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직장 수용성 적응도

        원 ( Won Moon ),이오영 ( Oh Young Lee ),김정미 ( Jung Mi Kim ),고동희 ( Dong Hee Koh ),이항락 ( Hang Lak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민호 ( Min Ho Lee ),이동후 ( Dong Hoo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2

        목적 :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태 생리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며 아형에 따라 같은 병태 생리를 공유하는지 각각 다른 병태생리를 갖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최근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내장 과민성이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상인과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의 차이 및 과민성 장 증후군 증상과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의 상관관계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기질적 질환이 배제된 로마 II 기준에 합당한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 23명(여자 11명, 남자 12명, 평균연령 35.9세)과 소화기 증상이 없고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9명(여자 2명, 남자 7명, 평균연령 33.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장에 풍선을 삽입하고 바로스타트를 이용하여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를 측정하였고, 시각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지난 3개월 동안 전반적인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23명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 중 남자 12명, 여자 11명이었다. 이 중 변비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12명(남자 2명, 여자 10명),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11명(남자 9명, 여자 2명)이었다.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군의 직장 수용성 적응도는 평균 1.1 mL/s로 측정되었으며, 정상 대조군의 직장 수용성 적응도는 1.4 mL/s로 측정되어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직장 수용성 적응도가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13).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아형에 따른 직장 수용성 적응도는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1.0 mL/s로 정상 대조군 1.4 mL/s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와 환자가 호소하는 전반적인 증상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직장 확장 동안 복부 불편감이나 통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r=-0.3, p=0.08). 결론 :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설사형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직장의 수용성 적응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Background/Aims: Visceral hypersensitivity has been proposed as a biologic marker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patients with IBS have lower threshold for perception and increased sensation of discomfort. Our aim was to investigate if IBS patients have different rectal accommodation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or if the differences exist in rectal accommodation according to the IBS subtypes. Methods: Twenty three Rome II positive IBS patients and 9 normal control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 rectal bag catheter was placed, and then bag inflation was performed via a barostat.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ctal accommodation between IBS patients (1.1 mL/s) and the normal controls (1.4 mL/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tal accommodation between diarrhea predominant IBS patients (1.0 mL/s) and the normal controls (1.4 mL/s)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ectal accommodation and the severity of overall gastrointestinal symptoms, but the severity of abdominal discomfort or pain during rectal distension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rectal accommodation (p=0.08). Conclusion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IBS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in rectal accommodation. But, lowered rectal accommodation was significant in diarrhea predominant-IBS patinet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32-137)

      • SCOPUSKCI등재

        주요 폐절제술시 이환율과 사망률을 예견하는 위험인자의 평가

        최호,이철주,소동,김정태,홍준화,류한영,박재범,Choi, Ho,Lee, Cheol-Joo,Soh, Dong-Moon,Kim, Jung-Tae,Hong, Jun-Wha,Ryu, Han-Young,Park, Jae-Beom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6

        배경: 폐암을 비롯한 각종 폐질환에 있어서 중요한 외과적 치료방법인 폐절제술시 일반적으로 수술전에 폐기능 검사 및 기타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여 수술후에 이환율과 사망율에 영향을 주는 위험 인자를 확인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가장 확실하고 정확한 단일 검사방법과 검사치에 대한 기준 설정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4년 6월부터 1998년 2월까지 3년 8개월 동안 아주대학교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폐암, 기관지 확장증, 그리고 폐결핵 등으로 주요 폐 절제술을 시행받은 1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5개의 수술전 또는 수술중 위험인자와 19개의 수술후 합병증을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19개의 수술후 합병증은 사망율 및 호흡기, 순환기, 그리고 기타 합병증 네 가지로 분류하였고 수술전 또는 수술중 위험 인자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chi$2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합병증을 예견하는 인자로 술후 예측 폐확산능백분율(ppoDLCO%)이 호흡기(p<0.009), 순환기(p<0.003), 전체 이환율(p<0.004)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폐기능 검사중 폐확산능(Diffusing Capacity for Carbon Monoxide, DLCO)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활량측정법(Spirometry) 보다 술후 합병증을 예견하는데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인자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주요 폐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환자들은 폐확산능 검사를 통상적으로 시행하여 술전 정확한 평가에 의하여 유용한 치료의 지침으로 삼아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Patients who are considered for major pulmonary resection are generally evaluated by spirometry and clinical assessment to predict morbidity and mortality. Despite this, none has yet proved to be a convenient and reliable estimate of risk.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6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lung cancer, bronchiectasis, pulmonary tuberculosis, and other benign pulmonary disease, and who underwent major lung resections. The relationship of 25 preoperative or postoperative variables to 19 postoperative events were classified into categories as operative mortality, pulmonary or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other morbidity was asses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hi$2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operative risk factors to the group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 The best single predictor of complications was the percent predicted postoperative diffusing capacity (pulmonary morbidity, p<0.009; cardiovascular morbidity, p<0.003: overall morbidity, p<0.004). Conclusion: The diffusing capacity of the lung for carbon monoxide was an important predicto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an the spirometry, and it usually should be a part of the evaluation of patients being considered for pulmonary rese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인에서 담석증과 인슐린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

