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환경에서 시각정보와 사전 경험이 힘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재훈,황호성,윤원식,Lee, JaeHoon,Hwang, HoSung,Yun, WonSi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3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시각정보와 경험이 가상환경에서 햅틱 디바이스로 상호작용 하는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Load-on-task를 통하여 물체의 크기와 누적된 경험이 가상환경에서 무게를 예측하고 상호작용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 가상환경에서 물체 이동 실험을 통해 물체에 대한 정보가 다를 경우 빠르게 잘못된 정보를 보상하고 안정적인 힘 조절을 확인하였다. 위 실험을 통해 가상환경에서의 경험이 물체의 시각적인 정보보다 많은 영향을 주지만, 경험이 없는 환경의 경우 시각적인 정보가 가상환경에서 물체와의 상호작용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상환경에서 정밀한 조작(로봇 수술 등)이 필요한 의 경우 실제 물체의 물성치와 시각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만약 그러한 환경 조성이 어려울 시에는 충분한 사전시험을 통하여 가상환경이 가진 특성을 경험할 수 있게 준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humans learn and perceive the weight of objects corresponding to visual information in virtual environment. We conducted two kinds of load-on-tasks with two virtual objects that have same weight but different visual cues; have same visual cues but changed weight by trails. We found that the subject could not generate appropriate force for the smaller and changed weight objects in the beginning of the trial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xpected weight and actual force consequences sue to visually invoked size and previous experience made subjects perceive the small object were heavier. one the other hand, after the tasks were repeated, the subject responded the weights were the same or very similar when the mismatch between the expected weight and the actual weight became vanished. this means that the sensorimotor feedback influences the anticipatory control scheme and weight perception aggressively in virtual environment.

      • KCI등재

        저층수 배수를 위한 가동보의 안전성 평가

        이재훈(Jaehoon Lee),방건혁(GeonHyeok Bang),허광희(Gwanghee Heo),최범균(Beom Gyun Choi),이유재(Yujae Lee)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4

        한국의 지형은 산지 면적이 국토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수자원 확보 방안은 가동보를 이용한 소규모 저류지를 활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지의 저층에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가동보를 개발하고자 한다, 저층으로물을 배출할 수 있는 가동보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치적인 해석(FEM 해석)과 이론적인 해석을 병행하여상호의 결과값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가동보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가동보는 수문 본체와 하단배출 수문으로분류하여 해석되었다. 먼저 수문본체와 하단 배출수문을 단순화 하여 진행하고 응력, 처짐, 비틀림 등을 계산하여 안전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단순화 작업이 완료된 수문본체와 하단 배출수문을 대상으로 기립각의 요소에 변수를 적용해서 FEM 해석을 진행하여 인장, 압축, 전단응력을 계산하였다. 수문본체의 경우에 기립각의 변수를 30°, 60°, 64°로 분류해서 해석을하였다. 하단 배출수문의 경우에는 회동링크 축의 변수를 두께가 20 mm, 22 mm, 24 mm, 26 mm로 분류해서 해석하였다.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를 수분 본체와 하단배출 수문으로 분류하여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주어진 조건의 가동보를구성하는 요소들이 허용응력을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전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며, 설계한 가동보가 설계 수위에따른 수압을 지탱하도록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설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Korea topography accounts for 70% of the country's land area. A plan to secure water resources considering this characteristic is to utilize small-scale reservoirs using movable weirs.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 movable weir that can discharge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d evaluat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movable weir that can discharge water to the bottom layer; the safety of the movable weir is evalu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each other. The movable information used in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water body and bottom discharge sluice gate) according to usability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First, the design of the hydrological body and lower discharge hydrological gate were simplified, and the simplification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stress, sagging, and twisting. Tensile, compression, and shear stresses were calculated by conducting FEM analysis by applying variables to the elements of the standing angle to the hydrological body and lower discharge hydrological gate where the simplification work was completed. In the case of the hydrological body, the variables of the standing angle were classified into and analyzed. In the case of the lower discharge hydrological gate, the variables of the rotating link axis were classified into 20 mm, 22 mm, 24 mm, and 26 mm in thickness and analyzed. Determining safety by classifying mobile beams capable of discharging low-rise water into moisture bodies and lower discharge sluices confirmed that the components of mobile beams under a given condition did not exceed allowable stress.

