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지 근력강화 트레이닝을 통한 편마비 환자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인선 ( In Sun Lim ) 한국유아체육학회 2008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9 No.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oster the self-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in dance educational program to disabl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2 4 year-undergraduate students or in a 2-3 year college course. This study employed both survey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overcome the restrictions of each metho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simultaneously. The self-identity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8 sub-factors; Confidence, Future plans, Self-regulation, Uniqueness, Sociability, Self-acceptance, Values, and Social adapt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ta according to each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dance voluntary services for disabled children resulted in a positive influence on self-identity of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fidence, Self-regulation, Values, Future plans, Self-acceptance, and Social adaptabi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voluntary services, their participation attitude, motive of participation, type of school (4-year or 2-3 year courses), and academic performa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ncourages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in teaching dance by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by understanding vivid changes in self-identity through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in dances for disabled children; and, that it suggests positive aspects of dance for the welfare of disabled children and a return of benefit to the community.

      • KCI등재

        지하철역 환승구간 내 시각정보체계 개선 제안

        인선아(Sun-Ah In),최종훈(Jong-Hoon Cho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지하철은 도시대중교통의 대표적인 이동수단이며 교통체증 없는 빠른 이동으로 복잡하고 밀집된 도시이동에 적합하다. 서울 지하철은 1974년 개통 이래 현재까지도 수도권과 외곽지역에 노선을 증축중이며 이로인해 환승역과 환승구간이 늘어나 지하철역 이용이 나날이 복잡해지고 있다. 유동인구가 많고 동선이 겹치는 환승역에서 빠른 이동과 정확한 열차이용을 위해 역사 내에서 제공하는 시각정보체계는 매우 중요하며, 지하철 이용경험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관련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각정보체계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서비스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평소 유동인구가 많고 1,2호선의 집결지인 신도림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선행연구와 정성적 조사를 통해 환승공간에서 이용자의 행태와 인지특성을 통해 1호선 환승센터와 승강장에서의 열차정보이용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근거하여 방향성 있는 유도사인을 통해 동선을 제시하고 즉각적인 안내정보의 피드백과 대중교통 초보도 이용하기 쉬운 신도림역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지하철 사용경험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The subwa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urba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Since its being opened in 1974, the Seoul Subway has been continually extended, and new lines are being added in the metropolitan and outskirt areas, even at present. As a result, the numbers of transfer stations and transfer sec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making the usage of the subway system more and more complicated. In the transfer stations with big floating population and overlapped flows of traffic in the subway, passengers want their movements to be more precise and faster, without taking the wrong trains by mistake. Therefore,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 for the subway inside the stations is extremely important. At the same time,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 is required to be easy to understand and use, even if the passengers do not have previous experience of using the subway.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 which is currently working in the subway system,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subway service based on our studies. This research was mainly performed at Sindorim Station, one of the busiest stations in Seoul Subway with huge floating population and complex transfer sec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investigation of behavioral and re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assengers in the transfer section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qualitative analysis, to draw the direction for futur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ystem and suggest the improved experience of using the subway system.

      • KCI등재후보

        점ㆍ선ㆍ면을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박소연(So-Yeon Park),김혜옥(Hye-Ok Kim),장혜정(Hye-Jeong Chang),허선영(Seon-Yeong Huh),인선(In-Sun Hong),한가영(Ga-Young Han),하문선(Moon-Sun Ha),김선희(Seon-Hee Kim)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4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4 No.2

        In modern times, Art make-up can be said experimental genre of formative arts. And the Art Make-up works aren’t taken any constraint in the method of expression. Therefore, the experimental attempt has been tried activel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re creative expression and artistic values through the Art Make-up work. For that, considered advance researches and books about design elements then created 5 Art Make-up works using Point, Line and Plan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alability of expression was sought by Point, Line and Plane among design el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some of creative ideas for Art Make-up field. And more in-depth and sustained studies effort should be directed into this field.

