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암환자와 건강한 성인의 스트레스 지각과 대응양상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비교

        허혜경,송희영,Hur, Hea-Kung,Song, Hee-Y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암환자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각 군에서 스트레스 지각, 대응양상 및 우울을 조사하고 스트레스 지각과 대응양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W시에 위치한 3차 병원에 내원하는 외래 암환자 139명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139명의 종 278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스트레스 VAS (Visual Analog Scale), 대응양상 측정을 위한 W.C.C.L (Ways of Coping Check List), 우울 측정을 위한 Depression Index 및 일반적 특성과 질병특성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암환자와 건강한 성인간의 스트레스 지각, 대응 양상 및 우울에 대한 비교는 교육수준과 평균수입을 통제한 ANC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암환자가 건강한 성인보다 스트레스 지각이 높았고 소망적 사고 대응이 낮았으며 우울이 더 높았다. 스트레스 지각과 우울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대응양상은 암환자에서는 조력추구 대응, 스트레스 지각, 그리고 교육정도의 순으로 우울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설명력은 20.2%였다. 건강한 성인에서는 스트레스 지각, 문제해결 대응, 그리고 조력추구 대응양상 순으로 우울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설명력은 30.7%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암환자의 우울 감소를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대응 전략 사용을 증진시키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대응양상의 선택과 사용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및 지원체계, 그리고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perceived stress and coping patterns, and their effects on depression between cancer patients and healthy adults.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with 278 subjects, consisting of 139 cancer patients and 139 health adults, living in an urban area.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llowing prerequisites; Stress Visual Analog Scale, Ways of Coping Checklist (W.C.C.L), Depression Index (CES-D), and Demography and Disease Data Questionnaire. Result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while wishful thinking was lower among cancer patients than healthy adults, after adjusting for education and family income which were not homogeneous between the groups. Among cancer patients, 20.2% of depression was mainly due to seeking support (10.7%), perceived stress and education, while 30.7% of depression in healthy adults was due to perceived stress, problem solving, and seeking suppor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to manage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best foster positive coping patterns and reduce perceived stress.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실습이 간호학생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허혜경,최향옥,정지수,강혜원,김기연,Hur, Hea-Kung,Choi, Hyang-Ok,Jung, Ji-Soo,Kang, Hye-Won,Kim, Gi-Yon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2 중환자간호학회지 Vol.5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arning outcome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emergency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in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ith 28 nursing students was used. Simulation-based practice on the basis of SimMan Human Patient Simulator including academic lectures, simulation lab exercises and debriefing was applied for four and half hours. The learning outcomes were assessed by measuring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process of cognitive skills, self-confidence and learning attitudes of affective domain. Furthermore, self report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psychomotor skills was examined. Results: After the completion of simulation-based practic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of following measured variables: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process of cognitive skills, self-confidence, learning attitudes of affective domai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psychomotor skill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learning outcome measurement variables. Conclusion: Simulation-based practice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cognitive skills, affective domain and psychomotor skills of nursing students. Hence, Simulation-based practice should be applied for improving current limited emergency care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enhancing students' competency in clinical situations.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이 외래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우울, 불안 및 기분에 미치는 효과

        허혜경,송희영,Hur, Hea-Kung,Song, Hee-Y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4

