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XML기반의 관리 정보와 메시지를 이용한 망관리시스템

        정찬미(Chan-Mi Jung),강지훈(Ji-Hoo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최근 네트워크 망이나 장비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망과 이기종간의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하고 관리하기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SNMP만으로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네트워크를 관리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XML[11]은 정보교환을 목적으로 고안되었으며 기업들은 앞다투어 어플리케이션에 XML을 도입하여 정보교환의 새로운 모델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XML은 분석환경이나 상호운용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정보교환의 새로운 형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네트워크 망이나 장비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망과 이기종간의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하고 관리하기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SNMP만으로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네트워크를 관리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XML은 정보교환을 목적으로 고안되었으며 기업들은 앞 다투어 어플리케이션에 XML을 도입하여 정보교환의 새로운 모델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망관리시스템의 기본 관리정책과 SNMP PDU 메시지를 XML로 정의하여, 다양한 장비와 망을 그 종과 수에 관계없이 통합관리할 수 있는 통합망관리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 경험

        정찬미 ( Chan Mi Jung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연구 기반 ‘실제적’ 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맥락적으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을 촉진함을 밝히고자 한 사례 연구다. 이에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7학년 6명에게 8개월간 적용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과학 교육 연구자인 멘토가스캐폴딩과 코칭을 제공하며, 멘티 학생들은 연구 문제 선정, 연구설계, 자료 수집과 분석, 논문 작성 및 학회 발표에 이르기까지 과학연구의 전체 과정을 수행한다. 연구 문제는 1)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연구 단계별 학습 상황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2)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각 학습 상황에서 ‘과정으로서 NOS’에 대해 어떤 관점을 구성하는가? 등이다. 수업 관찰, 사후 면담, 멘토의 성찰 보고서, 학생 산출물 등이 수집 및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들은 1) 연구 문제 망각과 혼란, 2) 자료 오류의 처리와 파기, 3) 연구자 입장에 따른 자료 해석, 4) 전반적 연구 경험과 논문 작성, 5) 학술대회 발표장에서의 경험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연구문제의 역할, 측정값의 유효성, 자료 해석에서의 주관성, 과학 지식의 생성과 동료 심사, 학술 대회의 의의 등 과정으로서의 과학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학습했다. 참여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학습한 NOS 관점은 현대적 인식론에 가까웠다. 본 연구는 과학 연구의 구체적 상황과 과정으로서 NOS 학습을 관련지어 보여줌으로써 NOS의 맥락적 학습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가 하는 일과의 유사성이 아닌 학습자의 주체성 및 의미와 관련지어 ‘실제성’을 정의했고, 이렇듯 상황학습론적 가정에 입각한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NOS 학습을 촉진했다. 본 연구의 가정과 결과는 과학 교육에서 실제성의 의미와 실제적 과학 학습 환경의 구현 방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에서 성공적인 NOS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과 같이 1) 과학자가 하는 일의 주요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풍부한 맥락을 제공하고, 2) 반구조화된 수업 설계를 바탕으로 학생이 연구의 주도권을 소유하도록 하며, 3) 과학 연구 내용이 연구자에게 관련되고 의미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examining how research-based ‘authentic’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textually facilitates students’ learning on NOS as a process. We developed ‘Becoming a Scientist’ mentor-mentee program and applied it to six Korean 7th graders for 8 months. A mentor, who is also a researcher, provided scaffolding and coaching, and her mentees were to perform the whole process of science research, including selecting the research subject and questions, planning research design, doing experiments, collecting and analysing data, writing research paper, and experiencing poster presentation at an academic conferen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would the students experience at every step of their research process?, and 2) Which perceptions would they construct NOS as a process? Data include classroom observations, interview, mentor’s journal, and students’ learning products. The results show that the mentees have experienced their views of NOS as a process in various ways such as role of research question and purpose, validity of measured value, researcher’s subjectivity in interpreting data, experience of making public and peer review, and significance of academic conference. This study has shown that students’ actual experience in scientific research enhanced their views about NOS as process without explicit and reflective approaches. We defined ‘authenticity’ associated with not only with its similarity to what scientists do but to learner’s identity as scientific researcher.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about the meaning of authenticity and embodying authentic context in science education for better NOS learning.

      • KCI등재

        예술 감상을 통한 과학 관련 사회문제 공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정찬미(Jung, Chanmi),최규리(Choi, Kyoulee),백은주(Baek, Eunjoo),유정숙(Yoo, Jungsook)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의 효과성 측정을 위하여 예술 감상을 통한 과학 관련 사회문제 공감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 콘텐츠 설계 요소를 바탕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구인을 예술적 관찰, 과학적 상상, 사회적 공감으로 정의하고 7개의 하위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7개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초기 측정도구(28문항)를 개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합된 응답 결과 중 289개의 활용 가능한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이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부적합한 2개의 문항을 제거하고 관찰표현, 감상 태도, 상상, 공감 등 4개 요인으로 구성된 26문항의 측정도구를 최종 확정했으며, 최종 척도의 신뢰도는 양호했다(Cronbach’s α=.943).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측정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CFI=.890, TLI=.878, RMSEA=.076), 구인 타당도 검증 결과 개념 신뢰도,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본 측정 도구는 공감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문제기반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의 설계, 적용, 효과 파악 및 환류를 통한 개선의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mpathy scale of science-related social issue through art appreciation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roblem-based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To this end, first, based on the design elements of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 with social issu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the theoretical factors were defined as artistic observation, scientific imagination, and social empathy, and seven sub-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 initial scale (28 items) to measure these seven areas was developed and with the scale, test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the collected response results, 289 available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is data wa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hrough EFA, two unsuitable items were removed, and a measurement tool was finalized with 26 items consisting of four factors of observational expression, attitude of appreciation, imagination, and empathy. The finalized scale showed good reliability (Cronbach’s α=.943). The result of the CFA show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good (CFI=.890, TLI=.878, RMSEA=.076), and confirmed that the convergence validity constituting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verification of concept reliability were also good.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pplying, understanding the effects, and improving the social issues-based science-ar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nd contents aiming empathy improvement.