      • KCI등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스마트폰 지하철역 내비게이션 앱 디자인

        김가영 ( Ga Young Kim ),인선아 ( Sun Ah In ),최종훈 ( Jong Hoon Cho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내비게이션 앱 디자인을 제시하여 지하철 이용자가 지하 공간 내에서도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지하철 애플리케이션 기능의 장장·단점을 분석하고 지하 공간에 관한 정보제공이 한정적이고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증강현실(AR) 기술의 내비게이션 적용사례와 한계점 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이용자의 지하철 역 안 길 찾기 개선을 기대하였다. 디자인에 앞서 사용자의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사용자 조사를 시행하여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만든 사용자 모델을 44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중 대표성을 가지는 사용자 모델을 퍼소나로 정하여 정황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지하철 내비게이션 앱(가제)’의 정보의 설계 및 주요 메뉴가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 내비게이션 앱(가제)’의 프로토타입 중 일부인 ‘출구 찾기’ 메뉴의 Work Flow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하철역 내의 공공간적 간적 정보를 습득하는 경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통해 고찰해본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finding a way to get information easily via augmented reality-based navigation application design. From our previous research, we analyzed functions in subway applications, then ascertained that information about underground space was offered limitedly and inefficiently. Also, through cases of applying AR into navigation and analyzing the shortcomings of AR technology, we examined the factors we need to consider in terms of UX design when we design by using AR. Then we applied those factors in subway application design and expected an improvement of smart phone user`s wayfindng. Before designing, we conducted a user research and deducted subway users` needs. On the basis of this, we designated representative models that could be said as general type, as persona, filled out the contextual scenario, and the information design and main menu of `Subway Navigation App(slug)` was organized. In this thesis, we present the work flow of "finding exit" menu a part in the prototype, and we study, through UI design, user`s experience of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inside subway station by navigation application with AR.

