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병변아 어머니의 희망과 장애수용이 가족회복력에 미치는 영향

        정은하,한수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2

        I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degree of hope, disability acceptance and family resilience to target mothers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verify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hope and disability acceptance on family resilience. As a result, family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disability acceptance. Moreover, disability acceptance revealed significant factor for family resili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help the families to raise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accept it to promote family resilience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For the foregoing researchers inclusive of wide relevant variabl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shall be carried out on a continual basis and individualized assessment tools that characteristics of such famil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y are reflected must be developed, and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customized and characterized and characterized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brain lesions. 본 연구는 뇌병변아 어머니의 희망, 장애 수용과 가족 탄력성의 정도를 조사하고, 가족회복력에 대한 희망과 장애수용의 관계 및 영향 정도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7개 지역 총 13곳의 의료기관 및 재활센터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병변아 어머니 1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희망, 장애수용과 가족탄력성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2013년 12월 2일부터 2014년 2월 7일까지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뇌병변아 어머니의 희망과 장애수용은 가족회복력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뇌병변아 어머니의 장애수용 정도는 가족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뇌병변아 가족의 가족회복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뇌병변아 어머니의 장애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뇌병변아 가족의 특성이 반영된 개별화된 사정도구들이 개발되어 진단, 중재, 평가가 원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학제적 접근으로 뇌병변아 가족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손 위생 수행 시점에 대한 지식 조사

        정은하,하이경,박남정,김현희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7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0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CU nurses’ knowledge of the five moments of hand hygiene and the ambiguity of these moments when demonstrating hand hygiene. Methods: The subjects were 200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ransl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raining films developed by WHO,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ranking tests. Results: The highest number of correct answers was regarding the moment before contact with a patient and the lowest was regarding the moment after contact with a patient. The rate of providing wrong answers regarding required moments of hand hygiene was high.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ICU nurses’ knowledge of specific moments of hand hygiene; they had difficulty differentiating between the moments that happened simultaneously, i.e. after touching a patient, and that patient’s surroundings, and there was ambiguity concerning patient areas and medical treatment area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nurses regarding both required and unrequired moments of hand hygiene and to ensure that they can distinguish between these moments.

      • KCI등재

        보건교사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동성애에 대한 태도

        정은하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인구학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시의 보건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크루스칼-왈리스 검정, 만-위트니 U 검정, 스피어만의 순위상관, 단계적 다중회귀를 시행하였다. 적대적 성차별주의의 영향요인은 권위주의 성향, 연령, 외재적 종교 성향과 학력이었다. 온정적 성차별주의의 영향요인은 권위주의 성향, 연령과 학력이었다. 동성애에 대한 태도의 영향요인은 권위주의 성향, 종교 유무와 내재적/외재적 종교 성향이었다. 학교 환경에서 성 고정관념이나 편견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에 보건교사의 영향력은 지대하다. 따라서 성평등에 기반을 둔 진정한 교육적 변화를 위해서는 보건교사에게 자신의 성인지적 관점을 능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COVID-19 유행 동안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불안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매개효과

        정은하 대한스트레스학회 2023 스트레스硏究 Vol.31 No.2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usage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nxiety among adolescents. Methods: Data on 54,848 adolescents were obtained from the 17th (2021) Korea Youth Behavior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Version 4.1 (Model 4) to examine the effect and significance of each path in the mediation model.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stress on anxiety. Additionally, smartphone usage ti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nxiety, indicating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implement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related to smartphone use to promote adolescents’ menta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제17차(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54,84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PROCESS Macro Version 4.1 (Model 4)를 사용하여 매개모형의 각 경로별 유의성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불안에 대한 스트레스의 직접효과 및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의해 매개된 스트레스의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고도비만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Bariatric Surgery) 후 영양교육이 체중감량에 미치는 효과

