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남의 한문학 - 이상향과 유형지, 양극단의 노래 -

        윤호진 ( Ho Jin Yun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이 글은 경남 한문학의 특징이 무엇일까에 대해 개략적으로 접근해본 것이다. 경남의 한문학에 대해서는 그것을 정의하고 범주를 정하는 일부터 쉽지 않은데, 여기에서는 우선 한문학의 특징 가운데 외면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경남 한문학의 외형적 특징으로 거론할 수 있는 것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우선 경남의 한문학이 찾아옴과 보내짐의 상태에서 지어진 것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찾아옴은 최치원이 이후 유람과 우거, 그리고 은거를 위해 경남지역을 찾아와서 그것과 관련된 글을 남긴 경우이다. 보내짐은 벼슬을 위해 경남지역에 왔던 일과 귀양 와 있으면서 경남지역과 관련된 글을 남긴 경우이다. 유람과 우거, 은둔과 피세 및 이상향을 위해서는 스스로 경남을 찾아왔고, 벼슬을 하고 유배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경남에 보내진 것이다. 따라서 전자를 찾아옴의 문학이라 하고, 후자를 보내옴의 문학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찾아옴의 문학은 같은 곳을 집중적으로 방문하여 대략 같은 대상에 대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는 특징이 있다. 보내짐의 문학은 벼슬을 위해 오는 경우와 같이 오고 싶은데 보내지는 것과 유배를 당하는 경우와 같이 오기 싫은 데 보내지는 것이 있다. 전자는 능동적 생각에 맞게 보내진 것이고, 다른 하나는 피동적 명령에 의해 보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찾아옴과 보내옴은 경남의 한문학이 갖는 외면적 특징이다. 이상향을 찾아오고 유형지로 보내지는 과정에서 형성된 경남 한문학의 두 가지 극단적으로 대조를 이루는 사안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쉽지 않다. 우선 다른 지역에는 청학동과 같은 이상향을 품은 지리산 같은 것이 없고, 여기에 더하여 남해와 거제도 등 외딴 섬으로 된 유형지가 함께 있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남의 한문학은 찾아옴에 의해 반복적으로 확대 생산되는 문학유산과 보내짐에 의해 형성된 외지인의 경남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담겨 있는 문학유산 속에서 그 새로운 지평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is about Sino-korean literature of Gyeongnam area as a place for sightseeing, withdrawal, and flight how they left their works in hopes of finding an utopia and how they left their product after they were exiled or sent to be government officials. Some of them came here by themselves to find an utopia or to sightsee or to escape from the world, and some of them were sent by others to be government officials or to be prisoners. The former is the literature of coming and the latter is the literature of sending. The literature of coming has a feature that writers constantly visit the same places and expand their thinking. The literature of sending can separate into two cases whether they wanted to come or not. These two literature types, the literature of coming and literature of sending, are surface features of Gyeongnam Chinese letter`s studies. It is hard to find anywhere these two extreme cases of Gyeongnam Chinese letter`s studies which was made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un utopia and being exiled. First of all, other areas don`t have a place like Chenghackdong in Jili Mountain where we can look for an utopia. Moreover, there aren`t any isolated islands like Namhae and Gejae. Therefore, Chinese letter`s studies of Gyeongnam were formed by repeatedly produced and expanded cultural heritages of coming and sending, and we shell wide our ground of literature here.

      • 경남학 : 중국문화 속에서의 태산문화

        진위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0 慶南文化硏究 Vol.31 No.-

        태산은 중국문화의 국부적 축소판이다. 수많은 문화적 요소 중에서 정치와 종교는 태산문화의 정수를 가장 잘 체현한 요소이다. 태산 정치문화의 핵심은 봉건제왕의 태산봉선이다. 봉선 즉, 제왕이 태산에 올라가 하늘과 땅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은, 중국고대의 오행학설과 동방숭배사상 및 군권신수(軍權神授)관념에 기원한다. 이 세 가지 요소가 복합적인 작용을 하여 태산을 중국의 ‘제일의 산’으로 만들어 놓았다. 태산 종교문화는 도교가 그 주를 이루고 불교가 거기에 겸해진다. 도교가 태산에 남긴 가장 큰 문화적 요인은 태산신(泰山神) 숭배와 벽하원군(碧霞元君) 숭배이다. 태산신과 벽하원군의 출현은, 민중 속에 자리 잡은 태산의 영향력이 중국 전역에 자리 잡도록 하였다.

