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은진(Lee, Eunjin),최새은(Choi, Saee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뇌기반 교육원리를 적용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DDE(Analysis, Design, Development, Evaluation)의 절차에 따라 공감 및 뇌과학에 관련된 문헌 분석과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3종을 분석하여 중학생 대상 가정과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육에서의공감교육을 위한 뇌기반 교육원리는 ‘모방을 통한 이해’, ‘상상을 통한 추론’, ‘경험을 통한 상호작용’, ‘실천을 통한 내면화’라는네 가지로 도출된다.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공감은 가정과의 교과역량인 관계형성능력을 기르는요소로서 ‘자신’, ‘타인’, ‘공동체’에서의 관계 차원에서 공감 관련 내용요소들이 다루어졌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전문가 타당도평가를 분석한 결과 전체 항목의 타당도 평균이 4.88, 타당도 지수(CVI)는 0.98로 프로그램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 가정과교육에서는 뇌과학을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인데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을 ‘뇌과학’과 접목하여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by employing the brain-based education principl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ADD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to develope a Empathy Education Program for middle-school students. Analysis from previous literature derived that four principles of brain-based empath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1) understanding through imitation; 2) inference through imagination; 3) interaction through experience, and 4) internalization through practice. Based on these brain-based four principles and three components of empathy, a total of 15 lesson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for the educational program for middle-school students, “FEEL” (For Empathy Education & Learning).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were selected from the analysis of the 2015-revis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Results from expert evaluation of the validity and feasibility of the program showed that this program is highly valid with an average validity score of 4.88 and 0.98 for the validity index (“CVI”).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effectively employed in the middle school free-year policy system.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shedding light on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empathy education with home economics education by presenting newly presented elements of empathy and brain-based education principl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의 상위인지 양상 연구

        이은진(Lee, Eunjin),권연진(Kwon, Yeo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에 대한 상위 인지 양상을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읽기 전략의 상위인지에 대한 기초적, 실증적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 중순까지 한국어 학습자 172명을 대상으로 상위인지 인식 검사지 (MARSI)를 활용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SPSS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에 대한 상위인지 양상은 문제 해결 전략, 지원 전략, 총체적 전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수준에 따른 양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학습자 수준이 높을수록 읽기 전략에 대한 상위인지 인식이 높았다. 특히 초급에 비해 중, 고급 학습자의 상위인지가 두드러지게 높았다. 읽기 효능감에 따른 읽기 전략의 상위인지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효능감이 높을수록 읽기 전략에 대한 상위인지 양상이 높았다. 그러나 효능감이 낮은 집단과 보통인 집단 간의 양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에 대한 상위인지를 측정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었으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 전략과 관련된 기초적, 실증적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metacognition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with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Inventory (MARSI) and provid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in basic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order to meet the objectives, it were used the metacognition items of MARSI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spects of learners. As a result, the metacognition of reading by Korean learners was demonstrated in the following order: problem solving strategies, support strategies, and overall strategie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learners, which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rner’s level, the higher awarenes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cognitive view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learning wa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basic level. The higher the read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metacognitive awareness for reading strategies. However, for groups with low and not hig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few research has been done to measure the metacognitive aspects of learners and analyze the results statistically. Therefore, this study may help to compose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for learner oriented Korean reading strategies and based on the practical information by providing empirical data on the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for Korean learners.

