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상자료 활용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홍경민,민천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08 통합교육연구 Vol.3 No.1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on the effects of the use of video materials on non disabled children attitude toward disabled children, with the object of providing field teachers with materials for their education to change non disabled children's attityde toward disabled childre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120 students from four 3rd grade and 5th 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without special classes in Gumi, and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n=60) and a control group(n=60), adopting true experimetal design. The present reseacher designed disabilty related video programs by disability area, and applied them twice a week for six weeks, so a total of 12 ses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atching disability related videos was effective in improving non disabled children attitude toward disabled children in their personal lif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3rd graders and 5th graders and between boys and girls. Second, watching disability related videos was effective in improving non 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ward disabled children in their school lif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3rd graders and 5th graders and between boys and girls. Third, watching disability related videos was effective in improving non 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ward disabled children in their social lif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3rd graders and 5th graders and between boys and girls. 본 연구는 영상자료 활용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대상은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미시 G초등학교의 3학년과 5학년 4개 일반학급 아동 120명이며, 2개반은 실험집단, 2개반은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여 진실험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는 영상자료 프로그램을 6주간에 걸쳐 매주 2회 총 12회기 동안 3학년 5학년 실험집단의 각 교실에서 적용하엿으며,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수용 태도 척도는 국립특수교육원(1997)의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에서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한 설문지 '나는 장애를 가진 친구와 이렇게 지내고 싶다'를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영상자료 적용전과 후의 수용태도변화를 개인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면에서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했으며, SPSS Version12.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 KCI등재

        고속 푸리에 변환을 기반으로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의 분석 속도 향상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홍경민,박락규,최인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0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4 No.2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DIC)은 reference image와 reference image가 변화된 후의 이미지에 대한 상관관 계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 기반의 계측 방법이다. 그러나 변화된 후의 지점을 추적하기 위해 관심 영역에서 변형된 시편의 모든 지점을 추적하려면 광범위한 반복 계산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적용했지만 큰 변형에 대한 추적은 쉽지 않다. DIC의 계산 속도를 향상시키고 상관 계수가 감소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위 피드백을 갖춘 새로운 FFT 기반의 상관 분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새로운 FFT 기반의 방법을 기존 DIC를 이용한 계산 속도와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계산 속도가 기존의 방법보다 약 3배 빠르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피드백 업데이트 없이 FFT-DIC에서는 10% 이상의 변형율을 추적을 못하지만, 새로운 알고리즘은 추적하는데 실패하지 않는다. Digital Image Correlation (DIC) is a measurement method based on image analysis that calcul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iginal reference image and the deformed one. However, an extensive iterated calculation process is required to trace every point on the deformed specimen in the area of interest.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 has been adopted to reduce the calculation time, but the FFT method easily loses tracking for large deformation. A new FFT-based correlation analysis algorithm with displacement feedback is proposed to improve the calculation speed of the DIC system and to prev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declining. The calculation rate using the conventional DIC method was compared with that using our new feedback FFT-based approach.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calculation speed of the proposed method was about three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 addition, no tracking failure comes out by our new algorithm even though only FFT-DIC without feedback updating lost tracking over 10% strain.

      • KCI등재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기반의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연구

        홍경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8 No.-

        The car is undergoing innovation in design and technology for user convenience consistently that transportation provides the most useful and affluent life in human life, both now and in the near future. User Centered Design i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businesses and users by that provide the appropriate cognitive language for users to learn and handle different uses that have elements reduce using errors and malfunctions. Apply this interactio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developing futuristic design by proposing car interior design by the intuitive design and innovative and creative ideas.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studied by applying the UI Design concept, which is essential for automotive design to develop car interior design that needs to be dedicated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is study derives keywords for car interior design and proposes to design ideas, sketches, final renderings with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is study, it is going to give a new direction to the modern interior design of automobiles for the basic concept of a car that needs to be designed for different social class that depends on analysis of the user interface orientation by the social stratum and based on this, the final design is presented. 현재 또는 근미래에서도 인간의 삶에 가장 유용하고 풍요로운 삶을 제공해주는 운송수단인 자동차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지속해서 디자인과 기술의 혁신을 진행하고 있다.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기업과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 사용자 가 다양한 사용법을 배우고 다루기 쉽도록 적절한 인지적인 언어를 제공하여 사용상의 실수와 오작동을 줄이는 요소를 가 지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적용하여, 직관적인 디자인과 혁신적이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적용한 자동차 인테리어 디 자인을 제안하여 미래적인 디자인의 발전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사장 심혈 을 기울여야 할 자동차의 인테리어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자동차 디자인에서 필수적인 UI Design 개념을 적용하여 연구하 였다.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맞추어 디자인 아이디어, 스케치, 렌더링까지 의 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디자인해야 하는 자동차의 기본 개념을 위하여 계 층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방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최종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 향후 근미래의 자동차 인테리어(Car Interior) 디자인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감성디자인에 의한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연구

