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코스웨어 저작을 위한 AFAP의 설계 및 구현

        정영식(Jeong Young Sik),곽덕훈(Kwak Dug Hoon),백두권(Baik Doo Kwon),황종선(Hwang Jong Sun) 한국정보과학회 198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1

        CAI(Computer Assisted(Aidded) Instruction)는 컴퓨터와 학습자가 서로 대화를 나누듯이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수업시에 컴퓨터를 매체로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피교육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CAI 시스템의 기능은 교과목 작성과 교과목 운영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능케 해주는 것이 저작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협의의 의미를 가지는 저작 시스템 즉, 교과목 생성만을 위한 AFAP에 대한 설계와 Turbo-Pascal 4.0으로 구현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고려중기의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에 나타난 구산선문(九山禪門)의 선사상

        정영식 ( Young Sik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禪門寶藏錄』은 한국최초의 선문인 九山禪門의 사상을 대변하는 문헌이라고 생각된다. 보조지눌의 수선사계열이 禪敎雙修를 주장하는 데 반해서, 『禪門寶藏錄』에서는 철저한 선 우위를 주장한다. 그 극치는 `眞歸祖師說`의 주장이다. 진귀조사설은 한국에만 있는 설로, `석가모니가 성도하고 나서 그 깨달음이 미흡함을 알고 히말라야의 진귀조사를 찾아가 선을 전수받았다`는 내용이다. 『禪門寶藏錄』에서 주장하는 선은 달마를 선양하는 如來禪으로서, 육조혜능에서 시작된 祖師禪과는 다르다. 한편, 『禪門寶藏錄』에서 한국고유의 선사상을 담고 있는 『玄覺禪師敎外竪禪章』도 교외별전을 주장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玄覺禪師는 여태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로,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眞鑑國師慧昭(774-850)→玄覺禪師(9세기중반-10세기중반) → 眞淨大禪師天책(13세기중반)으로 이어지며, 고려시대에 智異山연谷寺를 중심으로 한 문파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현각선사는 『禪門寶藏錄』의 撰者인 天책의 먼 스승에 해당된다. 그리고, 『玄覺禪師敎外竪禪章』에 나타난 선사상은 沒踪迹을 주장하는 石頭希遷 계통의 선임을 알 수 있다. The precious scripture of zen school(禪門寶藏錄) is the text that represents the thought of Nine Mountain Zen School(九山禪門) in Koryo Dynasty, Korea. Bojo Jinul(普照知訥) asserts that we should practice both zen buddhism(禪宗) and scholastic buddhism(敎宗). But the opinion that zen buddhism is excellent than scholastic buddhism is asserted in The precious scripture of zen school. Especially, the theory of zen master JinGui(眞歸祖師說) is exist only in Korea. It asserts that after Sakyamuni became enlightened, he was taught again zen buddhism by zen master JinGui in Himalaya. In The precious scripture of zen school, zen transmitted by the Tathagata(如來禪) is maintained. And The chapter that zen master HyunGak emphasized zen buddhism than scholastic buddhism(玄覺禪師敎外竪禪章) also represents that zen buddhism is excellent than scholastic buddhism. Zen master HyunGak is not known until present, but according to my research, he was a master of ChonChek(天책) publishing The precious scripture of zen school. And zen school that Hyongak and ChonChek was belonged was exited in Yongok Temple(연谷寺), Jili mountain(智異山).

      • KCI우수등재

        大慧宗杲의 黙照禪비판의 대상에 대한 再考

        鄭榮植(Jeong Young-Sik)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1 No.-

          In his 1975 essay "Silent-Illumination and Koan-Introspection in Zen-Buddhism," Seizan Yanagida柳田聖山 suggests that "the criticism by Dahui大慧(1089-1163)was aimed at Zhenxie Qingliao眞歇淸了(1088-1151)." This opinion that has been widely accepted is based upon three pieces of historical records respectively found in Zhu-zi Yulei朱子語類, Dahui Nianpu大慧年譜 and Da-hui Shu大慧書.<BR>  This paper challenges Yanagida`s above opinion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of all, none of those three supports represented by Yanagida can be regarded as direct evidence to identify Qingliao as the target of Dahui`s criticism. Furthermore, Yanagida does not mention another record saying that Dahui even praised Zhenxie onece during his lecture at the latter. Finally, if Dahui actually had leveled his criticism at Zhenxie, we could have found some traces of their debate in their recorded sayings.<BR>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as not any sharp confrontation between Dahui and Zhenxie, and the criticism by Dahui was much possible to be aimed at the followers of Zhenxie more than the master himself.

