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ZOP 분석 자동화를 위한 객체지향 모델링

        이진명,허보경,황규석 한국산업안전학회 1998 한국안전학회지 Vol.13 No.1

        Hazard and operability (HAZOP) analysis is one of the safety analysis method that is used in the chemical complex, because it can systematically identify causes and consequences of all the deviation that could occur. Since this method needs to hire specialized experts, it is costly and time-consuming. Therefore HAZOP Expert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automate this analysis. This approach introduced object-oriented method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which is hierarchical tree of units to supply flexibility in the system, functional semantic network, propagation equation and rule-chaining method to set up the expert system for automating HAZOP analysis.

      • KCI등재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 TV프로그램 친숙도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진명,김효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etnam consumers’ familiarity with Korean TV programs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rough Korean culture preference and country image.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on a summary construct effect model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a global panel of professional research company. A total of 5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TV program familia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orean culture preference and country image, and Korean culture preference and countr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effect of Korean TV program familiarity on purchase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The bootstrapping results confirmed the full mediation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symbols from Korean TV programs could influence the preference of Vietnam consumers for Korea and Korean culture, which may increas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 TV프로그램에 대한 친숙도가 한국문화 선호도와 국가이미지를 매개로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국가이미지에 관한 요약개념화 효과 모델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조사전문업체의 글로벌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베트남 소비자 총 511명의 응답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TV프로그램 친숙도는 한국문화 선호도 및 한국 국가이미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한국문화 선호도와 한국 국가이미지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TV프로그램 친숙도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bootstrapping 결과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TV프로그램을 통해 접하는 여러 가지 정보와 상징들이 베트남 소비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선호 및 한국에 대한 긍정적 국가이미지에 축약되고, 이를 매개로 한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제고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이진명,송현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eing out what appeared to have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ee teachers who have interest in teaching career, and practice teaching career steadily. Classroom observation, pre-interview, an interview after class were conducted. It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ntinuously comparing the data collected.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expressed by developing practical knowledge framework. It contained the source of practical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nal structure of the framework is shown in the image, principle, and rules. Practical principle is shown broken down into objectives related to, contents related to, methods related to practical principles. Summariz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eaching career was like this. First, sources of practical knowledge were different. Second, images of teaching career affected rules and principles of practical knowledge.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practical rules of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이를 위하여 진로 수업에 대한 관심이 크고, 진로 수업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세 명의 연구 참여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관찰, 사전 면담, 수업 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위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실천적 지식의 원천과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실천적 지식 분석틀을 개발하여 표현했다. 최종 분석틀에서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이미지, 원리, 규칙을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원리는 목적 관련 실천적 원리, 내용 관련 실천적 원리, 방법 관련 실천적 원리로 세분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지식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사의 진로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원천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것은 교사의 이전의 삶이 수업의 전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서 진로 수업에 대한 이미지, 원리를 분석했을 때 교사가 진로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실천적 지식 구조와 실천적 지식의 규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세 교사에게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차이는 원리와 규칙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교사마다 다른 원리와 규칙의 양상으로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구조 중 실천적 규칙에 차이가 있다. 교사들이 구현하는 진로수업을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실천적 지식의 규칙은 각 수업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각 교사별 실천적 지식에 따라 수업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비대칭 국제경제관계에서 자유주의 평화의 가능성

