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 분석

        이효림 ( Lee Hyo-rim ),배주현 ( Bea Ju-hy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출간된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 분석을 통해 문학을 활용한 유아 다문화 교육 및 도서 출판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등장인물 혹은 작가가 동남아시아인이거나 동남아시아를 배경으로 하는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 46권을 대상으로, 출간 현황과 외형적 구조 및 내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동남아시아 관련 그림책의 출판 현황은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그림책의 유형에 따라 내용 특성과 외형적 구조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의 매개체이자 문화적 산출물인 동남아시아관련 그림책의 출간 방향과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uthern Asian related children`s picture book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To achieve the aim of this research, forty-six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web sites, and so on. The criteria used for the analysi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modified by authors according to the status of publications, structures, and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In those findings, the status of publications of those picture books reflected the changes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in those picture books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and creative stories about their structures and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future directions to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using these books as teaching materials and to picture book writers for publishing Southern Asian-related children`s picture books.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효림 ( Lee Hyorim ),이지연 ( Lee Ji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양육태도, 결혼만족도 및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취업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와 아버지, 총 302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의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 취업 여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ir spouse’s child-rearing attitudes,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participants were 302 pairs of mothers and fathers who have 3-5 year-old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marital satisfaction, and subscal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additio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marital satisfaction show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others’ parenting stress. Second, marital child-rearing attitudes and satisfaction had statistically effects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but mothers’ employment status did not have the moderating effec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이효림(Hyo Rim Lee),정정희(Chung Ch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교재 분석을 통해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유아교육과 교수 4인으로부터 적합성을 검증받아 최종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다문화 교육 수업 모형의 효과검증을 위해 D광역시 에 소재한 S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8명을 대 상으로 총 15주, 30시간 동안 다문화 교육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동일지역에 위치한 H대학 예비유아교사 44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총 102명의 예비유아교사에 대한 문화적 역량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 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다문화 교육 수업 모형은 예비유아교사들의 문화적 역량 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hanc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carry out a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hanc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has gone through a three-step process.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study examines the prerequisite studies and literature. In the criteria analysis stage, it also analyzes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extbooks us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nal stage, conduct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develops an educational course based on the results of Stages 1 and 2. It examines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going through a discussion with four professionals attached to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curriculum, this study uses quantitative methods for data collection. For this, it selects as subjects 10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58 belo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44 to the comparing group.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wo groups, the study employs the Repeated Measures design. Cultural competence is measured on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Choi(2010) and revised for this study, which is a valid, reliable, 24-item Likert-type scale. The data a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findings show a significant effect after applying the curriculum, meaning the course designed to help pre-service teachers develop cultural competence is effective.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 타당화

        이효림 ( Hyo Rim Lee ),차정주 ( Jung Ju Ch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Barr 등(1978)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SSSPS)를 국내 예비유아교사에게 사용가능하도록 검토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먼저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해 11명의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번역 및 유아교육 분야 적용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각 문항을 재분류하여 원척도와의 일치도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225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항분석, 집단 간 차이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내용타당도 검증결과, SSSPS의 유아교육 적용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목표, 내용, 방법별 분류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5개 문항으로 축약된 척도에 대한 구인타당도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높게 나타나 원척도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 반성적 탐구의 요인구조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계수 또한 높게 나타나 예비유아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 척도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기에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validate The Barth-Shermis 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SSSP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xplore content validity, 11 early childhood experts were asked to comment about a translation and application appropriateness of the scale, and choose each item to calculate the conformity degree. In order to explore conduct validity, 22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ked to fill out the shortened SSSPS which consisted of 15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8.0 and AMOS 7.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consequence of content validity, SSSPS can be adapted to early childhood field; however, it is not easy to discriminate the goals, methods, and contents among the items. Second, the review of construct validity shows that the hypothesis for three factors as Citizenship Transmission, Social Science, and Reflective Inquiry is appropriate with high fitness indexes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Finally, construct reliability, AVE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hig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문학적 접근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이효림(Hyo Rim Lee),박은주(Eun Ju Park)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문학적 접근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창의성 교육 프 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우수 학술지에 게재된 문학적 접근을 활용한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논문 총 52편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1997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일 년에 한 두 편정도 소개되었고, 이 후 2011년까지 연간 4~6편 정도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구유 형은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은 만 5세를 대상으로 한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도구는 전경원의 K-CCTYC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주로 독립표본 t-test로 자료분석을 하였다. 셋째, 연구내용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문학과 관련 활동을 접목한 프 로그램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in published research using a literature approach in creativ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on creativity. Fifty-two published studies related to creativ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using the literature approach,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1997 to early 2000, one or two studies were introduced yearly and after that period, four to six articles were published until 2011. Second, based on research methodological trends, the most frequent studies involved research examining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s on creativity five-year-old children as the study subjects. Kyeong-Won Jeon`s K-CCTYC was used most frequently as a research tool and the data were mainly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Third, based on the contents of those reviewed studies, the most frequent studies involved research examining the effect of programs, including activities related to literature, on the creativity of children.

