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이효인(Lee Hyo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 담화 체계에 적합한 글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TOPIK 쓰기 문항에 적합한 쓰기 교육 방법으로 텍스트구조 유형과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다. 이를 위해 먼저 TOPIK 쓰기 영역의 평가 내용을 분석하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로 한국어 담화 체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둘째, TOPIK 쓰기 문항 및 모범 답안의 텍스트구조 분석을 통해 TOPIK 쓰기 평가에 등장하는 텍스트구조 유형을 밝혔다. TOPIK 쓰기 53번 문항에서 요구하는 텍스트 유형은 ‘설명하는 글’이며,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와 ‘대응구조’ 혹은 ‘인과구조’가 결합한 복합 구조임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된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임을 밝혔다. 셋째, ‘나열구조’, ‘대응구조’, ‘인과구조’에서 주로 사용하는 텍스트구조 표지를 개념어와 연결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구조 표지를 이용한 효과적인 TOPIK 쓰기 교육을 위해 ‘텍스트구조 파악하기’, ‘텍스트구조 표지 선택하기’,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글 작성하기’로 이루어진 세 단계 ‘TOPIK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Among the TOPIK, the writing area is the most difficult for learners. One of the reasons why foreign learners of Korean are finding it hard to writ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write a piece suitable for the Korean discourse system. This paper presented a method of writing training using text structure type and text structure labeling as a suitable method for writing TOPIK. To this end, the assessment of the TOPIK writing area was first analyzed. And the main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write in Korean languag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organize their writing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Korean discourse system, and the need for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to learn the type of writing used by the Korean community. This paper revealed the type of text structure featured in the TOPIK writing assessment by analyzing the text structure of the TOPIK writing questions and best answers. The type of text required by paragraph 53 of TOPIK was shown to be a statement of text , and a text structure type was a combination of list structure and corresponding structure or cause and result structure . It also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ext structure is list structure . Next, text structure mark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List Structure , Response Structure and Cause and Result Structure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terms, dividing them into conceptual and conjunctive terms. Finally, for effective TOPIK writing education using text-structure markers, three steps were proposed: Identify Text Structure , Select Text Structure marker and Write Text Using Text Structure marker .

      • KCI등재

        전남지역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연구 - 평파열음 뒤 경음화 오류를 중심으로 -

        이효인 ( Lee Hyo-i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이 연구는 전남 지역 중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부정확한 발음은 경우에 따라 원활한 의사소통을 막는다. 경음화 현상은 한국어의 음운 현상 중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며 이 중에서도 평파열음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은 음운론적 조건에 따라 예외없이 일어나는 필수 음운 변화이다. 중국인 학습자의 평파열음 뒤 경음화 오류 양상을 음운론적 환경에 따라 분류하여 경음화의 구체적인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한국어능력과 학습기간 등을 나누어 각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급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경음화가 일어나는 환경을 단어 환경과 문장 환경으로 나누어 경음화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가 단어 발화 상황에서 경음화 오류를 가장 많이 범하는 경우는 선행 받침이 “ㄷ”인 경우였다. 선행 받침이 “ㄱ”과 “ㅂ”인 경우 경음화 오류가 그 뒤를 이었으며 선행 받침이 “ㄼ, ㄾ”인 경우는 오류의 건수가 다른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적었다. 학습자들이 주로 범하는 경음화 오류 양상은 후행음절의 초성을 경음이 아니 격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후행음절의 초성을 표기와 같이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음절의 종성이 탈락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음절의 종성이 탈락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격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절의 종성 `ㄱ`, `ㅂ`를 `ㄷ/ㄴ`, `ㅁ`로 바뀌어 발음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 선행음절의 초성을 격음으로 잘못 발음하고 후행음절의 초성을 평음으로 발음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 정도나 한국어 학습기간은 오류의 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at whether pronunciation environment, korean proficiency level and learning time affect the realization of glottalization, and analyze various types of glottalization errors for Chinese learners in Jeonn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lization of glottalization for Chinese learners, I have randomly selected 10 beginners and 10 intermediate Chinese students to read 34 words and 34 sentenc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rror rate of same character`s glottalization in words is slightly higher than in sentences. However, Korean proficiency level and learning period have little impaction on the realization of glottalization.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re are 6 major types of errors. The first one is pronouncing which is on the basis of writing. The second one is that the consonant of preceding syllable is eliminated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The third one is that the consonant `k/g`, `b` is pronounced as `d/n`, `m`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The fourth one is that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aspirated. The fifth one is that the initial sound of the preceding syllable is pronounced as aspirated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The last error is that the consonant `ㄼ, ㄾ` of the preceding syllable is pronounced as `[b]/[t]` instead of `[l]` and the initial sound of back syllable is pronounced as lax consonant.