      • KCI등재

        禪宗史에 있어서의 昭昭靈靈비판의 전개

        정영식(Jeong, Young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4 불교연구 Vol.41 No.-

        臨濟義玄에 의해 최초로 사용된 소소영영 개념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佛性의 오묘한 작용’을 묘사하는 것이고, 둘째는‘수행의 특정한 단계’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임제의현에 의해 사용된 소소영영은‘無位眞人(佛性)의 밝고 신령스러운 성질’을 묘사한 것으로서 좋은 의미였으나, 唐代이후 주로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대표적인 인물이 玄沙師備인데, 우선 현사는 ‘임제는 무위진인을 초월적 실재로 간주한다’고 비판하였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 현사의 소소영영에 대한 비판은 임제뿐만 아니라 洪州宗의 作用卽性說에 대한 것이다. 작용즉성설이란‘인간의 모든 지각작용과 행위는 佛性에서 발현된 것이므로 참되다’고 하는 설로서, 인간의 보고(見) 듣고(聞) 감촉하고(覺) 아는(知) 지각작용이 모두 참되다는 것이다. 즉 견문각지를 일으키는 주체는 佛性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에 대해 현사는‘견문각지는 허망한 인식기관(六根)이 허망한 대상(六境)을 만나서 일어나는 허망한 인식에 지나지 않으며, 견문각지를 일으키는 소소영영도 妄想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한편 宋代에도 소소영영에 대한 비판은 계속되었다. 특히 송대에는 佛性을 절대시하는 경향이 많았었는데,‘學人의 自己’‘空劫이전의 自己’에 관한 논의가 그것이다. 소소영영은 그러한 경향의 대표적 개념으로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이 圓悟克勤과 大慧宗杲이다. 청대에도 소소영영은 임제의현과 작용즉성설의 대표적 개념으로 인식되어 비판의 대상이 되었는데, 때로는 임제종의 正法眼藏을 가름하는 기준으로서 인식되기도 하였다. ‘Sosoyeongyeong’ is originally a phrase used by Linji-yixuan to describe the bright and mystical quality of muwijinin (the nature of Buddha) in Linjilu. However, during the periods from the Tang Dynasty to Qing Dynasty, ‘sosoyeongyeong’ was largely criticized. A representative critic is Xuansha-shibei. He criticized that Linji regarded muwijinin as a transcendental existence. To the author, however, Xuansha's criticism about sosoyeongyeong encompasses the doctrine of jakyongjeukseong(all actions of humans is nature) of school of HongZhou as well as Linji's view. The doctrine of Jakyongjeukseong is a view that all perceptual actions and behaviors of humans come from the nature of Buddha and therefore they are true; All perceptual actions of humans--to see, hear, touch, and know--are true.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gyeonmungakji is the nature of Buddha. In response to it, Xuansha noted that gyeonmungakji was false perception that occurred when false perceptual organs met false objects. He criticized sosoyeongyeong triggering gyeonmungakji was just delusion. In the meantime, criticism about sosoyeongyeong continued during the Song Dynasty. Dahui-zonggao indicated that those who recognized sosoyeongyeong had a very wrong view and it was difficult to deal with them. In addition, Zhu Xi was recognized to have obtained sosoyeongyeongseon by studying seon when he was young but sosoyeongyeongseon was a very low level of seon. During the Qing Dynasty, sosoyeongyeong was regarded and criticized as representative conception of Linji-yixuan and doctrine of Jakyongjeukseong.

      • KCI등재후보

        부휴 선수(浮休善修)의 선사상 ― 청허 휴정(淸虛休靜)과의 비교를 통해서 ―

        정영식 ( Jeong Young-sik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2 No.-

        본 논문에서는 누카리야 가이텐(忽滑谷快天, 1867~1934)이 『朝鮮禪敎史』에서 조선불교를 비판하여 ‘조선의 승려들은 마음이 不滅한다[心常身滅]고 생각했다’ ‘조선의 승려들은 禪僧이면서도 서방정토를 희구하는 모순을 범하고 있다[禪淨雙修]’의 2가지 문제에 대해서 부휴선수(浮休善修, 1543~1615)의 입장을 검토하였다. 먼저 부휴는 一靈物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것이 불멸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았으므로 심상신멸을 주장한 것은 아니다. 또 조선시대의 다른 승려들과 마찬가지로 부휴는 염불을 통하여 서방정토에 왕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선정쌍수의 문제에 있어서는 누카리야의 지적이 부휴에게도 적용된다고 하겠다. 부휴사상의 특징은 無事를 추구한 것에 있다. 하지만 부휴가 추구하는 무사는 임진왜란이라는 혼란한 시대상황에서 비롯되었거나, 아니면 그의 개인적 성향 때문이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부휴가 말하는 무사는 ‘깨달음이 필요하지 않다’고 하는 唐代의 無事禪과는 구별된다. 왜냐하면 부휴는 깨달음을 추구한 간화선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viewpoints of Buhyu Seonsu (浮休善修, 1543~1615) on the two issues that Joseon’s priests think that their mind is immortal (Simsangsinmyeol 心常身滅) and they are in a conflicting position to be zen monks and at the same time desire the Western paradise. First, Buhyu used expressions like Ilryeongmul(一靈物) but did not argue that it was immortal and therefore did not argue for Simsangsinmyeol. In addition, like other priests in the Joseon era, Buhyu intended to be reincarnated in the Western paradise through Buddhist prayers. Therefore, in the issue of Seonjeongssangsu(禪淨雙修), what was indicated by Nukariya(忽滑谷快天) applies to Buhyu as well. Buhyu’s thoughts are characterized by Musa (無事, living free from worldly cares without anything happening). Nonetheless, Musa pursued by Buhyu is considered to have happened from the chaotic state of the period--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or because of his personal disposition. Thus, Musa noted by Buhyu is differentiated from Musaseon(無事禪) of Tang dynasty that enlightenment is not needed. The reason is that Buhyu emphasized Ganwhaseon that pursued enlightenment.

