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l<sub>2</sub>O<sub>3</sub>/ZrO<sub>2</sub>요업체에서 공침에 의한 ZrO<sub>2</sub>입자의 분산

        조명제,최정림,박정권,황규홍,이종국,Cho, Myung-Je,Choi, Jung-Lim,Park, Jung-Kwon,Hwang, Kyu-Hong,Lee, Jong-Kook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7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l_2$O$_3$/ZrO$_2$composites, the homogeneous dispersion of ultra low size ZrO$_2$ particles in $Al_2$O$_3$ceramics have been controlled by coprecipitation method. In case of mechanical mixing of ZrO$_2$ powders with $Al_2$O$_3$, homogeneous dispersion and controlling the ZrO$_2$ size were relatively difficult due to high sintering temperature. So nanosized Zr hydroxide was coprecipitated from ZrOCl$_2$/Y(NO$_3$)$_3$ solution with commercial sub-micron sized $\alpha$-alumina (Sumitomo : AES-11(0.4 ${\mu}{\textrm}{m}$)) and high purity ultra low sized $\alpha$-alumina (Taimei Chemical (0.22 ${\mu}{\textrm}{m}$)) for low temperature sintering. By this partial coprecipitation method, relatively low sized ZrO$_2$ dispersion in $Al_2$O$_3$/ZrO$_2$ composites was achieved at 150$0^{\circ}C$-1$600^{\circ}C$ of sintering temperature range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ZrO$_2$가 분산된 $Al_2$O$_3$/ZrO$_2$ 복합체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산되는 ZrO2의 입자크기를 공침법에 의해 초미립으로 균질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여 보았다. 일반적으로 $Al_2$O$_3$와 ZrO$_2$ 분말의 기계적혼합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분산되는 ZrO$_2$ 출발입자의 크기도 크고 소결시에도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용의 이소결성 $\alpha$-Al$_2$0$_3$ 분말(Sumitomo:AES-11(0.5$mu extrm{m}$)) 및 저온 소결용 초미립 알루미나(Taimei Chemical(0.22$\mu\textrm{m}$))에 ZrOC1$_2$. 8$H_2O$ 와 Y(NO$_3$)$_3$를 pH 9.5의 조건에서 공침하여 $\alpha$-Al$_2$0$_3$입자 표면에 초미립의 미세한 Zr(OH)$_4$ 침전 입자가 부착되도록 하였다. 이를 150$0^{\circ}C$-1$600^{\circ}C$의 온도에서 소결하여 작은 크기의 ZrO$_2$ 입자가 균질하게 분산된 $Al_2$O$_3$/ZrO$_2$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이의 기계적성질을 관찰하였다.

      • 강제 수영이 흰쥐 골격근에 미치는 영향

        조명제 대구산업정보대학 1995 논문집 Vol.9 No.2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observe the changes in skeletal muscle(gastrocnemius) of the rat in the swimming training. The subjec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control, 4 weeks swimming and 8 weeks swimming trained group. Myofibrils in the muscle fiber were disaggregated of the forced swimming, although mitochondria between myofibrils were fused with each other and because gigant mitochondria, but the density of cristae decreased. Mitochondria between sarcolemma and myofibrils were divided and thus increased in number. Sarcoplasm was increased, and disaggregated membrane system was observed in swelling formation. Muscle fibers in the skeletal muscle were damaged by stress when the skeletal muscle was affected by forced swimming. The increase in number of mitochondria indicates positive adaptation of the skeletal muscle when training is prolonged.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Strain 51의 보유한 Type II 제한효소 (Hpy51-I)의 특성

        조명제,박정욱,전병삼,박정원,변은영,이선경,박예형,송재영,이우곤,백승철,최여정,정선애,최미영,Cho, Myung-Je,Park, Jeong-Uck,Jeon, Beong-Sam,Pack, Jeong-Won,Byun, Eun-Young,Lee, Sun-Kyung,Park, Ye-Hyoung,Song, Jae-Young,Lee, Woo-Kon,Baik, Seun 대한미생물학회 2001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Vol.31 No.3

