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성과 반창의성: 유치원 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기순 ( Ki Soon Han ),이인화 ( In Hwa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의 창의성 발현에 대한 교사의 반응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탐색하며, 유아의 창의성 발현이 존중되지 못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나아갈 교육적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5개 유치원 12명의 교사가 심층 면담에 참여 했으며, 면담은 개별 2차례 총 24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창의적인 아이나 창의적인 행동에 대하여 현장에서의 어려움 혹은 반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과의 심층면담 결과를 창의적 아이 vs 순종적 아이, 자율적 유아중심 프로그램 vs 취학 전 인지적 선행 학습, 실패를 경험하는 기회제공 vs 검증된 프로그램 수행, 독창적 시도의 결과물 vs 보기 좋은 결과물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창의성 저해 요인, 교사에 따른 창의성 교육의 편차를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반창의성 편향의 극복과 창의성 교육의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arch for the future direction of our education by analyzing in-depth interviews of teachers` view on young children`s expressing creativity in a kindergarten and their obstacles that hold back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To conduct the study, 12 kindergarten teachers from 5 kindergartens participated for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done twice per person, 24 times in total.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dealing with creative children or behaviors that showed creativity or at least they showed reluctance about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played by following themes: creative child vs. obedient child, self-regulated child-centered program vs. pre-school cognitive prerequisite learning, offering opportunities of failure vs. performing verified programs, output of creative trials vs. conventional good-looking output etc. Moreover, factors that hinder their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deviation depending on teacher have been additionally studied.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overcoming of anti-creative bias and planning of creativ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학교적응간의 관계

        한기순(Ki-Soon Han),황은하(Eun-ha Hw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영재학생 206명과 일반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집단에서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완벽주의와 관련하여 적응적 측면과 부적응적 측면의 다차원적 이해를 위해 Fros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가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학교 적응 모두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영재학생과 일 반학생 두 집단에서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되는지의 여부를 Baron과 Kenny의 3단계의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영재학생의 경우 적응적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일반학생의 경우에서는 독립변수가 적응적 완벽주의인 경우와 부적응적 완벽주의인 경우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적응적 완벽주의 경우 완전매개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경우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영재아의 특성이해 및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fficacy. For the study 206 gifted students and 204 general students participated. To examine the adaptive and maladaptive aspects of perfectionism, Frost'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was utili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in all three variables investigated,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as examined using Baron and Kenny's 3 step regression analysis. As for gifted group, self-efficacy was identified to act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adaptive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hile acting as a complete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chool adjustment. With regard to the mediation effects for the general students, self-efficacy showed to act as a complete mediator for the adaptive perfectionism and as a partial mediator for the maladaptive one. Implication of the study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교사 관찰에 의한 창의적 유아의 판별의 가능성 탐색

        한기순 ( Ki Soon Han ),권은영 ( Eun Young Kw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창의성을 측정하고 판별함에 있어 교사관찰이라는 대안적인 방법에 의거하여 개발되어진 Nebraska Starry Night Observation Protocol(이하 NSNO)를 소개한다. NSNO는 일회성 지필고사 방식의 확산적 사고 위주의 창의성 검사에서 탈피하여 교실에서 교사에 의해 관찰 가능한 17개의 창의성 관련 행동요인을 제시한다. 교사가 관찰한 하위요인의 빈도수에 따라 창의성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게 된다. NSNO는 창의성의 인지·지각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서·사회적인 재능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유아의 창의성과 영재성 및 유아의 학습 선호도를 설명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을 판별하기 위한 도구로서 NSNO의 구체적인 내용과 사용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 2개 유치원 4개 학급 유아 110명이 참여하였다. 2주간의 심층 관찰 동안 각 반에서 담임교사와 2명이 관찰자에 의해 심층 관찰이 이루어졌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는 .90이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110명의 아동 중 11명이 창의적인 아동으로 선발되었는데 그 중 2명 아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NSNO의 활용방법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troduces an alternative way to assess and identify creative young children through the teacher observation in classroom, Nebraska Starry Night Observation Protocol(NSNO). The NSNO, developmentally-appropriate and observation-based scale, provides nominal descriptions of 17 key qualities or behaviors found repeatedly in the literature on characteristics of able and creative children. Based on the numbers and areas of 17 behaviors observed by teachers, the child`s strength and level of creativity is decided. Using the NSNO, children are more likely to be truly assessed and not just identified. Specific explanation about the NSNO in both contents and methods is discussed in depth in the study. For the study 110 children who belong to the 4 classrooms in 2 kindergartens participated, and they were observed by one classroom teacher and two observers in each classroom. The inter-rater reliability among the teachers and the observers was .90. Two cases of creative children who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were examined in depth to explain how the NSNO can be used and interpreted in real situations.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creative you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관찰에 의한 창의적 유아 판별도구의 타당성 분석