      • KCI등재

        SGI Origin 2000/Cray T3e/IBM SP2 시스템에서 병렬 분산 VHDL 시뮬레이터의 개발

        정영식(Young-Sik Jeong)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5 No.2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속도 향상을 위하여 VHDL(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로 기술된 디지털 회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병렬 분산 VHDL 시뮬레이터(Parallel Distributed VHDL Simulator : PDVS)를 개발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대규모 병렬 컴퓨터 시스템인 SGI Origin 2000, Cray T3e 및 IBM SP2에서 수행, 비교하였다. PDVS는 어떠한 병렬 프로그래밍 환경에서도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표준 통신 라이브러리인 MPI(Message Pass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PDVS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 PDVS에 사용된 시뮬레이션 프로토콜, 전역가상시간 계산 메카니즘 및 논리적 프로세스의 내부 구성요소들간의 관계와 PDVS의 제어 흐름도를 제시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병렬 분산 시뮬레이션의 병렬성 정도의 분석하기 위하여 디지털 회로의 크기 변화와 처리되는 사건 수(grain size)의 변화에 따른 성능 결과를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 4배 크기의 디지털 회로를 적용한 경우는 프로세서를 12개 사용할 때에 8배의 속도향상을 얻었다. 그리고 처리되는 사건의 수가 200인 경우는 프로세서를 32개 사용할 때에 12배의 속도향상을 얻었다. 또한, 동일한 방법을 SGI Origin 2000, Cray T3e 및 IBM SP2에 적용함으로써 그 성능의 간접적인 비교결과도 제시한다. In this paper, a Parallel Distributed VHDL(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Simulator(PDVS) is developed for the digital circuits described by VHDL in order to speed up. The developed program was executed and compared on massively parallel processor machines such as SGI Origin 2000, Cray T3e, and IBM SP2. The PDVS is implemented by using a Message Passing Interface(MPI) so that it can run in any parallel programming environment which supports MPI, a standard communication library. This paper describes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DVS, simulation protocol and global virtual time(GVT) computation mechanism, and the relations of internal components for a logical process and control flow of the PDVS. It was found from experiments that the parallel distributed simulation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sequential simulation as the size of a digital circuit grows and as the grain size of an event increases. This study could achieve speed-up more than 8 times with digital circuit of quadruple-size by using 12 processors, also 12 times with the grain size 200 by using 32 processor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performance of the digital circuit simulation on SGI Origin 2000, Cray T3e, and IBM SP2 by applying the same method.

      • KCI등재

        사이버교육을 통한 희소선택과목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방안

        정영식(Young-Sik Jeong),안성훈(Seong-Hun Ahan)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6

        고등학교 2~3학년에게 적용되는 선택중심교육과정은 교사 수급 부족으로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을 통해 희소선택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콘텐츠에 대한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시범 운영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진도율은 높으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 분량을 줄이고, 난이도를 낮추어야 하며, 학습 플래너와 학습 튜터와 같은 온라인 교사를 투입하여 체계적인 학습 관리와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선택 과목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수준에서의 희소선택교과 운영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The selective central curriculum,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grades eleven and twelve in the 7th curriculum, has not operated well due to lack of teacher supply. This study analyzes the needs for the contents which are necessary to operate the minority optional curriculum through cyber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ed contents, pilot program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program, the learning progress ratio of students was high but their satisfaction was very low. It is suggested that the quantity of the content should be reduced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lowered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s. Another suggestion is to provide students with on-line teachers such as learning planners, tutors, and consultations to systematically manage students' learning. In addition, various elective-courses should be developed to allow students to take the courses of their choice, which in turn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operation system for the minority optional curriculum.

      • ICAI 모델 및 Authoring Tool에 관한 연구

        정영식(Jeong Young Sik),곽덕훈(Kwak Dug Hoon),백두권(Baik Doo Kwon),황종선(Hwang Jong Sun) 한국정보과학회 198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5 No.1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교육에 이용하는 CAI 시스템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ICAI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와 특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ICAI 시스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념적 모델인 교육변응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교육용 컴퓨터 프로그램인 Courseware를 저작하는데 필요한 저작도구의 발달과 분류 및 저작기술, 저작접근방법에 대해 연구, 검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