      • 경남의 언어

        박용식 ( Yong Sik Park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경남의 언어’는 ‘경남 사람들이 써 왔고 현재 경남 지역에서 쓰고 있는 언어’이다. 경남 지역어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 성과가 있었고 이에 대한 정리가 있었지만 역사적 고찰이나 문화재로서의 고찰은 아직 없다. 이에 이 글은 경남 지역어의 특징과 위상을 되짚어 본 뒤 2000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의 연구 성과 목록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어 역사 자료를 고찰하면서 문화콘텐츠로서의 지역어의 가치와 조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경남 지역에는 무수한 섬과 지리산, 가야산 주변의 오지 마을이 있는데 이곳에서 평생 살아온 주민들의 언어와 특수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언어는 보전하고 발굴할 가치가 있다. 이러한 연구야말로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문화콘텐츠 발굴의 토대가 될 것이다. The language of GyeongNam is the language of GyeongNam region. That is to say it is the language that is spoken by the people of GyeongNam. The language of GyeongNam(LGN) is very unique dialect in Korea. Standard Korean has 10 single vowel on the other hand LGN has 6 single vowel. And there are a few region that [s`] is not a phoneme. And very unique and distinctive feature of the LGN is that the grammar and lexicon of LGN is similar to old Korean. Young person of GyeongNam usually speak standard Korean. So, LGN is disappearing rapidly. The dialectologist of GyeongNam must survey diverse LGN. The language of inhabitant of an GyeongNam island and Jiri Mountain, Gaya Mountain will be good resource of dialectology. And the language of a unique profession will be good cultural contents.

      • 경남학 : 역사로 본 경남지역

        박용국 ( Yong Guk Park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0 慶南文化硏究 Vol.31 No.-