      • KCI등재

        낙태죄의 의미 구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

        이은진(Lee, Eunjin)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2

        한국의 역사 속 ‘낙태죄’는 출산제고 혹은 출산억제라는 국가의 인구 정책적 목적에 따라서, 법조문의 제 · 개정, 실효적 집행 여부뿐 아니라, 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큰 폭으로 변천을 겪었다. 이에 이 글은 범죄의 사회구성주의적 입장에서, 역사사회학적 방법론과 포스트식민페미니즘(postcolonial feminism)의 이론적 시각을 결합하여 한국사회에서의 ‘낙태죄’를 규명하고자 시도했다. (1) 식민지기(1910~1945년); (2) 미군정기, 한국전쟁, 제1공화국(1945~1960년); (3) 개발독재기(1960~1970년대); (4) 탈권위주의 시기(1994년~ )로 시기를 구획하여 법제, 정책, 담론을 살펴본 결과, 한 시기의 법제, 정책, 담론이 다음 시기의 것으로 대체되기보다는 ‘지속’되고, 그 위에 새로운 것이 쌓여 ‘변형’ · ‘착종’됨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현행 낙태죄 법제는 (1) ~ (2) 시기 형법상 낙태죄, (3) 시기 「모자보건법」, (4) 시기 「의료법」, 「의료법시행령」, 「의료관계행정처분규칙」으로 이루어져, 통시적인 변화가 병렬적으로 드러나는 모습이다. 이는 ‘포스트(post)’의 중의적 의미를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현행 법제하 임신할 수 있는 몸의 소유자인 여성들의 경험은 과거의 시대적 모순들이 고스란히 집약된 것으로써 인식되고 청취되어야 하며, 표피의 법과 정책의 변화를 넘어 재생산을 바라보는 관점 자체의 전환이 요청된다. In conformity with the government’s needs of population control, ‘abortion’ has gone through many changes in Korean history, not only the legislation and its enforcement but also social perception towards it. This research thus tries a social construction approach to identify what abortion was and is in Korean society by combining historical sociological method with theoretical perspective of postcolonial feminism. Dividing periods into (1) colonial period(1910~1945); (2) the US military government, Korean War, the First Republic of Korea (1945~1960); (3) development-driven dictatorship period (1960~70s); (4) post-authoritarianism period(1994~ ) and focusing on law, policy, and discourses of each period, it turns out to be that law, policy, and discourses of one period is not replaced by those of the subsequent period. Rather it ‘sustained’ and ‘transformed’ or ‘combined’ with the newcomers. As a result, diachronic factors coexist in the current law; criminal law prohibiting abortion from period (1) ~ (2),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from period (3), and Medical treatment law, etc. from period (4). This structure of Korean legislations on abortion is the very example of the ambiguous meaning of the ‘post’. Therefore, the experiences of women whose bodies have potential of pregnancy should be listened to as voices indicating contradictions of the past times. It requires transition on the perspective toward reproduction itself in radical level, as well as changes in law and policy.

      • KCI등재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은진 ( Lee Eunjin ),남석인 ( Nam Seok 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2

        사회복지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과 높은 이직률 문제는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으나, 의료사회복지사의 이직 문제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의료사회복지사 중 현재 병원에서 근무 중인 188명의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가 직무만족을 거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경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 개선을 위한 대한 조직적, 제도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roblem of excessive job burdens and high turnover rates in the social welfare area has been dealt with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s on the issue of voluntary turnover of medical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demands on medical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the medical social workers registered in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188 respondents currently working in hospital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earch methods,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22.0 version and SPSS Macro Process v.2.16. Finally, bootstrap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follows: extrinsic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the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In other words, job demands of medical social workers affect turnover intentions through extrinsic job satisfaction, but there is no direct effect of the job demand on the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job demands affected to low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 한국 성폭력 관련 법에 담긴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젊은 층의 섹슈얼리티 비교 연구 -20대 대학생ㆍ대학원생의 성경험과 성인식을 중심으로

        이은진 ( Lee Eunjin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연구센터 2016 공익과 인권 Vol.16 No.-

