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 후 재파열 환자에서 불량한 임상 결과의 원인 인자

        이희제(Hee Jae Lee),주일한(Il Han Joo),허정민(Jeong Min Hur),오현근(Hyun Keun Oh),이봉근(Bong G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1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이 확인된 환자를 분석하여 불량한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회전근 개 파열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은 631명의 환자 중 1년 이상 외래 추시를 하고 추시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상 재파열이 확인된 42예의 환자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술 전후 운동 범위, 관절경하 건의 파열 정도 및 양상, MRI 검사상 파열 및 재파열의 크기, 파열의 진행 여부, 지방 변성 정도 등 환자의 기능적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측정하고 기능적 결과는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로 평가하였다. 불량한 임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찾기 위해 ASES 점수가 80점 미만인 군을 불량한 임상 결과의 군으로 정의한 뒤 80점 이상인 군과 비교하여 불량한 임상 결과의 위험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이 확인된 군(n=42)의 수술 후 임상 결과는 수술 전에 비하여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 단변량 분석상 수술 전 visual analogue scale (VAS) 점수, 파열의 진행은 불량한 임상 결과와 연관이 있었고 동반된 견갑하건의 봉합은 양호한 임상 결과와 연관이 있었다. 하지만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에서 견갑하건의 봉합을 제외한 수술 전 VAS 점수 및 파열의 진행만이 불량한 임상 결과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수술 전 VAS 점수와 추시 MRI 검사에서 회전근 개 파열의 진행은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재파열을 진단받은 환자의 불량한 임상 결과와 연관 있는 위험 인자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poor functional outcomes in patients with retear after rotator cuff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8, among 631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repair of a rotator cuff tear, 42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up for more than one year and showed a retear of the repaired cuff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The preoperative demographic data, range of motion,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fatty degeneration, and tear progression on postoperative MRI, as well as other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Patients who scored <80 points on the ASES score were allocated to the poor function group. The risk factors for poor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ASES scores of 80 or above. Results: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results in the group with retear (n=42)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e pre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nd tear progression to have associations with a poor shoulder function. In addition, subscapularis repair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a good shoulder function. The preoperative VAS score and tear progression except for subscapularis repair were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In patients with retear after rotator cuff repair, the preoperative VAS and tear progression in postoperative MRI are factors predicting a poor functional outcome.

      • KCI등재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

        오정한(Jeong Han Oh),주일한(Il-Han Joo),공동의(Dong-Yi Kong),최충혁(Choong-Hyeok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6

        목적: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5년 추시 결과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 합병증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1년 8월까지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을 시행한 25명,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3.5세였으며 남자가 3명(3예), 여자가 22명(23예)이었으며 술 전 진단은 골관절염 23예, 골괴사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평균 67개월(60-149개월)이었다. 임상적으로 술 전과 술 후의 미국슬관절학회 슬관절 점수 및 기능점수, 관절 운동 범위를 조사하였고, 방사선적으로 슬관절 기립 전후방 사진과 측면 사진, 투시기 촬영을 통하여 술 후의 정렬상태와 골용해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로 슬관절 점수는 평균 42.0점에서 87.9점으로, 기능점수는 57.5점에서 85.0점으로 향상되었다(p<0.001). 술 전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132.9°에서 술 후 132.5°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적 결과로 대퇴경골각은 술 전 평균 내반 0.5°에서 술 후 외반 2.2°로 측정되었다. 방사선 투과성 선(radiolucent line)이 관찰되는 경우가 2예 발견되었으며 그 중 1예는 삽입물이 안정적이었으나 다른 1예는 단일 구획 치환술 시 대퇴슬개관절의 관절염을 확인하였고, 추시상 슬관절 내측 관절선의 동통 및 슬관절의 미만성 통증이 있어 슬관절 전치환술을 권유하였다. 그 외 골용해, 감염, 술 후 강직, 탈구 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고정형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는 임상적 및 방사선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nd the complication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using a fixed bearing prosthesis after 5-year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knees (25 patients) that underwent fixed bearing UKA between May 2003 and August 2011 were included. The subjects were 3 males (3 knees) and 22 females (23 knees), and the average age was 63.5 years. The preoperative diagnosis was osteoarthritis (23 knees) and osteonecrosis (3 knee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67 months (from 60 to 149 months). The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pre- and postoperative American knee society knee and function score, and range of motion. The radiology evaluation included standing antero-posterior, lateral view, and fluoroscopic film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alignment and osteolysis. Results: The mean American Knee Society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were improved from 42.0 and 57.5 to 87.9 and 85.0, respectively (p<0.001). The mea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was 132.9° and 132.5°, respectively. The mean femorotibial angle were varus 0.5° preoperatively and valgus 2.2° postoperatively. A radiolucent line was observed in 2 knees; one knee had a stable implant, while in the other knee, patellofemoral arthritis was identified during UKA. Diffuse pain of the knee joint with tenderness of the medial joint line was identified at the follow-up, so conversion to total knee arthroplasty was recommended. No other complications, such as osteolysis, infections, postoperative stiffness, and dislocation, were encountered. Conclusion: The midterm results of fixed bearing UKA were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satisfactory.

