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고속철도 승차감의 감성 모형 개발

        이주환,이철,김인기,윤명환,Lee, Joo-Hwan,Lee, Cheol,Kim, In-Ki,Yun, Myung-Hwan 대한인간공학회 2007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6 No.1

        KTX (Korea Train eXpress) is launched as the $5^{th}$ develop a ride-comfort model for high-speed rail paseng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actors affecting ride-comfort were investigated, and employed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ride-comfort model. The SEM model was built with twenty measurement variables and seven latent variables for the evaluation of ride-comfort of high-speed train passenger. A total of six hundreds thirty 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using face-to-face survey method. As a result, the proposed SEM model model fitnes (GFI=0.93).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all ride-comfor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eat-, fatigue-, interior-related, and customer satisfaction variables such as fare. Among the engineering design variables of high-speed train, seat-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critical factors of the ride-comfor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the enhancement of ride comfort in next generation KTX.

      • SCOPUSSCIEKCI등재

        백서의 좌골신경 절단 후 비복근의 자기공명영상 신호강도 변화와 근전도 소견의 관계

        이주환,이장철,김동원,박기영,이성문,Lee, Joo Hwan,Lee, Jang Chul,Kim, Dong Won,Park, Ki Young,Lee, Sung Moon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1

        Objectives : The evaluation of peripheral nerve injuries has traditionally relied on a clin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electrodiagnostic stud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serial magnetic resonance image(MRI) changes following acute muscle denervation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o identify potenti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is use of MRI. Methods : An experimental transection of right sciatic nerve on Spargue-Dawley rats was performed. MRI was performed with T1-weighted spin-echo and STIR sequences. The imaging findings were compared with EMG in order to determine its sensitivity relative to this standard procedure. A simultaneous histopathological study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morphological basis of the imaging findings. Signal intensities were expressed as a ratio of abnormal to normal. Results : The signal intensity ratio of muscles with the STIR sequenc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2 weeks after sciatic nerve transection(p<0.05), although definite signal change was seen as early as 4 days postdenervation in one. EMG revealed significant denervation potential from 3 days after nerve transection. Diffuse cell atrophy was revealed hostologically at 2 weeks after transection, which was at the same time of significant signal change in MRI. Conclusion : MRI signal changes in denervated muscles secondary to nerve injury correlate with the degree of muscle atrophy on histologic examination. In addition to EMG, MRI can document the course of muscle atrophy and mesenchymal abnormalities in denerv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RI can play a complementary role in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denervation.

      • KCI등재

        미국 특허법에서의 예비적인 금지명령에 대한 법리의 역사적 발전과정

        이주환 ( Lee Joo Hwan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7 연세법학 Vol.30 No.-

        미국의 특허사건에서 예비적인 금지명령이 인정되려면 특허권자는 “four-factor test”를 증명하여야 한다. 미국 특허법에서 예비적인 금지명령은 특허침해를 당한 특허권자를 구제하기 위한 예외적인 구제방법이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미국법원은 예비적인 금지명령의 인정기준에 대한 엄격한 법리를 채택하였고, 결과적으로 1982년 연방순회항소법원의 설립이전까지 예비적인 금지명령의 인용율은 낮았다. 연방순회항소법원은 그 설립 후, 1983년 Smith International 판결, 1985년 Roper 판결, 1985년 Atlas Powder 판결을 통하여 예비적인 금지명령의 인정요건을 상당히 완화하였다. 따라서 연방순회항소법원 설립 직후 예비적인 금지명령의 인용율은 높아졌다. 결국 이 세 판결들은 예비적인 금지명령의 인정기준에 대한 법리를 특허권자에게 유리하게 설정하여 특허권의 보호를 강화하려는 연방순회항소법원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연방순회항소법원이 채택한 법리는 특허권자에게 지나치게 유리한 법리라고 비판받았고, 이후 미국법원은 2001년 Amazon.com 판결 등을 통하여 예비적인 금지명령은 특허권자를 위한 예외적인 구제방법이라는 원칙으로 회귀하였다. 2006년 eBay 판결을 통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이 영구적인 금지명령의 인정기준으로 형평법적인 요건을 채택하면서, 현재 미국에서 예비적인 금지명령은 더욱 인정되기 어려워졌다. 우리법상 특허침해금지가처분신청의 인용요건은 미국 특허법상 예비적인 금지명령의 인정요건과 유사하다. 다만 양자의 차이점은 우리법상 특허침해금지가처분신청의 인정여부의 판단방법에는 미국법원이 예비적인 금지명령의 인정여부의 판단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는 비교테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법원도 미국법원처럼 특허침해금지가처분신청의 인정여부에 대한 판단방법으로 비교테스트를 도입하면, 특허침해금지가처분제도를 지금보다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To obtain preliminary injunction in U. S. patent cases, patent holders must demonstrate “four-factor test". Historically, preliminary injunctions are an extraordinary remedy for patentees. Therefore, U. S. courts have applied strict legal principles on preliminary injunctions. However, after the Regan administration established the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 to strengthen patent rights in 1982, the Federal Circuit has lowered the standard for obtaining a preliminary injunctive relief in patent cases through landmark cases including Smith International in 1983, Roper Corp. and Atlas Powder in 1985. These three landmark cases were based on Federal Circuit’s determination to strengthen patent holders’ patent rights by lowering standards to obtain preliminary injunction. However, the legal principles on preliminary injunctions adopted by the Federal Circuit were highly criticized for being too generous on patent holders. So, afterwards, through cases such as Amazon.com in 2001, U. S. courts returned to the legal principle that preliminary injunctions are extraordinary remedies for patentees. After the U. S. Supreme Court case on eBay in 2006, which adopted the balancing test to obtain permanent injunctions, it became more difficult to obtain preliminary injunctions. The requirements on preliminary injunc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very much similar to those of the U. S. However, unlike the U. S. courts, Korean courts do not apply the balancing test on preliminary injunctions. Therefore, if Korean courts adopt the balancing test on preliminary injunctions, it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t operation of preliminary injunctions in cases involving patent infringement.

