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 현지 직원들의 인지된 CSR이 정서적 몰입을 통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평가 공정성 및 인지된 직무 자율성의 조절효과

        조영삼 ( Youngsam Cho ),이준엽 ( Junyeb Lee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3 國際經營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멕시코에 진출한 국내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 활동이 현지 근로자들의 정서적 몰입을 통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정서적 몰입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촉진시키는 상황조건으로서 평가 공정성 및 직무 자율성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들은 기업의 CSR 전략이 기업수준의 성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주로 초점을 맞춘 반면, 기업의 해외 진출 경쟁이 치열함에도 불구하고 해외자회사의 CSR 활동에 대한 현지 직원들의 실제 인지 수준을 측정하여 개인수준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인 창의적 행동으로 연결되기까지의 메커니즘과 상황조건에 대해 심도있게 고찰한 연구는 상당히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지 경영활동에서 외국인 비용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는 현지 CSR 활동과 조직 내부의 제도적 요인들이 현지 근로자들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개인수준에서 통합적인 관점으로 살펴보는데 주목하였다. 멕시코 현지 근로자 19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지 직원들이 인지하는 해외자회사의 CSR 활동은 그들의 정서적 몰입과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정서적 몰입은 창의적 행동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더불어 인지된 해외자회사의 CSR 활동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역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정서적 몰입에 대한 인지된 평가 공정성 및 인지된 직무 자율성의 조절효과는 창의적 행동에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평가 공정성 및 인지된 직무 자율성이 높은 그룹에서만 정서적 몰입과 창의적 행동이 강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국적기업 해외자회사의 현지화 전략에 대한 의미있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of foreign subsidiary on Mexican employees’ creative behavior through their affective commitment. We also suggested perceived appraisal justice and perceived job autonomy as boundary conditions to facilitate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affective commitment and creative behavior. Although previous researchers have mainly focused on the consequences of CSR activities at the firm level,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mployee perception of CSR activities of foreign subsidiary and creative behavior of employee at the individual level. Therefore, we paid attention to the effects of local CSR activities and internal institution factors of foreign subsidiary on creative behavior of local employees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Survey results from 192 local employees show that perceived CSR was positively related to affective commitment and then affective commit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behavior. We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between the relation. Also, each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appraisal justice and perceived job autonomy with affective commitment on creative behavior was significant. More specifically,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affective commitment and creative behavior were significant only for high groups of perceived appraisal justice and perceived job autonomy. The findings provide benefici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localization strategy of foreign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 KCI등재

        변화지향 리더십과 직무열의 및 직무만족의 관계 연구: IT인프라관리 역량의 조절효과

        조영삼(Youngsam Cho),박지환(Jihwan Park)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0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ange-oriented leadership, IT infra management, work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the employees in diverse industries. Especially, we pay attention to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petence on IT infra management with change-oriented leader behaviors on the two outcome variables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The results showed that change-oriented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work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Also, IT infra manage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two outcome variables. We then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IT infra management among change-oriented leadership, work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two interaction term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two outcome variables of the employees. More specifically, th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change-oriented leadership, work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stronger, when the employees perceived that the competence on IT infra management was higher.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

        전산시스템 활용능력은 중요한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열의 및 직무성과 관계에서의 조절역할

        조영삼(Youngsam Cho),신종식(Jongsik Shin)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0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a research model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utilization ability for computational system,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direct effect of utilization ability for computational system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utilization ability for computational system on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Utilization ability for computational system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the two outcome variables. Authors then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utilization ability for computational system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e two interaction terms had the positive impacts on the two outcome variables of the employees. In other words, th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ork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were stronger when the perception of employees for their own utilization ability for computational system was higher. The findings suggest comprehensive implica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leadership research field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tilization ability for computational system in organizations.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멕시코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삼(Cho, Youngsam),김영신(Kim, Youngshin),이재학(Lee, Jaehak) 한국인사관리학회 2018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멕시코 현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그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멕시코는 북미와 남미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풍부한 저가의 노동력에 기인하여 국내 선도기업들의 생산거점이자 수출 교두보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방문한 멕시코 내 한국기업의 생산 자회사 관계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현지노동시장에서의 높은 이직률로 인한 경영상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사람중심 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에 주목함과 동시에 리더십과 구성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중요한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리더신뢰 및 직무통제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서번트 리더십 행위는 리더에 대한 구성원들의 신뢰를 높임으로써 그들의 이직의도를 낮출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또다른 매개변수로서 직무통제에 주목하였다. 이는 직무통제와 이직의도 간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 들이 다소 혼재되어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직이 용이한 멕시코 노동시장 환경에서 그 관계를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경력이론은 개인, 조직, 노동시장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 개인의 이직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이직이 용이한 환경에서 직무통제 권한을 높게 인지하는 구성원들은 자기 역량에 대한 자신감과 외부의 구직기회로 인해 더 높은 이직의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리더에 대한 신뢰와 직무통제가 그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신뢰 및 직무통제와 모두 정의 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리더에 대한 신뢰는 이직의도와 부의 관계를 나타낸 반면 직무통제는 이직의도와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즉, 서번트 리더십은 두 가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이직의도에 상반되는 간접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사관리차원에서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of Mexican employees. Mexico has played an important roles as a production base and a bridgehead of export for Korean leading companies due to an abundant supply of cheap labor.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managers of subsidiaries of Korean company in Mexico, we could realize managerial difficulties and importance of people oriented leadership, due to high turnover rate in the labor market.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leader and job control as important psychological mechanisms. At first, we expect that trust in leader formed by servant leadership decreases turnover in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hange theory. Then we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ntrol, as another mediator, and turnover intention in Mexican labor market with plenty of employment opportunities, because there have been mixed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Drawing upon career theory, we expect that the employees who perceive higher authority of job control have higher turnover intention.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rvant leadership had no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trust in leader and job control mediated the relationship, respectively. Servant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trust in leader and job control. However, trust in leader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while job 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at is, servant leadership had contrasting indirec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two different mechanisms.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ervant l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최용득(Yongduk Choi),조영삼(Youngsam Ch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발언이 시도되는 관계적 맥락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사회적 공감 역량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그 과정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학관계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발언을 촉진할 수 있는 리더십 효과에 우선적으로 주목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리더의 역할을 넘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과 발언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의 부족한 이해를 메우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리더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 발언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대화 상대에 대한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에 기반을 둔 사회적 역량이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의 강화를 통해 발언으로 이어질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국내 교육콘텐츠 제작 및 설계 IT 기업에 근무하는 24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심리적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모두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언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으로 알려진 리더의 소통행동을 통제하고도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발언결정에 있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의 고유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조망수용 및 감성지능과 발언행동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기여하는 구체적 과정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리더에 대한 사회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을 결집시킴으로써 직간접적으로 발언행동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field of voice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employees with regard to voice behavior. Employee voice is defined as a social interaction with his or her leader. The existing literature has highlighted the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mainly from a leader-centered perspective, emphasizing the role of leaders as a facilitator for employee voice. As a result, not much is known about why certain employees are able to be more proactive in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ir leader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ll this research gap by focusing on an employee-centered perspective.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employees to recognize leader-relevant social factors, such as their viewpoint and emotions, in order to favorably interact with them. Thus, we propose that two core competencies in social interaction contribute to the ability of employees to actively share their opinions and ideas with leader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Furthermore, we propose that self-efficacy for voice could link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voice behavior. Using a sample of 246 employees working for an IT company produc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mployees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to voice behavior when controlling for perceived managerial openness, proactiv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Thus, their unique influences were identified. Second, self-efficacy for voic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voice behavior, respectively.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