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의 경쟁력 분석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CF)의 적용- = Analyzing competitiveness of Social Economy policies in Seoul -Applying a 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11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급속한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공공의 정책이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사회적경...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급속한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공공의 정책이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사회적경제 정책을 선도하고 있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정책 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간 사회적경제 전반과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과 관련하여 서울시 및 산하 기관에서 생산한 총 155건의 문서를 수집하였고,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CF)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단기간 동안 양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서울시 사회적경제의 정책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개별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을 줄이고 사회적경제의 저변을 확대하는 정책의 비중을 높였으며, 자치구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단위 사업과 클러스터 구축을 지원해왔다. 둘째, 지원체계 측면에서 분석한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의 특징은 전반적으로 다이아몬드 모델의 네 가지 요소(생산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산업, 기업전략ㆍ구조 및 경쟁)를 모두 포괄하는 폭넓은 정책들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기업전략ㆍ구조 및 경쟁’ 분야의 경쟁력 요소 향상, 즉 자생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화된 제도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방법 역시 운영지원과 사업지원에 있어서 모두 경쟁력 네 가지 요소 를 뒷받침하는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적합한 조건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한시적이고 단기적이며 성과 중심적인 공모 사업 방식의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과 사회적금융 생태계가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한 점, 자치구의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들 중 일부는 일몰제로 인해 올해부터 서울시 예산 지원 없이 자체 비전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등이 한계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정성으로 인해 사회적경제 분야 인력들이 전문성과 지속성을 갖기 힘든 구조에 노출되어있는 점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은 정책 구상 시 사회적경제에 걸맞는 토양을 다지고 시민들의 일상에서 사회적경제가 체화될 수 있는 경험치를 만들어 나갈 충분한 시간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이 사회적경제 조직들 간 네트워크 형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앞으로는 지역의 필요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 내 다양한 민간 부문들과의 연대로 확장되어 사회적가치를 확장해야 한다는 점 역시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등 사회적경제 조직을 모두 포괄하는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을 다뤘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다. 또한, 지방정부 차원의 사회적 경제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지역과 밀접한 속성을 갖는 사회적경제 기업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파악한 것도 기존 연구와 구별되는 지점이다. 서울시 사회적경제 정책의 경쟁우위 요소를 파악하여 경쟁력을 분석한 본 연구가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경제의 본질을 강화하는 조건을 찾는데 실마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ial Economy in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quantitative growth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olicy analysis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is leading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Korea, to ex...

      The Social Economy in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quantitative growth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olicy analysis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is leading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Korea, to examine whether they have improved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To this end, we collected a total of 155 documents generated by the city government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over ten years, from 2010 to 2019, related to the general social economy,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town enterprises, and self-supported enterprises; these documents were analyzed using a 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ocial economy policies show dramatic quantitative growth over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licies changed direction from providing support to individual organizations to expanding the social economy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regional projects and clust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Second, the social economy support system of the city has policies to support each of the four factors in the Diamond model, not to mention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mbracing all four competitiveness factors. Third, the city government pursued policies to integrate the four competitiveness factors in operational and business support, creating conditio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However, there are also challenges to be addressed. First, many business support policies are concentrated on one-time contests with a focus on short-term results. Also, starting from this year, some of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of autonomous districts have a sunset clause that leaves them having to stand on their own feet without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city. Due to such instability, those working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find it difficult to develop expertise and experience continuity.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time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designing policies to lay the groundwork for citizen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social economy in their daily lives. Also,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has been formed mainly through networking betwee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e focus should be shifted to the needs and problems of each region and extended to connect with diverse entities in the private sector.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prior research by dealing with “social economy enterprise” policies as well as incorporating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other entities.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social economy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o examine concrete policies supporting such enterprises across region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y identify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Seoul’s social economy enterprise policies and analyzing its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provide clues about how to create conditions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embodying the essence of the social econom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원,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일자리창출 중심의 지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209-238, 2011

      2 김세중, "한국기업 CSR활동의 공유가치창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0 (10): 1-28, 2012

      3 박수경, "한국 사회적기업의 지원체계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4 (24): 83-104, 2013

      4 채종헌,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5-225, 2012

      5 최준규,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행위자 간 인식 비교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관리자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4 (24): 47-85, 2014

      6 송두범,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 추진 현황 및 향후 과제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1 (1): 97-129, 2011

      7 관계부처 합동, "제3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18∼’22)" 2018

      8 조동성, "자본주의 5.0 :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클러스터 중심 자본주의" Weekly BIZ Books : 조선비즈 2016

      9 조상미, "일본, 홍콩,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체계 및 지원방법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87-317, 2014

      10 마이클 포터,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 레인메이커 2015

      1 김혜원,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일자리창출 중심의 지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209-238, 2011

      2 김세중, "한국기업 CSR활동의 공유가치창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0 (10): 1-28, 2012

      3 박수경, "한국 사회적기업의 지원체계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4 (24): 83-104, 2013

      4 채종헌,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5-225, 2012

      5 최준규,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행위자 간 인식 비교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관리자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4 (24): 47-85, 2014

      6 송두범, "지방자치단체 사회적경제 추진 현황 및 향후 과제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1 (1): 97-129, 2011

      7 관계부처 합동, "제3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18∼’22)" 2018

      8 조동성, "자본주의 5.0 :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클러스터 중심 자본주의" Weekly BIZ Books : 조선비즈 2016

      9 조상미, "일본, 홍콩, 한국의 사회적기업 지원체계 및 지원방법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87-317, 2014