        한기순(Han Ki-Soon),권은영(Kwon Eu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4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 판별하기 위해 지필고사 방식의 확산적 사고 검사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을 적절하게 예측해내는데 한계가 있으며 유아의 발달적인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고 판별함에 있어 하나의 대안적인 도구를 소개한다, Nebraska Starry Night Observation Protocol (NSNO). 교사의 행동 관찰에 의거하는 NSNO는 심도깊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관찰 가능한 17개의 창의성 관련 행동요인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NSNO와 TCT-DP와의 관련성을 통한 준거타당도 검증과 함께 세 영역에서의 창의적 수행과 NSNO와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 NSNO의 예측타당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의 2개 유치원 4개 학급 110명의 유아가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NSNO와 TCT-DP는 r = .42, p<.01, 그리고 NSNO와 세 영역에서의 창의적 수행은 r = .32 - .59, p<.01로 유의미한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적 유아의 조기 판별이라는 맥락과 관련하여 심도 깊게 논의되었다. Creative ability in young children has traditionally been assessed through standardized paper and pencil tests of divergent thinking. Recent studies, however, have indicated that these traditional measures have limitations in measur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are no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his study investigated an alternative method of identifying creative ability, [The Nebraska Starry Night Observation Protocol(NSNO)]. The NSNO was developed to provide K-2 grade classroom teachers with means of early identification of creative children. The NSNO recognized multiple manifestations of high ability and creativity, which are perceived as being observable, developmental and process-oriented. The NSNO provided nominal descriptions of 17 key qualities or behaviors found repeatedly in literature on characteristics of able and creative children. 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ities of the NSNO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NSNO, the TCT-DP, and the creative performances in three domai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 four and five years of children. The NSNO and the TCT-DP were significantly related (r=.42, p<.01). The relationships among the NSNO and the creative performances in three domains were significant too, r = .32 - .59, p<.01.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related to the early identification of young creative children.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인성과 학습방법 관계 연구

        한기순(Han Ki Soon),허정원(Heo Jeong We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1

        이 연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인성 특성과 학습방법의 차이를 보고, 그 두 변수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수도권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재학생 132명과 일반 중학생 135명으로 총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과학영재는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사회적 성숙도가 높고, 성취성향이 뛰어나는 등 인성적인 측면에서 일반학생들과는 다른 특성을 보였다. 둘째, 과학영재는 집중력이 높으며 학습전략과 학습 습관 모든 학습 방법적 측면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뛰어났다. 셋째, 인성요인은 두 집단에게서 모두 학습능력을 제외한 학습방법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은 일반학생들보다 과학영재들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differ in personality traits and learning methods. This study also look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and the learning methods of the two groups. For the study, 132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based gifted education center and 135 non-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e instrument utilized in this study were the KPI Personality Inventory and the Learning Method Diagnosis Inventory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Behavioral Sci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urpassed the non-gifted studen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maturity and achievement orientation. In contrast, the non-gifte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various things than the gifted students. Second,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non-gifted students in terms of attention, learning strategies and study habits.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persona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arning methods in both groups, but higher in the gift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of the gifted students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후보

        피로사회' 속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담론

        한기순(Ki Soon Han),유경훈(Kyoung Hoon Y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3 창의력교육연구 Vol.13 No.1

        본고에서는 피로사회로 대변되는 현대의 성과주의와 자기착취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피로사회가 던지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와 학교가 안고 있는 창의성과 행복에 관한 이슈를 논의하였다. 또한 피로사회가 학교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교사들의 소진이라는 측면에 비추어 논의하였으며, 우리의 학교가 창의성을 추구한다고 하면서 동시에 얼마나 반창의적인 편향을 보이고 있는가에 대하여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학교의 창의성과 행복의 회복을 위하여 어떠한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한가를 탐색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제시하는 깊은 심심함, 중단하는 본능, 머뭇거리는 능력,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힘, 쓸모없는 것의 쓸모의 함의를 창의성의 이해와 계발이라는 측면에서 논하였다. Today's society is called 'fatigue society' which emphasizes excessive outcome-based evaluation and self-exploitation. This paper critically discusses why fatigued society, excessive outcome, and self-exploitation can be harmful to our society including our schoo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how we can recove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the fatigued schools and society where most students and teachers are exhausted too much. While we desire and seek for creativity, it is also discussed how we do not respect creativity in reality. To search for creativity and happiness in our schools and society, author suggests and discusses issues such as in-depth boredom, a will to discontinue and hesitate, courage to say 'NO', and use of uselessn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