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조건

        정명근,황영선,이현진,최수산나,임정대,강성택,한원영,백인열,김현경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지 Vol.53 No.1

        검정콩 품질평가의 한 기준이 되는 안토시아닌의 함량평가를 위한 분석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의 추출용매 및 추출방법을 확립하고, 주요재배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용매를 검토한 결과 1% HCl - H2O 로부터 1% HCl - 80% MeOH용액까지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산술적으로 1% HCl - 60% MeOH 용액으로 추출하였을 때 총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7.72 mg/g으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추출용매에 메탄을 함량이 높아질수록 안토시아닌 피크의 분리도가 극히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종합적 견지에서 볼 때 1% HCl - 20% MeOH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방법 및 추출시간을 검토한 결과 상온 12시간 추출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추출시간이 24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추출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소량 감소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국내외 주요 재배 검정콩 품종별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의 함량 범위는 1.58-10.62 mg/g으로 조사되었고, 조사된 품종 중 검정 올콩이 10.62 mg으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흑청콩 대비 약 7배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Soybeans (Glycine max) with a black seed coat have been widely utilized as food source and as a medicinal herbs in Korea. The pigmentation in the seed coat of black soybean is due to accumulate anthocyanins in the epidermis palisade layer. The anthocyan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black soybean seed coat are considered as a standard. of quality evaluation of black soybean.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 for an extraction method of anthocyanins and compare anthocyanin quantity and composition within black soybean varieties and germplasms. In the test of extraction solvent, absorbance at 530 nm and Hunter's a value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MeOH, but Hunter's Land b values were the exact opposite of absorbance and Hunter's a valu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anthocyanin contents from 1% HCl - H2O to 1% HCl - 80% MeOH. In the aspects of anthocyanin contents and HPLC peak resolution, 1% HCl - 20% MeOH extraction solution was the most suitable solvent. Among the 5 kinds of extraction method using 1% HCl - 20% MeOH solution, the anthocyanin contents of room temperature extraction at 72 h was the highest among the methods. High extraction temperature, sonication and reflux method influenced on the decrease of anthocyanin contents because of breakdown of anthocyani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traction time between 12 h and 24 h. However,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were at room temperature for 12 h. The anthocyanin content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HPLC peak area at 530 nm. Ten black soybean varieties and germplasms were tested with optimal conditions found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antocyanin component, thes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3G, C3G + D3G and C3G + D3G + Pt3G.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in seed coats ranged from 1.58 to 10.62 mg/g of seed.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of the variety "Geomjeongol" was about 7 times higher than that of variety "Heugchong". Information for extraction method and diversity in antocyanin of soybean seed coats can be used for future research for germplasm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high quality black soybean varieties.

      • KCI우수등재SCOPUS

        한국산(韓國産) 작약근(芍藥根) 함유(含有)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분리(分離) 및 분석(分析)

        정명근,강광희 한국약용작물학회 1997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5 No.4

        한국산 재배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에서 작약근의 주 활성물질로 평가되는 paeoniflorin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국내 재배작약 10계통간에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재배작약으로 부터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paeoniflorin 과 albiflorin을 분리하였고, 그 화학적 구조를 분광학적 방법 (UV, FT-IR, 1H·13C-NMR)으로 확인 하였으며, HPLC 상대순도는 각각 98%, 93%였다. 2.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paeoniflorin함량을 조사한 결과 1.56%~4.0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의성 9호가 1.56%로 가장 낮았고, 밀양 4호가 4.04%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재배 계통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국내 재배작약 10계통의 albiflorin함량은 의성 4호가 0.04%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풍기 27호가 1.98%로 가장 높아 계통간 차이가 뚜렸하였고, 조사된 10계통 중 풍기 계통은 0.10%~1.98%로 기타 계통보다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From Korean cultivated peony root, paeoniflorin and albiflorin, which a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principal components of peony root, were isolated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spectroscopic methods (UV, FT-IR, 1H·13C-NMR) and their purities were 98% and 93%,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ten Korean cultivated peony lines were determined by reverse phase HPLC. The concentrations of paeoniflorin ranged from 1. 56 to 4.04% and those of albiflorin ranged from 0.04 to 1. 98% in ten Korean cultivated lines. In the ten cultivated lines, the concentrations of albiflorin in Punggi lines were higher than other lines.

