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적 폭력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 ( Cho¸ Sangmi ),정희수 ( Chung¸ Hee Soo ),한예선 ( Han¸ Yae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4

        사회복지 종사자의 폭력경험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하며 이는 조직 행동 및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존 연구는 폭력과 개인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들이 다수였고, 정신적 폭력과 조직행동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클라이언트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 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스트레스와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사회복지 종사자 1,051명의 응답자료를 Mplus를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은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직무 스트레스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둘째, 소진은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동료·상사의 정신적 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 종사자의 정신적 폭력 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등 부정적인 심리·정서적 영향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조직문화의 확립, 개방적인 의사소통 구조를 통한 사전 예방체계 구축, 다양하고 지속적인 교육, 폭력예방 매뉴얼의 구체화, 사후대응 체제 마련, 직장 내 폭력 예방을 위한 다양한 슈퍼비전 활동 등 정신적인 폭력을 예방하고 업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낮출 조직 관리의 함의를 모색하였다. Social workers’ experiences of violence have negative impacts o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Existing studies on violence have mainly focused on the negativ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violence on individual emo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ental violence, which occurs most frequently on a daily basis, on turnover intention. In this study, two major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how does mental violence by clients or within the workplace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Second, do burnout and job stress mediate the influence of mental viol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analyzing the response data of 1,051 social workers in Seoul, adop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Mplus program. First, mental violence by clients or in the workplace had no direc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Second, mental violence by clients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ully mediated by job stress, and mental violence in workplace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fully mediated by job stress and burnout.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prevent mental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and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s.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을 실천하는 사회적기업

        조상미(Sangmi Cho),Erica Yoonkyung Auh,정수정(Sujeong Jeong),김경화(Kyung Hwa Kim)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4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정책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과연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이 사회적기업 경쟁력을 실제로 증진시키고 있는지,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을 활용한 정책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 경쟁력을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MCF는 국가 및 산업의 경쟁력 비교 시 많이 활용되는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과 사회적기업 정책을 비교분석한 조상미 외(2011)의 분석틀을 통합한 것으로, 정부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에 대하여 사회적기업의 생산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산업, 기업전략?구조 및 경쟁의 네 가지 요소들을 사회적기업 지원체계 및 지원방법으로 구분하여 검토한 것이다. 분석결과 현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은 네 가지 조건 중 생산조건에 집중되어 있어 지원의 불균형 현상이 두드러졌다. 특히 사회적기업의 자생력 향상을 위한 기업전략?구조 및 경쟁 부분에 대한 지원이 현저히 부족하여, 1차원적이고 단기적인 지원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이 미흡하고, 경쟁력 향상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사회적기업 지원정책의 현 주소이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공유가치 창출 개념에 입각한 사회적 욕구 파악을 위한 지원, 품질관리와 제품개발에 대한 교육 및 지원, 사회적기업 홍보에 대한 재정지원, 지원의 다양화 및 차등화, 전략기획 및 조직개발에 대한 지원, 사후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확립, 정부부처 간 협력강화 및 통합적 지원체계 수립, 장기적인 교육체계 확립 및 교육 내용 다양화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licies for social enterprises in Korea with the goal of provid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To achieve the purpose, our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a policy analysis model was designed based on Porter (1990)’s competitive advantage model, the diamond model, and Cho, Kim, & Kang (2011)’s social enterprise policy analysis model. The new model, 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 includes four determinants of competitive advantage from the diamond model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and 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and each attribute is divided into two prongs of social enterprise policy analysis from Cho et al. (2011), the supporting system and the supporting methods. Findings show that the policy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centers on the short-term support for the everyday operation of social enterprises--the support is concentrated on the factor condition attribute, while the support for the 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attribute is by far most limited. Such a lop-sided support results in a limited role the policy plays in creating an environment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nterprises and, thus, the long-term sustainability.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clude providing support for assessing the social needs for their product/service development to truly create shared value, providing education and support for product management and product development, allowing financial support to promote social enterprises, assisting with their strategic plans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with a diversified and differentiated support,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and a follow-up plan, strengthening inter-governmental agencies’ collaboration/cooperation a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social enterprises, and securing a long-term educational system with diverse curricular.