      • KCI등재

        발표논문 : 미국 특허법에서의 법정모독절차

        이주환 ( Joo Hwan Lee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4 연세법학 Vol.24 No.-

        미국 특허법에서의 법정모독절차는 미국 연방지방법원이 선고한 금지명령을 위반한 자를 제재하기 위한 절차로서, 특허권자의 입장에서는 금지명령을 위반한 침해자에 대한 구제수단이 된다. 법정모독절차에는 민사 법정모독절차 와 형사 법정모독절차가 있지만, 금지명령을 위반한 자를 제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민사 법정모독절차가 이용된다. 지방법원이 법정모독의 범위를 확장하여 판단한다면, 금지명령을 선고받은 침해자의 입장에서는 가혹하다. 따라서 지방법원은 미국 특허법이 장려하고 있는 회피설계의 기회를 침해자에 게 적절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신중하게 법정모독의 범위를 판단하여야 한다. 법정모독절차에서 침해자의 회피설계제품에 대한 특허침해의 판단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지방법원은 이미 특허침해라고 판결을 받은 제품과 침해자의 회피설계제품을 비교하여, 양 제품에서의 차이가 단순한 피상적인 차이에 불과한지의 여부를 반드시 판단하여야 한다. Contempt proceedings in u.s. Patent Law is aimed at sanctioning the infringers who would violate an injunction. So, Contempt proceedings is Patentee`s remedies. Contempt proceedings have civil contempt proceedings and criminal contempt proceedings. Generally, civil contempt proceedings is used for sanctioning the infringers. If the trial court would expand the scope of patent infringement injunction, contempt proceedings will be harsh remedies for infringers. Therefore, the court should properly find patent infringement injunction`s scope to guarantee the chances of design around which is promoted by the U.S. Patent Law. In contempt proceedings the trial court must find patent infringement of infringer`s new devices. And comparing the devices found patent infringement with infringer`s new devices, the trial court ought to find whether both devices have merely a colorably difference.

      • KCI등재후보

        북한 지적재산권법에 대한 연구 - 북한에도 특허청이 있을까? -

        이주환 ( Lee Joo Hwan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9 연세법학 Vol.33 No.-

