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건부 생성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위 패턴 기반 대수층 수리특성 예측 모델 성능 향상 기술 개발

        정지호(Jiho Jeong),정진아(Jing Jeong),이형목(Hyeongmok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일반적으로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 패턴은 대수층의 수리학적 특성값을 유추하는데 이용되며, 이를 위해 프로세스 기반의 예측 모델인 PP-model (Park and Parker, 2008) 또는 JP-model (Jeong and Park, 2017)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 기반 모델은 지하수위 패턴을 설명할 수 있는 해석학적 해를 반드시 필요로 하며, 각 관측공 자료에 대하여 전문가에 의한 개별적 분석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Jeong et al . (2020)은 denoising autoencoder (DAE)를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동 패턴의 저차원 특징값을 추출하고 이에 기존 산정된 수리 특성값들을 대응하여 지하수위 패턴에 대한 수리 특성값 관계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모든 관측공에 대하여 전문가 도움없이 효율적으로 수리 특성값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연구에서 추출된 지하수위 변동 패턴의 특징이 대수층의 수리학적 특성에 의해서만 차이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각 지역 마다 발생한 강수의 패턴에 의해 또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예측 모델의 성능이 다소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nditional variational autoencoder (CVAE)를 이용하여 모든 관측공에서의 강수 패턴을 고정시킨 후, 지하수위 변동 패턴의 저차원 특징을 추출 및 예측 모델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Jeong et al . (2020)에서 개발된 예측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이 개발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기반으로 JP-model의 수리 특성값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기반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JP-model은 α(지연 함양 관련), sy(비산출율 관련), ρ(함양률 관련), 및 κ(수리전도도 관련)의 수리 특성 값을 제공한다. α 값은 우기 전(pre-storm period)에서의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분석 가능하며, sy는 우기 후(post-storm period), ρ 및 κ는 우기(storm)의 지하수위를 통해 분석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기의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이용하여 ρ및 κ 파라미터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국 31개의 농어촌지하수 관측공에서 10년 동안 획득한 시계열 지하수위 변동 자료와 이에 대응하는 강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모델 개발을 위한 주된 프로세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JP-model에 다양한 수리 특성값을 적용하여 강수 패턴 A에 대한 다양한 지하수위 변동 패턴 생성 2) DAE를 이용하여 1)에서 생성된 지하수위의 저차원 특징 추출 3) 2)에서 추출된 저차원 특징과 1)에서 적용된 수리 특성값 간 회귀 모델 구축 4) CVAE에 31개 관측공 별 10년치 실제 강수 및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적용하여 강수 패턴과 지하수위 간 관계 모델 구축(관측공 별1년치 자료는 검증 자료로 활용) 5) 특정 관측공 지하수위자료에 대하여 4)에서 구축된 모델을 이용하여 강수 패턴 A에 대한 지하수위 변동 패턴 생성 6) 5)에서 생성된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2)에서 구축된 DAE에 적용하여 강수 패턴 A에 대한 특정 관측공 저차원 지하수위 변동 패턴 추출 7) 6)에서 추출된 강수 패턴 A에 대한 저차원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3)에서 구축된 회귀 모델에 적용하여 특정 관측공에 대한 수리 특성값 예측 검증에 활용된 관측공에서의 지하수위 패턴에 대한 예측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1)에서 이용된 실제 수리 특성값과 7)에서 예측된 수리 특성값 간 상관계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ρ 및 κ에 대하여 각 0.8849 및 0.8398의 높은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이 다양한 관측공에서 획득한 지하수위 변동 패턴에 대한 수리 특성값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개발된 모델은 실제 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관측공 자료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됨에 따라 실용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전문가의 도움이 없어도 효율적으로 특성값을 예측하여 범용적 활용성 또한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조현병의 사회인지(social cogni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정지인 ( Jeong Jiin ),신치환 ( Shin Chi-hwa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1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0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지와 조현병의 기능장애와 관련된 요인 간 상관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각 요인과 사회인지의 상관관계여부와 그 크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출판된 문헌 중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인지와 다른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해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를 사용하였고 국내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였다. 해외검색어는 ‘Schizophrenia OR Mental disorder OR Psychotic disorder’ AND ‘Social cognition OR Emotional perception OR Emotional processing OR Attribution OR Theory of mind OR Social perception’ AND ‘Correlation analysis’였으며, 국내 검색어는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 그리고 ‘사회인지 또는 정서지각 또는 귀인 또는 마음이론 또는 사회지각’ 그리고 ‘상관 또는 연관’이었다. 결과: 총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사회인구통계학적 요인에서는 학력과 사회경제적 상태가 중간 크기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신의학적 요인 중 치료동맹이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음성/양성증상, 정신과적 증상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요인은 사회적/직업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에서 큰 크기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능적 요인은 사회인지와 가장 큰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신경인지와 IQ 모두 큰 크기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조현병과 관련된 요인과 사회인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합적으로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조현병의 사회인지 프로그램 적용에 근거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erception and factors related to schizophrenia was systematically reviewed, and through meta-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social cognition and its size was identified. Methods: Among the studies published for 10 years from 2011 to 2020, a study was selected tha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gnition and other factors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PubMed, CINAHL (EbscoHost), PsycINFO,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ere used as databases. For English key terms, ‘Schizophrenia OR Mental disorder OR Psychotic disorder’ AND ‘Social cognition OR Emotional perception OR Emotional processing OR Attribution OR Theory of mind OR Social percep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Korean key terms were the same as English key term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13 studies,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showed a medium-sized correlation in sociodemographic factors. Among psychiatric factors, treatment alliance had the greatest correlation,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negative/positive symptoms, and psychiatric symptoms. Psychosocial factors showed a large-sized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s and social functions. Functional factors showed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social cognition, and both neurocognition and IQ had a large-sized correl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s meta-analys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related to schizophrenia and social cogni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evidence for the application of social cognitiv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초점정보를 이용한 패턴간의 상대적 깊이 추정알고리즘 개발

