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가 정신지체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성옥)

        이성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5 No.2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rt-therapy on a child's improvement of attention/concentration, who is mentally retar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urpose to see how significantly art therapy can improve the child's problem. Second, it also wants to see whether art therapy can prolong the child's duration of attention and concentration. Before the start the study, First, we arranged change process by observing and recording each child's behavioral characters on each session. Second, we perform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s as a pre-and post-test. Third, we recorded the duration time of attention-concentration on each sessions. Study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cesse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ing: First, to assess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improvement in attention/concentration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a child's behavior was observed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each stage of art activities, showing improvement in attention/concentration and reduction in hyperactivity. Second, results of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before/after test of Conner's rating scale which was assessed by patients and teachers showed that post-test was higher in score compared with pre-test; we can tell that art therapy influences changes in attention deficit behaviors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Third, art therapy improved the duration time of attention/concentration in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The duration time of attention/concentration in a child involved in this research was prolonged with art therapy program. From the results, we think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an also improved their attention/concentration by developing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art therapy program in consideration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by applying these to them.

      • KCI등재

        유아의 가상놀이 상대의 연령 구성에 따른 조정행동

        이성옥,이순형 한국인간발달학회 1998 人間發達硏究 Vol.5 No.2

        유아 놀이방의 연령 구성에 따른 사회적 가상놀이 조정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일제 보육시설의 혼합연령 반에 속한 만 4세 및 만 5세 유아 36명을 대상으로 단일연령, 혼합연령의 방을 구성한 후 놀이 실험을 한 결과, 유아의 조정행동은 놀이방의 연령 구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4세 놀이 쌍은 4-5세 놀이 쌍에 비해 조정행동이 빈번했으나, 수준 높은 조정행동은 차이가 없었다. 즉, 4세 동갑내기끼리 놀이행동(조정행동)을 더 많이 보였으나, 조정행동 중에서, 놀이를 확장시키지 못하고 상대의 의견을 고치는 수정행동, 상대와의 이견을 해소하려는 회유행동, 자신을 반복하여 표현하는 강조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5-5세 놀이 쌍은 4-5세 놀이 쌍에 비해 조정행동이 빈번하지는 않았으나, 수준 높은 조정을 나타냈다. 즉, 5세 동갑내기가 4-5세 혼합 방에 비해 확대-확대 연속과 확대-강화의 연속을 더 많이 보였다. 또한, 4세 유아는 놀이 상대의 연령에 따라 조정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5세 유아는 그렇지 않았다. 4세 유아는 놀이 상대가 5세일 때보다 같은 4세일 때 강화, 수정, 회유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 초등학교 5,6학년 음악교과서 생활화 영역 분석 연구

        이성옥,김서경 한국음악응용학회 2011 음악응용연구 Vol.4 No.-

        본고는 5-6학년 교과서에 반영된 생활화 영역 파악을 위해 2007년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범주화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결과 및 그 시사점을 언급하였다. 각 교과서별 단원 구성 체제는 주제중심과 악곡 중심, 그리고 생활화 중심단원과 생활화와의 통합단원의 양상 속에서 생활화 요소는 평균 17.63번 제시되었고, 그 중 '음악을 즐기는 태도 갖기'의 횟수가 가장 많았고,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가 가장 적었다. '학교 내외에서 발표 및 참여하기'와 '생활 속에서 음악활용하기'는 음악 문화 향유의 장을 제공하는 기회를 하는 긍정적 작용을 하는 요소이다. 생활화 각 요소들의 구분이 모호한 것은 정의적 영역에 기인한 것이지만 이를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하려면 교육과정 상의 그 구분을 명확히 해야 하며, 각 요소들 간의 균형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각 교과서들에 제시된 생활화 중심 활동 대부분이 비슷한 방식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대안으로 교육과정 상의 지침을 효과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학생의 흥미와 수업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활동의 전개 및 음악적 요소에 근거한 사항만을 가르치는 것, 악곡 중심내용만으로 조직하는 획일성의 탈피가 용이해 질 것이다.

      • 코로나-19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교수법을 통한 프로그래밍 지도 사례

        이성옥,양승의,정회경,Lee, Sungock,Yang, SeungEui,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프로그래밍 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한 교수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1학년 신입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시 전에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판단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담을 진행하여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기본 문법과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분절하는 강의를 구성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반복학습을 유도하였으며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을 미리 부여하여 피드백을 주었다. 23명(전체 학생 40명)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였고, 17명은 시험은 응시하였으나 프로젝트는 미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공대 실기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하면서 수업설계와 실행, 상호작용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urriculum operation of a professor who operated a programming subject as a PBL(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n untact situation due to COVID-19. A survey was conducted for first-year freshmen students to determine their learning condition before projec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for education, and then, basic grammar for project completion and lectures that segmenting each stage of the project were composed. Repeated learning was induced through weekly quizzes, and feedback was given by giving time in advance until the project deadline. 23 students (40 students in total) completed the project. The remaining 17 students took the exam but did not complete th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whether a project can be carried out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and interaction while operating a programming subject through PBL in the COVID-19 environment.

      •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동선체계에 관한 연구 :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수용기능을 중심으로

        이성옥,이해욱,김낙춘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계획계)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circulation problems in these high-rise mixed-use projects and to provide a set of guidelines for the solution in planning. The 14 sample projects with more than 31 stories, which are being built as of the year 2000 were selected for the plan investigation. The arrangement of building clusters was identified into six types (plaza, zigzag, enclosed, parallel, radiant, and single types) and the plaza was the most popular type of building arrangement since it is easy to obtain high-quality central outdoor open space with a good view. The High-Rise Mixed-Use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bundled complex type and single g high-rise type,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 capacity. 13 out of 14 cases turned out to be the bundled complex type and the buildings were linked with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artificial decks, bridges, sunken open space and etc.