        지역학은 지역사를 기반으로 한 학제적 연구이다. 이는 경남학의 정립에서 현재적 관점의 실천적 측면을 너무 강조하면 그 역사적 경험을 간과하게 되고, 미래의 비전 제시에서도 방향성을 상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경남학은 올바른 인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그 대중화를 위한 글쓰기의 전제가 된다. 경남의 역사는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지만 그 정체성을 대변하는 역사 시기는 가야사이다. 한편 경남의 역사를 살펴보면 인적인 측면에서는 경상우도 남명학파와 그 행위(의병활동)에서 그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 전체사의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경남지역은 변혁 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경남의 지역적인 특성은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지역과 동래(부산)을 중심으로 한 동부지역의 이원성(二元性)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통일신라시대 지방통치체제가 9주로 정비되면서 비롯된 것으로써 대체로 갑오개혁기(甲午改革期)까지 유지되었다. 전근대사에서는 경상우도의 큰 고을인 진주지역이 대체로 경남지역의 주도권을 갖고 있었다. 이는 19세기 말 지방제도 개편에도 이어졌다. 그러나 20세기 들어와 일제의 식민지배 정책에 의해서 변화가 일어났다. 이후 동부지역이 경남지역의 정치?경제?사회의 주도권을 쥐게 된다. Regional studies are referred to as studies based on regional history. Accordingly,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Gyeongnamhak, if it places too much emphasis on practice from a present perspective, it might overlook historical experiences of Gyeongsangnam-do making it impossible to set the right direction at a time of suggesting future vision. In this regard,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Gyeongnamhak, and it becomes a precondition to writing for popularization. The history of Gyeongnam starts in the prehistoric times, but Gayasa represents its identity.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history of Gyeongnam, its identity can be found in Gyeongsangwoodo Nammyeonghakpa and its activities (Uibyeonghwaldong). From a socio-economic perspective, Gyeongnam area has played a pioneering role in revolutionary movement. In the meantim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nam can be found in duality based on eastern areas centering on Jinju and western areas centering on Dongrae (Busan). It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the regional governing system in Tongilsillasidae was reorganized into 9 Ju, and it had been generally maintained until Gabogaehyeokgi. According to pre-modern history, Jinju area took the leadership in Gyeongnam. It led to reorganization of regional system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 경남과 바다 -섬의 명칭과 유래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최영호 ( Young Ho Choi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경남의 섬은 총 541개다. 유인도 77개, 무인도 464개로 이루어져 있고, 저마다의 이름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이름들은 섬의 외형적 형상만 보고 지어진 것이 아니다. 섬과 함께 한 사람들의 삶의 역사, 바다와 육지와의 관계, 다른 섬과의 유사성 등에서 이름을 가져왔다.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섬의 내면적 삶에서 끌어온 경우도 적지 않다. 도대체 경남의 섬은 어떤 명칭을 갖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은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 본 연구는 인문학의 눈으로 경남의 섬의 명칭과 유래를 살펴 본 후 주요 특징을 유형별로 구별해 보았다. 나아가 이런 내력들이 ‘누구의 서사’로 만들어졌고, ‘누구를 위한 서사’로 지속되었으며, ‘누구의 서사로서 표출되는 내력’인지를 우리가 풀어야 숙제로 제기하였다. 경남의 섬을 인문학의 시선으로 접근하는 것은 결국 우리의 일상적 삶이 하나의 섬이 존재함으로써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성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는 지금도 완성되지 않은 서사로서 우리 곁에 있는 경남의 바다와 섬들이 자기만의 고유의 가치와 의미로 사회적 전체의 서로 다른 층위의 삶에 ‘어떻게’ 조응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경남의 섬에 깃든 특수한 시간과 역사, 각각의 표현적 역사 못지않게 비가시적·비재현적 영역에 대한 추론적 내력에도 주목하는 기회가 될 듯하다. 이 모두가 밝혀질 때 경남의 섬은 추상적인 공간이 아닌 구체적인 장소로서의 공간적 의미를 가질 것이다. 물론, 땅을 보던 눈으로 바다와 섬을 보면 낯설고 생경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게다가 너무도 평범하고 너무도 비천하게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평범하다고 간주되던 것들과 비천하다고 여겨지던 것들에 깃든 특이함을 새로운 시각으로 끌어낸다면, 우리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들까지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섬의 고유문화를 간과한 채 계몽적 차원에서 규정하는 것을 경계하고, 바다와 섬에 관한 보편적인 문화가 마치 따로 있는 듯 미리 정한 뒤 그 잣대로 특정문화에 내재한 문화적 특성을 재단하는 것에 대한 한 반성이기도 하다. 경남의 바다와 섬은 우리의 일상적 삶과 함께 있되 따로 있고, 따로 있되 더불어 있는, 우리들의 숱한 경험과 축적된 시간이 비가시적으로 함축된 삶의 장소이다. There are a total of 541 islands in the GyeongNam Province. 77 of them are inhabited, 464 are not, and each island has a name. These islands did not acquire their names based solely on their outward appearances. The names reflect the history of the people who lived on the islands, its relationship to the sea and land, and its resemblance to other islands, etc. Names induced from elements unseen, from the internal lives of the islands are not uncommon. Indeed, what kind of names do the islands of GyeongNam province have? How did they come about?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s of the name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originary characteristics under a humanistic perspective. Furthermore, I proposed issues such as: the internal forces that determine “whose narrative” were the names made, maintained under “narratives for whom” and with “whose narrative are the internal forces expressed” as topics that need to be additionally addressed. Approaching the islands in the GyeongNam province with a humanistic perspective is not very different from examining our everyday life in line with how an island exists and how it changes. This is an ongoing narrative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islands as entities in their own right and in accordance with various layers of society. Not only that, it will be a great opportunity to pay attention to the particular time and history, the internal forces that enable deduction into invisible and reemergent domains. These islands will finally gain meaning as specific places instead of some abstract territories. Of course, it may naturally be unfamiliar and discordant when you look at the sea and islands with a perspective used to examine land. They can seem too plain and insignificant. However, if we can analyze these with a new perspective, we may be able to induce new meanings and even entities that cannot be seen from elements previously regarded as plain and insignificant. This study therefore resists overlooking the islands` inherent culture and defining it in line with strictly educational purposes, but rather stands for an introspection of endowing literary characteristics to these islands with predefined culture and finding meaning within it while cutting out the intrinsic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islands and sea of GyeongNam province is a part of our everyday lives, at the same time separate, separate but a part of a place that reflects our countless experiences and accumulated time in an invisible manner.

