Was his philosophical intervention into the real politics on the basis of such a problematic philosophy type an appropriate way of actual doing-philosophy which has the philosophical directivity and the normative justification?” is another important question which is to examine critically. Taking these controversial point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critically and closely the essence and substance of the original philosophy type of Kim Hyung-Hyo who played very actively as both a representative reality-participant social philosopher and a leading system-advocation ideologue under the dictatorial regimes over two decades from 70s to 80s. Above all, this essay tries to do its best in order to disclose critically the fundamental cause that allows Kim"s project of establishment of spontaneous philosophy type to change into the project of ideo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dictatorial regime, contrary to its initial intention and purpose. Name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explicitly the fact that the critical cause of such deteriorated change lies i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t the same time it comes to appear definitely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nd the blind conformism toward real dominant power.

      • KCI등재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촛불 시위와 4차 산업혁명

        김광식(Kim, Kwangsi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3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촛불 시위가 연인원 1500만 명을 넘어섰다. 인공지능 알파고가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들을 상대로 60판 연승을 거두었다. 이는 인공지능 주도의 자동화를 핵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의 예고편이다. 이 글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점에서 촛불 시위의 의미 또는 역할이 무엇인지, 더 나아가 그 철학적 의미 또는 철학자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답을 인지문화철학1 )의 관점에서 찾고자 하였다. 촛불 시위는 시대를 진단하고 주요 문제를 성찰하고 해결책을 찾는 기회다. 지금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대이며, 일자리 문제가 주요 문제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10년 안에 지금 일자리의 절반이 대체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따라서 촛불 시위는 일자리를 청구할 노동 청구권을 요구해야 한다. 또한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저항 의지를 기르기 위해 광장 정치를 제도화하고 일상화해야 한다. 철학자는 그것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해야 한다. 인간에게 노동은 생존 수단을 넘어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실현하는, 인간다움의 본질적 조건이다. 마뚜라나의 인지철학에 따르면 인식은 한 생물이 특정한 환경 안에서 자기 세계를 만듦으로써, 그 생물이 그 환경 안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 있는 행위다. 내가 누구라는 인식, 곧 자아정체성은 특정한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그 환경 안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 있는 특정한 행위 방식이나 경향성이다.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그 환경 안에서 계속 살 수 있도록 하는 효과 있는 대표적 행위가 바로 노동 행위다. 거듭된 노동 행위를 통해 몸에 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특정한 행위 방식이나 경향성이야말로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광장 정치의 제도화 및 일상화는 저항 의지를 몸에 배게 할 수 있다. 마뚜라나의 자기생산체계이론에 따르면 사람을 포함한 생명체의 행위를 결정하는 것은 머릿속 앎이기보다는 생명체의 몸에 밴 행위 방식이나 태도다. 행위 방식이나 태도를 몸에 배게 하려면 거듭 되풀이하여 특정한 방식의 행위를 해야 한다. 생명체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상호작용 행위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상호작용 행위 생산 방식도 생산한다. 이렇게 거듭 되풀이되는 상호작용 행위 생산 방식의 생산을 통해 특정한 상호작용 행위 생산 방식이나 경향 또는 태도가 몸에 배게 된다. 따라서 광장 정치의 제도화 및 일상화는 거듭된 저항 행위를 통해 저항의지를 몸에 배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철학적 정당화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더 깊고 다양한 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철학자는 연구에 그치지 말고 그 연구 결과로 대중을 설득하는 작업도 해야 한다. The candlelight demonstrators, who demanded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exceeded 15 million. Artificial Intelligence Alpha Go has won the 60th straight victory against the best players of the world. This is the trail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re of which 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driven automation. T his article searched for the meaning and role of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at th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lso the philosophical meaning or the role of the philosopher on the ground of the cognitive-culture philosophy. Candlelight demonstrations are an opportunity to diagnose the times, to reflect on major problem sand to find solutions. It is now ahea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ssue of jobs is a major problem. Experts expect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 ill replace half of jobs in ten years. Therefore, candlelight demonstrations should demand the right to claim jobs. Also, w e should institutionalize and regularize the square politics in order to raise the w ill to resist. Philosophers must philosophically justify it. Labor is an essential condition of hum an nature, which form s and realizes self identity beyond the means of survival. According to Maturana"s cognitive philosophy, cognition is an effective act that allows a living system to live in its environment by creating a world in a particular environment. The perception of who I am, self identity, is a specific way of acting or a tendency that is effective in enabling me to live in that environment while interacting with it. It is labor practice that is an typical effective act that enables people to continue to live in the environment while interacting with it. The specific way of acting or tendency that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which is embodied through the repeated labor ac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nd realizing self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will of resistance can be embodied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regularization of the square politics. According to Maturana’s theory of autopoietic systems, it is the manner or attitude of the act, which is embodied, rather than the know ledge in the head to determine the act. If you w ant to keep the way of behavior or attitude embodied, you have to do it again and again in a certain w ay. In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a living system produces not only its own interactive behaviors, but also its own w ay to produce interactive behaviors. Through this repeated production of its own ways to produce interactive behaviors is its own way, tendency or attitude to produce interactive behaviors embodied. Therefore, if the square politics is institutionalized and normalized, the will of resistance can be embodied through the repeated act of resistance. This philosophical justification is only an example, and a deeper and diverse philosophical study is needed. However, philosophers should not only research but also persuade the public with the result of the research.