        This study describes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of Helicobacter pylori in order to understand the DNA restriction and modification of H pylori. H pylori cell extract was subjected to polyethyleneimine treatment, salt precipitation, heparine-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phy (FPLC) using Resource Q column and Mono Q column to purify the type II restriction endonuclease. Hpy51-I was characterized to recognize the sequneces 5'-GT(G/C)AC-3', yielding 5-base 5' protruding ends. The restriction sequence was identical to that of Tsp 45 I. The enzyme exhibited its maximal activity in the presence of $10{\sim}20\;mM$ NaCl, but was inhibited completely in the presence of more than 80 mM NaCl. The enzyme showed its maximal activity in the presence of $1{\sim}10\;mM\;MgCl_2$.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enzyme activity was pH 9.0 and $37^{\circ}C$, respectively. $MnCl_2$ could not substitute for $MgCl_2$ in reaction mixture. And addition of ${\beta}$-mercaptoethanol and bovine serum albumin in reaction mixture led to loss of enzyme activity of Hpy51-I. The whole cell extract of H. pylori strain 51 was confirmed to carry the enzyme activity for methylation of Hpy51-I-recognised sequence. Hpy51-I digested genomic DNAs of enteric bacteria to less than I kb while it could not cut the genomic DNAs of H. pylori isolates. In this study, the type II restriction enzyme (Hpy51-I) of H. pylori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its biochemical properties, demonstrating that Hpy51-I might be one of the barriers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DNAs into H. pylori.

      • 경남의 불교문화

        조명제 ( Myung Je Cho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지역사 또는 지역문화에 대한 연구는 과거 향토사로 간주하거나 국가사 중심의 시각에서 주변적인 것으로 치부하던 풍토에서 탈피하였지만, 여전히 소홀하게 다루는 편이다. 지역학에 대한 연구 시각과 방법론도 뚜렷하지 않지만, 여전히 분과 학문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불교문화와 관련된 주제는 더욱 열악하다고 하겠다. 종래 지역의 불교문화에 대한 연구는 개별 학문 별로 접근하거나 주로 사회변혁기에 집중되었다. 기존의 성과를 토대로 하면서 경남 지역의 불교문화의 전체적인 흐름을 주요한 특징을 중심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가야 불교에 대한 문제는 남방 불교의 전래와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김해, 지리산 일대의 가야 불교와 관련된 전설, 설화라든지 문헌 자료는 대부분 조선후기 김해 김씨 문중에서 조상을 현창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적지 않다. 신라 중고기에 불교는 국가 이념으로 수용되었다. 진흥왕 순수비에 드러나듯이 가야 지역을 정복하면서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승려가 수행한다든지, 통도사를 건립하여 사리신앙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는 것이 그 전형적인 사례이다. 신라 중대의 경남 불교는 해인사, 범어사, 옥천사 등 화엄십찰(華嚴十刹)로 일컬어지는 사원이 각지방에 개창되면서 화엄종이 확산되었다. 신라 하대에는 선사상이 수용되면서 경남에서는 쌍계사, 창원 봉림산문 등을 중심으로 선문화가 확산되었다. 또한 화엄종이 선종에 대응하면서 화엄 조사(祖師)에 대한 숭배나 활발한 결사운동이 해인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고려 시대의 경남불교에서 주목되는 것은 남해 분사도감에서 이루어진 대장경조판 사업이며, 특히 보유판과 관련된 불교사적 의미가 중요하다. 그 가운데 선(禪) 문헌은 송대 선사상을 수용하는 양상이 잘 반영되어 있고, 고려후기 불교사의 주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일연이 남해 분사도감과 관련된 활동이나 저술은 선종사의 새로운 흐름과 관련된다. 조선시대의 경남 불교는 임란 이후 부휴문파가 전남 동부와 지리산 일대에 자리 잡으면서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였다. 근대 시기에는 전통불교의 유산을 토대로 하면서 근대불교를 지향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범어사, 통도사, 해인사 등 주요 사찰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 유학승들에 의한 불교의 근대화 모색이 주목된다. Study on local history or local culture are now no longer regarded as peripheral study or supplementary one of the national history- centered view, but still deemed as less important. Studying perspective or method on local studies are not clear, and moreover, it is still in a sub-department frame. In this regard, topic related to Buddhist culture is even more inferior. Existing studies on local Buddhist culture has focused from each scholastic approach or on social transformation period. The key characteristics of overall trend of Gyeongnam regional Buddhist culture, based on existing outcome, are as follows. Issue of Gaya Buddhism has certain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of Southern Buddhism. However, documents, legend or myth related to the Gaya Buddhism around Gimhae or Jirisan area are mostly carried out to commemorate the ancestors of the Gimhae Kim family in late Joseon dynasty. Buddhism in mid-late Shilla dynasty was a national ideology. As shown in the King Jinheung stele, monks accompanied the king while he was conquering the Gaya area to pacify the people, and king`s authority was strengthened by the belief of Sari (relic) by building Tongdosa temple. Gyeongnam Buddhism in mid-Shilla dynasty witnessed spread of Hwaeomjong school as the Ten Hwaeom temples, such as Haeinsa, Beomeosa and Okcheonsa were built. In late-Shilla dynasty, Zen Buddhism was accepted, and Zen culture spread in Ssanggyesa(雙溪寺) and Bongrim sanmun(鳳林山門) of Changwon, in Gyeongnam area. Also, to respond to Zen Buddhsim, Hwaeomjong led a movement of worshipping the Master Hwaeom and formation of associations. Most interesting findings of the Gyeongnam Buddhism in Goryeo dynasty is Daejanggyeong production project, which was conducted in Namhae Bunsadogam, and this is especially meaningful for the history of Buddhism in relation with the preservation version. Among them, the Zen documents reflect the trend of Song dynasty`s Zen ideology, showing the mainstream Buddhism in late Goryeo dynasty. Particularly, the writings and activities of Ilyeon(一然) in relation with Namhae Bunsadogam is closely associated with new trend of Zen Buddhism. Gyeongnam Buddhism in Joseon dynasty was led by Buhyumunfaction, as it was located in eastern Jeonnam area and Jirisan, after the Imjin War. In modern era, based on the legacy of traditional Buddhism, a movement to pursue modern Buddhism occurred in main temples like Beomeosa, Tongdosa, and Haeinsa. Especially, there was a modernization attempt by monks who studied in Japan..