      • KCI등재
      • 미연방헌법상 교육권의 기본권성

        인선(Seok In Sun) 한국교육법학회 2005 韓國敎育法硏究 Vol.8 No.2

        공교육이 미연방헌법상의 기본적 권리인가하는 문제에 관한 논의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본적 권리에 대한 성격규명과 확정 접근법이 중요하다. 미연방헌법은 교육문제를 직접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교육문제에 관여할 여러 권한을 연방정부에 부여 할 수 있는 여러 규정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방정부는 실제로 오늘날까지 교육문제에 대한 역할을 증대시켜 오고 있다. 또한 주정부는 미국교육제도의 주된 조직적 기초를 이루고 있다. 20여년 전에 미연방대법원은 San Antonio Independent School District v. Rodriguez판결에서 공교육에 대한 미연방상의 기본적 권리의 인정을 거부하였다. 최근까지 이러한 의견에 대한 논의는 중단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최근 Lawrence v. Texas판결에서 문제된 권리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접근방법은 연방차원에서 교육에 대한 기본적 권리 인정여부에 관한 논의를 재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주법원들은 이러한 논의에 대해 더욱 유연하게 접근해 왔으며, 일정 주 헌법들하에서 공교육에 대한 기본적 권리를 인정해 왔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전개되는 헌법상 기본적 권리 확정에 관한 논의를 개관하고, 공교육 및 교육권에 관련된 판례분석을 통해 미국 헌법상 교육권의 기본권성 확립 가능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먼저 미연방헌법상의 기본적 권리 확정을 위해 어떤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미연방수정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조항과 적법절차조항에 근거하여 헌법상 열거되지 않은 권리가 기본적 권리로 인정되는 경우이다. 가장 초창기의 기본적 권리에 관한 의견들은 ‘Lochner era'라고 불리는 경제적 실체적 적법절차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5년까지 미연방대법원은 기본적 권리들을 인정하는데 3가지 방법론들 -자유의 추상적 인식들(abstract notions of liberty), 전통, 선례-을 확정해 왔었다. 기본적 권리는 거의 만장일치로 승인되고는 있었지만 사법부는 기본적 권리를 인정하는 데 있어서 일관성 있고 일률적인 접근법을 결여하고 있었다. 기본적 권리와 관련된 많은 판례에서 연방대법원은 평등보호조 항에 의지하지 않고 실체적 권리 그 자체에 의하여 위헌심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이러한 입장들은 평등보호조항이라는 판단기준에 의하는 것보다는 헌법이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있는 실체적 권리에 기하여 문제를 판단하려 했던 것으로 분석 할 수 있다. 미연방헌법상 연방정부에 교육에 관한 권한을 명백히 부여하고 있는 규정은 없다. 그러나 교육권에 대한 인식은 연방대법원에 의해 오래 전부터 인정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권리는 자녀를 교육하고 양육할 부모의 자연권으로 특정지워진다. 강제 의무교육은 새로운 개념이며, 주는 교육을 다루는 데 있어서 전통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법원이 연방상의 교육의 기본적 권리를 선언하는 것은 역사적 분석으로 볼 때 하나의 새로운 시도라 할 수 있다. 미연방헌법상 교육에 대한 기본적 권리성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접근방법은 어떠한 방식이었는지 교육과 관련된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살펴보았다. 미연방대법원이 교육권을 다룬 가장 초창기 사건중의 하나는 Meyer v. Nebraska판결이었고, 다음으로 연방대법원이 교육권을 고려했던 획기적인 사건은 Pierce v. Society of Sisters판결로, Meyer판결에서처럼 동 사건에서도 교육권은 학생들 단독의 권리라기보다는 부모 및 교사와 연합하여 가지는 권리로 고찰되었다. 결과적으로 동 판결은 학생이 주에 대해 공교육을 요구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 Brown v. Board of Education 판결은 미국연방헌법역사에서 이정표적인 판결이었지만. 이 사건에서 쟁점은 인종에 근거한 구분이고 교육권의 성격에 관한 것은 아니었다. 교육권의 기본권성을 언급한 대표적인 판결은 Rodriguez판결이다. 기본적 권리개념의 확장에 대한 거부감은 Rodriguez판결에서 대표적으로 느낄 수 있는데 다수의견을 대표한 파웰대법관은 부에 의한 차별이 의심스러운 차별이라는 주장과 교육이란 기본적 권리라는 주장을 모두 배척하였다. 