      • KCI등재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주요쟁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상미(Cho, Sangmi),선민정(Sun, Minjung),강대성(Kang, Daes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4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이 되기 위하여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사회적기업육성법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의 구성요소인 사회적 목적의 추구, 경제적 목적의 추구와 이들을 지지해 주고 뒷받침해 주는 지원체계와 지원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기업육성법의 내용 중 사회적 목적의 추구는 사회적 목적의 실현, 취약계층의 기준, 사회서비스의 범위를, 경제적 목적의 추구는 조세감면 및 사회보험료의 지원, 재정지원, 금융지원을, 지원체계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네트워크를, 지원방법은 경영 및 교육 지원, 공공기관의 우선 구매를 하위요소로 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목적의 추구를 위해서는 사회적 목적 범위가 확대되어야 하며, 사회적기업의 인증 요건 중 사회적 목적의 실현범위와 관련하여 취약계층 인정 비율 재고가 필요하다. 취약계층의 기준에 있어서는 더 다양한 취약계층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회서비스의 범위도 공익성을 띄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경제적 목적의 추구를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에 대하여 사회 보험료의 감면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주고, 재정지원에 있어서는 단계적이면서 조직의자생력 강화에 초점을 둔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지원체계와 관련하여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책무가 강화되어야 하며, 중간기관과의 파트너십 강화와 네트워크의 활성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지원방법으로는 경영 및 교육 지원이 성장단계별ㆍ업종별로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지원되어야 하며, 공공기관 우선 구매는 공공기관 구매목표 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육성법이 10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동법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 마련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regarding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included the pursuit of social and economic purposes,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of sustainability in social enterprises, and the support system and methods that support these pursuit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ocial purposes in order to pursue them effectively. To that end, among the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social enterprise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ecognition ratio of the social groups in job creation. As to the standards of the vulnerable groups, it is important to add more diverse vulnerable groups and include various services with a public interest in the scope of the social services provided to them. In achieving economic purposes, it is crucial to support social enterprises by continuously reducing the social insurance fee, and providing continued financial support that focuses on strengthening the phased and autonomous capabilities of the enterprises.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social enterprises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partnership with the intermediate agencies and activating network is also essential. In the support methods, management and education support should be supported systematically in the long term as growth stages and industry classification. The ratio of purpose of purchase for public institutions needs to be set. It has signification for this study that this law is analyzed and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at the time when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becomes ten years old.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의 경쟁력 분석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CF)의 적용-

