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기업의 선택적 복리후생이 종업원의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복리후생에 대한 소통의 조절효과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사철(Si-Zhe Li),이염남(Yan-Nan Li)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3년 동안 중국 기업들은 이직률이 높고 직무몰입이 낮은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기업들은 인재를 확보하고 직원들의 업무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느 시대보다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본 논문은 선택적 복리후생이 직원들의 직무몰입을 향상시켜서 이직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검토해보고, 복리후생에 대한 소통과 조직몰입의 중요성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베이징과 허베이성에 있는 25개의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고 총 336부의 유효 설문을 SPSS24.0과 Amos26.0 통계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선택적 복리후생은 조직몰입 및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은 선택적 복리후생과 이직의도 그리고 직무몰입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복리후생에 대한 소통은 선택적 복리후생과 조직몰입 간에 조절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선행연구에서도 선택적 복리후생의 중요성에 대해 많이 연구해왔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선택적 복리후생과 복리후생에 대한 소통의 중요성을 함께 검증하였고 복리후생 제도가 이직률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에도 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Due to the COVID-19 outbreak, Chinese companies appear to have had high turnover rates and low job transfers for the past three years. This thesis examines whether benefit flexibility can improve employee turnover and work engagement and explores the importance of benefits communication. For validation research purposes, We surveyed 25 companies, including Beijing and Shanghai, and 36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benefit flexi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ngagement and a negative (-)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Also, it was shown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 benefit flexibility, turnover intention, and job engagement. Benefit communication was shown to act 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benefit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urs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benefits flexibility in previous studies, but this study also verified the reputation of benefits flexibility and communication about benefit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it is constructive for immersion.

      • KCI등재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Chinese Graduate's Employment Stress

        Li, Sizhe,이염남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6 No.4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university graduates has increased steadily. Therefore, the competition for graduate jobs in various industries has been more and more fierce.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analyzing the impact of the epidemic on student employment. Prior to this outbreak, researchers had alrea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previous public crises like the SARS epidemic and the financial crisis on student employment. According to certain researchers, the epidemic has augmented employment conflicts in China and worsened the unemployment issue. Furthermore,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ransformation has brought about new challeng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employment. This technological revolution has led to a reduction in certain traditional professions while also creating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However, these opportunities often require distinct skills and knowledge. As a result, university students must continuously adapt to this rapidly changing job market, thereby increasing their employment pressur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in August 2023 on college students from various regions, with 302 valid questionnaires gathered to validate the research objectives. SPSS 24.0 statistical software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stress.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a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stress. Howev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loyment stres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mitigate the employment pressure faced by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it is advocated that societ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evant stakeholders intensify their efforts in providing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university students in the post-COVID-19 era. This, in effect, is anticipated to augment the internal stat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student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lleviation of employment-related stress.

      • KCI등재

        중국 IT기업의 포용적 리더십이 종업원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호(Hao Yuan),이염남(Yannan Li),정준의(Junyi Zheng)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2