        정지석(Ji-Seok Jeong),이대종(Dae-Jong Lee),신용녀(Yong-Nyuo Shin),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3 No.6

        깊이 추정은 로봇 비전, 3차원 영상, 모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깊이 추정은 렌즈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가면서 취득된 일련의 영상에서 계산된 초점 정보에 기반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초점정보를 이용한 패턴간의 상대적 깊이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거리별로 취득된 영상의 초점값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깊이는 두 패턴의 상대적 거리를 고려함으로써 추정하였다. 다양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깊이 추정을 수행한 결과 효과적인 추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Depth estimation is an essential factor for robot vision, 3D scene modeling, and motion control. The depth estimation method is based on focusing values calculated in a series of images by a single camera at different distance between lens and object. In this paper, we proposed a relative depth estimation method using focus measure.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by focus value calculated for each image obtained at different lens position and then depth is finally estimated by considering relative distance of two patterns. We performed various experiments on the effective focus measures for depth estimation by using various patterns and their usefulness.

      • KCI등재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유산균들의 각종 효소활성 및 기능성

        정지강(Ji-Kang Jeong),정연비(Yanfei Zheng),최혜선(Hye-Sun Choi),한귀정(Gwi-Jung Han),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전통 재래식 메주 3종을 수집하여 호기성 생균수, 유산균 수, 효모 및 곰팡이의 수를 측정한 결과 각각 10?~10? CFU/g, 106~108 CFU/g, 107~108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일반적으로 메주의 발효에 가장 크게 관여하고 있는 효모 및 곰팡이이 외에도 유산균 역시 메주의 발효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주요 균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식 메주로부터 몇 종의 유산균을 분리한 후, 3종의 우수균주를 선별하여 동정을 실시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coccus lactis로 밝혀졌으며, 이들을 각각 Lm-SMm, Lp-SMm, Ll-GAm로 명명하였다. 3종 유산균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protease, lipase, α-amylase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Ll-GAm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Lm-SMm, Lp-SMm, Ll-GAm은 각각 45%, 48%, 60%의 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HT-29 인체 결장암 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각 45%, 67%, 70%의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통메주로부터 분리한 우수한 유산균은 장류제조 산업에 있어서 적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메주 제조에 있어서 스타터로 사용되었을 때 장류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re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Meju were selected and the counts of microorganisms in these Meju were determined. The counts of total aerob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and molds were 10?~10?, 10?~108 and 10?~10? cfu/g, respectively in three Meju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important microorganisms in the fermentation of Meju. Therefore, we isolated three kinds of dominant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se Meju. They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98%, Lm-SMm), Lactobacillus plantarum (99%, Lp-SMm) and Lactococcus lactis (98%, Ll-GAm). Then,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hree lactic acid bacteria were investigated. Protease, lipase and α-amylase activities were detected in three lactic acid bacteria, Ll-GAm showed relatively higher activities than other two lactic acid bacteria. Lm-SMm, Lp-SMm and Ll-GAm showed 45, 48 and 60% of antioxidative activity to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and exhibited 45, 67 and 70% of inhibitory effect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re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Meju, especially Ll-GAm are applicable to Meju preparation for soybean paste industry.