      • KCI등재

        근대불교의 지향과 굴절 - 梵魚寺의 경우를 중심으로

        조명제(Cho Myung-Je)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3 No.-

          With regard to discussion on modernism in the academic world, Buddhism has been neglected or has not even been a subject of discussion. Buddhistic study world also cannot suggest the meaning of Buddhism in the modern world by approaching with a simple viewpoint of modern Buddhism. At the end of Joseon(朝鮮) Dynasty, among the Buddhistic world during colonial period, pre-modern Buddhism, transition from tradition to modern Buddhism, and search for modern Buddhism coexisted.<BR>  Beomeosa Temple searched these three trends by stage after the end of Joseon Dynasty. First of all, regarding pre-modern Buddhism, tradition of Zen Buddhism was established through Gyeongheo(鏡虛) and Suseongyeolsa(修禪結社) by monks of Beomeosa Temple. Secondly, reform of Buddhism and translation of Buddhist sutra Baek Yong-seong(白龍城) executed functioned as a bridge from traditional Buddhism to modern Buddhism. Thirdly, a new movement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Buddhism and aspire toward modern Buddhism was being developed around monks who studied abroad. Their aspiration toward modern Buddhism are clearly presented in several points; for example, they received modern ideology widely; formed Buddhistic study reorganized into one of modern studies ; created a new discourse focusing on identity of individuals ; and they established their new viewpoint, direction and practice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the real society. It is remarkable that these points accorded with the general image of modern history seen in the Joseon under Japanese ruling.<BR>  Although these three streams are main elements consisting modern Buddhism, particularly, the third stream aspired toward modern Buddhism. But modern Buddhism declined because they became sympathizers for Japan after 1930s and these streams were not succeeded appropriately.