      • KCI등재

        역사 철학적 관점에서 본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 : 헤겔의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를 중심으로

        남기호(Nahm, KiHo)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지금까지 출판된 여러 역사철학 강의 판본들과 달리 헤겔 자신은 단 한 편의 정서된 강의 원고를 미완의 형태로 남겼다. 이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는 이전 판들과는 상이한 특징들을 보여준다. 이 글은 이 원고를 중심으로 헤겔 역사철학의 기본 구조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철학이 단순한 신정론으로 머물러서는 안 되며 개념적 인식에로 나아가야 한다고 명시한다. 역사를 개념적으로 사유하는 고찰을 통해 인간에게 의식되는 세계정신이 결과로서 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정신은 그 동안 이성이 세계사를 지배해 왔다는 역사 철학적 반성 내용을 의미한다. 이러한 철학적 역사에서 세계사적 개인은 보편적 이성목적을 수단으로 자기목적을 추구한 인물로 고찰된다. 그러나 그가 투입한 유한한 이성은 보편적 이성목적과의 연관 속에서 그의 자기목적을 넘어서는 세계사적 사건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세계정신의 도구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구상 차원이긴 하지만 유일하게 이 원고에서 헤겔은 역사의 자기 의식적 주체에 의한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만이 역사 철학적 반성을 통해 획득한 세계정신의 법에 따라 변화를 법칙적인 것으로 하는 원리를 지닐 수 있다. 이 원리는 내용적으로 자유의 구체적 실현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정치적 혁신은 개별적 자기목적의 지양을 통해 보편적 이성목적을 도모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정신의 자기 의식적 자유 개념에 따른 현존제도의 끊임없는 혁신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헤겔 역사철학에서 역사의 초월적 주체 같은 것은 없으며, 오직 자기 이성의 유한성을 지양하는 인간만이 적극적인 역사적 주체로 설정되고 있음을 입증한다.

      • KCI등재

        비판에서 체계로, 다시 체계에서 비판으로 -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과 그 전개과정

        정성훈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3

        1990년대 한국의 ‘하버마스 이상열기’를 주도한 장춘익은 2010년대에 루만의 체계이론을 번역하고 연구했다. 그리고 이후 다시 비판이론으로 관심을 돌렸다. 이 논문은 장춘익이 독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한 후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썼던 글들을 토대로 그의 사회철학이 가진 문제의식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장춘익은 마르크스 이론을 모델로 경험적 분석과 비판적 관점이 상호 상승 작용하는 사회철학을 추구했으며, 이를 위한 오늘날의 유망한 이론으로 하버마스를 선택했다. 그리고 그는 비판의 측면과 경험적 측면의 두 측면에서 하버마스의 이론을 보완하고자 했으며, 특히 전략적 고려와 제도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보완 문제의식 속에서 그는 루만의 체계이론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게 되었고, 윤리학, 합리성, 여론 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다시 하버마스의 최근 저작에 대한 연구를 비롯한 비판이론 연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연구를 멈추게 되었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을 수평적 관계에 대한 지향을 중심으로 정리해보았다.