        목적: 종합병원 외래 주사실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 제공 후 우울, 불안, 긍정적 및 부정적 기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비동등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 실험설계로 연구의 대상은 원주시의 일 3차 종합병원 외래 주사실에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편의표집하여 대조군 34명 실험군 30명 총 6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과 질병특성, 최근에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 측정 문항, 그리고 각각 10 cm 시각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우울, 불안, 활기, 의욕, 희망, 긴장 및 무기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 1 가설인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처치 후에 우울과 불안이 더 많이 감소될 것이다'는 처치 후 실험군에서 우울(t=5.26, P<0.001)과 불안(t=5.07, P<0.001)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지지되었다. 제 2 가설인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처치 후에 활기, 의욕 및 희망이 더 증가될 것이다'는 두 군에서 활기, 의욕 및 희망의 처치 전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어 기각되었다. 제 3 가설인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처치 후에 긴장과 무기력이 더 감소될 것이다'는 처치 후 두 군 모두에서 긴장과 무기력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므로, 중재 전후 변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두 변수의 중재 전과 후의 차이값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검정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긴장(t=5.64, P<0.001)과 무기력(t=5.38, P<0.001)이 더 큰 감소를 보여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외래 주사실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동안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제공한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이 암환자의 우울, 불안, 긴장, 무기력을 감소에 유용함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좀 더 정련화된 중재의 개발과 효과검증을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effects of foot massage and supportive communication provided by hospice volunteers on depression, anxiety, and mood of cancer patients who are going under intravenous chemotherapy at out patient department (OPD).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Sixty-fou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out-patients setting in a university hospital by a convenient sampling. Two trained- hospice volunteers first provided regular hospice volunteer service to 34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Subsequently, foot massage and supportive communication were provided to 3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all participants answer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visual analog scales on depression, anxiety, and mood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 sample t-test, and paired t-test by PASW 17.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changes in negative moods, i.e. strain and powerless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control group; strain and powerless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foot massage and supportive communication provided by hospice volunteers.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of a brief and efficacious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with larger sample size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foot massage and supportive communication as a solid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who are undergoing intravenous chemotherapy at OP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저혈당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실습 수행 평가를 위한 임상판단 루브릭 적용

        허혜경,박소미,김기경,정지수,신윤희,최향옥,Hur, Hea Kung,Park, So Mi,Kim, Ki Kyong,Jung, Ji Soo,Shin, Yoon Hee,Choi, Hyang Ok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2 중환자간호학회지 Vol.5 No.2

        Purpose: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Lasater Clinical Judgment Rubric (LCJR) as an evaluation tool for hypoglycemia simulation practicum o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CJR. Based on Benner's 4 levels of nursing grading rubric, ten items of the LCJR was evaluated for interrater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The content validity was tested by eight experts and concurrent validity was done by Clark (2006)'s clinical simulation grading rubric. Fifty five video-taped cases of senior nursing students in Y University were used for the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LCJR. Results: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r=.90 (p<.001); Kendall tau b=.87 (p <.001), and Cronbach's alpha was .90. A value of item content validity index of the LCJR was .97 an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LCJR and Clark's instrument was .90 (p<.001). The mean (${\pm}SD$) of the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was 2.04 (${\pm}50$). Conclusion: The LCJR is a useful tool to examine the simulation performance evaluation for improv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CJR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clinic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us, suggested to use to develop a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환자안전 팀 의사소통 및 협력 실감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허혜경(Hea Kung Hur),정지수(Ji Soo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 교육용 환자안전 팀 의사소통 및 협력 교육을 위한 실감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Team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TCC-iVRS)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TCC-iVRS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며 소프트웨어 개발모델 중 프로토타입 모델 중 4단계 요구사항 분석, 프로토타입 설계, 프로토타입 개발, 사용자에 의한 프로토타입 평가의 절차로 오큘러스 퀘스트2 기반 Unity 3D 플랫폼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3개의 학습목표에 따라 4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시나리오를 기초로 오큘러스 퀘스트2 head mounted display 및 콘트롤러를 활용한 4개의 실감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각 프로그램의 실행시간은 프로그램당 10분 내외이다. 본 TCC-iVRS 콘텐츠는 의료인 간 팀 의사소통 및 협력 교육을 위해 최초로 개발된 실감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콘텐츠로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중 간호사가 의사에게 환자 상황을 정확하게 보고하고 환자안전을 위해 자기주장하는 의사소통 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m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TCC-iVRS)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 safety of nursing students. This methodological study developed using the Oculus Quest 2-based unity 3D platform as a four-step process of demend analysis, prototype design, prototype development, and prototype evaluation by usersof the prototype model among software development models. As a result, 4 scenario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3 learning goals, and 4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The running time of program is about 10 minutes per program. This content is the first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content developed for team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education. Through this content, nursing students accurately reports the patient’s situation to the doctor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team, which is difficult for nursing students to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elf-assertive communication skills for patient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