      • KCI우수등재

        TiO<sub>2</sub> 하이브리드에 의한 바이오-폴리우레탄 멤브레인 필름의 투습성 향상에 관한 연구

        강승구,강구,곽남호,진호진,홍성현,주일,권오경,민병길,Kang, Seung-Gu,Kang, Goo,Kwak, Nam Ho,Jin, Hojin,Hong, Seong Hyun,Joo, Il Jung,Kwon, Oh Kyung,Min, Byung Gil 한국섬유공학회 201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3 No.2

        The aim of this work was to enhance the water vapor permeability of bio-polyurethane thin film, whose essential application is as a non-microporous type of film in breathable fabrics, by hybridizing it with nano- and micro-sized titania ($TiO_2$). The bio-polyurethanes were synthesized from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MDI) and a polyol mixture containing polyethylene glycol (PEG) and soybean oil-based polyol, that is, bio-glycols by the hydroxylation of soybean oils upto 25% by weight of bio-polyurethane. We studied the effect of hybridizing the bio-polyurethane films with hydrophilic nano- or micro-sized $TiO_2$ on their breathability by measuring the water contact angle and the water vapor permeability of the films; it was found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permeability of the bio-polyurethane film. Further, nano-$TiO_2$ was more effective than micro-$TiO_2$ due to the higher surface area resulting from nano particles.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additive functionality to the bio-PU membranes due to photocatalytic effect of nano-$TiO_2$.

      • KCI등재
      • 인위적으로 발생된 전자파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파괴 효과

        주일(Joo-Il Hong),황선묵(Sun-Mook Hwang),황청호(Cheong-Ho Hwang),박신우(Shin-Woo Park),허창수(Chang-Su Huh)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이 논문은 인위적으로 전자파를 발생시켜 이 전자파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피해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동작주파수가 2.45 ㎓인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는 끝단이 개방되어있는 도파관을 통해 자유공간으로 전파되고, 도파관 끝단으로부터 30㎝~50㎝인 지점에 반도체 소자들을 위치시켜 동작상태를 확인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피시험체인 반도체 소자로는 TTL과 CMOS 기반기술의 반도체를 사용하였고, LED 구동회로를 구성하여 LED의 점등 여부로 오동작 및 파괴 여부를 육안 식별 하였다. 또한 시험 전후의 반도체 소자 표면을 제거 후 칩 상태를 SEM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도파관 끝단으로부터 50 ㎝, 40 ㎝ 떨어진 지점에 반도체 소자를 위치시키고 도파관 끝단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피해는 전혀 없었다. 그러나 30 ㎝ 떨어진 지점에서 오동작 및 파괴가 일어났다. 오동작 및 파괴가 일어난 시료의 칩 상태를 SEM 분석한 결과 칩 내부의 onichipwire의 용융으로 인한 파괴와 bondingwire의 완전 파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시험 결과는 인위적인 전자파 환경에서 반도체 소자의 결합 기구를 해석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전자 장비들의 전자파 장해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출력 전자기파의 커플링 효과에 의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손상

        洪胄壹(Joo-Il Hong),黃先默(Sun-Mook Hwang),許昌洙(Chang-Su Huh) 대한전기학회 2008 전기학회논문지 Vol.57 No.12

        We investigated the malfunction and destruction characteristics of microcontroller devices under high power electromagnetic (HPEM) wave by magnetron. HPEM was rated at a microwave output of 0 to 1,000 W, at a frequency of 2,450 ± 50 ㎒ and was radiated from the open-ended standard rectangular waveguide (WR-340) to free space. The influence of different reset-, clock-, data-, and power supply-line lengths has been tested. The variation of the line length was done with flat cables. The susceptibility of the tested microcontroller devices was in general much influenced by clock-, reset-, and power supply-line length, little influenced by data-line length. Further the line length was increased, the malfunction threshold was decreased as expected, because more energy couples to the devices. The surfaces of the destroyed microcontroller devices were removed and the chip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with microscope. The microscopic analysis of the damaged devices showed component and bond wire destructions such as breakthroughs and melting due to thermal effects. The obtained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nterpreting the combined mechanism of microcontroller devices in an intentional microwav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