      • KCI등재

        수출입 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사를 위한 유기인계 농약 8종의 동시 분석

        정명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시료 중 GC-NPD/MS 분석법을 이용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한 유기인계 살충제 chlorpyrifosmethyl,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tebupirimfos, 유기인계 살균제 iprobenfos 및 유기인계 제초제 anilofos를 포함하는 8종의 유기인계 농약에 대해 동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농산물 시료에 acetone을 가하여 추출된 대상 농약 8종의 잔류분은 n-hexane 분배법과 florisil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분석대상 시료로 하였다. DB-17 capillary column을 이용한 GC-NPD 분석 시 불순물의 간섭은 없었으며, 감귤, 고추, 배추, 현미 및 콩을 포함한 5종의 대표 농산물 중 대상농약 8종 각각의 정량한계(LOQ)는 tebupirimfos, chlorpyrifos-methyl 및 parathion-methyl은 0.004 mg/kg, 그 외 iprobenfos, mecarbam, prothiofos, phenthoate 및 anilofos는 0.008 mg/kg이었다. 5종의 대표 농산물에 대한 대상농약 전체의 회수율은 80.5~105.0%를 나타내었으며, 농산물 시료 및 처리수준에 관계없이 10% 미만의 분석오차를 나타내어 잔류분석기준 이내를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유기인계 농약 8종(anilofos, chlorpyrifos-methyl, iprobenfos,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및 tebupirimfos)의 동시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 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GC/ MS SIM을 이용한 잔류분의 재확인 과정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분석과정의 편이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계열별 동시 분석법으로 국내·외 수출입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에 사용 가능할 것이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8 kind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of 3 different purposes with simila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s insecticide(chlorpyrifos-methyl, mecarbam, parathion- methyl, phenthoate, prothiofos and tebupirimfos), fungicide(iprobenfos), and herbicide (anilofos) in crops using GC-NPD/MS. All the pesticides residues were extracted with acetone from representative samples of five raw products which comprised mandarin, green pepper, kimchi cabbage, hulled rice and soybean. The extract was diluted with large volume of saline water and directly partitioned into n-hexane to remove polar co-extractives in the aqueous phase. For the hulled rice and soybean samples, n-hexane/ acetonitrile partition was additionally employed to remove non-polar lipids. The extract was finally purified by optimized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The analytes were separated and quantitated by GLC with NPD using a DB-17 capillary column.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proposed method was validated by the recovery experiment on every crop samples fortified with anilofos, chlorpyrifos-methyl, iprobenfos,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and tebupirimfos at 3 concentration levels per crop in each triplication. Mean recoveries ranged from 80.5 to 105.0% in five representative agricultural commodities.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were all less than 10%, irrespective of sample types and fortification levels. Limit of quantitation(LOQ) of the analytes were 0.004(tebupirimfos, chlorpyrifos-methyl and parathion-methyl) and 0.008(iprobenfos, mecarbam, prothiofos, phenthoate and anilofos) mg/kg as verified by the recovery experiment. A confirmatory technique using GC/MS with selected-ion monitoring was also provided to clearly identify the suspected residues. Therefore, this analytical method was reproducible and sensitive enough to determine the residues of anilofos, chlorpyrifos-methyl, iprobenfos,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and tebupirimfos in import-export agricultural products.