      • KCI등재

        20세기 초 한국과 유럽의 부엌 계획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정찬미(Jung, Chan-Mi),김현정(Kim, Hyun-J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2

        The change of idea about overall politics, society, technology, and culture in 20th century led to the change of kitchen which is the central space of household affairs as well. Frankfurt kitchen of Margarete Schuette Lihotzky which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at Germany International Trade Exhibition in 1927 functionally designed small space of 6.5㎡ with considering move-line and convenience. This is the beginning of kitchen type which has built-in sink and cupboard that is regarded as an universal option these days, and this has extensively been applied to kitchen system throughout the world after the repetitive development in America, Sweden and Switzerland. And improved kitchen of Park Gil-Yong which was influenced by rationalism introduced from the house improvement campaign and the opening of a port which were progressed in Korea in 1919~1930 is the first stand-up kitchen which improved the inefficiency of Korean conventional kitc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 aspect of kitchen through the rationalization in each country by comparing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the times, change of space for residence and kitch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kitchen plan which had influence at the turning point on the kitchen in Korea, Europe on the side of efficiency at the same period, take into consideration of our residing-culture which has rapidly been changed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o see the direction of kitchen design which copes with the unique residential environment.

      • 회전 아크 플라즈마에 의한 프로판 부분 산화 개질 특성

        정찬미(Chan-mi Jung),딘뒤코에(Duy-khoe Dinh),이대훈(Dae-hoon Lee) 대한기계학회 201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7 No.11

        A study was carried out to generate syngas for NOx reduction by propane partial oxidation reforming with rotating arc plasma. In order to compare the conversion and composition of the reformed gas, the following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1) The same power of 250W was supplied to the plasma reactor at O2/C 0.3~0.7. (2) O2/C, which showed the best conversion rate, was selected in (1), and then 200W to 350W power was appli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optimum O2/C value and the effect of plasma power on the gas reforming. In each case (1) O2/C was the most efficient at 0.6 and (2) maximum syngas converted to 60% was obtained when 350W power was supplied. Higher power was better for higher mount of H2/CO in reforming gas.

      • KCI등재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추출 및 지질 답사 교육 문헌 분석

        정찬미 ( Chanmi Jung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국내외에서 수행된 야외 지질 답사 교육이 지질학 참 탐구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한 문헌 분석연구다. 이를 위해 먼저 야외 지질학자의 실제 연구 방법 및 과학교육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다섯 가지(관찰, 표상, 귀추적 추론, 공간적 사고, 통시적 사고)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구 하위 요소를 추가하여 지질 답사 교육 분석 기준을 개발했다. 분석 대상 사례는 총 53건이었고, 분석은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별하위 요소 및 탐구 요소 전반이 나타나는 경향에 대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관찰과 표상은 대부분의 사례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귀추적 추론, 공간적 사고, 통시적 사고 순으로 포함된 빈도수가 적었다. 관찰은 목적적 관찰 및 자유 관찰의 비율이 높았고, 표상에서는 시각화·언어화 유형과 자유 양식의 표상이 많이 나타났으며, 귀추적 추론에서는 가설 생성 단계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고 가설 내용은 지질형성 과정과 관련된 경우가 많았다. 공간적 사고에서는 자기 위치화 및 공간 배치 형태 인식 유형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통시적 사고에서는 층서 유형의 사고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3가지 이상의 야외지질학 탐구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는 전체 사례의 87%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참 과학 탐구로서 야외 지질 답사 교육의 활용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is a research synthesis analyzing how field geology education is conducte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in the recent 20 years and how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uthentic geologic inquiry. For these purposes, we first drew five elements of inquiry in field geology (observation, representation, abductive reasoning, spatial thinking, and diachronic thinking) considering the field geologists` actual research method as well as its pedagogical significance in science education. We developed analysis criteria for field geology education. The 53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each element of inquiry in field geology and its sub-elements, and also the tendency of overall elements. As a result, observation and representation were included in most cases, but there appeared less frequency in order of abductive reasoning, spatial thinking, and diachronic thinking. For observation, the ratio of purposive observation and autonomous observation is high. For representation, both visualizing and linguistic type of representation and free-form representation appear frequently. For abductive reasoning, the step of generating hypothesis is often included and the hypothesis tends to be about the geological formatting process. For spatial thinking, type of self-location and perception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structure appear at a high rate. For diachronic thinking, type of stratigraphic sequence is the most frequent. The proportions of the cases including three or more elements of inquiry in field geology consist 87% of the total.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geological fieldwork as authentic science inquir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