      • KCI등재

        노인주간보호센터 운영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정지나 ( Jeong Ji-na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주간보호센터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밝혀,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인구가 밀집된 전라북도 11개 지역의 기관장과 종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 그리고 이용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기관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시행하고 있는 노인복지시설의 정책이나 제도는 현실과 괴리가 커, 대부분의 기관이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시설관계자들의 지위나 역할, 기관의 실질적인 운영 상태를 고려한 현장형 시스템으로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차원에서 이용자나 그 가족, 앞으로 이용하게 될 잠재고객들에게 주간보호센터의 목적 및 필요성, 유익성을 제대로 홍보하여 모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인식제고의 노력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간보호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시설의 수급조절과 관리감독 체계를 현장에 맞게 구축하여 센터 간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자들에게 개정된 법과 정책, 행정업무, 새로운 지식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보공유를 정기적으로 안내하고 교육해야 한다. 셋째, 국가차원에서 시민들에게 주간보호센터의 인식 개선 및 제고를 위한 대대적인 홍보와 지원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넷째, 종사자의 열악한 고용 여건과 처우를 현실에 맞게 개선해 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여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derly day care center and to suggest a plan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activate them.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stitutions was investig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heads of institutions and employees in 11 Jeollabukdo, where the elderly population is concentrated, and surveys of us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of the institutions are experiencing operational difficulties because the policies and system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very different from reality.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on-site system considering the status, role, and actual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Also, efforts to raise awareness that everyone can use with confidence should be preceded by promoting the purpose, necessity and benefit of the day care center to the users, their families, and potential customers who will be used in the future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lan to activate the day care center is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field to strengthen the partnership between centers. Second, the workers should be regularly guided and educated to share information on the revised laws and policies, administrative affairs, new knowledge and programs. Third,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and improve the awareness of day care centers for citizens at the national level. Fourth,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should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poor employment conditions and treatment of employees to the reality.

      • K-pop 스타들의 이미지 트렌드 사례분석 연구

        정지호(Ji-Ho Jeong) 한국뷰티산업학회 2020 뷰티산업연구 Vol.14 No.1

        K-pop은 세 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단순히 K-pop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와 패션 및 뷰티를 결합시킴으로서 글로벌 마켓을 공략해 나가고 있다. 이는 각종 관련사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유튜브 등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과 급성장 속에서 글로벌 대중문화로 자리 잡은 K-pop의 발전요인을 살펴보고 한국을 대표하는 K-pop 스타인 트와이스와 방탄소년단의 음악, 패션, 뷰티 트렌드 사례를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패션, 뷰티산업의 소비동기, 유형, 선호도, 한국제품, 서비스 소비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K-pop스타들로 인한 신한류 열풍은 문화현상을 넘어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견인차 역할까지 하고 있으며 K-pop, K-beauty, K-fashion이 한류문화의 경쟁력 즉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성장함과 감성소비 사회로의 성장에 있어 그 원동력 또한 K-pop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K-pop, K-beauty, K-fashion의 지속적인 사례분석 및 연구를 통하여 신한류열풍이 미래문화산업에서 주도적으로 발전하길 기원하며 우리나라 문화, 경제에 큰 역할이 되어주길 바란다. K-pop is getting the global spotlight and it has establishedits elf as Korea s representative export industry, creating economic added value. It is targeting the global market by combining Korean culture, fashion and beauty beside, not just K-pop simply. It is also contributing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lated businesses. In the development and rapid growth of medias such as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s(SNS), YouTube, etc, it examinedthe development of K-pop, which has become a global pop culture and analyzed the motivation for consumption, types, preference, Korean products, and service consumption of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along with the case analysis of musics, fashions, and beauty trends of TWICE and BTS, representative K-pop stars. Through this analysis, it showed that the new wave of Hallyu by K-pop plays a leading role in Korea s economic growth beyond the cultural phenomenon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competitiveness of Hallyu (Korean wave) of K-pop, K-beauty, and K-fashion, that is, growth into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a society of emotional consumption was also K-pop. It is expectedt hat the new fever of Hallyu can play a leading role in the future culture industry and a major role in Korea s culture and economy through the continuous case analysis and research of K-pop, K-beauty, and K-fashion.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지나(Ji-Na Jeong)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와 직무환경,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J도에 소재한 7개의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과 매개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는 직무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은 직업윤리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직업윤리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환경은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요양보호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정기적인 직업윤리교육을 실시하여 올바를 직업윤리관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직무환경을 개선을 위한 정책적 개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ethics,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also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209 caregivers at seven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J-province were instructed to answer structured questio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ric analysis with SPSS/WIN 24.0 software. The result showed that professional ethics hav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work environment, professional ethics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The result confirmed that work environment of the caregivers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work environment has no causal eff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for the educational institutes to implement professional ethics course for caregivers to reinforce professional ethic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long-term care facilities should also search for measures to enhance work environment for caregivers.