교육이 기본적 권리인가 하는 여부에 대한 논쟁은 Plyler v. Doe판결의 결과 이후에 더욱 더 혼란스러운 것이 되었다. 동 사건은 텍사스주에서 불법체류자의 자녀에게 무상교육의 혜택을 주지 않은 것이 평등보호위반인가 하는 점이 주요 쟁점이었다. 동 판결에서도 역시 교육은 헌법이 인정한 기본적 권리가 아니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미연방대법원은 역사적으로 적법절차조항에 근거하여 함축된 새로운 기본적 권리를 인정하는 것을 주저해 왔는데, 최근의 Lawrence판결은 헌법전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보장을 인정하려는 새로운 의지 Public education and fundamental rights must be clearly defined when discussing whether public education is a federal fundamental or constitutional right. The characterization and definitions of these rights become critical in constitutional analysis. Public education is largely the province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hile the U.S. Constitution does not explicitly mention education, most state constitutions contain clauses concerning education. About twenty years ago the U.S. Supreme Court In San Antonio Independent School District v. Rodriguez refused to recognize a fundamental federal right to public education. Until recently the point seemed closed. However, the Court's recent approach to rights in Lawrence v. Texas may re-open the debate on federal level. States courts historically have followed a more flexible approach, often finding a fundamental right to public education under state constitutions.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fundamentality of a right to education in the U.S. Constitutional law, that is, the possibilities for a constitutional basis for a federal right to education, in light of the cases concerning about education of the federal Supreme Court. As to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in Chapter Ⅰ, Ⅰ provide a brief description of constitutional system and legal debates of federal and states in respect of rights to education. In Chapter Ⅱ, Ⅰ explore the approach to assess a purported fundamental right. In addition, briefly sketch the history of fundamental rights jurisprudence and suggest its applicability to fundamental rights analysis. In Chapter Ⅲ, Ⅰ discuss the early development of U.S. public education and how the federal government deals with questions regarding a right to education. In Chapter Ⅳ, Ⅰ outline and analyze the federal court approach and treatment of educational rights. In Chapter Ⅴ, Ⅰ explore the fundamentality of a right to education in the U.S. Constitutional law, that is, the possibilities for a constitutional basis for a federal right to education. In conclusion, Ⅰ suggest that while placing appropriat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best approach that respects federalism issues and the competences of the judiciary is for the federal judiciary to state clearly that there is a fundamental right to some basic level of education and that the states have to determine and enforce this level.