        이진명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1

        이 논문은 비대칭 경제관계에서 상호의존이 분쟁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제적 상호의존은 무역의 중요성, 대칭성, 상호의존성의 세 지수로 조작되었다. 통제변수는 지리적 근접성, 정권유형, 상대적 국력, 동맹, 탈냉전이다. 분석기간은 1950부터 2000년까지이다. 분석결과 중요성과 대칭성의 수준이 낮은 경우 둘 중 어느 하나가 증가하면 분쟁을 감소시키지만, 중요성과 대칭성이 모두 매우 높은 경우 분쟁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상호의존과 분쟁의 비선형적 관계는 자유주의나 현실주의 이론에 의해 설명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선형적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두 국가가 초기의 낮은 수준의 경제적 의존관계에서는 실질이익과 기대이익이 증가하기 때문에 분쟁가능성은 감소하고, 경제적 의존관계가 높은 수준으로 진행됨에 따라 실질이익과 기대이익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제3의 대체무역국가가 확보되면서 분쟁 가능성은 증가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acifying effect of economic linkages on interstate militarized disputes in asymmetry in economic size. Economic interdependence is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trade salience, trade symmetry, and their interactive terms, interdependence. The model consists of five control variables such as proximity, joint democracy level, relative capabilities, alliance, and post-cold war. The period under analysis is from 1950 to 2000. The key findings show that while increase in either salience or symmetry at its low level is more likely to reduce conflicts, increase in both salience or symmetry at their high level is more likely to increase conflicts. The non-linear relations between interdependence and conflicts can not be explained by either one of realism or liberalism. The non-linear relations could be inferred as follows: At the beginning of the economic relations which is in the low level of interdependence, two countries are less likely to engage in militarized disputes because they could have both higher real and expected gains from the ties. In contrast, as economic ties expand, which means the higher level of interdependence, two countries are more likely to fight because their real and expected gains gradually and relatively decrease.

      • KCI등재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부정적 반응: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의 적용

        이진명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 부정적 반응의 응집 구조 및 인지적 반응이 감정적 반응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외직접구매에 관한 정보가 주로 공유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글을 수집한 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저렴한 가격, 선택의 다양성, 결제의 편의성과 즐거움 등이 해외직접구매에 대한 주요 긍정적 반응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상품의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 상대적으로 국내 상품 가격이 비싸다는 반응으로 강하게 연계되어 국내 시장 및 유통업계에 대한 저항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비자들은 해외직접구매가 배송이 느리고, 반품/환불/취소가 어렵고, 사후서비스가 취약하며, 관세/부가세/배송비 등을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는 점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유통업계가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효용들을 제공하고 유통구조를 선진화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정부는 소비자 후생 제고를 위해 정보정책을 강화하고 글로벌 표준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hesion structure of consumer responses to overseas direct purchases and the path of cognitive response to emotional response. For this purpose, an online community, in which information on overseas direct purchasing is mainly shared, was selected as a resource, and a network text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llecting postings. As a result, low price, diversity of choice, ease of payment and enjoyment were the main positive responses to overseas direct purchases. The low price of overseas direct purchases is strongly linked to the relatively high price of domestic commodities, which has created resistance to the domestic market and the retail industry. On the other hand, consumers responded negatively to overseas direct purchases, such as slow delivery, difficulty in return/refund/cancellation, poor after-service, and the burden of surchar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the domestic retail industry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benefits they are seeking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The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policy and introduce the global standard electronic commerce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consumer welfare.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관성의 조절효과

        이진명,박서니,나종연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of smartwatch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by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are moderated by consumer inertia as a tendency to maintain the status quo. We develop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product attributes and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409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40s who did not have smartwatch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tibility of smartwatch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rivacy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Second, design and self-image enhanc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 watch.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ertia in adopting smartwatch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effect of perceived enjoyment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the group with high inertia. This study shows that enhancing both perceived usefulness as functional motivation and perceived enjoyment as emotional motivation is important for consumers' adoption of smartwatch, considering smartwatches have both attributes of IT devices and fashion products. Moreover, this study implies that perceived enjoyment can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adoption of new technology than perceived usefulness for consumers who tend to stick to current sit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IT와 패션이 결합된 융복합 제품으로서 스마트워치 제품속성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매개로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혁신적 대안이 존재함에도 현상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서의 관성(inertia)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워치를 보유하지 않은 20대에서 40대 소비자 409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치의 적합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프라이버시 위험은 지각된 유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유용성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과 이미지 고양은 지각된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즐거움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관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본 결과, 지각된 즐거움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관성이 높은 집단에서 관성이 낮은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능적 유용성과 정서적 즐거움이 소비자의 스마트워치 수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히고, 특히 관성이 강한 소비자에게는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 유용성보다 즐거움이 보다 중요한 동기일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