      • KCI등재

        국가사회주의 시민사회론 재고

        한승완(Han, Seung Wa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글은 동유럽 국가사회의의 변혁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여 북한 시민사회의 형성 전망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때 국가로부터 자율적인 저항적 시민사회라는 좁은 의미의 전형적 시민사회와 함께 비록 당-국가의 지배도구로 이용되며 그것에 종속되어있지만 지배체제의 이완기에 자율성을 회복하는 넓은 의미의 ‘준시민사회’로 국가사회주의 체제 하의 시민사회 개념을 확장하자는 제안에 주목한다. ‘공산주의적 권위주의 당지배체제’였던 폴란드와 헝가리에서 좁은 의미의 저항적 시민사회는 폭넓은 대중조직으로 발전하거나 다양한 제2사회의 형태들로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이들이 체제변혁의 구심점을 형성하였다. 반면 ‘공산주의적 전체주의체제’였던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에서는 좁은 의미의 시민사회는 활성화되지 못한 대신 당의 지도와 명령에 종속되어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재분화’되었던 ‘준시민사회’가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었다. ‘공산주의적 전체주의 체제’인 북한에서도 체제변혁에서 시민사회의 힘이 작용한다면, 그것은 좁은 의미의 저항적 시민사회보다는 넓은 의미의 ‘준시민사회’ 부분에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북한 체제에 적극적으로 항거하는 일부 소수 행위자를 중심으로 한 저항적 시민사회의 형성에 대한 기대보다는 이러한 ‘준시민사회’의 ‘재분화’ 과정에 대한 연구와 주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In order to forecast the formation of civil society in North Korea, I review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state socialism in Eastern Europe. A noteworthy study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by adding an ‘semi-civil society’ to standard civil society definition. In Hungary and Poland were the resistant form of civil society in a wide range activated, while in Czechoslovakia and East Germany it is restricted to the small group of intellectuals. On the other hand, mass social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played a critical role here in the transition period, which were dictated by the party-state in the state socialism. If a force of civil society works in the system ransition of North Korea, the important role would be given to this part of ‘semi-civil society’ rather than the resistant form of civil society. In conclusion, I argue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romotion and the redifferentiation of this ‘semi-civil society’ in prospect of system transition in North Korea.

      • KCI등재

        한국사회 양극화와 다차원적 정의

        김원식(Kim, Woen-Sic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6

        한때 한국사회에 양극화라는 것이 과연 존재하는가에 대한 논란들이 있기도 하였지만, 현재는 양극화가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들 중 하나라는 점에 대해 모종의 사회적 합의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우에 따라 일종의 ‘신(新)신분사회’의 도래로 규정되기도 하는 한국사회 양극화는 부와 사회적 지위가 세습되는 전 근대사회로의 ‘퇴행’을 연상시키고 있다. 이는 한국사회 민주주의 체제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 제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글의 일차적인 목적은 한국사회 양극화 현상에 대한 보다 적확한 분석과 대안 모색을 위해서는 정의 개념을 분배 정의를 넘어 인정-무시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보다 다차원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는 데에 있다. 이는 기존의 양극화 논의에 대한 규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한국사회 양극화 현상의 다차원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업은 한국사회 양극화라는 사례를 중심으로 분배와 인정 개념을 둘러싼 비판이론 내부의 논쟁을 새롭게 평가해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아래에서는 먼저 한국사회 양극화에 대한 기존의 분석들을 통해서 우리 사회 양극화의 실태와 원인에 대해서 검토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양극화에 관한 논의 일반이 정의론과 가지는 관계를 먼저 살펴본 후, 한국사회 양극화를 정확히 진단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의의 내용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결론을 대신하여 이상의 논의들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하고 한국사회 양극화 극복을 위한 원칙적 방향을 모색해 본다. It seems to be a social consensus in Kora that social polarization now become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The social polarization in Korea, often called the advent of ‘new caste society’, gives the impression of the regression to premodern society. If this is the case, it means the rise of great threats to Korean democracy.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accurate diagnosis of social polarization in Korea to enlarge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In other words, the theory of justice must be multi-dimensional to be able to treat both distributive injustices and social disrespect simultaneously. This work can contribute to providing the normative frame to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social polarization in Korea, and help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 of it. Also it can contribute to reexamining the existing debates on the 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redistribution in critical theory by concentrating on the concrete situation in Korea. For this aim, firstly, I examined the realities and causes of social polarization in Korea through the existing empirical researches. Secondly, I considered the general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justice and the discussion about social polarization, and then argued that it is necessary for accurate diagnosis of social polarization in Korea to enlarge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Lastly, I explained the meanings of this work and suggested the principal directions of overcoming the social polarization in Korea.