        북한에도 남한의 특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저작권법 같은 지적재산권 관련법률이 존재하고 있고, 남한의 특허청과 같은 지적재산권 관련 출원 및 등록기관도 존재하고 있다. 다만 북한 지적재산권법은 북한의 사회주의적 정치체제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한의 지적재산권법과 상당한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북한 지적재산권법은 사회주의 국가의 법률로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북한 각 지적재산권법의 제1장의 기본편은 지적재산권 관련 신청, 심의, 보호, 사업 등에서 국가의 역할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북한 지적재산권 법은 지적재산권의 사용 및 수익측면에서 국가의 관리를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남한의 지적재산권 법과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즉 북한 지적재산권법은 당사자가사적 자치의 원칙에 근거하여 지적재산권의 양도 및 사용에 대하여 자유롭게 거래할 수 없고, 국가가 당사자 사이에 개입하여 이에 대한 가격책정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남한과 북한의 경제협력의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이에 남한과 북한은 지적재산권법과 제도에 대하여 서로 협력함으로써, 경제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점진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한데, 과거 서독과 동독이 통일하면서 채택하였던 지적재산권 통일방안과 최근 유럽연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럽단일특허제도의 도입과정과 통합 특허법원의 설립과정을 참고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There are intellectual property laws such as South Korea's patent law, trademark law, design protection Law and copyright Law in North Korea. Also, there are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applications and registration agencies such as South Korea's Patent Office in North Korea. Bu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laws in that North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laws reflects the its socialist political system. In other words, North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laws is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the country's role as a socialist country's law. In addition, North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law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South Korea's laws in that North Korea's laws places importance on the management of the country in terms of the use and profits of intellectual properties. Especially North Korea's intellectual property laws would not approve that companies can freely trade the transfer and use of their intellectual properties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At present, the atmosphere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ripe. Therefore, they should work together on intellectual property laws and systems to take advantage of them as an opportunity for economic development. A gradual approach is needed to do this, with reference to the plans for the unif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laws adopted by West and East Germany as well as the recent introduction of a single European patent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atent court in the European Union.

      • 웹상에서 난수로 변형한 주관식 문제 출제 시스템의 구현

        이주환(Joo-Hwan Lee),유동관(Dong-Kwan Yoo),이재영(Jae-Young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수험생이 인터넷을 사용하여 주관식시험에 응시하는 과정에서 수험생들이 컴퓨터를 통하여 서로 답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목적으로 난수를 이용하여 주관식 문제를 재배열하는 데 이때 랜덤함수나 랜덤 클래스로 난수를 생성한 다음 중복된 수를 검사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복 검사할 필요가 없는 난수 배열을 미리 만들어 놓고 이 배열에서 발생한 난수를 이용하여 주관식문제를 출제시스템을 웹상에서 구현하였다.

      • KCI등재

        포장방법이 결구 상추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이주환 ( Joo Hwan Lee ),최담희 ( Dam Hee Choi ),노유한 ( Yoo Han Roh ),최인이 ( In-lee Choi ),강호민 ( Ho-min Ka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골판지 상자 및 유공필름을 대조군, 1,300 cc, 40,000 cc, 80,000 cc·m<sup>-2</sup>·day<sup>-1</sup>·atm<sup>-1</sup> OTR(Oxygen transmission rate) 필름을 실험군으로 설정하고 2℃(80±5%RH)에서 25일 동안 저장하여, 포장 방법 및 필름의 산소투과율에 따른 결구상추의 저장성 및 품질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포장의 산소투과율과 정비례했다. 포장 내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는 산소투과율이 낮을수록 대기의 기체조성 대비 증감의 변화가 컸으며, 에틸렌 농도는 저장 20일차까지 서서히 증가하다 최종일에 감소했다. 외관은 필름 포장한 것이 골판지 상자보다 좋았으며, 그 중 40,000 cc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저장 최종일 경도는 산소투과율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색도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이취는 산소투과율이 높을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MA 포장 처리구 중에서는 40,000 cc에서 가장 적었다. 겉잎과 속잎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항목 중 갈변도의 겉잎은 초기값 대비 모든 처리구가 증가했고, 속잎은 겉잎과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지만, 겉잎과 속잎 모두 40,000 cc에서 가장 낮은 낮았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겉잎과 속잎 모두 초기값보다 감소하였으며, MA 포장 처리구 중에서는 40,000 cc, 80,000 cc 그리고 1,300 cc 순으로 감소율이 낮았다. 비타민 C 또한 골판지 상자 처리구의 겉잎을 제외하고는 모든 처리구가 초기값보다 감소했으며, 40,000 cc가 MA 포장 처리구 중에서 초기값 대비 가장 낮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양상추 저장 중 유통기한을 연장함에 있어서 40,000 cc OTR 필름을 사용해 포장하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corrugated box; perforated film; and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m<sup>-2</sup>·day<sup>-1</sup>·atm<sup>-1</sup> oxygen transmission rate (OTR) films were set up as experimental groups and stored at 2 ℃ (80% ± 5% RH) for 25 days; thereafter, the packaging method and OTRs of the films were compared. The fresh weight loss rate during storage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OTR in the package. The lower the OTR, the more significantly the gas composition in the package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ethylene concentration increased until the 20th after storage, and decreased until the last day. Film packaging was better than corrugated box packaging, with 40,000 cc exhibiting the highest score. On the final date of storage, firmness was inconsistent with the OTR, and no color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reatments. Off-odors decreased with higher OTRs and reached the lowest value with 40,000 cc among the modified atmosphere(MA) packaging treatments. Additionally, exterior browning exhibited the lowest increase with 40,000 cc up to 35%, with all treatments showing an increase in browning compared to the initial color. In contrast, browning of the interior exhibited highest rate of decline with 40,000 cc up to 30%.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lower than that observed initially for both exterior and interior browning. Among the MA packaging treatments, the reduction rate was low with 40,000 cc followed by 80,000 cc and 1300 cc. Vitamin C also saw all but the exterior of corrugated box, decreased compared to the initial levels, with 40,000 cc showing the lowest reduction. Therefore, 40,000 cc OTR films are considered suitable for packaging and extending the shelf life of head lettuce during storage.