        정은하,이홍찬,임정은 한국영양학회 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 No.1

        본 연구는 베리아트릭 수술 중 위 밴드 수술을 시행한 고도비만 환자의 특성을 밝히고, 수술 후 영양교육을 받은 횟수의 차이가 체중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위 밴드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후 15개월이 경과한 고도비만 환자의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조사이다. 총 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체 연구대상자들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영양교육을 받은 횟수의 평균을 기준으로 평균 보다 작은 경우 소교육군으로, 평균보다 높은 경우 다교육군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총 60명으로 소교육군은29명, 다교육군은 31명으로, 위 밴드 수술 전에 조사된 성별, 연령, 신장, 체중, BMI 모두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압과 맥박은 이완기 혈압과 맥박은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축기 혈압에서다교육군이 소교육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위 밴드 수술 전에 조사 된 연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건강 관련 생활 습관은 음주, 민간요법, 흡연 순으로 나타났다. 음주, 흡연에서는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민간요법 사용 여부에서 다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위 밴드 수술 전에 조사된 비만관련합병증과 보유증상은 등, 허리, 무릎 통증, 코골이, 생리불순, 위-식도역류질환, 수면문제, 고혈압, 수면무호흡증,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코골이에서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증의 경우다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코골이의 경우 소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자들의 식습관 중 속식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과식, 불규칙한 식사 시간, 스트레스성 식사, 잦은 간식 섭취, Junk Food 섭취, 야식, 단 음식 섭취 순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은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가 비수술적 요법을 시행한 경험이 있으며, 약물요법을 가장 많이 시행한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운동요법, 식사요법, 행동수정요법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위 밴드 수술 전에조사된 비수술적 요법 시행 여부는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약물요법을 소교육군은 4가지 이상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교육군은 1가지, 3가지를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운동요법을 소교육군은 유산소 운동만 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교육군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식사요법으로가장 많이 사용한 방법은 두 그룹 모두 보조식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체조성 측정 결과 수술 후 6개월까지는 체지방,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체지방과 체중은 수술 후 15개월 차에 영양교육을 더많이 받은 다교육군이 소교육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수술 전과 수술 후 기간 경과에 따른 비만 지표체중과 체지방의 감소와 비슷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BMI와 비만도는 수술 후 15개월 차에 소교육군에 비해 다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육 횟수가 증가 할수록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15개월에 BMI 감소 정도가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 대상 ...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xtremely obese patients during Bariatric surgery andto evaluate how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ostsurgical personal nutritional educations they received affected theweight loss.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basis of the medical records of extremely obese patients for 15months after receiving gastric banding. A total of 60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they were divided intothe Less Educated Group and the More Educated Group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personal nutritional educationsthey received. We investigated both groups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 health related lifestyle habits, obesityrelated complications and symptoms in possession, and eating habits before their surgery, the body compositionmeasurement result, obesity determination indices at 1, 3, 6, 9, 12, and 15 months before and after their surgery, and thebiochemical parameters at 6 months before and after their surgery. Results: Body fat and weight showed rapid reductionuntil 6 months after the surgery, but thereafter reduced slowly depending on the result of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Regarding body fat and weight, the More Educated Group, who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more often, showedsignificantly lower levels than the Less Educated Group at 15 months after surgery. Regarding BMI and degree of obesity,the More Educ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than the Less Educated Group at 15 months after surgery. Here,we were assured that BMI is reverse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personal nutritional educations at 15 months, which ismore outstanding after surgery than before surgery. Conclusion: Long-term nutritional education is a key factor for theextremely obese patient in maintaining the effects of Bariatric surgery on weight and body fat reduction onwards. In the nextstag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doption of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is recommended forpostsurgical prospective arbitration of obesity in order to monitor blood pressure, obesity related complications, symptomsin possession, and how eating habits and health related life habits change, and to judge the actual effect of the nutritionaleducation metho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인식이 음주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제17차(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정은하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음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제17차(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 음주자인 5,76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WIN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음주 청소년 중 37.4%가 COVID-19로 인해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인지하였다. 음주 청소년에서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건강행동-심리적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COVID-19로 인해 가정경제가 악화되었다고 인지할수록 우울 위험성은 높아졌다. 음주 청소년과 같은 취약한 청소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각적 개입뿐 아니라 학교에서의 정신건강 증진 활동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