      • KCI등재

        사회의 시선

        박구용(Park, Goo Yo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철학적 담론에서 사회, 사회적인 것의 지평을 되묻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사회 없는 사회비판’이라는 은유를 통해 사회를 비판의 주체가 아니라 대상으로만 취급하는 담론 상황을 문제로 설정하고(1), 사회적 지평의 규범적 정당화 가능성을 찾는다(2). 이 과정에서 필자는 자유의 개별성, 보편성, 특수성을 상호주관적으로 인정하는 개인들의 만남, 소통, 연대의 과정으로 사회에 대한 재규정을 시도한다. 그런 다음 필자는 칸트와 헤겔 철학에서 사회가 예정조화 틀로 변형되어 국가 체계로 포섭되는 과정을 비판한다(3). 마지막으로 필자는 자본 시장(회사)만이 아니라 국가행정의 권력 체계와 구별되면서 동시에 두 권력에 대한 실천의 비판의 가능성을 시민사회의 대의제에서 찾는다(4). This article aims to inquire a horizon of a ‘society,’ and the ‘social’ in the frame of philosophical discourses. For the purpose, I criticized a philosophical discourse, which regards a society only as the object of criticism, not the subject of criticism. Metaphorically speaking, the discourse is to ‘criticize a society, which does not exist.’ Second, I attempted to find a normative foundation of a social horizon. In the process, I tried to redefine a society as the process of meetings, communications, solidarity of individuals, who recognize individuality, universality, and speciality in the level of inter-subjectivity. I also criticized a process in which a society is transformed a state in the way of pre-established harmony in the theories of Kant and Hegel. Lastly, I suggested an alternative of a representative system of civil society, which distinguishes itself from not only capital market (company) but also a power system of the state administration.