        홍경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e number of factors exist in order to satisfy the completion of product design. Most of all, emotional design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factors. In particular, the next generation of trends in the field is sensory and emotional buying something on impulses are strong. In this study, emotional design trends based on various elements among the products and multiple used that selected the next generation laptop.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emotional design trend elements that how did being utilized, According to this studied the processes that were a direct help to reach design ideas by the design practices. Therefore, the research content of the paper understand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through characteristics of laptop that also analyze and produce emotional design trends based on elements by developing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A Study on the graft should be how to use in the next generation laptop.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to provide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design that based on the essential emotional design trends and analysis by applying emotional design element to the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The scope of study and research methods are and based on the concept of emotional design trends for the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Through this, the scope of research in a way to run a real generation laptop design development process by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trend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and it is not only about the next generation laptop designs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development by using on a variety of new product development. 제품디자인의 완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요인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감성디자인 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차세대(Next Generation)들의 추세는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구매 충동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 제품 중에서 차세대 노트북을 선정하였다. 차세대 노트북디 자인 개발과정에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디자인 아이디어 도출에 직접적인 도 움을 주는 과정들을 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따라서, 논문의 연구내용은 노트북 특성에 따른 감성디자인 개념을 이해하고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에 의한 감성디자인 트랜드 요소를 분석하고 도출한다. 이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안에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은 필수적인 감성디자인 트랜드에 대한 연 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 요소를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실무적인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 차세대 노트북디자인을 위하여 감성디자인 트랜드의 개념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을 기본으 로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한 감성디자인 트랜드를 적용한 실질적인 차세대 노트북디자인 개발과정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연 구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차세대 노트북디자인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신제품 개발에 활 용함으로써 디자인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다.

      • LLDPE/TPS 블렌드의 물성 및 생분해도

        홍경민,서석훈,김성보,신용섭,김봉식,신부영 한국공업화학회 2002 응용화학 Vol.6 No.2

        Thermoplastic starch (TPS) was prepared from starch, sorbitol and PCL by twin extruder and then blends were prepared from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TPS. Mechanical properties, thermal properties, and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and also biodegradability was studied by using aerobic composting method (ISO 14855). Tensile strength, modulus and elongation at break decreased as the content of TPS increased. The melting temperatures of blends were not changed, so this showed that LLDPE and TPS were immiscible. The morphology of the fractured surface of blend film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fter 45 days composting, the biodegradability of blends increased as the content of TPS increased.

      • KCI등재

        Ultrasonic signal analysis according to laser ultrasound generation position for the detection of delamination in composites

        홍경민,강영준,최인영,김성종,이길동 대한기계학회 2015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12

        Carbon-fiber-reinforced plastic should be inspected in the fabrication process to enhance quality by preventing defects, such as delaminationand voids. Conventional ultrasonic evaluation methods cannot be applied during the fabrication process because they requirecontact measurement by a transducer. Thus, an optical method using a laser was employed in this study for non-contact ultrasonic evaluation. Ultrasonic signals were generated by a pulsed laser and received by using a laser interferometer. First, an ultrasonic signal was generatedfrom the back side of a material sample with artificial internal defects in the composite. The ultrasonic signal directed through theinterior of the specimen was then detected at the front side. After determining the locations of the internal defects, the defects were quantitativelyevalua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composite by using ultrasonic signal generation and reception.

