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장직장암에서 임상조직학적 소견과 DNA ploidy와의 상관관계

        이석호,김헌정,김우철,조영갑,노준규,우제홍,황태숙,Lee Suk Ho,Kim Hun Jung,Kim Woo Chul,Cho Young Kap,Loh John J K,Woo Ze Hong,Hwamg Tae So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적 : 여러 종양에 있어 DNA ploidy 양상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에 있어서의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직장 5상 결장암에 있어서 치료 실패율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대장 직장암으로 진단 후,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Medley method에 따라 파라핀에 고정 후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DNA ploldy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들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중 Duke 병기 B, C 직장 5상 결장암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실패 양상과 DNA ploidy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과 : 종양분석 결과 40예(34.2%)에서 aneupioldy histogram을 얻을 수 있었다. DNA aneuploidy와 나이, 성별, 침범 깊이, 위치 그리고 Dukes' 병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Dukes 병기 B 직장암에 있어서는 치료 실패율과 DNA ploidy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8). 결론 : 대장 직장암에서 DNA ploi텀는 다른 임상조직학적 소견들과 관련이 없었고 직장 5상 결장암 병기 B에서는 치료 실패율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DNA ploidy pattern was shown to correlate with several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several tumor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colorectal cancer and the failure pattern in rectosigmoid cancer with DNA ploidy. Materials and Methods DNA flow cytometry using the Hedley methods on paraffin embedded specimen from 117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fter curative resection was peformed. W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various clinicohistologic findings. And then the correlation DNA ploidy and the failure pattern in 75 patients of rectosigmoid cancer was analized. Results : Forty samples (34.2%) from tumors gave aneuploidy hist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NA aneuploidy in terms of age, sex, depth of invasion, location and Dukes st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the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cancer (P=0.048).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NA ploidy pattern shows th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but not with many other clinicohistologic findings. However,more patients will be needed to disclose these findings.

      • 3차원 공간질의를 위한 효율적인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의 검증

        이석호,이지영,Lee, Seok-Ho,Lee, Ji-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최근 들어 건축과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대규모의 복잡한 3차윈 공간이 증가하고 있고, 사람들 또한 이러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복잡한 3차원 공간 내에서 유사시를 대비한 또는 편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위상학적 관계성 파악이 기본적으로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공간의 관계성 파악은 위상학적 관계를 저장하고 표현하는 각각의 데이터 모델에 따라 그 방법과 효율성이 달라진다. 위상학적 관계성 저장과 표현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던 데이터 모델은 B-rep 기반의 데이터 모델이고, 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는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저장 용량 및 공간질의에 대하여 두 데이터 모델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효율성은 데이터의 저장용량, 인접성 및 연결성 질의 응답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수행한다. 효율성 검증의 결과로써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이 3차원 공간질의에 있어서 B-rep 기반 데이터 모델 보다 효율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In recent years, large and complex three-dimensional building has been constructed by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and advanced IT skills, and people have lived there and spent a considerable time so far. Accordingly. in this sophisticatcd three-dimensional space, emergencies services or convenient information services have been in demand. In order to provide these services efficiently, understanding of topological relationships among the complex space should be supported naturally. Not on1y each method of understanding the topological relationships but also its efficiency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topological data models. B-rep based data model is the most widely used for storaging and representing of topological relationships. And from early 2000s, many researches on a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on spatial queries. As a result, Network-based topological data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B-rep based data model for determining the spatial relationship.

      • KCI등재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RDO내 DCT 공유구조의 HEVC 화면내 예측부호화기

        이석호,장준영,변경진,엄낙웅,Lee, Sukho,Jang, Juneyoung,Byun, Kyungjun,Eum, Nakwoong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4 스마트미디어저널 Vol.3 No.4