      • KCI등재

        인지문화철학으로 되짚어 본 말투를 통한 사회변혁

        김광식(Kim, Kwangsi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30

        이 글은 문성훈 교수의 ‘반말공용화 비판’1 )에 대한 해명이다. 이 글은 적극적인 반론이 아니라 소극적인 해명이다. 문성훈 교수가 주장에 대한 나의 근거가 혼란스럽다고 비판하였기 때문에 그것을 해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혼란스럽게 느낀 것은 ‘선언’이라는 형식의 탓도 있겠지만 내 책임이 크다. 늦게나마 그 책임을 다하기 위해 이 해명을 썼다. 나는 내가 옳다는 주장을 펼치기보다 무엇보다 불가능하다거나 모순된다는 비판에 대해 이러저러한 점에서 가능할 수 있으며 모순이 아닐수 있다는 점을 해명하고자 노력했다. 나는 인지문화철학2 )을 바탕으로 반말공용화가 우리 사회의 불평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말공용화는 몸에 밴 저항적 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저항적 태도는 우리 사회의 불평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문 교수는 비판적 태도가 아니라 비판적 의식이 사회적 저항을 낳는다고 비판했다. 또한 그는 반말사용이 저항적 태도를 낳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사회적 불평등이 말의 불평등을 낳고 있지만, 말의 불평등을 해결한다고 해서 사회적 불평등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라고 비판했다. 저항적 태도가 먼저인지, 저항적 의식이 먼저인지는 쉽지 않은 문제다. 다만 나는 저항적 태도가 먼저라는 입장에서 모순 없이 반말공용화가 저항적 태도를 낳을 수 있으며, 반말공용화가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이려 했다. 먼저 인지문화철학을 바탕으로 태도가 의식과 행동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보이고, ‘저항적 태도가 몸에 밴 아랫사람들’의 저항적 태도가 저항적 의식과 행동을 불러일으켜 말의 형식적 평등으로나마 반말공용화 제도를 관철하면, ‘순종의 태도가 몸에 밴 아랫사람들’도 반말공용화라는 제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윗사람에게 반말행위를 하게 되고 그 반말행위에 붙어있는 몸에 밴 저항의 태도 때문에 처음에는 불편하지만 거듭되면 저항의 태도가 몸에 배게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이 저항적 태도가 저항적 의식과 행동을 불러일으켜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부디 불가능하다거나 모순된다거나 혼란스럽다는 비판에 대한 해명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dispute Moon’s critic on my thesis of the low form speech sharing. I argued the low form speech sharing is useful to solve the inequality structure in our society. Because the resistance attitude is necessary for the social resistance and it can be form ed by the low form speech sharing. Moon argued it is not the critical attitude, but the critical consciousness that bears the social resistance, and the low form speech sharing w ould not bear any of the critical attitude. Through all this argument he w ould show that the equality in the speech form would not solve the social inequalities, although the inequality in the speech form is a result of the social inequalities. All argument for the social action is in a social, historical context. I argue the resistant attitude is more important than the critical consciousness for the social resistance in our society of our times, and the low form speech sharing would bear any of the resistant attitude in our society of our times. Through all this argument I will show that to solve the inequality in the speech form by the low form speech sharing w ould be useful to solve the social inequalities, because the inequality in der speech form deepens the social inequality, although the inequality in the speech form is a result of the social inequalities.

      • KCI등재

        동네(neighborhood)는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에 힘을 발휘하는가?

        신희주(Heeju Shi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4

        이 논문은 산업화의 진전과 함께 사회 통합을 담당해 왔던 전통적인 공동체는 약화되는 대신 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가 형성되지 않은 채 발전해 온 한국의 도시 공간에서 어떻게 바람직한 공동체의 회복을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사회적 자본과 집합적 효능감이라는 요소를 지역사회 거버넌스라는 개념과 연결시켜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공동체적 가치와 좋은 공동체의 구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전의 연구들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을 많이 소유하고 있는 동네일수록 안전하고 건강하며 더 높은 삶의 질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논문은 전통적 형태의 결속력이 결여된 현대사회에서 이런 관계가 성립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 응집력과 비공식적 사회적 통제라는 개념이 결합되어 결정되는 집합적 효능감의 수준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높은 집합적 효능감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초로 정치적인 영역에서 집합적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거버넌스의 기본 요건이 된다. 따라서 동네주민들이 공동체적 삶의 형성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그 지역의 집합적 효능감을 높이는 것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 논문은 집합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1) 제도적 측면에서 공동체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우호적인 법률, 정치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2) 윤리적 측면에서는 정치적으로 옳지 못한 차별적 행위를 지양할 수 있는 반 차별정책을 강화해야 하고, 3) 공정한 사회적 관계를 저해하는 불평등한 노동조건에 대한 구조적 개선 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desirable local communities can be restored in South Korea where new types of communities to provide people with values and norms have not been built while traditional local communities have been weakened with the advances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s good communities and community values required in modern society by combining the concepts of social capital and collective efficacy with local governance. Prior research has emphasized that the neighborhoods with greater social capital are safer and healthier, and enjoy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less social capital. The author insists that this relationship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collective efficacy of which level is determined by how social cohesion and informal social control work together at local level. Also, the high level of collective efficacy is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good governance that facilitates empowerment of civil society in political are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ree strategies to heighten collective efficacy as follows: 1) a friendly legal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communities can function properly, 2) antidiscrimination policies that could check socially and politically incorrect discriminative behaviors should be reinforced, and 3) structural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unequal labor conditions that hamper just social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