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지방정부 문화정책 추진역량 비교 연구: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퍼지셋 분석

        정다해(鄭多該),박나라(Park, Nara)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문화정책 추진역량을 연도별로 비교・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범위 사례를 유형화하고 소속 정도에 대한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과 퍼지셋 이상형분석(fuzzy-set ideal types analysis)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정책 추진역량으로서 행정역량(광역문화재단 규모, 광역문화재단 코로나19 피해 지원 사업 비중, 광역시도 인구 10만 명당 문화기반시설 수), 재정역량(광역시도 재정자주도, 광역시도 문화예산, 광역문화재단 예산), 정책수요(광역시도 예술인 수, 광역시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를 지표로 삼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정책 추진역량의 속성에 따라 도출된 8개 유형별 차이와 연도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광역자치단체 간 정책 추진역량이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나는 유형의 공통점과 모든 지표가 결핍된 사례를 확인함으로써 정책 추진역량이 어떠한 조건에서 어느 수준까지 달성 가능한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문화 분야에서 코로나19 피해를 지원하는 데 요구되는 정책 추진역량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연도별, 사례별로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문화예술계의 피해를 파악하고도 체계적인 정책을 설정하거나 지속할 수 있는 사업 추진이 어려웠던 지역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이러한 결핍을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실증적 근거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changes in the policy capacity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to promote cultural poli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To categorize mid-range cases and assess the degree of belonging, we conducte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and fuzzy-set ideal types analysis. Specifically, administrative capability (size of cultural foundations, percentage of COVID-19 support projects of cultural foundations,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s per 100,000 people), financial capability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culture budget of metropolitan/ provincial governments, culture budget of cultural foundations), and policy demands (the number of artists, cultural event/exhibition visitation rates) were examined. As a result, eight distinct types of cultural policy promotion capabilities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rganiza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capabilities, it was possible to empirically determine the conditions and level of capability required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ed us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and compare the policy implementation capabilities required by local governments to counter COVID-19’s damaging effects on the culture sector. Toward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is deficiency in the future, we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reas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systematic policies and continue projects within the arts and culture community.

      • KCI등재

        조선 태종 5년 동맹가첩목아(童猛哥帖木兒)의 明 "入朝"를 둘러싼 朝鮮과 明과 동맹가첩목아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탈중심적/탈경계적 해석

        정다함 ( Daham Ch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이 연구는, 조선에 "입조"하던 여진족 수장 童猛哥帖木兒가 1405년 명에 "입조" 한 것을 중화/소중화 중심주의적 관점에서만 이해해온 기존 해석을 비판하기 위해, 당시 조선과 명과 童猛哥帖木兒 사이에서 전개된 역동적 관계성을 재해석한다. 명이 여진을 포섭하여 요동과 만주에서 중화중심주의의 질서를 만드는 과정은, 일견 명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오히려, 元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이미 고려 말 이후 조선왕실이 여진과의 관계를 통해 압록강/두만강유역에 구축하고 있던 조선중심적인 지역질서를, 명이 빌려서 전유하는 방식을 통해 진행된 것이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역사적 맥락은, 중화중심주의의 단순한 수직적/일원적 위계질서 안으로 환원되지 않는 균열의 지점을 제공함으로써, 동맹가첩목아와 같은 여진족 지도자들이 소위 "인신무외교"의 원칙에 입각한 중화중심주의의 일원적 위계질서의 바닥에서 벗어나, 오히려 명과 조선 양쪽 모두를 더 많은 선택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동맹가첩목아의 명"입조"는 명을 중심으로 하는 중화중심주의적 위계질서의 공고화처럼 보이지만, 그 "입조"라는 결과와 분리될 수 없이 연결된 明과 朝鮮과 동맹가첩목아 사이의 관계성과 그 역사적 맥락은, 그 중화중심주의적인 질서 또는 위계라는 것이 오히려 그것이 "반주변부(조선)"나 "반야만(여진족)"으로 정의하는 타자들 없이는, 만들어지는 것조차도 불가능했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中華"와 "小中華"와 "野人"의 교차로였다는 것이다. Mongke Temur(童猛哥帖木兒) known as a direct forefather of Nurhaci, had been defined as a tributary by early Choson kings for more than 20 years and he finally decided to pay "tributary visit(入朝)" to Ming in 1405. This has been understood as irrefutable proof of consolidation of Sinocentric orders in Southern Manchuria in early 15th century. In this paper, I try to dismantle this existing frameworks where "Sinocentric" views have highly been essentialized. First of all, expansion of "Sinocentric" world orders of Ming into Manchuria by incorporating Jurchen leaders such as Mongke Temur, was not just a process Ming alone could initiate, but also a process Ming could carry out only by negotiating with Choson and appropriating its imagined and contingent "Choson-centered" regional order. Second of all, it was in this context those Jurchen leaders including Mongke Temur who look seemingly a passive "vassals" at the bottom of sinocentric hierarchy, actually could have initiatives by deliberately playing both sides as the "tributary" of the both sides. Mongke Temur``s "tributary visit(入朝)" to Ming in 1405 looks seemingly as a consolidation of vertical hierarchy of Sinocentric world order of Ming, but the context which is inseparable from this "result", was paradoxically to show us that this so-called Sinocentric world order centered by Ming, actually could not even be built and maintained without collaboration of "others" such as Choson Kings and Jurchen leaders who have been marginalized by that "center".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태종 10년 女眞에 대한 “북정(北征)”의 역사적 맥락과 그 여파