        HEVC 차세대 비디오 압축 표준은 ITU-TSG16 WP와 ISO/IEC JTC1/SC29, WG 11 두 단체 공동으로 2013년 표준화가 완료되었으며 기존 H.264 하이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압축효율은 두배 정도이다. HEVC에서 화면내 예측 (intra prediction) 모드는 planar와 DC 모드를 포함한 35개의 방향성 모드가 있으나 모든 모드를 적용한 부호화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복잡도가 증가하며 각 코딩유닛(coding unit) 사이즈에 따라 정확한 모드예측을 위한 RDO (rate distortion optimization) 계산에 필요한 DCT 사이즈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사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양자화를 위한 DCT와 SSE 계산을 위한 RDO 블럭내 DCT를 공유하는 화면내 예측부호기를 제안한다. 성능은 HEVC 참조소프트웨어인 HM-13.0과 비교하여 BD-rate는 평균 20% 증가하며 부호화시간은 4배 이상 단축되어 300MHz에서 FHD ($1920{\times}1080p$) 영상의 초당 60 프레임 실시간 부호화가 가능하다. HEVC is the latest joint video coding standard with ITU-T SG16 WP and ISO/IEC JTC1/SC29/WG11. Its coding efficiency is about two times compared to H.264 high profile. Intra prediction has 35 directional modes including dc and planer. However an accurate mode decision on lots of modes with SSE is too costly to implement it with hardware. The key idea of this paper is a DCT shared architecture to reduce the complexity of HEVC intra encoder. It is to use same DCT block to quantize as well as to calculate SSE in RDO. The proposed intra encoder uses two step mode decision to lighten complexity with simplified RDO blocks and shares the transform resources. Its BD-rate increase is negligible at 20% on hardware aspect and the operating clock frequency is 300MHz@60fps on FHD ($1920{\times}1080$) image.

      • SCIESCOPUSKCI등재

        Analyses of SGTR Accident With Mihama Unit Experience

        이석호,김갑,김효정,은영수,Lee, S.H.,Kim, K.,Kim, H.J.,Eun, Y.S. Korean Nuclear Society 1994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26 No.1

        1991년 2월 미하마원전에서 발생한 증기발생기 세관 파열사고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 사고에 대한 고리 1호기의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고리 1호기의 계통설계 및 운전조건은 미하마 2호기와 아주 유사하기 때문에 고리 1호기에서 발생한 가상의 증기발생기 세관 파열사고시의 사고경위 및 전개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였다. 해석은 고리 1호기 EOP를 근거로 현실적으로 가능하게 수행되었다. 해석결과, 파열된 세관을 통한 누출은 사고후 약 40분 후에 정지되었으며, 고리 1호기는 유사한 증기발생기 세관 파열사고의 경우 충분한 대처능력이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SI 신호작동후 소외전원으로 부터의 비안전등급 AC전원으로 단절되는 설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EOP의 운전절차가 운전원의 적절한 판단을 요구하기에는 다소 충분치 못함을 보였다. 또한 미하마 원전의 사고를 실험적으로 모사한 LSTF의 실험결과를 이용 해석코드인 RELAP5/MOD3의 평가능력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코드는 사고 초기의 누설량 예측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였다. A SGTR accident postulated at Kori unit 1 is simulated with Mihama unit experience, which occurred on February 1991,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plant to cope with the transient. The system design and plant conditions of Kori Unit 1 are much similar with those of Mihama Unit 2. Therefore, special concern has been given to evaluate the sequence and the resulting consequence of the postulated SGTR accident at the Kori unit 1 An analysis is peformed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with following the EOP of Kori unit 1.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eak through tube break terminates within about forty minutes, and the Kori unit 1 may be sufficient to cope with SGTR accident with same type of sequence. However, the reconsideration may be required for the design of Kori unit 1 which disconnects non-safety AC power from off-site power on SI signal generation. It may be pointed out that the content of EOP for SGTR accident is not enough to require operator's proper judgements. An analysis of SGTR accident tested in the LSTF which simulated the SGTR accident at the Mihama Unit 2 is peformed using the RELAP5/MOD3.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code yields in general good agreement with the test, except the break flowrate at the early stage of the event.

      • SCIESCOPUSKCI등재

        Prediction of Reactor Coolant Pump Performance Under Two-Phase Flow Conditions

        이석호,방영석,김효정,Lee, S.,Bang, Y.S.,Kim, H.J. Korean Nuclear Society 1994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26 No.2

        이상유동시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성능을 펌프의 기하학적 형상 및 단상 유동시의 펌프 성능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단상 유동시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벽면 마찰손실은 Truckenbrodt의 경계층 이론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계산된 벽면 마찰 손실 및 분리 손실을 사용하여 이상유동시의 수두손실을 예측하였다. 해석결과는 Combustion Engineering 사의 펌프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또한 냉각재 상실사고시 이상유동배수가 첨두 피복재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RELAP5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이상유동배수의 정확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performance of reactor coolant pump in two-phase flow is examined using the pump geometric conditions and the performance of the pump in single-phase flow. Wall friction loss of the reactor coolant pump in single-phase flow is prdicted using the Truckenbrodt boundary layer theory, and the head loss in two-phase flow is predicted with calculated well friction loss and separation loss coeffici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Combustion Engineering pump test data. The effect of two-phase multiplier on the peak clad temperature in Loss-of-Coolant Accident is also examined using the RELAP5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its accuracy.