      • KCI등재후보

        비주얼 마이크로 콤포 디자인 개발

        홍경민,홍성수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5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nd develop the using of a new environment and free style with ‘New Display UI’ and suggestion of the new concept of ‘Total Entertainment Audio System’ by the high quality sound system. In addition, the main function is very important visual sound and variety motion & video with listening to music. Therefore, the visual micro compo system was developed by the customer want to get and buy this charming product design with existing competitors have the basic design icons strategically. This design was developed by using the minimal design and simple design for a showing of the having a competitive price and luxurious design form. This design is value innovated product, so it is made of the interactive UI and touch sound by unique design. In other words, this study of design is making new concept visual audio system for the young generation with the ‘Video+Audio’ system. For this study, this design shape was applied by the searching a differentiated idea shape and model. After the analysis, the design was highlighted easy to use for the customer by the competitor’s new UI system. For this analysis of the customer prefer the Multi-Audio system, this ‘Private Display Entertainer’ design was made with new life style for the easy to use in personal space. In addition, this design can feel fun to use and listening to music with the control two fingers of the multi-touch UI function After the variety design study of the element analysis, as a result, visual micro compo system was designed by the new convenient UI function and structure. As the features of the results, this products were extracted the visual micro compo system of the new format home audio through emotional elements and consumer confid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환경 활용과 자유로운 스타일을 New Display UI와 고가의 음질을 가진 오디오가 결합된 신개념의 통합 Entertainment 기기를 제안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능으로는 가장 중요한 비주얼 사운드가 메인을 이루고 다양한 영상을 즐기면서 음악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주얼 마이크로 시스템은 전략적으로 기존의 경쟁사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디자인 아이콘을 접목하여 갖고 싶고 사고 싶은 디자인의 매력을 한층 더 발전시킨 것이다. 가격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해서 미니멀하면서 심플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발전하였다. Value Innovated된 제품으로 Interactive UI와 Touch Sound로 차별화를 이끌어 개발하였다. 즉, ‘Video+Audio’라는 제품의 제안으로 인하여 신개념의 오디오 디자인을 젊은 계층에 맞추어 혁신적으로 디자인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조형과 구조적으로 차별화되는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디자인 형상에 적용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의하여 경쟁사들의 새로운 UI의 시도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Multi-Audio를 선호한다는 분석을 통하여 New Life Style에 맞는 나만의 공간에서 간단한 설치로 사용할 수 있는 Private Display Entertainer를 디자인 개발하였다. 또한 Soud with Multi-Touch UI 기능을 만들어서 두 개의 손가락만으로도 쉽게 화면을 컨트롤할 수 있게 하였으며 만지만서 듣는 즐거움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새롭고 편리한 UI 기능과 구조를 디자인 제시 하였다. 이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Home Audio의 New Format을 제시하고 소비자들에게 감성적인 요소와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새로운 UI 디자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전략적 다이나믹 미니콤포 디자인 개발

        홍경민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5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nd develop a new concept design of dynamic mini compo system by a competitive price and combination with strategically small main sets and high-output mini compo system's speakers design images. Therefore, the mini compo system was developed by strategically existing the competitor's basic design icon and the appeal of the design which customer want to buy and get. Large speakers were applied to show the luxurious design shape and have a competitive price. This design was developed functional design and matching with luxurious strong contrast of black and titan silver for the special making of the delicate sound quality. For this study, this design shape was applied by the searching a differentiated idea shape and model. After the analysis, the design was highlighted easy to use for the customer by the big USB Port. This design shape shows the powerful elegant line, the luxurious form, the lighting and the interface for the using scene. In addition, for the feeling of the Hi-Output's sound quality the customer can control the function freely. After the variety design study of the element analysis, as a result, mini compo system was designed by the convenient interface, feature and function. The elegant and mechanical mini compo system's design was born by this research and study. As the features of the results, this products were extracted through emotional elements and consumer confidence for the customer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analyze the combination external design and internal fun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전략적으로 작은 메인 세트와 고출력 미니 콤포 시스템의 스피커 디자인 이미지와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개념의 다이나믹 미니 콤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니 콤포 시스템은 전략적으로 기존의 경쟁사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디자인 아이콘을 접목하여 갖고 싶고, 사고 싶은 디자인의 매력을 한층 더 발전시킨 것이다. 가격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고급스럽게 디자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해서 커다란 스피커의 형상을 적용하였다. 섬세한 사운드 퀄리티에 심혈을 기울이며, 블랙과 티탄실버의 고급스러운 강한대비의 칼라와 재질의 조화를 이룬 기능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조형과 구조적으로 차별화되는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디자인 형상에 적용을 하였다. 그 분석 이후에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USB포트를 강조하여 사용하기 편리하게 부각하였다. 강한 곡선을 이용한 세련미와 고급스러움 그리고 사용 환경을 고려한 조명 및 인터페이스 기능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고출력의 음질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소비자가 자유롭게 음질을 조절할 수 있도록 디자인 설계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사용하기 쉬운 기능과 구조를 디자인 하였다. 이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우아하면서 기계적인 형상을 가진 미니 콤포 시스템 제품디자인이 탄생하였다. 외적인 디자인과 내적인 기능의 연계적인 조화를 구체적인 결과물로 제시하여, 소비자들에게 감성적인 요소와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성공적인 디자인으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