        정다함 ( Chong Daha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우선, 태종 초반에서 태종 10년에 이르는 조선 내 권력구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태종이 1410년 3월 올적합·오도리·올량합 등에 소위 “정벌”을 강행하는 이유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태종이 부왕인 이성계를 밀어내고 권력을 차지한 것이, 태종과 여러 여진 세력 사이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본고는 기존 연구들과는 관점을 달리하여, 동맹가첩목아와 파아손 등 여말 이래 태조 이성계와 밀접한 관계를 명의 초무를 받아들여 명에 입조하게 된 오도리·올량합·올적합 등의 수장들이, 소위 “人臣無外交”라는 원칙과는 달리 명에 入朝하면서도 전처럼 조선에 대한 入朝도 계속하겠다는 제안을 했던 것에 착목한다. 여기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입장에서, 이러한 여진 세력의 제안에 대해 태종이 어떤 입장을 취했는가 역시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태종이 1410년 2월 여진 세력이 경원을 침입한 것에 대해 강경하게 추진한 이 “정벌”이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과정과 이 전쟁이 가져온 결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이런 전쟁이 짧게는 약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조선의 동북면과 두만강 유역 여진 세력 모두에 어떤 파국적인 결과를 초래했는가를 보다 비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태종이 강행한 이 전쟁이 세종대 여진 관계에 어떤 후과를 초래하게 되는가를 살펴보고 이후 세종대 여진 관계의 추이도 전망해보려 한다. Going beyond the nationalist narrative of post-1945 South Korean historiography which has only essentialized Chosŏn's position in the relations with its neighbours as an innocent victim based on “hereditary victimhood”, this paper seeks to revisit and rethink Chosŏn’s First Zengfa(征伐) against Jurchen tribes in Tumen river regions in 1410. By taking a closer look at what King T'ajong has gone through in domestic politics and in his response to Ming’s attempt to subjugate those major Jurchen chieftains of Tumen river regions who have served his father King T'aejo since late Koryŏ before the war, this paper will first explain the dubious motivation of King T'aejong to take this drastic military action against those Jurchen chieftains. Then, secondly, this paper will delve into the details of the process of this war, tries to explain how this war ended up slaughtering many Jurchen chieftains who didn't seem to be involved with the Jurchen raid on northen border town Kyŏngwŏn which triggered King T'aejong to proceed Zengfa(征伐). Finally, going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s which have only substantialized this military action of Chosŏn as a righteous self-defense, this paper will take a closer look at the apocalyptic consequences this war has caused around the frontier societies of Chosŏn and Jurchen in Tumen river regions and talk about what the people of both frontier societies had to suffered from this genocidal warfare.

      • 기초지방자치단체 문화재단 설립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을 바탕으로

        정다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8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지역문화진흥 및 문화자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문화재단의 설립 영향요인을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정책의 변화에 따라 문화재단에 관한 연구도 확대되는 추세이지만 문화재단이 어떤 이유로 확산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는 이론적·경험적 측면에서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을 기반으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단 설립 영향요인의 분석을 포괄적으로 시도하였다. 1998년부터 2021년까지 24년간 226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압적 동형화의 첫 번째, 국가 단위 제도의 수립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단 설립에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강압적 동형화의 두 번째,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단 설립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단 설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모방적 동형화로 이웃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단 설립 비중은 해당 지역 지방정부의 문화재단 설립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규범적 동형화의 기제로 문화기반시설 수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단 설립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지방정부에 대한 외부의 제도적 압력이 문화재단 설립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지방정부의 제도화 과정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Prevalence and toxin type of Clostridium perfringens in beef from four different types of meat markets in Seoul, Korea