        김정미 ( Jung Mi Kim ),이항락 ( Hang Lak Lee ),원 ( Won Moon ),고동희 ( Dong Hee Koh ),이오영 ( Oh Young Lee ),윤병철 ( Byoe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민호 ( Min Ho Lee ),이동후 ( Dong Hoo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3

        고인슐린혈증과 인슐린 저항성은 허혈 심질환이나, 대장암과 같은 여러 병의 중요한 원인인자로 알려졌으나, 담석증과의 관계는 불확실하다. 이전의 많은 연구에서 이미 당뇨 환자에서는 당뇨 자체가 담석 발생의 위험인자이며, 고인슐린혈증과 담석증이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으나, 당뇨가 없는 환자에서 담석증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하며 국내에서는 아직 없다. 이에 한국인에서 당뇨의 과거력이 없으며, 금식 후 혈장 혈당이 126 mg/dL 미만인 환자를 대상으로 담석증과 인슐린 또는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당뇨 과거력이 있거나, 금식 후 혈장 혈당이 126 mg/dL 이상인 환자는 제외한 1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9명의 담석증이 있는 환자군과 89명의 담석증이 없는 정상 대조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키, 체중, 허리와 엉덩이둘레, 체지방률, 체질량지수[체중(kg)/키의 제곱(m2)], 공복 혈청 인슐린, 혈당,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담석증 여부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인슐린 저항성의 지표로는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을 사용하였다. 결과: 담석증을 가진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보다 혈중 인슐린, HOMA-IR 지수, 중성지방,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이 더 높게 나왔으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혈중 인슐린(p=0.037), HOMA-IR 지수(p=0.024), 체질량 지수(p=0.024)이며, 중성지방은 p=0.076으로 경계값에 있었다. 유의하게 나타난 인자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혈중 인슐린(p=0.014, odds ratio=1.376)과 HOMA-IR 지수(p=0.013, odds ratio=2.006)가 담석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에서 당뇨가 없으며, 정상 혈당을 가진 사람에서도 혈중 인슐린 수치가 높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으면 담석증 빈도가 높으며, 담석증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Background/Aims: Diabetes is one of the risk factors of gallstone diseases. Many studies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insulin and gallstones in individuals with diabetes. However, this association is unclear in non-diabetes. So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gallstone diseases and fasting serum insulin level, insulin resistance in non-diabetic Korean general population. Methods: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on 118 Korean subjects which included clinical examination, abdominal ultrasound, and blood chemistries. Serum fasting insulin level were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and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glucose, and triglycerides by standard enzymatic colorimetric methods. Insulin resistance was determined by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IR). Body mass index (BMI), percentage of body fat, and waist hip ratio were also measured. Results: We studied 118 subjects with no clinical evid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serum glucose <126 mg/dL. Compared with controls (n=89), cases (n=29) had higher levels of serum insulin, glucose, triglyceride levels, and BMI. In t-test and chi-square test for variables, the association between gallstone disease and serum insulin, HOMA-IR index, and BM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allstone disease risk increased with the level of serum insulin (p=0.024, odds ratio=1.376) and HOMA-IR index (p=0.013, odds ratio=2.006). Conclusions: We suggest that hyper-insulinemia and insulin resistance could be associated with gallstone formation in individuals without clinical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with normal serum glucose level.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183-187)

      • SCOPUSKCI등재

        Sorin Bicarbon 기계판막의 단기 임상성적

        이철주,최호,김정태,소동,노환규,한정선,Lee, Cheol-Joo,Choi, Ho,Kim, Jung-Tai,Soh, Dong-Moon,Roh, Hwan-Kyu,Han, Jeong-S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7