        Covid-19는 디지털 세계화와 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시켰다. 특히 IT기업은 어느시기 보다 혁신에 대한 간절함이 더 커지고 있다. 이에 포용적 리더십은 하나의 “포용 및참여”를 강조하는 개념으로써 종업원의 혁신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고 신세대 종업원에게 적합한 리더십 유형 중 하나다. 현재 학계에서는 포용적 리더십과 그것이 종업원 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제로 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포용적 리더십과 종업원 혁신행동간의 내재적 작용 기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양자 사이의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및 간접적인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포용적 리더십이 오류관리분위기(EMC)와 자기효능감을 통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본연구는 조직의 오류관리분위기(EMC)와 종업원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다중매개 변수를 기초로 포용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대해 갖는 이중경로 작용기제의 이론개념 모델을 설계하였다. 중국의 IT 기업의 재직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2021년 4월에서 6 월까지 2개월간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한 후, SPSS 21.0과 AMOS 24.0 활용하여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포용적 리더십은혁신행동, 오류관리분위기(EMC) 및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오류관리분위기(EMC) 및 자기효능감 역시 포용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에 대해 매개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 시기불확실성을 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하고 도전해야 하는 기업 및 관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혁신에 있어서 실수의 용납 및 장려,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리더로서의 개방성, 효율성, 접근용이성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Covid-19 represents a challenge for digital globalization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conomies. In particular, IT companies are more desperate for innovation than ever before. Inclusive leadership is based on the concept of "fully inclusive and Participation" attracting attention as a leader capable of inducing innovative behavior. And it can adapt to the independent needs of new generation employees. Currently,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studies inclusive leadership and its direct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However,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internal mechanism of action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clusive leadership influence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Taking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as intermediary variables, the author constructs a theoretical, conceptual model of the dual-path mechanism of inclusive leadership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multiple mediating variables. The author conducts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on-the-job employees of Chinese Internet technology companies and adopts SPSS21.0 and AMOS 24.0 to carry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The result shows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Meanwhile,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also reflect the intermediary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CSR)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신뢰와 e-WOM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사사(Si-Si Chen),이염남(Yan-Nan Li)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브랜드 경쟁 시대에 기업은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도 및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브랜드 신뢰도 및 충성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현재의 Covid-19 유행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가속화 했으며 소비자가 기업의 온라인 평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만들었다.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 시장을 기반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터넷 입소문(e-WOM), 브랜드 신뢰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국과 한국에 있는 중국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69개의 유효 설문이 사용되었고 수집된 데이터는 SPSS21.0를 활용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브랜드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브랜드 신뢰와 인터넷 입소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브랜드 충성도의 사이에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낸다. In the era of brand economy, companies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o enhance consumers brand trust, thereby enhancing brand loyalty.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vid-19 epidemic has accelerated the pace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enterprises and has also made consum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online reputation of enterprises. Based on the Chinese consumer market, this paper studies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ternet word-of-mouth,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of electronic product companies. To verify the impa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brand loyalty through Internet word-of-mouth and brand trust, this paper issued a questionnaire survey to Chinese consumers. A total of 46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SPSS21.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SR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trust. (2) CSR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3) Brand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4) Brand trust and e-WOM play an intermediary role in CSR and brand loyalty.

      • KCI등재

        The Impact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Learning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

        왕정정 ( Wang Ting-ting ),이염남 ( Li Yan-na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학습 몰입의 매개 역할이라는 점에 집중하였다. 연구방법은 중국과 한국의 312명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포함하며,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학습 성과와 학습 참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학습 참여도 학습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 참여가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학습 성과에 대한 영향을 매개한다는 결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교육 과정의 이러한 중요한 요소를 연결함으로써, 본 연구는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교육자가 교육과 학습의 질 효과를 향상시키려는 데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자 참여와 참여 유도에 대한 교육자에게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며, 교육 정책 결정자에게는 교육 환경을 개선하여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품질 향상과 학생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learning performance,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engagement.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a survey of 312 students from both China and Korea, and to verify the research objectiv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at teacher-student interaction positively influences both learning performance and learning engagement, while learning engagemen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 Furthermore, the study validates that learning engagement mediates the effect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learning performance. Additionally, this research offers essential guidance for educators looking to foster student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nd it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 policymakers on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by promot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education quality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인사공정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관(Kim, Jong Kwan),윤준섭(Yun, Jun Seop),이염남(Li, Yanna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1

        최근 불확실성이 증대된 지금의 시대에서는 새로운 제품, 새로운 시장을 열어가는 핵심인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조직은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아내고 조직을 변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이런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의 혁신적 행동과 종업원들의 조직을 위한 헌신적인 시민행동을 필요로 한다. 종업원의 혁신행동과 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조직신뢰와 최고경영자에 대한 신뢰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종업원들의 모티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종업원 인사에 대한 공정성의 지각인 인사공정성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변화의 주체인 종업원이 인사상의 공정성을 지각하여 개인의 성과변수인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을 행함에 있어 조직과 최고경영자 신뢰가 매개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 경남, 울산 소재의 주요 업체 종업원을 대상으로 28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인사공정성이 높을수록 신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종업원들의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사공정성과 혁신행동,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최고경영자와 조직의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기업은 종업원들이 공정하게 지각할 수 있는 인사시스템을 구축하고, 최고경영자와 조직에 대한 신뢰를 지각하게끔 하여 종업원의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Today, many organizations need find some ways to survive in terrible economic situation. As we know many employees are interested in the personnel management justice. so personnel management justice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human motivation within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ersonnel management justice affects employee behaviors. and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trust between personnel management justice and employee's behaviors. If examine research model according to discussion, is as following.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s: First, personnel management justice(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has positive (+) effect on trust. Third, trust has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Fourth, trust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nel management justice and employe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