      • KCI등재

        주희(朱熹) ≪시집전(詩集傳)≫ <정풍(鄭風)> <청인(淸人)>·<고구(羔?)>·<준대로(遵大路)> 신구전(新舊傳) 비교 연구

        이재훈 ( Lee Jaehoon )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86

        This paper is one of the series of basic research for comparative studies of Zhu Xi’s earlier and later views on The Book of Odes, and represents the second comparative study on “Zhengfeng”(鄭風). This paper will examine the specif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urrently lost articles of the second version of Shi jizhuan(詩集傳), and the annotations of the currently existing third version of Shijizhuan. First and foremost, this paper collected the currently lost articles of the second version of Shi jizhuan - “Qingren”(淸人), “Gaoqiu”(羔?) and “Zundalu”(遵大路) of “Zhengfeng” - from Lu Zuqian’s Lushijiashu dushiji(呂氏家塾讀詩記), Zhen Dexiu’s Xishan dushuji(西山讀書記), Duan Changwu’s Maoshi jijie(毛詩集解), and Yan Can’s Shiji(詩緝). The collection of these article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in comparison with the views of Mao Heng’s Shiguxunzhuan(詩故訓傳), Shixu(詩序), Zheng Xuan’s Maoshi zhuanjian(毛詩傳箋), and the third version of Shi jizhuan. Through this comparison, this paper will examine how Zhu Xi comprehended the words, lines and stanzas as well as the themes of the poetry in the second and third versions, and then will examine how Zhu Xi either accepted or not the views of Shiguxunzhuan, Shixu, and Maoshi zhuanjian. Afterward, this paper will elaborate on why Zhu Xi adopted the annotations and the expositions of the second version in the third version. Furthermore, this paper attempts to restore the second version to its original form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annotations or the ex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versions. It is also assumed that there may be a printed edition of the second vers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exist many differences in letters or contents in the annotations of the second version mentioned in the works of many scholars.

      • KCI우수등재

        파스칼의 반철학으로서의 철학

        이재훈(Jaehoon LEE)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6

        이 연구는 철학자로서의 파스칼의 사상을 다룬다. 이 관점은 논쟁적이다. 왜냐하면 많은 연구자들이 철학자로서의 파스칼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파스칼 사상 안에서 철학의 독립성을 인정하지 않으며 그의 사상 안에서 철학이 가진 지위를 평가하는 경우에도 철학을 자기 부정과 해체를 통해 호교론과 기독교 진리로의 이행을 준비하기 위한 도구로만 이해한다. 이 관점과 달리 나는 이 연구에서 파스칼의 철학 비판이 고유한 철학적 질문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나는 철학사에서 파스칼 사상의 자리를 규정하고 그의 사상을 현대적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에게서 철학에 대한 비판이 호교론에 봉사하는 도구일 뿐이라고 보는 소극적 해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파스칼이 철학 비판 또는 철학자들에 대한 해체적 읽기를 호교론과 자비의 질서로의 이행을 위해 유용한 것으로 생각했다는 점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파스칼의 반철학으로서의 철학은 이성의 질서와 기독교 복음의 진리 양자로 환원될 수 없는 양자 사이의 경계에 대한 사유이며 이 사유는 인간의 자기 인식과 관련해서 적지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과들이란 이성적 질서와 전통적 형이상학의 관점에서 포착될 수 없는 인간 실존의 조건에 대한 생각들이다. In this study, I try to read Pascal’s thought as belonging to philosophy. This perspective is controversial because many scholars deny that Pascal is a philosopher. They deny an independence of his philosophy and, even when evaluating a status of philosophy in his thought, they understand it only as instrument for a transition to the apology and the christian truth through its autonegation and autodestruction. But, in order to determine a place of his thought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to evaluate it from a today’s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is passive interpretation which considers his philosophy as a simple instrument for the christian apology. Of course, there is no doubt that Pascal thought that the critique of philosophy is useful for the transition to the apology and the order of charity. But his philosophy as antiphilosophy is a thought about the frontier between the order of reason and the christian Truth, frontier that cannot be reduced to the both. I will show that his philosophy on this frontier brings considerable effects in the Selfawareness of the human being, that is, the thoughts on the human being’s existential conditions that could not be understood from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order of reason.