        1995년 6월 월부터 1997년 5월까지 4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52개의 Sorin Bicarbon 기계판막을 시술 하였다. 환자들은 남자환자가 16명 이었고 여자환자가 25명 이었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47.4$\pm$14.8세 (18세~74세)였다. 35개(판막크기 27 mm~31 mm)는 승모판막치환이었고, 15개(판막크기 19 mm~25 mm)는 대동맥판막, 그리고 2개(판막크기 31 mm)는 삼첨판막 치환이었다. 3예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이 동반되었으며, 한 예에서 광범위한 심내막 섬유탄력종의 절제술이 동반되었다. 35명의 환자는 이차 수술이었고, 6명의 환자는 재치환술이었다. 수술이 종료된 후에 경식도 초음파 심음향도로 혈류역학적 관찰을 한 결과 승모판막의 경우 경판막 최대/평균 압력차가 6.1$\pm$2.7 / 2.4$\pm$1.4 mmHg 였고 대동맥판막의 경우는 27.6 / 10.7 mmHg 였다. 승모판막치환의 유효 개구면적은 3.2$\pm$0.6 $cm^2$이었다. 총 추적기간은 508.6 환자-개월 이었고 평균 추적기간은 12.7$\pm$9.2 개월이었다. 수술후NYHA 등급은 평균 2.6$\pm$0.6에서 1.2$\pm$0.3으로 호전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2명의 만기사망이 있었다. 한 환자는 수술 전부터 있던 만성폐쇄성 호흡부전이 악화되었으며, 한 환자는 급성 심근경색증이 의심되는 환자였으나 확인이 되지 않았다. 총 7예의 수술 후 합병증이 있었는데, 그 중 한에에서 판막관련 합병증(경미한 판막 주변부 누출)이 관찰되었으나 대중적 치료로 호전되어 외래에서 추적 중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 의하면 Sorin Bicarbon 기계판막은 수술 후 관련 합병증이 경미하고, 수술 사망률이 없으며, 그 혈류역학적 우수성으로 미루어 임상에서 안전하게 선택할 수 있는 판막으로 생각된다. From June 1995 to May 1997, we have implanted 52 Sorin Bicarbon mechanical valves in 41 patients. They were 16 men and 25 women, and their mean age was 47.4${\pm}$14.8(range; 18∼74 y.o.). 35(27 mm∼31 mm) were in mitral position, 15(19 mm∼25 mm) in aortic position, and 2(31 mm) in tricuspid position. 3 CABGs and a tumor excision were taken concomittantly. 35 patients were primary operation, and 6 were re-do operations. By intraoperative transesophageal doppler echocardiography, transvalvular peak/mean pressure gradient was 6.1${\pm}$2.7/2.4${\pm}$1.4 mmHg in mitral position and 27.6/10.7 mmHg in aortic position. The effective valve opening area in mitral position was 3.2${\pm}$0.6 cm2. Follow-up was total 508.6 patient-months, and mean follw-up was 12.7${\pm}$9.2 months. NYHA class was improved from 2.6${\pm}$0.6 to 1.2${\pm}$0.3 in average postoperatively. During that period, there was no operative death. 2 late non-valve related deaths were occurred. One was died of COPD, and the other was possibl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ong 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ne valve related complication(minimal paravalvular leakage) was noticed. In conclusion, Sorin Bicarbon mechanical valve is believed one of the safe choice in clinical settings. It showed excellent hemodynamic and mechanical functions, and very low postoperative valve related complications in short term clinical experience.

      • SCOPUSKCI등재

        흉부외상 환자에 대한 전산화 단층촬영의 효용성

        노환규,최호,김영진,김정태,소동,류한영,이철주,Roh, Hwan-Kyu,Choi, Ho,Kim, Young-Jin,Kim, Jung-Tae,Soh, Dong-Moon,Ryu, Han-Young,Lee, Cheol-Jo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3

        초기에 외상성 뇌병변의 진단에 국한되었던 단층 촬영은 전산화 단층 촬영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흉부, 복부 및 척추, 그리고 안면부나 골반부의 외상에 의한 병변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1년간 응급실에 내원한 흉부외상 환자 중 흉부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134명의 환자를 대 瓚막\ulcorner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결과와 단층 촬영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 외상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34명의 환자 중 45명은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 소견이 정상인데 단층 촬영을 시행받은 환자였고, 이중 24명은 단층 촬영 결과 역시 정상 소견을 보였다. 단층 촬영의 기흉과, 혈흉을 포함한 늑막삼출에 대한 진단률을 100%라고 가정할 때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기흉과 늑막 삼출의 진단률은 각각 46.2%, 62.9%로 낮은 진단율을 보였다. 전체 환자 중 흉관 삽관을 받은 환자는 63명이었는데 이중 45명(71.4%)이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만으로 흉관 삽관을 결정한 환자여서 치료 방침의 결정에는 단순 촬영의 효용성이 다소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흉부 외상에 대한 전산화 단층 촬영이 다소 남용되고 있음이 확인이 되었으나 단층 촬영은 소량의 기흉이나 종격동의 병변등, 임상적으로 중요하면서도 단순 촬영이 제공할 수 없는 병변의 진단에 결정적으로 유용하며 그 효용성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Computerized tomography(CT) is an effective technique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the abdomen and head following blunt trauma.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T of the thorax,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early thoracic CT scanning with initial chest roentgenogram (CXR) was carried out on 134 patients with blunt trauma on the chest. Among 134 patients, 45 patients had normal initial chest roentgenogram and 24 patients showed normal CT findings. Sensitivities of diagnosing pneumothorax and pleural effusion by CXR were low (46.2 and 62.9% respectively), whereas 71.4%(45/63) of patients had thoracostomy only by CXR. Although sometimes abused, CT of the thorax is effective in the initial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