      • KCI등재

        修禪社의『禪門拈頌集』편찬과 大慧宗杲의 저작

        조명제(Cho, Myung-Je)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2 No.-

        대혜종고는 송대 선을 대표하는 인물이며, 간화선을 대성하여 동아시아 선종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고려 선종계에 수용된 대혜의 저작은 30권본『대혜어록』,『正法眼藏』,『宗門武庫』등과 함께 죽암사규와 함께 저술한『東林和尙雲門 庵主領古』禪林寶訓』등이 확인된다. 대혜의 저작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송상을 통해 고려 선종계에 도입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혜의 저작은 수선사를 중심으로 수용되었으며,『대혜어록』이 담선법회에서 거론될 정도로 선종계에 점차 확산되었다. 『선문염송집』은 고려 선종계에서 대혜의 저작이 어떻게 수용되고 이해되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헌이다.『선문염송집』에 대혜의 착어는 전체 323칙의 고칙 공안에 409회나 인용되어 있어 송대 선승의 착어 가운데 최대의 인용 횟수이다. 착어 가운데 염고의 인용이 44회에 불과한 데 비해 송고는 118회나 인용 될 만큼 그 비중이 크다. 송고의 비중이 높은 것은『선문염송집』의 전체 착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송고는 대부분『대혜어록』권10에서 인용된 것이며, 대체로 죽암사규의 송고와 함께 세트로 인용되어 있다.『정법안장』에서 인용된 착어는 89회이며,『정법안장』에 수록된 대혜의 착어 가운데 거의 3분의 2에 가까울 정도로 많다. 한편, 대혜의 착어는 다른 선승과 달리 상당, 보설 등에서 다양하게 인용되어 있다. 이러한 착어는 상당 99회, 시중 43회, 보설 29회, 법어 7회, 병설 9회 등 모두 187회에 이를 정도이다. 이러한 착어는『대혜어록』에서 법어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인용되었지만『대혜서』는 단 1회만 인용될 정도로 철저하게 소외되어 있다. 그런데 상당, 보설 등에서 인용된 착어는 원문이 전재되거나 자세하게 인용되 어 있지만, 전체 내용의 맥락과 관련 없이 『선문염송집』의 각 고칙 공안에 해당 하는 대혜의 착어로서 인용되어 있을 뿐이다. 특히 상당, 보설 등의 원문에는 간화선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선문염송집』에 인용된 대혜의 착어에서는 간화선과 관련된 내용이 전혀 없다. 이러한 경향은『선문염송집』에 무려 12칙에 걸쳐 인용되어 있는「秦國太夫人請普說」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이 보설에서 강조되고 있는 ‘무자’ 화두가『선문염송집』에 전혀 언급되지 않으며, 단순히 고칙 공안에 해당하는 대혜의 착어만이 인용되어 있다. 따라서 대혜의 착어 인용을 통해 보면『선문염송집』은 간화선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공안 비평이라는 문자선의 이해를 위해 집성된 문헌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Seonmunyeomsongjip』 is a Buddhist scripture compiled by Suseonsa(修禪社) and shows the originality of Korean Seon Buddhism. It also is a basic text that tells us how Suseonsa understood the Seon Buddhism of the Sung Dynasty and how it accepted the Seon of Discourse. This study was a basic literature study of 『Seonmunyeomsongjip』focused on comparing it to Seon text in Sung Dynasty. 『SeonmunYeomsongjip』shows aspects of accepting Zen analects of Ta-hui tsung-kao(大慧宗?) in Goryeo.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arranging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for zen meditation listed on 『SeonmunYeom songjip』on a whole scale, these could be known as below. Chakeo(著語) of Ta-hui have been cited 409 times in『Seonmunyeomsongjip』. Was compared to a mere 44 times yeomgo(拈古) is 118 times more songgo (頌古) is, it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Seonmunyeomsongjip』. In addition, songgo of Ta-hui cited in『Seonmunyeomsongjip』have been cited with a set of Jukamsagyu(竹庵士珪)’ songgo. Chakeo(著語) of Ta-hui hane been cited 89 times in 『Jeongbeobanjang(正法眼藏)』. Incidentally chakeo(著語) of Ta-hui have been cited 99 times from sangdang(上堂), 43 times from sijung(示衆), 29 times from boseol(普說), 7 times from beopeo(法語), 9 times from beungbul(秉拂). Except beopeo, chakeo(著語) of Ta-hui quotes from Zen analects of Ta-hui tsung-kao. But 『Seonmunyeomsongjip』have been cited only one time from『A work on the answers of Ta-hui tsung-kao to the questions of his disciples and laymen(大慧書)』. Because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of Zen analects of Ta-hui listed on『SeomnunYeomsongjip』edited by Suseonsa is basically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of A work on zen talks, it is far from essential character of Ta-hui before A work on zen talks.