      • 2000년대 우리 영화 속에 투영된 경남

        이용주 ( Yong Jou Lee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경남지역에서 촬영된 영화들이 경남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양상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가, 그리고 영화에 경남지역의 이미지가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경남지역과 영화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는 가늠자가 되기도 한다. 먼저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경남지역의 시와 군의 내부 자료와 경남영상위원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촬영영화자료를 토대로 우선 2000년부터 2011년 10월 30일까지 제작된 경남지역을 촬영지로 하여 제작된 영화의 현황을 연도별과 지역별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논리의 원활한 전개를 위해 영화를 크게 두 종류, 경남지역을 단순한 배경으로 촬영하여 지역적 특성이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아 다른 지역에서 촬영된 것이나 다를바 없는 느낌을 주는 영화들과 지역 언어와 그곳의 삶의 유형이나 방식을 담아내어 경남의 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양상을 반영하고 있는 영화들로 분류하여 미시적 차원에 앞서 거시적인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much the films which have been made in Gyeongnam since 2000,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 and the cultural aspect of Gyeongnam, and how the image of Gyeongnam is reflected in the films. In additional, this research describes the interrelation between Gyeongnam province and the films. At first, for collecting research materials, we classified the status of films that is made in Gyeongnam area from 2000 to October 31, 2011 by regional groups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materials such as film, documents which are offered from the administration of Gyeongnam province and Gyeongnam Film Commission. Setting out a logical argument, this study is developed at the macro level before the micro level to devide the films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s the films that are made in Gyeongnam as a simple background which cannot clearly represent any regional character, so it is no different from the films which are made in other provinces. The second group reflects the regional character and the cultural aspects of Gyeongnam with the regional language and way of life in that area.

      • 경남의 불교문화

        조명제 ( Myung Je Cho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1 慶南文化硏究 Vol.32 No.-