        자유주의적인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법은 성폭력(섹슈얼리티 폭력)과 같이 남성과 여성의 경험이 대칭적이지 않은 경우, 즉 남성과 여성을 단순히 동일하게 대하기만 한다고 해결되지 않는 부분들에 대한 문제에 둔감한 모습을 보인다. 지속적인 여성주의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사건에 대한 남성 중심적인 판결들이 계속해서 내려지고 있다. 강간죄에 최협의 폭행ㆍ협박설을 적용하고 있으며, 성기 간 결합만을 강간죄로 규정하고, 친밀한 관계에서의 성폭력에 대해서는 무죄 혹은 낮은 양형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법적 판단을 정당화하는 ‘사회통념’이라는 기제에 주목하여, 사회통념이 누가 생각하는 사회통념이며 그 사회는 누구를 일반인으로 상정한 것인지를 질문하였다. 그에 따라 법이 바라보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현실을 살아가는 한국사회 젊은 층의 섹슈얼리티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분석을 시도했다. 성폭력 관련 법조문과 대표 판례를 통해 분석한 결과, 법은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1. 거절과 저항의 섹슈얼리티, 2. 신체중심적ㆍ성기중심적 순결 관념, 3. 최초동의를 통해 성행위 전반에 대한 동의를 표시’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심층면접을 통해 알아본 결과, 여성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발화 속 여성 섹슈얼리티는 1. 주체적이고 합리적이며, 2. 비성기중심적이고, 3. 관계적 섹슈얼리티의 모습을 보였다. 법의 가정은 남성 연구 참여자들의 눈을 통해 재현된 여성 섹슈얼리티-성폭력을 처벌하려면 저항이라는 명확한 판단 기준이 필요하며, 친밀한 관계에서의 여성의 의사표현은 불확실하다-에 더 가깝다는 측면에서 편향적이거나, 여성이든 남성이든 현실의 젊은 층의 성경험 및 성인식-비성기중심적-과 큰 간극을 보인다는 점에서 근거 없는 것이었다. 법의 남성중심성은 “사회통념”을 채택하는 과정에서의 편향성으로도 나타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법이 진정으로 객관적이고 중립적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지적한 현행 성폭력 관련 법의 세 가지 지점이 교정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기존 법의 관점에 누락되어 있는 여성의 입장(standpoint)을 재조명하고 포함시키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Law with its liberal frame has shown hesitant stance in the case of, for example, sexual violence in which women’s experience is not symmetrical of men’s, therefore treating them simply with the same standard can not be the solution. In spite of the repeated reforms and consistent criticism, androcentric decisions on sexual violence are still being made. Violence or threatening which are the structural elements of rape sin is defined in a very narrow sense, only the sexual intercourse of penis to vagina is considered as rape, and intimacy rape is often unpunished or weakly punished. This research focused on ‘socially accepted idea’ which justifies those legal reasoning process, and asked who decides what ‘socially accepted idea’ is and who is considered to compose the ‘society’. According to that question, this research tried dynamic comparison between women’s sexuality within Korean law and in the real world - interviewing you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Analysis of legal provision and leading cases on sexual violence shows that law assumed women’s sexuality in 3 features; ‘1. refusal and resistance, 2. cherishing purity defined in penis-centric manner, 3. expressing comprehensive agreement toward sex with her intimate partner by agreeing at the first time.’ Women’s sexuality in the real world, however, was ‘1. independent and active, 2. not focused on intercourse, and 3. relational.’ Law’s assumptions were closer to women’s sexuality represented through men’s eyes―that victim’s resistance is required to clarify the standard of punishment, and that women’s expression in intimate relationship is uncertain― or was groundless having no connection to both men’s and women’s experience and perspective―not focused on intercourse. To sum up, androcentricism of the legal system coherently worked when deciding what ‘socially accepted idea’ is. In order to progress toward strongly objective legal system, efforts should be made to unveil and include women’s standpoint which is different from men’s, as well as revising 3 points of current Korean sexual violence law criticized on this paper.

      • KCI등재

        광역자치단체 공공서비스의 효율성과 정책우선순위 분석

        이은진(Eunjin Lee),문상호(Sangho Moon)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7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7 No.1

          As an effort to develop a better tool for assessing local governments public services, a combinational method of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quantitative method)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We evaluated sequentially the relative efficiency of 16 local governments public services and policy priorities. Evidence from the DEA analysis revealed that only six local governments were efficient(37.5%) in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indicating that more than half of the local governments under study were relatively inefficient. The result of the AHP analysis, which surveyed about policy priorities among local policy specialists, showed that members of the local governments need to build policy capacity for improving local competitiveness following the sequential order in areas of social welfare, regional development, local environment and loc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