      • KCI등재

        투고논문 : 전쟁책임과 점령기 일본문학: 사타 이네코 「포말의 기록(泡沫の記錄)」과 "전향"을 중심으로

        인선 ( In Sun Song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翰林日本學 Vol.0 No.26

        본 연구에서는 사타 이네코의 소설 「포말의 기록」을 통해 일본 좌익문학자들의 전쟁에 대한 ‘애매한’ 태도와 그 책임의 ‘애매한’ 매듭의 문제를 함께 조명해 보았다. 사소설의 방식으로 쓰인 「포말의 기록」은 여러 실존작가들이 이니셜로 등장하는 모델 소설이기도 하며, 그런 의미에서 패전 직후의 전쟁책임 논의와 일본 문단의 기류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있다.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순교자 고바야시 다키지와 전시 중 ‘문단의 어른’으로서 전쟁협력을 주도했던 기쿠치 칸, 이들을 모델로 삼은 두 명의 작가 ‘K’는, 소설 속에서 각각 서로 다른 문단 내 위상과 정치적 입장으로 인해 주인공인 작가 ‘도시에’로 하여금 새삼 자신의 애매한 위치를 깨닫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소설은 그 양 진영 모두에 관련된 도시에가 전쟁책임과 전향을 둘러싼 자신의 모호함을 성찰해가는 구도를 취하고 있다. 「포말의 기록」속에서 일본 문학자들의 좌/우 구도는 ‘전후’를 배경으로 해서는 뚜렷이 양분되어 그려진다. 하지만 전시 중에는 ‘천황의 전쟁’을 긍정하고 도왔다는 점에 있어서 좌익과 우익의 구분이 모호했다. 일본공산당의 지도자였던 사노와 나베야마가 전향한 이후 ‘전전’과‘전중’의 좌익문학자들 대다수가 전향의 단계를 거쳐 전쟁에 가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지도자들의 전향 논리는, ‘천황’에 대한 대중적 심리를 구실로, 그때까지 반대해 왔던 ‘국체’와 ‘전쟁’을 긍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었다. 그것은 “새로운 적극적 원리에 근거하는 프롤레타리아혁명운동의 재편성”(다카바타케 미치토시)이라는 명목을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배반’의 죄의식을 약화시키고 많은 전향자를 낳았다. 정치적 목적에 부응하는 문학에 익숙한 그들이 국책에 가담한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런 일이었고, 바로 그 지점에 전시 중 좌익과 우익의 문학은 애매하게 겹쳐질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고 있었다. 그런데 패전 직후 일본의 문단에서 벌어진 전쟁책임 추궁은 바로 이 ‘구프롤레타리아문학자’들이 주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쟁책임이 전향책임으로 뒤바뀌는 결과”(가라타니 고진)를 초래하게 된다. 전향에 대한 책임은 공산당 재입당으로 상당 부분이 해소될 수 있다고 믿었던 그들은, 전후 좌익문학 단체의 재결성과 일부 비전향 문학자들의 권위를 힘입어 전쟁책임추궁자의 위치에 서게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전쟁협력의 전력으로 추궁 주체의 자격이 흔들리는 상황에서는 추궁의 ‘잣대’ 역시 애매해질 수밖에 없었다. 「포말의 기록」이 전쟁책임을 제재로 삼으면서도 전사자들이나 전쟁피해자들을 향한 주인공의 속죄감보다는 ‘당(黨)’에 대한 굳건한 태도와 헌신의 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패전 후 좌익문학자들 사이에서 전쟁책임이 전향책임으로 뒤바뀌어 버린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에’가 자신에게 돌아오는 전쟁협력 추궁의 화살에 ‘수긍’과 ‘항변’의 심경을 동시에 지니는 것 역시, 그녀 자신이 속한 좌익문학 단체의 애매한 전쟁책임 추궁의 방식을 말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ambiguous’ attitude on the war taken by the left wing literary persons in Japan and the issue of ‘ambiguous’ conclusion on their war responsibility through the novel “Homatsu no Kiroku”. Two writers belonging to the two opposing literary camps, symbolized by Kobayashi Takiji and Kikuchi Kan, appear in the novel “Homatsu no Kiroku”. The novel has the composition, in which a female writer ‘Toshie’ related to both camps introspect on the ambiguous position of self regarding the war responsibility and conversion. As known, Kobayashi was the person who was respected by ex-proletarian writers including Sata Ineko as a literary martyr. On the other hand, Kikuchi Kan was regard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who were deeply involved in making literature in conformity with state policy and cooperated to the war effort of Japanese government since the 1930s; though Kikuchi Kan also contributed a lot to Japanese literature by finding and supporting new writers. The two writers, who were modeled after Kobayashi and Kikuchi, work as an opportunity for Toshie in learning the ambiguous position of self due to the different positions in the literary circle and the political standings of the two writers in the novel. After the conversion of Sano and Nabeyama, who were the leaders of Japanese Communist Party, the majority of left wing literary persons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war’ went through the step of conversion and participated in the war effort. The logic for the conversion held by the leaders at the time was that they would go toward the direction of acknowledging ‘kokutai’ and ‘war’, which they had been opposed to, by taking the popular psychology toward the ‘Japanese emperor’ as an excuse. Because it took the pretext of “reorganizing the proletarian revolution movement based on a new active principle” (Takabatake Michitoshi), it decreased the guilty sense of ‘betrayal’ and resulted in many converters. Meanwhile, the close questioning on the war responsibility in the Japanese literary circle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in war was led by the same ‘ex-proletarian writers’. It consequently resulted in ‘changing war responsibility to conversion responsibility” (Karatani Kojin). “Homatsu no Kiroku” took war responsibility as the theme of the novel; while it emphasized the solid attitude toward Japanese Communist Party and the will as a companion; instead of emphasizing the sense of atonement held by the protagonist toward the war dead and war victims.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i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conversion responsibility worked heavier than the war responsibility among the left wing literary persons after the defeat in war. ‘Toshie’ also has the mind attitude of ‘acknowledgement’ and ‘protest’ at the same time against the close questioning on the war responsibility toward her. It implies that there was ambiguousness in the responsibility questioning method taken by the left wing literature association, to which ‘Toshie’ belonged to.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novel “Homatsu no Kiroku” as a text, which raises the issue of ‘ambiguousness’ of Japanese literary persons regarding the war responsibility, on which the whole Japanese literary circle should contemplate rather an individual, and contemplated the implication of it.