        정다,김동현,강일병,천정완,김현숙,엄애선,이주연,문진산,오덕환,서건호 한국식품과학회 2017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6 No.2

        Beef is the primary source of foodborne poisoning caused by Clostridium perfringen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C. perfringens in retail beef from four different types of meat markets in Seoul using a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assay. From June to September 2015, 82 bee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6 department stores (n=12), 14 butcher shops (n=28), 16 traditional markets (n=32), and 5 supermarkets (n=10). The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assay revealed that 4 (4.88%) and 10 (12.20%) samples were positive for C. perfringens, respectively. The beef purchased from the department store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16.67%), followed by the traditional market (3.12%), butcher shop (3.57%), and supermarket (0%) (p>0.05). All isolates were type A and negative for the enterotoxin gene. In conclusion, the real-time PCR assay used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rapid detection and screening of C. perfringens in beef.

      • KCI등재후보

        Making Chosŏn's Own Tributaries : Dynamics between the Ming-centered World Order and a Chosŏn-centered Regional Order in the East Asian Periphery

        정다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5 No.1

        Kyŏngcha’gwan, conventionally known as Chosŏn kings’ domestic envoys, were the envoys who also delivered the Chosŏn kings’ orders to their vassals such as the Jurchens and Tsushima. This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Kyŏngcha’gwan culminated in the ceremonial rituals of receiving Kyŏngcha’gwan, which signified Chosŏn’s “lesser suzerainty” over its vassal, under the bigger umbrella of Ming “suzerainty.” The reason why these vertical dimensions of Chosŏn-Jurchen and Chosŏn-Tsushima relations in 15th century have not been scrutinized actually lies in the “Kyorin” frame, which was modern invention of the same term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Kyorin” as a modern frame implies that Chosŏn tried to maintain peaceful relations with the Jurchens and Tsushima, based on its Confucian orientation. Korean historians could not conceptualize what did not fit in that frame,because they were too overwhelmed by traditional “Sino-centric” perspective to provincialize and de-centralize it, on the one hand. And they were also stuck in the mythology of a peace-loving and innocent Korea produced by their single lineal evolutionary frame of “Korean History (Hanguksa)” which is based on the hereditary victimhood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on the other hand. With their eyes blinded, it was unable for them to provincialize both the “Sino-centric”and “Korea-centered” perspectives, they were not able to re-conceptualize the various active dimensions of regional dynamics that constituted Chosŏn-Jurchen and Chosŏn-Tsushima relations in 15th century. Furthermore, the nature and logic of the Kyorin frame, which argued that early Chosŏn’s advanced cultures helped the Jurchen and Tsushima to be more civilized and which have deliberately downplayed early Chosŏn’s expansionist military and interstate policies toward the Jurchens and Tsushima, ironically takes exactly after the nature and logic of Japanese Imperialist’justifications of the colonization of Chosŏn, which Korean scholars have continued to reject up to the present. In fact, the historical origin of this regional hierarchy where Chosŏn was able to force this practice on Jurchens and Tsushima was not something just mainly “cultural.” Rather, it was Koryŏ and Chosŏn’s military subjugation of them and Chosŏn’s founder Yi Sŏng’gye’s contribution to it.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East Asian interstate frame, the ruling elites of early Chosŏn used these subjugations as useful historical sources for legitimizing their superiority over those two non-Chosŏn polities in writing its own history. Through this, the ideological basis of Chosŏn’s having its own vassals such as the Jurchen and Tsushima was created. And on the basis of this idea, Chosŏn’s ruling elites tried to perpetuate their imagined “suzerainty” over them. The dispatch of Kyŏngcha’gwan was one of the typical diplomatic practices to symbolize this relationship. The institutional origins of Kyŏngcha’gwan shed light on this symbolic meaning of Chosŏn’s Kyŏngcha’gwan more clearly. Ming sent its low-level envoys called Qinchaiguan (欽差官) to its vassals such as Chosŏn. Imitating the Ming’s imperial mode of interstate policies, Chosŏn came up with Chosŏn’s own version of Ming imperial model, such as Kyŏngcha’gwan (敬差官) dispatches to the Jurchens and Tsushima that Chosŏn identified as its vassals.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Chosŏn denied the “Sino-centric” East Asian order. Rather, by modifying its original imperial model according to Chosŏn’s own position under Ming, Chosŏn could still signify its suzerainty over the Jurchen and Tsushima, without violating Ming suzerainty. Chosŏn’s ruling elites who carried out interstate policy in 15th century were very shrewd, aggressive, and even mean. Was Chosŏn ruling elites’superiority to the Jurchens and Tsushima only “cultural” as 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