      • SCOPUSKCI등재

        담관낭종이 동반된 췌담관 합류 이상에서 췌장염 발생의 위험 인자 분석

        정지봉 ( Ji Bong Jeong ),김용태 ( Yong Tae Kim ),윤용범 ( Yong Bum Yoon ),황진혁 ( Jin Hyeok Hwang ),김정룡 ( Chung Yong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0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1 No.4

        Background/Aims: The clinical features of pancreatitis in patients with anomalous union of pancreatobiliary duct (AUPBD) are not known well. We analyzed the pathogenic mechanisms, risk factors, and clinical courses aft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AUPB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cholangio-pancreatograms of 58 patients with AUPBD and choledochal cyst diagnos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2 and 2001. Results: The incidence of pancreat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long common channel length (>21 mm), wide common channel diameter (>5 mm), wide diameter of proximal pancreatic duct (>2.5 mm), filling defect in the common channel, and pancretic duct anomaly. However, age, sex, type of choledochal cyst, type of AUPBD, diameter of the bile duct, angle between the pancreatic duct and bile duct, biliary stone, and pancreticobiliary malignancy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risk of pancreatitis. Patients underwent cyst excision (n=9), choledochocystojejunostomy (n=1), pancreas head resection (n=3), or conservative management only (n=3). Pancreatitis recurred in 3 of the 16 patients treated during a mean follow-up of 37.5 months. Bile reflux to the pancreatitc duct seems to be the main mechanism of pancreatitis in AUPBD, considering the fact that choledochal cyst excision prevented pancreatitis recurrence. Conclusion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 channel and pancreatic duc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pancreatitis in patients with AUPBD and choledochal cyst probably due to the bile reflux into the pancreatic duct.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309-315)

      • KCI등재

        택배서비스 품질분류 연구 : Kano model과 대응일치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철 ( Jeong Ji-cheol ),신호성 ( Shin Ho-sung ),이명성 ( Lee Myoung-soung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7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9 No.3

        택배 서비스에서의 서비스 품질은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경쟁우위를 지속하게 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고객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서비스 품질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점차 중요해지는 택배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해 고객이 택배 서비스 품질을 어떻게 인식하고, 고객의 관점에서 각각의 택배 서비스 업체들이 어떠한 서비스 품질에 특화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ano model과 대응일치분석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18가지 하위 서비스품질 요소 중 매력적 요소는 9가지로 나타났고, 대부분 부가적이며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는 측면의 서비스품질인 것을 알 수 있다. 당연적 요소의 경우 6가지로 나타났고 택배 서비스 본원적인 차원요소들이 당연적 서비스품질에 속하였다. 또한 일원적 서비스 품질에는 3가지 요소가 속한 것을 확인하였다.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확인해 본 결과 ‘물품접수절차의 간편성’이 만족계수가 가장 높았고, ‘분실없는 배송’이 불만족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택배업체 중 우체국택배는 안전성과 정확성, 대응성이, 한진택배는 편리성과 신속성이, CJ 대한통운은 신속성이, 로젠택배는 신속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업체로 고객은 인식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택배의 경우에는 타 업체보다 여섯 가지 서비스품질 모두 거리가 멀게 나타나 고객들은 다른 업체에 비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이 더 낮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cut-throat competition among parcel companies, Quality of service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continuing competitive advantage. We need to determine service quality that customers require and know how they understand service quali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arcel service industry which is increasingly important, and to get out of limitations related to the existing parcel service so understand how the customer perceives the quality of the parcel service and examine each parcel service company is specialized in what kind of service quality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9 attractive factors among 18 sub-factors, Most of them are additional service quality which provides convenience for customers. The 6 factors of the natural factor appeared, and the original dimension elements of the parcel service belonged to the natural service quality. Also, there are 3 factors in the unitary service quality. Among the attractive quality factors, 'Convenience of commodity receipt procedure'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coefficient, and the natural quality factor 'Parcel without loss' showed the highest dissatisfaction coefficient. Among parcel service companies, Post Office Express is safe, accurate, and responsive; Hanjin Express is convenient and fast; CJ Korea Express is fast; and Logen parcel is fast and economical. However, In the case of Hyundai Express, distance of six service quality are farther than those of other companies, indicating that customers perceive that the service quality they provid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