        지역사 또는 지역문화에 대한 연구는 과거 향토사로 간주하거나 국가사 중심의 시각에서 주변적인 것으로 치부하던 풍토에서 탈피하였지만, 여전히 소홀하게 다루는 편이다. 지역학에 대한 연구 시각과 방법론도 뚜렷하지 않지만, 여전히 분과 학문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불교문화와 관련된 주제는 더욱 열악하다고 하겠다. 종래 지역의 불교문화에 대한 연구는 개별 학문 별로 접근하거나 주로 사회변혁기에 집중되었다. 기존의 성과를 토대로 하면서 경남 지역의 불교문화의 전체적인 흐름을 주요한 특징을 중심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가야 불교에 대한 문제는 남방 불교의 전래와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김해, 지리산 일대의 가야 불교와 관련된 전설, 설화라든지 문헌 자료는 대부분 조선후기 김해 김씨 문중에서 조상을 현창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적지 않다. 신라 중고기에 불교는 국가 이념으로 수용되었다. 진흥왕 순수비에 드러나듯이 가야 지역을 정복하면서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승려가 수행한다든지, 통도사를 건립하여 사리신앙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는 것이 그 전형적인 사례이다. 신라 중대의 경남 불교는 해인사, 범어사, 옥천사 등 화엄십찰(華嚴十刹)로 일컬어지는 사원이 각지방에 개창되면서 화엄종이 확산되었다. 신라 하대에는 선사상이 수용되면서 경남에서는 쌍계사, 창원 봉림산문 등을 중심으로 선문화가 확산되었다. 또한 화엄종이 선종에 대응하면서 화엄 조사(祖師)에 대한 숭배나 활발한 결사운동이 해인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고려 시대의 경남불교에서 주목되는 것은 남해 분사도감에서 이루어진 대장경조판 사업이며, 특히 보유판과 관련된 불교사적 의미가 중요하다. 그 가운데 선(禪) 문헌은 송대 선사상을 수용하는 양상이 잘 반영되어 있고, 고려후기 불교사의 주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일연이 남해 분사도감과 관련된 활동이나 저술은 선종사의 새로운 흐름과 관련된다. 조선시대의 경남 불교는 임란 이후 부휴문파가 전남 동부와 지리산 일대에 자리 잡으면서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였다. 근대 시기에는 전통불교의 유산을 토대로 하면서 근대불교를 지향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범어사, 통도사, 해인사 등 주요 사찰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 유학승들에 의한 불교의 근대화 모색이 주목된다. Study on local history or local culture are now no longer regarded as peripheral study or supplementary one of the national history- centered view, but still deemed as less important. Studying perspective or method on local studies are not clear, and moreover, it is still in a sub-department frame. In this regard, topic related to Buddhist culture is even more inferior. Existing studies on local Buddhist culture has focused from each scholastic approach or on social transformation period. The key characteristics of overall trend of Gyeongnam regional Buddhist culture, based on existing outcome, are as follows. Issue of Gaya Buddhism has certain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of Southern Buddhism. However, documents, legend or myth related to the Gaya Buddhism around Gimhae or Jirisan area are mostly carried out to commemorate the ancestors of the Gimhae Kim family in late Joseon dynasty. Buddhism in mid-late Shilla dynasty was a national ideology. As shown in the King Jinheung stele, monks accompanied the king while he was conquering the Gaya area to pacify the people, and king`s authority was strengthened by the belief of Sari (relic) by building Tongdosa temple. Gyeongnam Buddhism in mid-Shilla dynasty witnessed spread of Hwaeomjong school as the Ten Hwaeom temples, such as Haeinsa, Beomeosa and Okcheonsa were built. In late-Shilla dynasty, Zen Buddhism was accepted, and Zen culture spread in Ssanggyesa(雙溪寺) and Bongrim sanmun(鳳林山門) of Changwon, in Gyeongnam area. Also, to respond to Zen Buddhsim, Hwaeomjong led a movement of worshipping the Master Hwaeom and formation of associations. Most interesting findings of the Gyeongnam Buddhism in Goryeo dynasty is Daejanggyeong production project, which was conducted in Namhae Bunsadogam, and this is especially meaningful for the history of Buddhism in relation with the preservation version. Among them, the Zen documents reflect the trend of Song dynasty`s Zen ideology, showing the mainstream Buddhism in late Goryeo dynasty. Particularly, the writings and activities of Ilyeon(一然) in relation with Namhae Bunsadogam is closely associated with new trend of Zen Buddhism. Gyeongnam Buddhism in Joseon dynasty was led by Buhyumunfaction, as it was located in eastern Jeonnam area and Jirisan, after the Imjin War. In modern era, based on the legacy of traditional Buddhism, a movement to pursue modern Buddhism occurred in main temples like Beomeosa, Tongdosa, and Haeinsa. Especially, there was a modernization attempt by monks who studied i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