      • KCI등재

        녹차 함유 카테친 및 카페인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

        정명근,이민석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지 Vol.53 No.2

        고 기능성 유용 차나무 품종육성 및 녹차의 이용성 증진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녹차 함유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재현성 및 검출 감도가 증진된 최적의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의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 컬럼은 YMC-pak ODS-AM 303(25 cm)컬럼을 이용하고, 검출파장은 280 nm, 컬럼온도를 30℃ , 분당유속은 1 mL, 이동상 용매로는 A용매로 0.1% 인산 - 증류수, B용매로 100% MeOH를 사용하여 농도구배 조건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분석법으로 조사되었다. 2.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최적 HPLC분석조건의 재현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머무름 시간(Rt.)의 변이계수는 최대 1.23% 미만, peak area의 변이계수는 최대 5.13% 미만을 나타내어 확립된 녹차 함유 catechin 9종 화합물 및 caffeine의 HPLC 정량분석법은 재현성이 높은 분석법으로 확인되었고, 각 caf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의 최소 검출한계는 최소 50ppb(0.050 ppm, 50 ng/mL)이하로 조사되어, 확립된 HPLC 분석법은 녹차의 작물학적 특성 평가용으로 활용하기에 전혀 무리가 없는 분석법으로 판단되었다. The health benefits associated with tea consumption have resulted in the wide inclusion of green tea extracts in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which are widely consumed as adjuvants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Tea contains polyphenols such as catechins or flavan-3-ols including (-)-epicatechin (EC), (-)-epigallocatechin (EGC), (-)-epicatechin gallate (ECG),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s well as the alkaloid, caffeine. The contents of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are considered as a standard of quality evaluation of green tea. There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suitable HPLC condition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extracts. The efficient HPLC analytical condition of catechins and caffeine contained green tea extracts was developed. The gradient elution employed a 250~;mm~;~times~;4.6~;mm i.d. YMC-pak ODS-AM 303 column. The gradient system was used two mobile phases. A gradient elution was performed with mobile phase A, consisting of 0.1% aqueous phosphoric acid, and mobile phase B, comprising 100% MeOH, and delivered at a flow rate of 1 mL/min as follows: 0~25~;min , 80% A; 26~50~;min , 80~70% A; 51 min, 80% A. 51~55~;min , 80% A. The UV detection wavelength was set at 280 nm. The limit of detection (LOD) for catechins and caffeine standards were under 50 ng/mL.

      • KCI등재

        국내 콩 유전자원의 Isoflavone 함량 변이

        정명근,강성택,한원영,백인열,김현경,신두철,강남숙,황영선,안영남,임정대,김관수,박시형,김선림 韓國作物學會 200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1 No.1S

        고 isoflavone 함유 콩 유전자원 선발 및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콩 주요품종 43계통 및 보존 유전자원 648계통의 isoflavone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콩 주요 43품종의 평균 isoflavone 함량은 daidzein이 484.4±223.9ug/g , genisteinol 448.0±156.2ug/g , glyciteinol 84.9±48.7ug/g , total isoflavoneol 1,017.3±390.0ug/g 을 나타내었다. 2. 공시된 주요 품종의 isoflavone 함량은 석양풋콩이 2,002ug/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황금콩이 277ug/g 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콩 주요 43품종을 용도별로 분류하여 isoflavone 함량을 비교한 결과 풋콩 및 올콩이 1,438±493.7ug/g 을 나타내어 조사된 용도별 콩 분류 중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3. 국내 보존 콩 유전자원 648계통을 대상으로 isoflavone 함량을 조사한 결과 IT 180001계통이 3,479ug/g 의 함량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고, IT 910878 계통은 82.61ug/g 의 total isoflavone을 함유하여 가장 낮은 계통으로 조사되어 보존 유전자원간에 큰 함량변이를 나타내었다. Isoflavone in soybean is known to have the important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antioxidative, estr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Therefore, isoflavone content is considered as important aspect of soybean qu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germplasms including major cultivars in Korea,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f isoflavone far development soybean cultivar containing high isoflavone content. Among 43 Korean major cultivated soybean samples, the total isoflavone contents were varied from 277.0~mug/g~;to~;2,002.0~mug/g , and the average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1,017.3~pm390.0~mug/g . Total isoflavone content of Seokryangputkong (2,002~mug/g)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the other cultivated soybeans. On the other side, Hwangkeumkong (277~mug/g) contained lower isoflavone than other cultivars. The total isoflavone content of vegetable use or early maturity soybean cultivar (1,438~pm493.7~mug/g) showed more higher total isoflavone content than others. The daidzein, glycitein, genistein and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648 soybean germplasms collected in Korea, were ranged 16.9~2,019.8~mug/g,~;0~294.9~mug/g,~;38.5~1,337.7~mug/g,~;and~;82.6~3,479.2~mug/g , respectively, and total isoflavone content of IT 180001 line (3,479.2~mug/g)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other soybean germplasm lines.