      • 3차원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이석호,박세호,이지영,Lee, Seok-Ho,Park, Se-Ho,Lee, Ji-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5

        근린 공간(Spatial Neighborhoods)이란 특정 공간과 상호 관계성을 가지는 주위의 공간들이다. 공간 관계성이 있는 근린 지역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는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능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공간 관계성을 갖는 근린 공간을 찾는 연구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접성에 기반을 둔 근린 지역을 찾는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인접성을 표현하는 위상학적 데이터를 다양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 중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구축하고, 이에 Dijkstra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하여 인접성 기반의 근린 공간을 찾는 방법이다. 이를 토대로 특정 공간으로부터 인접성에 관한 순차 분석 (Order Analysis) 결과를 가시화 하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에서 인접성에 관한 특정 공간객체를 찾기 위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3D Spatial Query) 연산자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목표는 효율적인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를 위해 1)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인접성을 표현한 3차원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2)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접성 기반 근린 공간을 찾는 3차원 공간질의 연산자를 구현하는 것이다. Spatial neighborhoods are spaces which are relate to target space. A 3D spatial query which is a function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is a significant function in spatial analysis.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in related the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an adjacent based methodology.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mplements topological data for represent a adjacency via using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then apply modifiable Dijkstra's algorithm to each topological data. Results of ordering analysis about an adjacent space from a target space were visualized and considered ways to take advantage of. Object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a target space with a adjacent relationship in 3D space. And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1)generate adjacency based 3D network data via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and to 2)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by applying Dijkstra's algorithms to these data.

      • KCI등재

        CCTV 개인영상 정보보호를 위한 오프라인 객체추적

        이석호,Lee, Suk-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2

        최근 CCTV의 영상정보 공개시 타인의 영상에 대해서는 모자이크 처리하여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개인정보 보호법이 발표되었다. 반면에 CCTV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범죄 수사는 점차 더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상반된 2가지의 요구사항에 의해 촬영된 CCTV 동영상을 수사기관 등의 기관에서 요청할 경우 개인정보(개인 얼굴 이미지 등)을 마스킹(Masking)해 배포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차단하는 마스킹/ 언마스킹 솔루션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보주체가 정보열람 의뢰기관에 정보를 요구하기 전에 객체에 대한 선별 마스킹을 하기 위한 정보보호 솔루션에 있어서 가장 핵심되는 기술은 객체에 대한 추적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CCTV영상에 대한 후처리로써의 정보보호 솔루션에 적합한 객체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안정적인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움직임정보와 색상정보를 함께 사용하였다. 그러면서도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 컬러 중심점 이동(Color Centroid Shifting) 기반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적의 속도 성능을 높였다. Nowadays, a private protection act has come into effect which demand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CTV. According to this act, the object out of interest has to be mosaicked such that it can not be identified before the image is sent to the investigation office. Meanwhile, the demand for digital videos obtained by CCTV is also increasing for digital forensic. Therefore, due to the two conflicting demands, the demand for a solution which can automatically mask an object in the CCTV video is increasing and related IT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The core technology in developing a target masking solution is the object tracking techniqu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bject tracking technique which suits for the application of CCTV video object masking as a postprocess. The proposed method simultaneously uses the motion and the color information to produce a stable tracking result. Furthermore,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centroid shifting method, which is a fast color based tracking method, and thus the overall tracking becomes fast.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Medial and Lateral Spinoreticular Tract Cells in Cats

        이석호,전제열,박춘옥,구용숙,김전,성호경,Lee, Suk-Ho,Jun, Jae-Yeol,Park, Choon-Ok,Goo, Yong-Sook,Kim, Jun,Sung, Ho-Kyung The Korean Physiological Society 1990 대한생리학회지 Vol.24 No.1