      • KCI등재

        元天錫의 佛敎認識 - 朱子學의 수용과 관련하여 : 元天錫의 佛敎認識

        趙明濟(Cho Myung-je)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6 No.-

        여말선초의 사상사는 불교에서 주자학을 중심으로 한 유교사회로 전환되는 것이 그 주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元天錫이라는 한 인물을 통하여 여말선초 사상사의 흐름과 관련된 문제를 검토하였다. 첫째, 원천석은 선종을 중심으로 불교계와 교유하였으며, 불교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 선사상에 집중되고 있다. 그가 불교와 교유한 배경에는 그의 개인사나 체험, 나아가 은거라는 실존적 상황과 관련된다. 그는 선과 관련된 경전에 관심이 많고, 간화선(看話禪)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둘째, 원천석이 불교계와 교유한 경향은 당시 불교계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즉 당시 사대부가 교유하는 대상이나 관심을 갖는 사상이 선사상이라는 사실, 동아시아의 불교 교류 양상이나 선승들이 인가를 받기 위해 중국에 대거 유학하는 현상이 잘 드러난다. 아울러 선사상이 형식화, 고착화되면서 퇴락되어 가는 모습도 반영되어 있다. 셋째, 원천석은 유교와 불교가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같다고 하는 유불일치론을 표방하면서도 기본적인 시각은 불교를 본위에 두고 전개한다. 한편 원천석이 주자학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바탕에는 선사상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성인가학설(聖人可學說)의 수용에서 잘 드러난다. The time from late Goyeo until early Joseon was the milestone period for Korea"s philosophical history to move from Buddhism to Neo-Confucianism of Chu Hsi as a dominant philosophy of the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issues around the philosophical transition during that time through reading a scholar, Won Cheon-seok. Firstly, Won Cheon-seok involved in Buddhism community with Zen Buddhism orientation. His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Buddhism are also closely related with Zen Buddhism. The background of his involvement in Buddhism is linked with somewhat practical situation of him such as his personal history, experience, and secluded life. He had a great interest in books about Zen and deep understanding about KoanZen(看話禪). Next, the way of Won Cheon-seok"s involvement in Buddhism reflects the reality of Buddhism community during the time. In other words, it was the religious time dominated by Sect of Zen Buddhism whereby the high class or leaders of the society were inclined to Zen Buddhism. This tendency can be also seen in the way of Buddhism cultural interaction in East Asia as well as in the phenomena where many monks travelled to China for religious study to get recognised in their community. The 60 pieces of Jesigwon-poetry(題詩卷詩) in Won"s essay book show the phenomena where literature activities were prominent of Zen and reflect the downfall of Zen Buddhism. Thirdly, Won Cheon-seok suggested the unitary theor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He argued that the goals Confucianism and Buddhism pursue are basically same but kept his grounds in Buddhism for his basic perspective. Finally, the reasons for Won to accept and understand Neo-Confucianism of Chu Hsi includes his relationship with and influence from Zen Buddhism. This can particularly be seen in his embracement of Seongin-gahak(聖人可學) hypothesis which refers to the notion that anyone can reach the ideal status of the holy being. This notion had already been suggested in Buddhism. Therefore, the expression of admiring Anhwi(顔回) shows well the fact that the concept and practice of internalizing holy being were accepted by the high class people in the late Goryeo.

      • KCI등재

        修禪社(수선사)의 禪門拈頌集(선문염송집)편찬과 宏智錄(굉지록)