      10 마이클 포터,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 레인메이커 2015

      11 이준영, "서울시 자치구 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운영개선방안" 서울연구원 2019

      12 신경희, "서울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조성사업 평가 연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5

      13 이경미,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35-160, 2017

      14 이은애,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의 평가와 과제" 44-51, 2014

      15 정태인, "서울시 사회적경제 발전 5개년 계획"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3

      16 조달호, "서울시 사회적경제 5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연구원 2017

      17 이경미,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유형 및 특성 연구" 성공회대학교 2017

      18 김연아, "서울시 25개 자치구 사회적경제 정책실태 조사연구"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2016

      19 이현주, "사회적협동조합의 사회적기업 정착을 위한 정책과제"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99-218, 2013

      20 이은애, "사회적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21 김혜원, "사회적기업의 노동통합 성과 분석 - 인건비 지원 종료 사건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0 (10): 31-60, 2017

      22 정무성,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 공동체 2011

      23 조상미, "사회적기업 지원체계 및 지원방법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323-345, 2015

      24 김혜원, "사회적기업 등록제 도입 방안 연구"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11 (11): 95-124, 2018

      25 임성은, "사회적경제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퉁합 지표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6 고동현, "사회적경제와 사회적 가치: 자본주의의 오래된 미래" 한울아카데미 2016

      27 채종헌,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4

      28 이정현, "사회적경제 활성화 추진체계 진단" 행정안전부 2017

      29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2017

      30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2.0 추진계획"

      31 김재호, "사회적경제 지원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제도 분석 (인천광역시 조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35-342, 2016

      32 이은애, "사회적경제 이슈와 쟁점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5

      33 노대명, "사회적경제 이슈와 쟁점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5

      34 이은애, "사회적경제" 서울연구원 2017

      35 이승규, "사회적 기업의 사회경제적 가치 측정 : 사회투자수익률(SROI)" 한국중소기업학회 13 (13): 41-56, 2010

      36 Johnson, T., "사회적 기업의 국가별 정책과 전략" 사회적기업연구원 2010

      37 라준영, "사회적 기업의 가치혁신과 공유가치창출: 엔비전스(N-VISIONS) 사례"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7 (17): 185-206, 2016

      38 김순양, "사회적 기업에 대한 효율적인 정부지원시스템 구축방안: 정부지원을 위한 기준 설정 및 행정체계 확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201-234, 2010

      39 조상미, "사회적 기업 정책특징 비교분석 연구: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38, 2011

      40 관계부처 합동,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 2018

      41 신창환, "사회적 경제의 실천 조건과 정책을 통해 본 사회적 협동조합의 과제" 사회과학연구원 8 (8): 91-119, 2015

      42 송백석, "사회적 경제모델과 한국의 사회적기업정책" 1 (1): 5-32, 2011

      43 노대명,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보건사회연구원 2017

      44 정무권, "복지국가와 사회적경제"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2018

      45 정부합동, "문재인 정부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과 성과" 2019

      46 김연성, "마이클 포터 경쟁론 - 개정확장판" 21세기북스 2011

      47 Magretta J., "당신의 경쟁전략은 무엇인가? : 하버드 경영대학원 마이클 포터의 성공전략 지침서" 진성북스 2016

      48 이재희,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한 공유가치창출(CSV)전략에 관한 사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2015

      49 조상미,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한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에 관한 연구: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19 (19): 35-58, 2015

      50 천혜정,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기업의 역할 변화와 소비자 참여" 한국소비자학회 25 (25): 1-20, 2014

      51 조상미, "공유가치창출을 실천하는 사회적기업: 정책분석을 통한 경쟁력 제고" 한국경영학회 18 (18): 241-265, 2014

      52 임종혁, "공유가치창출(CSV)에 관한 국내 문헌 분석 및 제언" 국제개발연구소 8 (8): 53-87, 2018

      53 박병진, "공유가치창출(CSV) 관점에서 본 CJ제일제당의 동반성장 추진 사례" 한국경영학회 17 (17): 73-99, 2013

      54 구혜경, "공유가치로서 노인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1 (11): 41-74, 2015

      55 유승민, "공유가치 창출을 위한 가치사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Thailand Coffee 지원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15 (15): 65-83, 2017

      56 이정기,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의 유형화와 실천전략" 한국경영학회 20 (20): 59-84, 2016

      57 Porter, M., "경쟁우위" 교보문고 1992

      58 강병준,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과요인 분석 이해관계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4 (24): 5-46, 2014

      59 Defourny, J.,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2001

      60 Porter Michael,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72-91, 1990

      61 Thomas Laudal, "Measuring shared value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14 (14): 917-933, 2018

      62 Rein, M., "Implementation: A Theoretical Perspective"

      63 Bullock, Charles S, "Implementation of Civil Rights Policy" Brooks/Cole 1984

      64 Piotr Woicik, "How Creating Shared Value Differs From Cororate Social Responsibility" 24 (24): 32-55, 2016

      65 Gaston Reyes, Jr., "Beyond the Win-Win : Creating Shared Value Requires Ethical Frameworks" 59 (59): 142-167, 2017

      66 Burnham and M., "American Politics and Public Policy" MIT Press

      67 행정안전부, "2019년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

      68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7 성과보고서" 2018

      69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1-2015 서울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 5년 성과 및 향후 과제" 2016

      70 Porter, M, "(마이클 포터의) 국가 경쟁우위 :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전략" 21세기북스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