      • KCI등재

        코로나-19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교수법을 통한 프로그래밍 지도 사례

        이성옥,양승의,정회경,Lee, Sungock,Yang, SeungEui,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프로그래밍 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한 교수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1학년 신입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시 전에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판단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담을 진행하여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기본 문법과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분절하는 강의를 구성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반복학습을 유도하였으며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을 미리 부여하여 피드백을 주었다. 23명(전체 학생 40명)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였고, 17명은 시험은 응시하였으나 프로젝트는 미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공대 실기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하면서 수업설계와 실행, 상호작용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a case study on the curriculum operation of a professor who operated a programming subject as a PBL(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n untact situation due to COVID-19. A survey was conducted for first-year freshmen students to determine their learning condition before projec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for education, and then, basic grammar for project completion and lectures that segmenting each stage of the project were composed. Repeated learning was induced through weekly quizzes, and feedback was given by giving time in advance until the project deadline. 23 students (40 students in total) completed the project. The remaining 17 students took the exam but did not complete the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whether a project can be carried out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execution, and interaction while operating a programming subject through PBL in the COVID-19 environment.

      • KCI등재

        Libpcap를 이용한 Cacti기반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

        이성옥,주강,정회경,Lee, Sung-Ock,Jiang, Zhu,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8

        네트워크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서 네트워크 환경이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이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자원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모니터링 툴은 Cacti이다. Cacti는 RRDTool(Round Robin Database to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툴 이고, Libpcap는 네트워크 카드에서 패킷 캡쳐를 용이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본 논문에서는 Cacti와 Libpcap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시간으로 대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알림 이메일을 받을 수 있다. 본 시스템은 Libpcap으로 포착한 네트워크 트래픽 패킷을 분석하고 그래프 형식으로 Cacti에서 표현되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는 높은 효율성을 가지며 관리가 간편하고 정확성을 가지므로, 향후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For network is growing at a rapid rate, network environment is more complex. The technology of using network traffic to monitor our network in real-time is developed. Cacti is a representative monitoring tool which based on RRDTool(Round Robin Database to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In this paper, it show you how to develop a system which based on Cacti and Libpcap to monitor our monitored objects. At this system, using Libpcap to capture network traffic packets, analyze these packets and then turn out in Cacti in graphical form. So as to achieve monitoring system. This system's execution is efficient and the management is easy and the results are accurate, so it can be widely utilized in the future.

      • KCI등재

        장수명 주택의 활성화를 위한 가동칸막이벽체 개발현황 연구

        이성옥,김수암,Lee, Sung-Ok,Kim, Soo-Am 한국주거학회 201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easibility of movable partition wall components that are able to correspond changes of structure system and spatial configuration by the needs of residents for the activation of long-life housing. The key element of various movable partition wall components, a movable partition wall, was analyzed for problems through both as-is analysis and field installation in Korea and Japan, and then its feasibility was verified. The movable partition wall can break the uniformity of a fixed one, can integrate and separate limited space by changes in the demands of residents, can be easy to separate, and can be independent. The development of the movable partition wall is important for the realization of diverse residential space, ease of remodeling, environment adaptation, promotion of modularization, etc. It is comprised of surfacing materials, core materials, structural materials, and movable parts. The domestic movable partition wall was verified regarding the feasibility of an apartment house through on-site inspections and sound insulation tests by KOHP21, KICT. In conclusion, the construction of long-life housing that has sustainable values in the use of housing is nationally an important assignment, so as to secure good housing stock.

      • KCI등재

        프로젝트법을 활용하는 프로그래밍분야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내러티브 연구

        이성옥,정회경,Lee, Sungock,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논문은 그 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내러티브 인터뷰 방식을 활용하여 프로젝트법으로 강의하는 교사가 어떠한 직업정체성을 가지는지 연구했다. 연구 참여자인 S교사는 대학에서 시간 강사로 시작하여 지난 20 여 년간 프로그램을 강의해왔다. 연구결과로 프로젝트법으로 강의하는 프로그래밍 교사의 직업정체성은 여섯 가지가 발견되었다. S교사는 프로젝트법을 통하여 강의할 때 학생들이 실업자에서 전문 직업인이 되는 행동 변화를 경험하며 교사로서 자긍심과 뿌듯함을 느꼈다. 프로젝트법은 S교사를 전문가로 이끌도록 지속적인 자기계발의 동기로 작용하였다. 긍정적 교사로서의 강화 경험이 그로 하여금 정년퇴직의 시기가 지났어도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이 삶을 유지하며 교사로서 살아내고 싶다는 소망을 갖게 하였다. 업무강도가 다른 직업에 비하여 녹록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S교사에게 보이는 것은 '번아웃', 소진이 아닌 생동감, 자신감, 만족감이다. 본 논문은 프로젝트법을 교수법으로 채택한 프로그래밍분야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occupational identity by examining the narrative of the life of a TVET teacher using the project method in programming fields. Teacher S, a participant in the study, started as a part-time lecturer at university and has been teaching programs fo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six kinds of occupational identities of a programming teacher who teach by project method were found. S experienced pride and pride as a teacher through the project method. The project method served as a motive for continuous self-development to lead S to an expert. His experience as a positive teacher made him wish to maintain this life and live as a teacher as long as his health permits, even after retir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structure of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a TVET teacher using the project method in programming field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