        조명제(Myung Je Ch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굉지정각은 송대 조동종을 대표하는 선승이며, 그의 선은 默照禪으로 불린다. 흔히 묵조선으로 대표되는 조동종은 간화선을 표방하는 임제종과 남송대 선문의 쌍벽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통념과는 달리 『굉지록』에는 수많은 고칙을 공안으로 사용하였고, 그에 대한 착어가 방대하게 수록되어 있다. 『굉지록』에 수록된 착어가 『염송집』의 저본으로서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굉지의 착어는 『염송집』에 본칙 286칙에 두루 인용되었는데, 이러한 인용 빈도는 대혜종고와 쌍벽을 이루며 설두중현, 원오극근 등과 함께 최대의 인용 빈도를 차지한다. 이러한 사실은 곧 수선사에서 송대의 조동종을 대표하는 인물인 굉지의 착어를 최대한 수록하고자 한 편찬 방침과 관련된다. 또한 『염송집』에서 굉지가 착어를 붙인 본칙이 많은 조사는 대개 청원계에 해당하고, 특히 조동종 계열의 조사가 중시되었다. 둘째, 굉지의 착어는 『굉지록』 6권 가운데 권1, 3, 4에 수록된 상당과 소참에서 많이 인용되었지만, 기본적으로 권2에 수록된 『굉지송고』와 『굉지염고』가 대부분 수록되었다. 『굉지송고』는 기본적으로 『설두송고』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았지만, 설두와 다른 선의 경지를 드러내고자 한 문헌이었다. 따라서 『염송집』은 조동종을 대표하는 공안 비평으로서 굉지의 착어를 최대한 수록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면은 『투자송고』와 『단하송고』가 『염송집』에 대부분 수록된 것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곧 『염송집』에는 투자, 단하, 굉지로 이어지는 북송말, 남송초의 조동종을 대표하는 송고가 대부분 수록되어 있다. 셋째, 『염송집』은 조동종의 대표적인 공안 비평을 집성하는 데에 그친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단적으로 『염송집』에 4가 평창록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에서잘드러난다. 가령『벽암록』을 통해 원오는 착어와 평창을 통해 신랄한 비평을 하였고, 무사선(無事禪)에 빠진 송대 선의 흐름을 새로운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곧 『벽암록』은 북송의 문자선을 집대성하면서, 그것을 간화선으로 전환하는 단초를 연 문헌이었다. 그런데 『염송집』에는 『벽암록』에서 제시된 원오의 평창이 인용되지 않았다. 그것은 『염송집』이 북송 이후의 문자선을 정리하고자 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 문헌이라는 성격과 관련된다. 따라서 굉지로 대표되는 조동종 선승들의 착어를 수록하면서도 『종용록』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염송집』의 문헌적 성격은 『염송집』이 증보, 재간될 무렵인 1246년에 송대운문종, 임제종, 조동종을 대표하는 설두, 원오, 굉지의 착어만을 집성한 『삼가염송집』이 간행된 것에서 잘 드러난다. 나아가 이러한 공안집의 편찬이 결국 문자선의 집성이라는 기본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종래 수선사 단계의 간화선을 지나치게 높게 평가하는 문제는 재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is a Buddhist scripture compiled by Suseonsa and shows the originality of Korean Zen Buddhism. It also is a basic text that tells us how Suseonsa understood the Zen Buddhism of the Sung Dynasty and how it accepted the Zen of Discourse. Hongzhi Xhengue(宏智正覺) is a famous Buddhist monk of Soto sect in Song Dynasty. Most of his zen are considered as zen meditation without given topic. It is compared to zen meditation with given topic. Unlike commonly known to people, many old regulations are used as Gongan in Record of Hongzhi, and a big amount of his comments are recorded in this book. In this study, how comments of Hongzhi was quoted in “Seonmunyeomsongjip” and how his ideas were influential. First, comments of Hongzhi was majorly extracted from volume 1~4 of total 6 volumes of Record of Hongzhi. The comments include Niangu and Songgu from volume 2 and lessons and small lectures from volume 1, 3 and 4. Second, “Hongzhi Niangu” and “Hongzhi Songgu” are mostly recorded as they are in “Seonmunyeomsongjip”. Songgu of Hongzhi was influenced by Songgu of Xuedou, but Hongzhi aimed to reach another stage of zen. Main texts of “Xuedou Songgu” mainly include messages of Unmoon sect, but “Hoingzhi Songgu” include old stories of the messages of Soto sect. Third, “Seonmunyeomsongjip” include most Songgu of famous monks representing Soto sect in the late Kaifeng Era and Southern Song Dynasty like Touzi, Danxia and Hongzhi. It has much to do with Suseonsa`s intention of introducing famous Gongan review of Soto sect.