      • KCI등재

        작약 식물체 부위별 성분 함량 변이

        정명근 한국약용작물학회 2002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0 No.5

        4년생 의성작약을 재료로 하여 작약의 주 이용부위인 약근 외에 뇌두, 줄기, 잎과 같은 작약 식물체 각 부위로 시료를 구분하고, 또한 작약근의 경우 관행적 법제시 박피를 통해 제거되는 코르크층과 코르크층의 유 무에 따라 유피근 및 거피근으로 구분하여 각 시료에 함유된 작약 주요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 분포를 검토한 결과 작약 식물체 부위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phenolic compounds의 각 함량은 뇌두가 뿌리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평가되는 gallic acld 및 benzoic acid는 작약의 잎과 줄기에도 상당히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특히 잎에는 paeoniflorln도 약 2.3%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번식용으로만 이용되어온 작약의 뇌두도 약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작약의 잎 및 줄기도 gallic acid 및 그 유도체들의 source가 될 수 있으므로 이들 부위의 이용성도 체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작약근에 함유된 유용 생리활성 성분들은 목부와 껍질부위의 코르크층에 함께 존재하였다 특히 albiflorin, gallic acid, benzoic acid 및 (-)-epicatechin 성분은 코르크층에 많이 존재하였고, 목부에 더 많은 양이 존재하는 성분은 paeoniflorin, (+)-taxifolin 3-O-β-D-glucopyranoside 및 (+)-catechin이었다. 결국 작약근 이용시 코르크층을 벗기면 albiflorin을 포함한 유용성분의 손실이 발생되고, phenol 성 물질의 분비로 외면의 갈변이 유도되므로 상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작약근의 이용 시 거피를 하지 않는 것이 유용성분의 활용 면에서도 유리하고, 수치작업에 대한 노력이 감소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Comparative analysis of paeoniflorin, albiflorin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bioactive components of peony was performed by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using the four- year-old peony which were different plant parts and pretreatment, such as removing or unremoving the cork layer of peony root before drying. The contents of paeoniflorin, albiflorin, (+)-taxifolin 3-O-β-D-glucopyranoside, (+)-catechin and (-)-epicatechin were the highest in rhizome part, but those of gallic acid and benzoic acid in the leaves were higher than other parts. The contents of albiflorin, gallic acid, benzoic acid and (-)-epicatechin in the cork layer were higher than in those of the core, but the contents of paeoniflorin, (+)-taxifolin 3-O-β-D-glucopyranoside and (+)-catechin in the core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rk layer. In general, the rhizome part of peony root has been used only propagation purpose, but this part contained high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 Therefore, it is needed that medicinal application of rhizome part in peony root was firmly investigated. Also, In the use of peony root for medicinal purpose, the use of peony root with cork layer can be efficient way on the practical use of useful components and the reduction of labor for removing the cork layer.

      • KCI등재

        종실들깨와 잎들깨의 주요 특성 비교

        정명근,Choung Myoung-Gun 한국작물학회 2005 한국작물학회지 Vol.50 No.suppl1

        국내에서 육성된 종실용 들깨와 잎들깨 품종을 대상으로 주요특성 및 함유성분을 분석하여 용도별 들깨의 주요특성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잎들깨 품종의 평균 개화기는 9월 28일로 종실용 들깨의 평균 개화기 9월 5일보다 약 23일 늦었으며, 경장 및 마디수도 종실들깨보다 낮은 양상을 나타내어 생육상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종실용 들깨의 평균 천립중, 종실수량 및 기름함량이 잎들깨 품종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종실특성은 종실들깨가 우수하였으나, 잎 수량 및 잎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은 잎들깨 품종이 종실들깨 품종보다 각각 1.8배 및 2.1배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잎 특성은 잎들깨 품종이 우수하였다. 3. 종실용 들깨 및 잎들깨 품종의 종실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잎 함유 평균 엽록소 함량은 종실용 들깨가 잎들깨 품종보다 다소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difference of major characteristics between seed and vegetable perilla varieties. Perilla accessions examined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i.e., seed perillla variety (saeyeopcildeulkkae, yangsandeulkkae, and younghodeulkkae) and vegetable perilla variety (ipdlkkae 1, namcheondeulkkae, and manbaekdeulkkae). The differences of growth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between two types of perilla varieties. The average flowering date of vegetable perilla varieties (Sep. 28) was 23 days later than that of seed perilla varieties (Sep. 5). Also, the stem height and node numbers of vegetable perilla varieties lower than those of seed perilla varieties. The average 1,000-seed weight, yield, and oil content of seed perilla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vegetable perilla varieties. However, as leaf characteristic, the leaf yield (1.8 times) and cyanidin content (2.1 times) were greater than in perilla variety for vegetable.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fatty acids composition between two types of perilla varieties. The average total chlorophyll content in leaves of seed perilla varieties was higher than in that of vegetable perilla var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