        조상미 ( Sangmi Cho ),이경미 ( Kyungmi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1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급속한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공공의 정책이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사회적경제 정책을 선도하고 있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정책 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간 사회적경제 전반과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과 관련하여 서울시 및 산하 기관에서 생산한 총 155건의 문서를 수집하였고, 다차원 정책 경쟁력 분석틀(MCF)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단기간 동안 양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서울시 사회적경제의 정책적 특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개별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을 줄이고 사회적경제의 저변을 확대하는 정책의 비중을 높였으며, 자치구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단위 사업과 클러스터 구축을 지원해왔다. 둘째, 지원체계 측면에서 분석한 서울시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의 특징은 전반적으로 다이아몬드 모델의 네 가지 요소(생산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산업, 기업전략ㆍ구조 및 경쟁)를 모두 포괄하는 폭넓은 정책들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기업전략ㆍ구조 및 경쟁’ 분야의 경쟁력 요소 향상, 즉 자생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화된 제도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방법 역시 운영지원과 사업지원에 있어서 모두 경쟁력 네 가지 요소 를 뒷받침하는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사회적경제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적합한 조건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한시적이고 단기적이며 성과 중심적인 공모 사업 방식의 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과 사회적금융 생태계가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한 점, 자치구의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들 중 일부는 일몰제로 인해 올해부터 서울시 예산 지원 없이 자체 비전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등이 한계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정성으로 인해 사회적경제 분야 인력들이 전문성과 지속성을 갖기 힘든 구조에 노출되어있는 점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은 정책 구상 시 사회적경제에 걸맞는 토양을 다지고 시민들의 일상에서 사회적경제가 체화될 수 있는 경험치를 만들어 나갈 충분한 시간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이 사회적경제 조직들 간 네트워크 형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앞으로는 지역의 필요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 내 다양한 민간 부문들과의 연대로 확장되어 사회적가치를 확장해야 한다는 점 역시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등 사회적경제 조직을 모두 포괄하는 ‘사회적경제 기업’ 정책을 다뤘다는 점에 차별성이 있다. 또한, 지방정부 차원의 사회적 경제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지역과 밀접한 속성을 갖는 사회적경제 기업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파악한 것도 기존 연구와 구별되는 지점이다. 서울시 사회적경제 정책의 경쟁우위 요소를 파악하여 경쟁력을 분석한 본 연구가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경제의 본질을 강화하는 조건을 찾는데 실마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ocial Economy in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quantitative growth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olicy analysis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is leading the social economy policies of Korea, to examine whether they have improved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To this end, we collected a total of 155 documents generated by the city government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over ten years, from 2010 to 2019, related to the general social economy,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town enterprises, and self-supported enterprises; these documents were analyzed using a Multidimensional Competency Framework (MCF).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ocial economy policies show dramatic quantitative growth over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licies changed direction from providing support to individual organizations to expanding the social economy infrastructure and supporting regional projects and clust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nomous districts. Second, the social economy support system of the city has policies to support each of the four factors in the Diamond model, not to mention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mbracing all four competitiveness factors. Third, the city government pursued policies to integrate the four competitiveness factors in operational and business support, creating conditio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However, there are also challenges to be addressed. First, many business support policies are concentrated on one-time contests with a focus on short-term results. Also, starting from this year, some of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of autonomous districts have a sunset clause that leaves them having to stand on their own feet without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city. Due to such instability, those working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y find it difficult to develop expertise and experience continuity.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time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designing policies to lay the groundwork for citizen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social economy in their daily lives. Also,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has been formed mainly through networking betwee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the focus should be shifted to the needs and problems of each region and extended to connect with diverse entities in the private sector.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prior research by dealing with “social economy enterprise” policies as well as incorporating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other entities.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social economy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o examine concrete policies supporting such enterprises across region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By identify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Seoul’s social economy enterprise policies and analyzing its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provide clues about how to create conditions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embodying the essence of the social economy.

      • KCI등재

        사회적경제 인식은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 서울시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상미(Sangmi Cho),박윤세(Yoonsei Park),정지수(Jeesoo Jung),정선희(Sun Hee Chung),정승애(Seung Ae Jung)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2

        사회적경제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공동체 속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오랜 역사 속에서 존재해온 가치이다. 국내 사회적경제는 2000년대 이후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을 토대로 급속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대중의 인식은 여전히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사회적경제 분야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시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통합적으로 사회적경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문항을 개발하고, 둘째,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이 공동체의식과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경제 인식을 ‘전반적 인지’, ‘조직 인지’, ‘현재 인식’, ‘미래 기대’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상승하고 임파워먼트가 확대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인식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자, 대규모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적경제 인식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사회적경제 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explore how it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The sample included 1,302 Seoul citizen throug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4 sub-factors (General Awareness, Organization Awareness, Current Perception, and Future Expectations) were extracted and Current Percept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Both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became stronger as the perception got higher.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the measurement of the perception of Social Economy and it is unique and meaningful as it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Social Economy percep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empowerment.

