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을 실천하는 사회적기업

        조상미(Sangmi Cho),Erica Yoonkyung Auh,정수정(Sujeong Jeong),김경화(Kyung Hwa Kim)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4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정책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연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이 사회적기업 경쟁력을 실제로 증진시키고 있는지,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을 활용한 정책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 경쟁력을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MCF는 국가 및 산업의 경쟁력 비교 시 많이 활용되는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과 사회적기업 정책을 비교분석한 조상미 외(2011)의 분석틀을 통합한 것으로, 정부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대하여 사회적기업의 생산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산업, 기업전략?구조 및 경쟁의 네 가지 요소들을 사회적기업 지원체계 및 지원방법으로 구분하여 검토한 것이다. 분석결과 현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은 네 가지 조건 중 생산조건에 집중되어 있어 지원의 불균형 현상이 두드러졌다. 특히 사회적기업의 자생력 향상을 위한 기업전략?구조 및 경쟁 부분에 대한 지원이 현저히 부족하여, 1차원적이고 단기적인 지원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 미흡하고, 경쟁력 향상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현 주소이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공유가치 창출 개념에 입각한 사회적 욕구 파악을 위한 지원, 품질관리와 제품개발에 대한 교육 및 지원, 사회적기업 홍보에 대한 재정지원, 지원의 다양화 및 차등화, 전략기획 및 조직개발에 대한 지원, 사후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확립, 정부부처 간 협력강화 및 통합적 지원체계 수립, 장기적인 교육체계 확립 및 교육 내용 다양화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licies for social enterprises in Korea with the goal of provid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To achieve the purpose, our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a policy analysis model was designed based on Porter (1990)’s competitive advantage model, the diamond model, and Cho, Kim, & Kang (2011)’s social enterprise policy analysis model. The new model, 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 includes four determinants of competitive advantage from the diamond model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and 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and each attribute is divided into two prongs of social enterprise policy analysis from Cho et al. (2011), the supporting system and the supporting methods. Findings show that the policy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centers on the short-term support for the everyday operation of social enterprises--the support is concentrated on the factor condition attribute, while the support for the 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attribute is by far most limited. Such a lop-sided support results in a limited role the policy plays in creating an environment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nterprises and, thus, the long-term sustainability.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clude providing support for assessing the social needs for their product/service development to truly create shared value, providing education and support for product management and product development, allowing financial support to promote social enterprises, assisting with their strategic plans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with a diversified and differentiated support,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and a follow-up plan, strengthening inter-governmental agencies’ collaboration/cooperation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and securing a long-term educational system with diverse curricula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업복지 부가급여 수혜의 남녀간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보험, 국가규제적 급여, 기업복지를 중심으로

        조상미 ( Sang Mi Cho ),박은주 ( Eun Joo Par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4

        본 연구는 임금 이외의 부가급여에서 남성근로자와 여성근로자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부가급여의 수혜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 남녀간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근로자 1,069명, 남성근로자 1,555명을 대상으로, 음이항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가 급여의 성격별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부가급여를 사회보험, 국가규제적 급여, 기업복지, 세가 지로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종속변수는 각각의 부가급여별로 근로자가 적용받는 항목수로 하였다. 연구결과, 각각의 부가급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남성근로자가 여성근로자보다 더 많이 제공받았다. 그러나 다른 변수를 통제한 성별의 영향력을 보면 근로자가 제공받는 국가규제적 급여 항목수의 경우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사회보험 이나 기업복지 항목수는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부가급여 항목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로 구분하여 비교해보면, 여성근로자는 연령의 영향을 남성보다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사회보험 항목수의 경우 여성근로 자만이 연령이 낮을수록 항목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있어서 여성근로자는 남성근로자에 비해 유의한 영향을 많이 주지는 않았으나 남성근로자는 국가규제적 급여나 기업복지에 있어 뚜렷한 학력간 항목수의 차이를 보였다. 업종과 직종의 경우 남녀간 영향 요인이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사업장규모 변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규모가 클수록 항목 수가 증가하는데 반해, 여성근로자는 기업복지 항목수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종사상지위, 근속기간, 월평균임금, 노조유무 등은 여성근로자와 남성 근로자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study intended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at the fringe benefit and factors influencing fringe benefits. Utilizing 11th years survey of Korean Labor Panel, this study conduc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from 1,069 female workers and 1,555 male workers. Fringe benefit was classified into social insurance, national regulatory pay, corporate welfare, and the dependa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items for each fringe benefit. As a result, the number of items for all of each fringe benefit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While gender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items of national regulatory pay that workers receive, i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items of social insurance or corporate welf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each fringe benefit by gender, female workers appeared to have more effect of age than mal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items of social insurance, only female workers appeared to have increasing number of items as age gets lower. While academic background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for female workers, it had significant effect for male workers at the national regulatory pay or corporate welfare. In the case of job type and business type,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orkers. Generally the bigger the scale was, the more the number of items, but the scale appeared no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umber of items of corporate welfare for female workers. Positions, tenure, average monthly wage, existence of labor union, etc showed similar tendency in terms of influence for female and male workers.