      • KCI등재

        한국어 순회교사 제도 운영 방안 연구

        이효인(Lee, Hyo In)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8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8 No.1

        이 글은 제2언어 혹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의 일환으로 한국어 순회교사 제도의 운영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모국어로서 한국어를 습득하는 국내출생 자녀에 비해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도입국 자녀와 외국인 자녀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교육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3절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KSL)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먼저 편입생의 한국어 능력 수준을 평가할 평가 도구의 미비를 지적하였으며, ‘다문화 예비학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이 도시지역에는 적합할 수도 있으나 도서산간지역과 같이 접근성이 떨어지는 곳에서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없으므로 효율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보였다. 제4절에서는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 순회교사 제도의 필요성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효과적인 순회교사 제도의 운영을 위해 세 가지 방안을 주장하였다. 첫째, 순회교사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어교사의 자격을 명확하게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지원청별로 순회교육을 전담할 순회교사를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 순회교사를 위한 행정적 재정적 우대정책이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일선 학교에서 순회교사를 위한 적절한 공간과 충분한 기자재를 제공해 주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is to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or a foreign language. And aims to propose the operation of the Korean itinerant teacher system for a systematic and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For this reason,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children and foreign children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ompared to children born in Korea who acquire it as their first language and assert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 support program to support them. After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we pointed out the lack of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of immigrant students. In addi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preparatory schools’ may be appropriate for urban areas, but it was effective because it could not be an efficient way to provide access to less accessible areas such as mountainous islands. Finally, we discussed the need for a itinerant teacher system and how to operate it for effective Korean education. First, in order to operate the itinerant teacher system, it was suggested to clearly define the qualifications of Korean teachers. Second, it argued that each district education office should have a itinerant teacher who would b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itinerant education, and that there should be a policy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preference for itinerant teachers. Third, I mentioned that schools should provide adequate space and sufficient equipment for the itinerant teacher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쓰기 오류 연구

        이효인(Hyo-In Lee),김명광(Myoung-Kwang Kim)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3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쓰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자녀의 일기를 분석하고 이에 나타나는 쓰기 오류 양상을 통해 오류의 유형을 분류하며 각 오류에 나타나는 언어·심리학적 원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다문화가정 자녀이며 이들의 일기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쓰기 오류의 양상을 잘 드러내기 위해 쓰기 오류의 유형을 표기법 오류, 문법 오류, 통사 오류, 텍스트 오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그 원인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분석 결과 표기법 오류의 경우 형태를 정확하게 알지 못해 나타나는 오류뿐만 아니라 발음상의 문제로 인한 오류가 많이 발견되었다. 문법 오류에서는 시제 오류가 많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문법 형태소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성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통사 오류의 경우 필수 성분이 생략되거나 문장의 호응 관계가 잘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텍스트 오류의 경우 이야기를 구성하는 의미의 응집성이 부족하였으며 문어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어체 표현이 많이 등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multicultural children’s writing ability. To do this I analysis the diaries of the children and classify the type of error and investigate the error appears in the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causes. As a result, notation of the type of error as write errors, grammatical errors, syntax errors, testual err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m of notation errors as well as errors that do not know the correct pronunciation was not caused by a problem. And a lot of grammatical errors were found in the temporal error. Syntactic case of an error essential components of the sentence is omitted and it is not a show good 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essential components. Because the children have not been established for the concept of Grammatical morpheme is clearly. In textual errors a lack of coherent that make sense of text and a lot of colloquialisms that does not suitable for written language have emerg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열교환기 내에서 상변화 중인 작동유체의 압력강하가 열전달 성능에 미치는 영향

        이효인(Hyo In Lee),정지환(Ji Hwan Jeong)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2 No.4

        열교환기 내에서 상변화 중인 작동유체의 압력강하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열교환을 하는 동안 작동유체의 온도는 유지되는 것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실제 경우 작동유체의 압력강하로 포화온도 강하가 발생하여 열전달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열교환기 내에서 상변화 중인 작동유체의 압력강하가 열전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열역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압력강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상관식의 오차가 열전달 성능의 예측값에 미치는 오차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작동유체는 에어컨과 냉장고에 사용되는 R134a, R410A, R600a, R32, R1234yf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15kPa의 압력강하가 발생한 응축조건에서 열전달 성능은 1.89% 저하하였으며, 에어컨 및 냉장고 증발조건에서 각각 8.97%, 23.17%의 향상을 보였다. 작동유체에 따른 열전달 성능 비교에서 R600a가 가장 큰 성능변화를 보였으며, R32가 가장 작은 성능변화를 보였다. 20%의 상관식 오차가 열전달 성능의 예측값에 미치는 오차의 경우, 응축조건에서 0.39% 과다예측하였으며, 에어컨 및 냉장고 증발조건에서 각각 1.63%, 3.78% 과다예측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ressure drop 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during the phase change in heat exchangers was analyzed by thermodynamic methods. Moreover, the pressure drop error, predicted through correlations, on the predicted value of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was analyzed. R134a, R410A, R600a, R32 and R1234yf for analysis which are used in air conditioners and refrigera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decreased by 1.89% under a condensation of 15kPa pressure drop, and increased by 8.97% and 23.17% under air-conditioner and refrigerator evaporation conditions, respectively. Of the mentioned working fluids, R600a showed the greatest performance change and R32 showed the smallest performance change. Furthermore, when the correlation error was taken to be 20%, the predicted heat transfer performance showed 0.39% overestimation under condensation, and 1.63% and 3.78% overestimation under evaporation for air conditioners and refrigerator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