      • LTE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신호제어시스템용 HW 기반 SSL VPN 성능 분석 연구

        이재훈(Jaehoon Lee),장찬국(Chankuk Jang),위한샘(Hansaem Wi),이옥연(Okyeon Yi)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情報保護學會誌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NPA-TSC-2010 R14)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교통신호제어시스템과 상용 LTE 이동통신망을 적용 가능한 검증필암호모듈 기반의 SSL VPN을 개발하여, 정보보안의 성능과 교통신호제어기의 통신성능을 만족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의 기기 변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SSL VPN 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구현하여 실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교통신호제어 시스템의 보안 표준규격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기술 및 절차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 대통령 정치이념에 따른 언론사의 정파성과 정부정책 보도 방향간의 관계 - 대통령 연설문과 언론 사설 분석을 중심으로 -

        이재훈(Lee, Jaehoon),김이교(토론자) 한국공공관리학회 2018 한국공공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2

        본 연구는 대통령의 연설문에 제시된 주요 정책의 정치이념을 파악하고, 이어 이들 정책에 대해 보수-진보 신문은 각각 어떤 정파적 프레임으로 보도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국은 권위주의 정권이 종식된 이후 진보 대통령과 보수 대통령이 번갈아 집권하면서 민주적 정권 교체를 이루고 있지만, 그 때마다 극심한 이념 대립과 사회적 갈등으로 진통을 겪어왔다. 특히 이 과정에서 언론은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보다는 오히려 정파적 보도로 갈등을 키우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본 연구는 보수 대통령과 진보 대통령의 정책이 실제로 얼마나 이념적으로 차이가 나는지 대통령 연설문 내용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파악했다. 이어 보수-진보 신문들은 대통령 정책에 대해 얼마나 정파성을 드러내는지 사설·논평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분석과 지배적 논조를 파악했다. 분석결과 보수대통령과 진보 대통령의 정책은 이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보수대통령인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은 시장경제에 입각한 친기업적 정책, 글로벌 경쟁력 강화 같은 보수적 이념과 가치를 강조했다. 진보대통령인 노무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평화’,‘참여’,‘균형’,‘복지’등의 진보적 이념과 지향성이 두드러졌다. 언론사 프레임과 논조 역시 보수신문-진보신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보수신문인 조선과 동아는 노무현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 논조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념-갈등 프레임을 제일 많이 적용했다. 진보신문인 한겨레와 경향은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부정적 논조가 매우 많았다. 보수-진보 정권 교체 때마다 벌어지는 한국 사회의 갈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정책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언론은 갈등 증폭자가 아닌 갈등을 합리적으로 갈등을 조정하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만 합리적 공론의 장이 활성화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ology of main policies suggested in the president"s speech and to understand the political frames of conservative-progressive newspapers. Even though Korea has achieved the democratic change of government by alternative seizure of power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residents after the cessation of authoritarian regime, there has been extreme ideological conflicts and social tensions. Moreover, the media has intensified the conflicts through politically biased articles rather than mediating the conflicts. This study objectively apprehends the extent of ideological differences on policies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residents. Subsequently, this study explore the media frame and dominant tone of press editorial in terms of how much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show their political parallelism on the presidential polic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has shown tha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ir ideologies between the policies of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presidents. Lee Myoung-Bak and Park Geun-Hye, the conservative presidents, had emphasized the conservative ideology and philosophy based on the market economy such as pro-business policy and reinforcement of global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progressive ideology such as ‘peace’, ‘participation’, ‘balance’, and ‘welfare’ are remarkable with Roh Moo-Hyun and Moon Jae-in, the progressive presidents. The media frame and the tone of editorial also had consider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conservative - progressive newspapers. Conservative newspaper Chosun and Dong-Ah had predominantly negative editorials on the Roh Moo-Hyun and applied the ideology-conflict frame. Progressive newspaper Hangyeorye and Kyoung-Hyang had lots of negative editorials on Lee Myoung-Bak and Park Geun-Hye. In order to resolve the phenomenon of conflicts in Korean society that happens every time the government changes, much effort for understanding the policy of the opposites in unbiased view is needed. Especially the press should make an effort for the role as a mediator that rationally adjusts the conflicts, rather than amplifying the conflicts. Only then the rational field of public opinion will be vitalized.

