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동인구 밀집지역 인근의 도로구간별 배출량 산정 및 보행자 노출 강도 평가

        이상은,신명환,이석주,홍다희,장동익,길지훈,정택호,이태우,홍유덕,Lee, Sangeun,Shin, Myunghwan,Lee, Seokjoo,Hong, Dahee,Jang, Dongik,Keel, Jihoon,Jung, Taekho,Lee, Taewoo,Hong, Youdeog 한국액체미립화학회 2018 한국액체미립화학회지 Vol.23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evel of exposure of traffic-related air pollutants (TRAPs) on the pedestrians in Seoul area. The road network's link-based pollutant emission was calculated by using a set of mobile source emission factor package and associated activity information. The popul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number of pedestrian, was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k-based traffic emissions in order to quantify exposure level by selected 23 spots. We proposed the Exposure Intensity, which is defined by the amount of traffic emission and the population, to quantify the probability of exposure of pedestrian. Link-based traffic NOx and PM emissions vary by up to four tim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each spot. The Hot-spots is estimated to be around 1.8 times higher Exposure Intensity than the average of the 23 selected spots. The information of Exposure Intensity of each spot allows us to develop localized policies for air quality and health. Even in the same area, the Exposure Intensity over time also shows a large fluctuation, which gives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site-specific counter-measures.

      • KCI등재후보

        노동과 인간의 미래 ―인간의미의 원천으로서 노동의 미래에 대한 신학적 전망

        이상은 ( Lee¸ Sangeu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0 神學과 宣敎 Vol.59 No.-

        본문은 기술혁명시대에 제기되고 있는 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모색하고자 하고 있다. 본문은 첫째, ‘일’로부터의 방면이 본질적으로 목표가 될 수 있는 주제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둘째, ‘일’이 인간의 본질적 부분을 구성하는 주제이며, 변화된 환경 속에서도 이러한 주제에 대한 고찰이 주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다. 셋째, 미래시대를 위해 바람직한 기독교 노동관을 구성하기 위한 단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기 위해 본문은 특히 몰트만(J. Moltmann)과 볼프(M. Volf)가 전개했던 노동에 대한 단상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적 대화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본문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노동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노동을 인간의 형벌로 보는 부정적 관점과 인간의 자기실현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노동을 관찰하는 긍정적 관점 사이의 양가감정 사이에서 기독교적 노동관에 대해 고찰하고 있으며, 몰트만의 관점과 함께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문은 또한 인간의 미래를 위해 노동개념 자체에 대한 고찰 속에 성서적, 신학적 노동관을 수립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를 반영하는 것으로서의 노동, 산출과 안식을 포괄하는 관계적 개념으로서의 노동, 그리고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으로서의 노동을 구현하면서 인간의 미래를 위한 노동개념을 구사해나가고자 하고 있다. 본래의 창조적 기쁨을 누리는 인간으로서의 호모 루덴스를 지향하는 노동개념을 생각하고자 하고 있으며, 인간상호간의 결핍과 보완을 통한 통전적 장을 지향하고자 하고 있다. This tex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work and human being itself in the era of technological revolution. It raises at first a question whether it is proper to seek emancipation from the work, especially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Second, it expresses the position that ‘work’ constitutes the essential part of human being and th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is subject, even in the changed environment. Third, it tries to provide a thought for constructing the concept for the Christian ethics of labour for the future age. In order to deal with this subject, this study is centering on the theological work of J. Moltmann and M. Volf. Based on i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ristian ethics could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labour, between the negative viewpoint of labor as a punishment for human being and the positive viewpoint of observing labor on the level of human self-achievement. Simultaneously, this text is also attempting to establish a biblical and theological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labor itself for the future of mankind. It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labour is to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God’s creation, and labour as a community-oriented performance. Furthermore, it considers the concept of homo ludens whether it could reflect on the concept of labour as creative joy and complement of human mutuality in the field of labour.

      • KCI등재

        과잉치 치수 세포와 치주인대 세포의 유전자 발현 비교

        이상은,김종빈,김종수,Lee, Sangeun,Kim, Jongbin,Kim, Jongsoo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하여 발거된 과잉치 치수 및 치주인대 줄기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신병력이 없는 만 6세 남아 2명의 상악 전치부에 매복된 과잉치를 발거하였다. 같은 날 치수 및 치주인대 세포를 채취하였고, 3계대까지 계대배양하였다. 분석을 위해 상아질모세포 특이 유전자인 Alkaline phosphatase (ALP), Dentin Matrix Protein 1 (DMP-1),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Osteocalcin (OCN) 그리고 Osteonectin (ONT)을 사용했고,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과잉치 치수 세포에서는 ONT, OCN, ALP, DMP-1, DSPP 순서로 발현량이 많았고, 치주인대 세포에서는 DMP-1과 DSPP의 순서만 바뀌었다. 치주인대 세포보다 치수 세포에서 모든 유전자의 발현량이 많았다. 이러한 상아질모세포의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다른 조직으로의 분화 가능성이 있는 과잉치 줄기세포는 유용한 공여부로서 그 잠재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from extracted supernumerary teeth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were extracted.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ollected from extracted supernumerary teeth on the same day. After isolation and culture of cells, compare characterization of them by using qRT-PCR. Primer sequences for odontoblasts are ONT, ALP, OCN, DMP-1 and DSPP. On dental pulp group, ONT has the largest quantity of gene expression, followed by OCN, ALP, DMP-1 and DSPP. On periodontal ligament group, ONT has the largest quantity of gene expression, followed by OCN, ALP, DSPP and DMP-1. Analysis of quantit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lative quantification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all genes decreased in periodontal ligament cells.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from supernumerary teeth have the properties of odontoblasts. Considering that properties, supernumerary teeth were considered a useful donor site of dental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 분석