      • SCOPUSKCI등재

        체외에서 돼지 정자-난자의 상호작용시 투명대내 Lectin 결합

        인선,김정익,정희태,양부근,박춘근,Hwang, In-Sun,Kim, Choung-Ik,Cheong, Hee-Tae,Yang, Boo-Keun,Park, Choon-Keun 대한생식의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9 No.3

        Objective: Lectins are cell-agglutinating and sugar specific proteins or glycoproteins of non-immune origin that precipitate glycoconjugates having saccharides of appropriate complementarity. Because of these properties, plant lectins have been used to help characterize the carbohydrate moieties of glycoproteins in the zona pellucida (ZP) of several mammalian species including pigs. Treatment of oocytes with various lectins blocks sperm binding to the ZP in various mammalian speci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sugar residues in the ZP of pig oocytes matured in vitro and the ability of spermatozoa to bind to ZP and in vitro penetration in oocytes treated with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labelled lectins. Materials and Methods: The lectins of Banderiaea simplicifolia (BS-II, bind to $\beta$-D-N-acetylglucosamine), Canavalin ensiformis (Con A, bind to $\alpha$-D-Mannose), Lens culinaris (LCA, bind to a-D-Mannose), Ricinus communis (RCA-I, bind to $\beta$-D-Galactose) and Ulex europaeus (UEA-I, bind to $\alpha$-L-Fucose) were examined for spermatozoa penetration, binding capacity to ZP and distribution of lectins. Results: The penetration rates were significantry (p<0.05) higher in control oocytes (63%) than those treated with all lectins, but penetration rates ($40{\sim}49%$) were simililar in group treated with lectins. The incidence of monospermy was similar in oocytes untreated and UEA-I, but it was higher in oocytes treated with BS-II, Con A, RCA-I and LCA. The porcine oocytes cultured for 48 h in TC-199 medium were freed from cumulus cells and treated for 30 min with fluorescein isothiocyanate-labelled lectins. When examined under fluorescein illumination, higher (p<0.001) proportions of oocytes showed fluorescein of zona pellucida after treatment with Con A (93%), LCA (93%) and RCA-I (100%) than BS-II (37%) and UEA-I (50%). All of the oocytes treated with RCA-I exhibited strong fluorescein in the outer region of the zona pellucida while those treated with LCA exhibited strong fluorescein throughout the zona pellucida. BS-II bounded mainly to the outer region and UEA-I bounded mainly to the inner region of the zona pellucida, with either strong or weak fluorescein. At 120 min after insemination in vitro, fewer spermatozoa were bound to the zona pellucida of the oocytes treated with BS-II, Con-A and RCA-I. Of the lectins, Con A most inhibited sperm bind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D-Galactose residues in the porcine zona pellucida may act as primary sperm receptors and inducers of the sperm acrosome reaction and these sugar residues may be involved in the block to polyspermy.

      • KCI등재

        정상 성인에서 총콜레스테롤의 분별치와 관련 요인

        인선(In-Sun Hong),김지식(Chi-Shik Kim),여영규(Yeong-Gyu Yeo) 대한의생명과학회 1996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2 No.2