      • KCI등재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조상미(Cho, Sang-Mi),전종설(Chun, Jong-Serl),남성희(Nam, Sung-Hee),간기현(Kan, Ki-Hyun),선미정(Seon, Mi-Jeong)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endall이 제시한 다섯 가지 다문화교육 목표를 기반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이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아동 6명과 일반가정의 아동 6명이 매주 1시간, 6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다문화 인식, 개방성, 공감능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인식 점수와 다문화 개방성 점수는 프로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에 다문화 공감에 관련하여서는 평균점수는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선구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프로그램(integrated program)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ory and Kendall’s five primary go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x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6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empathy were examined. Outcomes show that scor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open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progra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and should be applied in diverse settings where provide services for bo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의 경쟁력 분석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CF)의 적용-

        조상미 ( Sangmi Cho ),이경미 ( Kyungmi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1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급속한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공공의 정책이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사회적경제 정책을 선도하고 있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정책 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간 사회적경제 전반과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과 관련하여 서울시 및 산하 기관에서 생산한 총 155건의 문서를 수집하였고,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CF)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단기간 동안 양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서울시 사회적경제의 정책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개별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을 줄이고 사회적경제의 저변을 확대하는 정책의 비중을 높였으며, 자치구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단위 사업과 클러스터 구축을 지원해왔다. 둘째, 지원체계 측면에서 분석한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의 특징은 전반적으로 다이아몬드 모델의 네 가지 요소(생산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산업, 기업전략ㆍ구조 및 경쟁)를 모두 포괄하는 폭넓은 정책들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기업전략ㆍ구조 및 경쟁’ 분야의 경쟁력 요소 향상, 즉 자생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화된 제도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방법 역시 운영지원과 사업지원에 있어서 모두 경쟁력 네 가지 요소 를 뒷받침하는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적합한 조건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한시적이고 단기적이며 성과 중심적인 공모 사업 방식의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과 사회적금융 생태계가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한 점, 자치구의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들 중 일부는 일몰제로 인해 올해부터 서울시 예산 지원 없이 자체 비전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등이 한계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정성으로 인해 사회적경제 분야 인력들이 전문성과 지속성을 갖기 힘든 구조에 노출되어있는 점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은 정책 구상 시 사회적경제에 걸맞는 토양을 다지고 시민들의 일상에서 사회적경제가 체화될 수 있는 경험치를 만들어 나갈 충분한 시간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이 사회적경제 조직들 간 네트워크 형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앞으로는 지역의 필요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 내 다양한 민간 부문들과의 연대로 확장되어 사회적가치를 확장해야 한다는 점 역시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등 사회적경제 조직을 모두 포괄하는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을 다뤘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다. 또한, 지방정부 차원의 사회적 경제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지역과 밀접한 속성을 갖는 사회적경제 기업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파악한 것도 기존 연구와 구별되는 지점이다. 서울시 사회적경제 정책의 경쟁우위 요소를 파악하여 경쟁력을 분석한 본 연구가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경제의 본질을 강화하는 조건을 찾는데 실마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ocial Economy in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quantitative growth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olicy analysis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is leading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Korea, to examine whether they have improved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To this end, we collected a total of 155 documents generated by the city government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over ten years, from 2010 to 2019, related to the general social economy,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town enterprises, and self-supported enterprises; these documents were analyzed using a 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ocial economy policies show dramatic quantitative growth over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licies changed direction from providing support to individual organizations to expanding the social economy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regional projects and clust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Second, the social economy support system of the city has policies to support each of the four factors in the Diamond model, not to mention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mbracing all four competitiveness factors. Third, the city government pursued policies to integrate the four competitiveness factors in operational and business support, creating conditio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However, there are also challenges to be addressed. First, many business support policies are concentrated on one-time contests with a focus on short-term results. Also, starting from this year, some of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of autonomous districts have a sunset clause that leaves them having to stand on their own feet without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city. Due to such instability, those working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find it difficult to develop expertise and experience continuity.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time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designing policies to lay the groundwork for citizen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social economy in their daily lives. Also,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has been formed mainly through networking betwee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e focus should be shifted to the needs and problems of each region and extended to connect with diverse entities in the private sector.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prior research by dealing with “social economy enterprise” policies as well as incorporating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other entities.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social economy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o examine concrete policies supporting such enterprises across region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y identify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Seoul’s social economy enterprise policies and analyzing its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provide clues about how to create conditions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embodying the essence of the social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