      • KCI등재

        미국 상표법에서의 신용이론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상표보호의 확장

        이주환 ( Lee Joo Hwa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硏究 Vol.30 No.2

        우리 상표법은 상표사용자의 업무상의 신용과 수요자의 이익이라는 두 가지 법익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표사용자가 사용하기로 선택한 상표에 화체된 신용을 보호하는 것은 상표법의 목적에 부합한다. 역사적으로 미국법원은 표장 자체를 재산권으로 보호하는 법리를 채택하였다가, 신용을 재산권으로 보호하는 법리로 변경하였다. 신용을 재산권을 보호하는 법리는 전통적인 혼동이론에 근거한 상표보호에서 탈피하여, 상표보호의 확장을 인정할 수 있는 명시적 법적 근거가 되었다. 즉 상표법은 상표사용자의 표장에 화체된 신용을 재산권으로 보호한다는 법리는 동일, 유사상품이라는 경쟁적 상품의 영역에서 상표침해를 인정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이종상품이라는 비경쟁적 상품의 영역에서 상표침해를 인정할 수 있는 법적도구로 활용되었다. 결과적으로 미국 상표법상 신용이론은 미국법원이 희석화이론, 구입후혼동이론, 최초관심혼동이론이라는 상표침해를 확장하는 법리를 채택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신용이론에 입각하여 상표권의 보호범위를 지나치게 확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표법은 상표사용자의 업무상의 신용과 수요자의 이익이라는 두 가지 법익을 균형적으로 보호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표법에서의 상표침해판단은 상표권자가 자신의 재산권을 통하여 향유하는 이익보호와 소비자의 출처혼동을 방지하는 수요자의 이익보호에 근거하여 합목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신용이론에 근거한 상표보호의 확장에서 수요자의 이익이라는 상표법의 목적이 도외시 되어서는 아니 된다. 우리 상표법은 미국 상표법상 전통적인 혼동이론에 근거한 상표침해법리를 규정하고 있고, 우리 부정경쟁방지법은 미국 상표법상 비경쟁적 상품의 영역으로 상표침해를 확장하는 법리를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하여 이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나라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한 법제는 미국 상표법상 비경쟁적 상품 영역에서의 상표침해는 우리나라는 타 선진국에 비하여 신용이 많이 형성된 상표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우리의 경제적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의 정책으로 “좋은 정책”이다. Trademark law in South Korea aims to protect the two legal interests: the goodwill of the trademark user and the benefit of the consumer. Therefore, protecting the goodwill of a trademark chosen by a trademark user conforms to the purpose of the trademark law in Korea. Historically, the U.S. Court had adopted a legal principle that trademark law protects the mark itself with property rights, but changed a legal principle that trademark law protects the goodwill with property rights. As a result, the changed principle has become a legal basis for recognizing the expansion of trademark protection, breaking away from limited trademark protection based on traditional confusion theory. In other words, that principle was used as legal tools to recognize trademark infringement of non-competing goods. As a result, this goodwill theory became the legal basis for the U.S. Court to adopt the principles of expanding trademark infringement: dilution theory, post-sale confusion theory, initial interest confusion theory. However, it is not desirable to exte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rademarks excessively based on the goodwill theory. This is because trademark law requires the balanced protection of the two legal interests. In other words, trademark infringement under trademark law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the protection of goodwill enjoyed by the trademark holder through his property rights and the protection of consumers' interests in preventing source confusion.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e trademark law of the interest of consumers should not be disregarded by the expansion of trademark protection based on the goodwill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