        Vasomotor area로 알려져 있던 외측연수망상체는 최근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로 불리 면서 sympathoexcitatory neuron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연수내 부위로서, 체성교감신경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 부위로의 입력정보가 그동안 많은 연구가 되어온 내측 척수망상로 세포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1) Medial SRT 세포는 34 cell중 약 60%가 동측으로 향하였으나, lateral SRT cell의 경우 47 cell의 약 60%가 반대측으로 향하였다. 2) 각 군의 세포를 말초자극에 대한 반응성에 따라, LT cell, Deep cell, HT cell및 WDR cell로 나누었으며 유해자극을 전달하는 세포를 HT와 WDR cell이라 하고, 무해자극을 전달하는 세포와 유해자극을 전달하는 세포의 비율로 볼 때, 다른 부위에 비하여 rostral VLM에 유해자극정보가 비교적 많이 전달됨을 볼 수 있었다. 3) 평균 전도 속도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Deep cell은 HT cell보다 유의하게 빠른 전도속도를 보였다. 4) Medial SRT 세포는 척수 회백질 내에서 Rexed laminae VII및 VIII에 주로 분포하며, LRN projecting SRT cell의 경우엔 전 lamina에 걸쳐 고루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내측 및 외측 망상체간의 말초 입력 정보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연수 망상체의 세 부위중 특히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로 많은 동통정보가 입력되고 있어 RVLM의 기능중 하나인 체성교감반사의 통합과 연관된 역할을 하리라 기대된다. Antidromically activated spinoreticular tract (SRT) cell units in the lumbosacral enlargement of ${\alpha}-chloralose$ anesthetized cats were classified as medial and lateral SRT unit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ir axonal termination. Identified SRT units were tested fer antidromic conduction velocity, laterality of their axonal projection, the location in spinal gray, peripheral receptive field, the response pattern to graded mechanichal stimulation and the responsiveness to $A{\delta}$ and C volley of the peripheral nerve. 1) The 59% of 34 medial SRT units were recorded in ipsilateral side to the antidromic stimulation site, but 60% of the 47 lateral SRT units projected to contralateral side. 2) Most of the medial SRT cells and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RVLM)-projecting lateral SRT cells were recorded in lamina VII & VIII. The LRN (lateral reticular nucleus)-projecting SRT cells, however, distributed through all the laminae except superficial ones (I & II). 3) The identified SRT units were classified as low theshold (LT), deep, high threshold (HT), wide dynamic range (WDR) cells, based on the response patterns to graded mechanical stimuli. The proportion of SRT units which receive noxious input was 37.5%, 25% and 75% in the medial, LRN-projecting and RVLM SRT group, respectively.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conduction velocities between the 3 groups. But the deep cells had significantly higher velocity than that of the HT cell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peripheral inputs to the SRT units are different in the 3 groups: medial, LRN & RVLM SRT group. Especially in case of the SRT cells projecting to RVLM which is a probable candidate fur the integration center of various pressor reflexes such as somatosympathetic reflex, the noxious informations occupy higher proportion of input to them than in other groups. Therefore the noxious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lateral SRT destined for RVLM is expected to play a role in somatosymapthetic reflex.

      • 3차원 이방성확산 방정식을 이용한 동영상의 영상잡음제거

        이석호,최은철,강문기,Lee, Seok-Ho,Choe, Eun-Cheol,Gang, Mun-Gi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39 No.2

        Nowadays there is a trend to apply the diffusion equation to image Processing. The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is highly favoured as a noise removal algorithm because it can remove noise while enhancing edges. However if the two dimensional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is applied to the noise removal of video sequences, flickering artifact due to the luminance difference between frames and ghost artifact due to the interfiltering between frames occur. In this paper the two dimensional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is extended to the sequence axis. The Proposed three dimensional anisotropic diffusion equation removes noise more efficiently than the two dimensional equation, and furthermore removes the flickering and ghost artifact as well. 최근에 확산방정식을 영상처리에 응용하는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특히 이방성확산 방정식은 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면서도 경계선을 강화시키는 성질로 인하여 영상잡음제거의 알고리즘으로 각광을 받고있다. 그러나 2차원 이방성확산방정식을 그대로 동영상의 영상잡음제거에 적용할 경우, 각 프레임간의 밝기 차로 인한 깜빡임 현상(flickering artifact)과 프레임간 필터링으로 인한 고스트 현상(ghost artifact)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이방성확산방정식을 시퀀스 축으로 확장시킨 3차원 이방성확산방정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3차원 이방성확산방정식은 2차원 이방성확산방정식보다 더 효율적으로 영상잡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깜빡임 현상과 고스트 현상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