      • KCI등재

        만 5세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아사회교육 내용 분석

        이효림 ( Lee Hyo-rim ),박소윤 ( Park So-yu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사회교육의 내용과 생활주제, 활동유형 및 누리과정 영역과의 통합 양상을 알아보고자,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D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2곳에서 작성된 만 5세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5세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범주별로 살펴본 결과 사회·정서발달에서는 `성인또래관계`, 사회과학지식에서는 `시민의식` 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생활주제별, 활동유형별, 누리과정 영역별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살펴본 결과, `성인또래관계`와 `시민의식`의 경우 전체 생활주제에 골고루 포함되어 있으며, 대·소집단활동, 자유선택활동, 등원, 정리정돈, 평가의 활동유형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내용과 생활주제 및 활동유형 간 통합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교육내용들은 특정 생활주제나 활동유형, 누리과정 영역에 치우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유아사회교육의 실행 방향과 통합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and to identify aspects of integration with theme, activities, and Nuri Curriculum based on the Lesson Plan of kindergarten. The subjects of current study were daily two sets of lesson plans of 5-year-old classes using in the kindergarten placed in D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2015 until Feb. 20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ults-Peer Relationship` i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itizenship` in social scientific concepts were the most common contents in the lesson plans. Second, `Adults-Peer relationship` and `Citizenship` were well integrated with theme, activities, and Nuri Curriculum, but rest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one-sid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bout integrated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한 유보통합의 방향 탐색: 물결 21 코퍼스[2000-2013]의 활용

        이효림 ( Lee Hyo-r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의 4개 종합 일간지 신문기사를 기반으로 구축된 빅데이터 [물결21]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 추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퍼스 분석도구(CAT-T21)를 활용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빈도와 공기어 및 공기어들의 t-score를 산출하고, minitap 17.0을 활용하여 t-score 연도별 변화에 대한 mannkendall 추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기사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단어 빈도는 2010년을 기점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어린이집>의 증가 추세가 두드러졌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모든 공기어들의 t-score 증가세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기관계는 2010년을 기점으로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두 대상어 모두 유아교육기관의 기능인 “교육”과 “보육”, 구성원으로서의 “아이”, “교사”, “유아”, “어린이”, 기관의 시설과 운영 및 지원을 의미하는 “지원”, “시설”, “운영”이 공기어로 나타나, 공통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공기어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치원은 “교육”, 어린이집은 “보육”의 t-score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학교”, “사립”, “초”, “공립”, “고교”, “교육청”, “학원”이, <어린이집>에서는 “원장”, “아동”, “서울” “민간”, “부모”, “국공립”, “보육료”, “직장”, “가정”이 유의한 공기어로 추출되어, 기관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유보통합을 위한 시사점과 유아교육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uns in Trends 21 Corpus(2000-2013) to analyze social interest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rends 21 Corpus(2000-2013) is a large collection of texts in the four major Korean daily newspapers published in 2000-2013 and the size is around 6 hundred million word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paper, the researcher assesses the frequency and extracts co-occurring words of the words “YUCHIWON”(Kindergarten) and “EORINIJIP”(Daycare Center) using CAT-21, and then employs Mann-Kendall trend test using minitap 17.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wo target words have increased since 2010, especially “Daycare Center”. Moreover, the t-score of the word “Daycare Center” and all its co-occurring word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wo target words has increased rapidly from 2010. Besides, the two target words have common co-occurring words as “education, care, kids, teacher, young child, children, support, institution, and manage”. Lately, the co-occurring word, which has most high t-score, is “education” for Kindergarten, while it is “care” for Daycare Center.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for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Korea and utilizations of big data in early childhood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장애인 인식과 통합교육 신념이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에 미치는 영향

        이효림(Lee, Hyo Rim),박소윤(Park, So Yun),배주현(Bea, Ju Hyun),송민서(Song, Min Se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이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49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불편함 인식,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수용에 대한 우려‘와 ’업무량에 대한 우려‘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불편함 인식이 높을수록, 통합교육의 효과와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불편함 인식이 통합교육 우려의 모든 하위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 및 재교육 과정에서 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할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isabled and their beliefs in inclusive education on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on 149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located in the D metropolitan city using a disability awareness concern scale of perception of discomfort, beliefs in in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As a result, "concern about accep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oncerns about workload" were high,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discomfort for disabled children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higher the concern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discomfort towards disabled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variables of inclusive education concer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ways to improve teachers’ perception of discomfort towards the disabled in the process of teacher education and re-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