        정상 성인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분별치 및 관련된 제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5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 동안 전주 예수병원에서 의료보험 피보험자와 피부양자를 대상으로 한 정기 건강 검진을 받은 대상자 중 성별, 연령별, 혈압, 체중, 기타 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이들 중 고혈압 등 질병이 없는 건강한 집단으로 1,818명을 분석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분별치를 산정하기 위한 75th percentile값을 보면, 21~30세군에서 191 ㎎/㎗ 31~40군에서 195 ㎎/㎗, 41~50세군에서 214 ㎎/㎗, 51~60세군에서 227 ㎎/㎗, 그리고 61세 이상 군에서 222 ㎎/㎗ 이었다. 90th percentile값을 보면, 21~30세군에서 214 ㎎/㎗, 31~40군에서 214 ㎎/㎗, 41~50세군에서 239 ㎎/㎗, 51~60세군에서 253 ㎎/㎗, 그리고 61세 이상군에서 248 ㎎/㎗ 이었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연령과는 남ㆍ여 모두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p<0.001), 특히 여자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비만지수인 PIBW, BMI와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과도 관련성을 보였다. 대상자들의 흡연 여부와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의 관계는 흡연군이 191.6±35.0 ㎎/㎗ 이었고, 비흡연군이 194.9±35.9 ㎎/㎗였으며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음주에 따른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측정치는 비음주군에서는 196.0±36.0 ㎎/㎗ 이었고, 음주 군에서는 188.9±34.5 ㎎/㎗로 두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 습관과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관계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군은 192.1±33.3 ㎎/㎗이었고, 운동을 하지 않는 군은 195.8±37.0 ㎎/㎗였으며 두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cut-off values and related factors for total cholesterol of serum in normal Korean adults were studied from March to October, 1995, based on the data of 1,818 healthy adults of human involved the male and female. The comparisons of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analyzed by sex, ag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body weight, height, PIBW, BMI and other biochemical tests. 1.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were 194.4 ㎎/㎗ in total group, 186.9 ㎎/㎗ for male, and 197.6 ㎎/㎗ for femal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among the 21 to 50 ages group, but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over 51 years old. 3. In general, the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increased with age, the highest level in men was 192.7 ㎎/㎗ in 51 to 60 years old, and 210.5 ㎎/㎗ in more than 60 years old in women. 4. The cut-off values of serum total cholesterol for moderate risk. were 191 ㎎/㎗ in 21 to 30 years group, 195 ㎎/㎗ in 31 to 40 years, 214 ㎎/㎗ in 41 to 50 years, 227 ㎎/㎗ in 51 to 60 years, and 222 ㎎/㎗ in more than 61 years. The cut-off values of serum total cholesterol for high risk were 214 ㎎/㎗ in 21 to 30 years group, 214 ㎎/㎗ in 31 to 40 years, 239 ㎎/㎗ in 41 to 50 years, 253 ㎎/㎗ in 51 to 60 years, and 248 ㎎/㎗ in more than 61 years. 5. The mean values of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PIBW, BMI,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6.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of drinking group(188.9±34.5㎎/㎗) was showed lower than those of non-drinking group(196.0±36.0㎎/㎗). 7.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of regular excercise group(192.1±33.3 ㎎/㎗)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 regular excercise group(195.8±37.0 ㎎/㎗).

      • KCI등재

        소아과(小兒科) 외래(外來) 환자(患者)의 주소증(主訴證)에 관한 고찰(考察)

        인선,신지나,신원규,Song, In-Sun,Shin, Ji-Na,Shin, Youn-Guo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2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statistics of pediatric problems, and so to investigate the new effective oriental medicine treatments in pediatric disease and its clinical applicability. The Study was composed of 698 new patient who had been treated at the pediatric unit in th Dong Sea Oriental Medical Hospital for 1 year, from 1 September 2001 to 31 October 2002, and aged between 0 and 18 years. The Chief complaints and their care-givers. Result: 1. In the study, male children are 403 and female children are 295. So the sex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is 1.37 : 1. 2. In age distribution, 0-3 years : 317(45.4%), 4-6 years : 148(21.2%). 7-9 years 98(14.0%), 10-12 years: 66(9.5%), 13-15 years : 40(5.7%), 16-18 years 29(4.2%). 3. The chief complaint according to systemic division was Respiratory diseases covers 30.1%, Digestive diseases covers 20.8%, Physique diseases covers 10.6%. 4. The Respiratory diseases tended to increase in autumn and appeared mostly in the age group between 0 and 9 years. The Digestive diseases increase in summer and appeared mostly in the age group between 10 and 12 years. The physique diseases increase in winter and appeared mostly in he age group between 13 and 18 years. 5. Most of patient came to the hospital from diseases such as common cold, weakness, dyspepsia, atopic dermatitis, rhinitis, take a easy cold, short stature, sweating, Bell's palsy, abdominal pain, etc. Conclusion : 1. The chief complaint In pediatric diseases that needed an oriental medical treatment was mainly the disease that tends to take long time and the weakness, and appeared frequency in respiratory and digestive disease. 2.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was still preferred as a way to improve the weakness by patients, rather than a way to overcome their disease. in particular, the study shows that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should be emphasized in terms of preventing the disease. 3. The new disease, which were developed with change of human life and environment, should be investigated as a new fie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