      • KCI등재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한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에 관한 연구

        조상미(Sangmi Cho),이재희(Jaehee Lee) 한국경영학회 2015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4

        최근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데 비해,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여 전략적인 공유가치창출 요소를 도출하였다. 공유가치창출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영전략이라는 점에서,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분석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성전자는 공유가치창출 활동 시 자사의 자원활용, 충분한 시장조사를 통한 활동 내용 선정,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 비영리ㆍ국제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인프라 구축, 지속가능한 친환경 기술 및 천연자원 이용,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기업과 임직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등이 전략적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시기적절한 연구이다.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about creating shared values(CSV), which pursues economic and social values simultaneously, in recent years, but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hat analyzed the CSV cases of South Korean corporations.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CSV case of Samsung Electronics and identified its strategic CSV elements. The investigator used the diamond model by Michael E. Porter as the analysis framework in that CSV was a management strategy for corporations to secure their competitive edg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amsung Electronics had such strategic elements as using its resources for CSV activities, selecting the content of activities through enough market researches, engaging in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 links with nonprofi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king use of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and natural resources, and having it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lavish their active interest and support on CSV. The present study is timely and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a CSV case of a South Korean corporation at a time when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bout CSV.

      • KCI등재
      • KCI등재

        사회혁신이란 무엇인가?

        조상미(Cho SangMi),전종설(Chun JongSerl),안소영(An SoYoung),정지연(Jung JiYeon)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9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5 No.-

        경제ㆍ산업분야 및 사회구조의 빠른 변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의 새로운 문제해결 방식으로 사회혁신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혁신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언급돼 있지만 명확한 개념에 대한 경험적 탐색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전문가이면서 학위과정에 있는 참여자들의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통해 사회혁신 구성요소로 10개의 상위범주와 33개의 세부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으로 명확한 사회미션의 기본토양에서 문제진단력과 다양성·포용성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사회혁신의 실천과 연구의 방향성을 제고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사회혁신이 시대적 유행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 견고한 지식체계 및 지속적인 자기혁신이 요구되므로 체계적인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사회혁신가 양성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사회혁신이 사회 곳곳에 확산되기 위한 제도적/환경적 지지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adoption of Social Innovation in the various sections has fueled a rapidly expanding the interest related to practical and scholar issues, social innovation have not yet been completely defined. This paper traces the core elements of social innovation across disciplines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 which consists of 14 participants who onsite specialists with the academic degrees. Final core elements of social innovation was constituted 10 categories and 33 sub-indica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rection of practice and scholarship should be improved taking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obvious social missions, diagnostic powers of social issues, diversity and inclusion. Also, Social Innovator’s training courses need to be developed grounding on scientific higher education for the solid knowledge system and continuous self-innovation. Finally, the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supports are required to expanding social innovation across communities everywhere.

      • KCI등재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한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에 관한 연구

        조상미(Sangmi Cho),이재희(Jaehee Lee) 한국경영학회 2015 Korea Business Review Vol.19 No.3

        최근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데 비해,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여 전략적인 공유가치창출 요소를 도출하였다. 공유가치창출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영전략이라는 점에서,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분석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성전자는 공유가치창출 활동 시 자사의 자원활용, 충분한 시장조사를 통한 활동 내용 선정,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 비영리ㆍ국제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인프라 구축, 지속가능한 친환경 기술 및 천연자원 이용,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기업과 임직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등이 전략적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시기적절한 연구이다.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about creating shared values(CSV), which pursues economic and social values simultaneously, in recent years, but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hat analyzed the CSV cases of South Korean corporations.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CSV case of Samsung Electronics and identified its strategic CSV elements. The investigator used the diamond model by Michael E. Porter as the analysis framework in that CSV was a management strategy for corporations to secure their competitive edg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amsung Electronics had such strategic elements as using its resources for CSV activities, selecting the content of activities through enough market researches, engaging in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 links with nonprofi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king use of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and natural resources, and having it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lavish their active interest and support on CSV. The present study is timely and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a CSV case of a South Korean corporation at a time when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bout CS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