      • KCI등재

        『禪門拈頌集』의 편찬과 『宗門統要集』

        조명제(CHO, MYUNG-JE)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선문염송집』(이하 『염송집』)은 수선사에서 편찬된 공안집으로 한국 선불교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선적이다. 또한 수선사가 송대 선사상을 어떻게 이해하였으며, 간화선의 수용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전적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기초 연구나 사상사적 접근은 거의 없으며, 그나마 제시된 성과도 전체의 체재나 구성에 대한 문제를 목차를 통해 접근하거나 편찬자 혜심과 관련된 문제에 그치고 있다. 이 글은 『염송집』의 저본에 대한 문헌학적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북송대의 대표적인 공안집인 『종문통요집』(이하 『통요』)을 대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두 문헌의 고칙 공안과 착어를 모두 비교, 검토한 내용을 표로 제시하고, 『통요』가 『염송집』의 편찬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염송집』은 당대에서 북송까지의 선문 조사에 관한 고칙 공안과 그것에 대한 염제송고 등 착어를 상세하게 모으고, 이들 공안의 주인공인 조사들을 석존 이래 선문 전등의 차례에 따라 배열한 공안집이다. 염송집의 고칙 공안은 석존, 서천응화현성 이하, 인도‧중국의 선문 조사의 순으로 배치되고, 그것에 대한 착어는 각 칙마다 오랜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편집 구성은 기본적으로 『통요』와 동일한 것이다. 둘째, 『염송집』의 전체 구성과 함께 착어 가운데 염고는 특히 『통요』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다. 곧 염고의 대부분을 『통요』에서 거의 그대로 전재하였던 것이다. 통요로부터 인용한 착어 횟수는 설두중현이 140회로 가장 많지만, 그 다음으로 대위모철 54회, 취암수지 36회, 오조사계 27회, 랑야혜각 26회 등의 인용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편이다. 이와 같이 착어의 인용 횟수가 많은 조사들은 주로 북송대의 운문종과 임제종 출신이다. 이러한 경향은 북송대 선종의 흐름과 일치하며, 아울러 수선사에서 염송집을 편찬하면서 관심을 가진 북송대 선사상의 흐름과도 관련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통요』는 당시 성립하고 있던 어록들 가운데 『설두어록』을 중심으로 염고를 뽑아 정리하였고, 본칙의 순서를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법 관계가 애매하게 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염송집』은 『통요』에서 드러난 본칙 배열의 문제점을 수정하였다. 넷째, 『염송집』에는 『통요』에 없는 기연과 염송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미 전하지 않는 어록 가운데 북송말, 남송초의 것이 상당히 풍부하게 인용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임제종 黃龍派가 중시되었다. 『Seonmunyeomsongjip』 is a Buddhist scripture compiled by Suseonsa(修禪寺) and shows the originality of Korean Zen Buddhism. It also is a basic text that tells us how Suseonsa understood the Zen Buddhism of the Sung Dynasty and how it accepted the Zen of Discourse. This study was a basic literature study of 『Seonmunyeomsongjip』 focused on comparing it to 『Jongmuntongyojip』.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influence and meaning of 『Jongmuntongyojip』 in regards to the compilation of 『Seonmunyeomsongjip』. First, 『Seonmunyeomsongjip』 included the scriptures of Buddha, India, and China. It particularly organizes the footnotes of old scriptures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North Sung Dynasty. This composition is basically same as that of 『Jongmuntongyojip』. Second, among the footnotes of 『Seonmunyeomsongjip』, interpretation was almost completely quoted from 『Jongmuntongyojip』. The number of quotation of footnotes was the greatest for Seoldujunghyeon(雪竇重顯) (140times), followed by Daewimocheol(大潙慕喆) (54 times), Chuiamsuji(翠巖守芝) (36 times), Ojosagye(五祖師戒) (27 times), and Ryangyahyegak(瑯琊慧覺) (26 times). Most of them were from Unmun Order(雲門宗) and Imje Order(臨濟宗) of the North Sung Dynasty. This tendency reflects the flow of Zen of the North Sung Dynasty, in which Suseonsa was interested while compiling 『Seonmunyeomsongjip』. Third, 『Jongmuntongyojip』 extracted and organized interpretation from 『Seoldueorok』(雪竇語錄) and neglected the order of original text. Therefore, its authenticity was rather ambiguous. 『Seonmunyeomsongjip』 solved this problem of 『Seonmunyeomsongjip』 by rearranging the text. Fourth, 『Seonmunyeomsongjip』 included explanation and prayers not found in 『Jongmuntongyojip』. Among the texts not delivered previously, many of them were from the late North Sung and early South Sung Dynasties. Among the many orders, Hwangryong Sect of Imje Order was val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