      • 사염화탄소 처리한 SD(rat)에 대한 진균발효쌍화탕의 간독성 치료효과 연구

        이재훈(Lee Jaehoon),마충제(Ma Choongje),하혜경(Ha Hyekyung),전원경(Jeon Wonkyung),박화용(Park Hwayong),마진열(Ma Jinyeul) 한국한의학연구원 2008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4 No.1

        In this research, as a method for verifying the efficacy of Ssangwhatang and fungus-fermentated Ssangwhata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ver protection effect was conducted using animal experiments by inducing the liver toxicity with the CG₁₄ treatment. Inducing the liver damage resulted in the increase in the serum AST and ALP activity, and one day administration of the test material(CCl₄: 0.5 ㎖/㎏/day) caused 520 IU/L of the ASP activity leading to 29% enhancement in comparison with the normal group and 93% and 81% reductions in the fungus-fermentated Ssangwhatang-administered groups, BFST1 and BFST2, respectively. ALT is 42 IU/L for the normal group and 99 IU/L for the negative control group leading to 135% enhancement. 15 ㎖/㎏/day and 30 ㎖/㎏/day administrations of fungus-fermented Ssangwhatang(BFST) resulted in 51% and 45% decreases in the ALT concentration, respectively. One day administration of 30 ㎖/㎏ Ssangwhatang and fungus-fermentated Ssangwhatang caused the LDH in the plasma to tend to decrease. CCl₄(1.0 ㎖/㎏/day) administered at the 0th and 4th days led to the observation of the tendency toward the decrease in AST, ALT, and LDH cont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unction of Ssangwhatang is partly reinforced under the fungus-fermentated Ssangwhatang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efficacy of Ssangwhatang's effect on the recovery from fatigues.

      • KCI우수등재

        칸트 철학에서 지성의 자유

        이재훈(Jaehoon Lee)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7

        이 연구에서 나는 칸트 철학에서 지성(Verstand)과 자유의 문제를 다룬다. 우선 나는 칸트에게서 지성의 자발성(die Spontaneität des Verstandes)은 몇몇 연구자들의 주장과 달리 상대적 자발성이 아니라 절대적 자발성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나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지성의 자발적 작용은 의지의 자유를 전제한다고 주장한다. 끝으로 나는 인식의 영역에서 지성의 자발성과 자유의지가 자유의 선험적 이념(die transzendentale Idee)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칸트 철학에서 자발성은 이성적 존재자로서의 인간을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인간의 행위가 자발적이라는 것은 인간의 행위의 근거가 인간 자신 안에 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성적 존재자로서의 인간의 행위는 자기 규정적 활동이며 인간은 자발적 능력으로 인해 자신의 행위에 책임이 있는 일종의 자기원인(causa sui)이 된다. 나는 이 같은 자발성의 이론이 칸트의 인식 주체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study, I deal with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and freedom in Kant’s philosophy. Firstly, contrary to several scholars, I argue that, according to Kant, the spontaneity of understanding is not relative but absolute spontaneity. Secondly, differently from the other studies on the spontaneity of understanding in Kant, I argue that the spontaneity of understanding includes in itself the freedom of will. Finally, I argue that, in the domain of empirical cognition, the spontaneity of understanding and the free will depend on the transcendental idea of freedom. In Kant’s philosophy, spontaneity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that determines the human being as rational being. That the action of the human being is spontaneous means that the ground of his action lies in himself. His action is self-determining and he becomes, by virtue of his spontaneous ability, a sort of causa sui being responsible for his action. I think that this theory of spontaneity is applicable to Kant’s subject of 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