        이상은(Lee Sa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이 글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첫째 역량을 반영한 2015 개정 교육과정 관련 교원 연수 참여 현황, 둘째 참여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인식, 셋째 새 교육과정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와 개선 과제이다. 연구 방법은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역량을 반영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전국 764개교 초등학교 1-4학년, 중ㆍ고등학교 1학년 수업 담당 교사 3,522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연수 참여 현황과 관련하여, 역량교육의 변화에 대한 연수를 받은 교사는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초ㆍ중ㆍ고 전체의 57% 정도였다. 연수 형식별 참여 현황과 관련하여서는 ‘연수기관 중심의 자격ㆍ직무연수’에 참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연수 내용별 참여 현황과 관련하여서는 총론의 주요 변화, 각론의 내용 체계, 교수ㆍ학습 방법, 평가 등의 영역에서 큰 차이 없이 비슷하게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참여한 연수의 효과성 인식 분석 결과, 교사들은 ‘교내 교사 학습 공동체’의 효과가 가장 크다고 평가한 반면, ‘연수기관 중심의 자격 직무연수’ 형식의 효과가 가장 낮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시간적ㆍ물리적 여건 부족’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연수의 실질적인 도움 부족’ 등을 꼽았다. 또한 교원 연수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도움이 되기 위한 개선 과제로는 ‘구체적인 교수ㆍ학습 및 평가 사례 제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원 연수 개선 방향을 모색할 때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tasks of teachers’ participations in in-searvice training programs to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especially with focus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To achieve this aim,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current situation of teachers’ participations in training programs to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2) 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of several types of them, 3) reasons for not participating any types of them and the perception of improvement tasks of exist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online survey. It was conducted to elementary, middle, and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from 764 schools who had implemented competency education in their classrooms. A total number of 3,522 teachers’ respons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57% of them particip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main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any kind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was ‘lack of time and unconformity of physical conditions.’ In addi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government’(52.1%) had the highest rate of teachers’ participations compared to other types of them. Furthermore, teachers reported that the effect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school’ was greatest, while the effect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the government’ was the lowest. Finally, teacher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supply of specific teaching and evaluation cases’ as an improvement task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implement competency education.

      • KCI등재

        학생 주체성 담론의 이론적 지평 및 쟁점 탐색

        이상은 ( Sangeu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1

        최근 학생이 ‘배움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개념 중 하나가 ‘학생 주체성(student agency)’ 이다. 이 개념은 OECD가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형 교육과정의 새로운 교육 비전으로 제시하면서 그 의미와 실천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 글은 학생 주체성 담론을 유행하는 슬로건처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거나 혹은 기존의 유사한 개념과 혼용하여 새로운 정책 아젠다로 만드는 노력을 하기에 앞서, 이 개념을 둘러싼 이론적 지평을 살펴보고, 그 논의에 가정된 학습에서의 주체성 문제를 철학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OECD Education 2030에 제시된 학생 주체성의 의미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학생 주체성 개념의 등장 배경과 의미, 학생 주체성 개념의 이론적 토대, 학생 주체성의 유형과 특징, 학생 주체성 발달을 위한 학습 내용과 과정 등을 다루었다. 다음으로, 최근 국내에서의 학생 주체성 논의 및 실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교육과정 개혁 동향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위상과 역할 변화 및 학생 주체성 강조 흐름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학생 주체성 담론에 가정된 쟁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개인으로서 학생의 자유의지에 관한 이해, 학생 개인의 고유성과 공적 언어로서 교육과정 간의 관계, 학습 주체성립에 있어 책임의 문제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학생 주체성 담론이 주는 매력과 함정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주의 교육과 진보주의 교육의 이분법을 넘어 학생과 교육과정 간의 관계를 해석하는 새로운 언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Student agency’ is a notable concept that derives from the discourse on curriculum reform that has gained attention recently. In particular, efforts are being made to clarify and act on its meani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introduced this concept through its ‘Education 2030’ project as a new vision for future-oriented curriculum.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and to criticise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embedded in it with respec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ent’s subjectivity in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I explor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 agency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Next, I examine the recent dominant interpretations of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and its practices in South Korea. Finally, I critically review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underlying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in terms of student’s subjectivity in learning.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it needs to deliberately consider not only positive possibilities but also negative limitations caused by the discourse of student agency and to imagine a new language to interpre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curriculum beyond the dichotomy of traditional and progressive education.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비난과 혐오 전파에 대하여: COVID-19 을 중심으로

        이상은(Sangeun Lee),김지수(Jisu Kim),김지나(Jina Kim),박은일(Eunil Park),엔젤파스쿠알델포빌(Angel P. del Pobil)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최근 국내 COVID-19 감염을 유발한 대상에 대한 비난 및 혐오 표현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Twitter 에서 COVID-19 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개인, 집단, 지역 및 국가에 따라 비난 표현이 어떠한 형태로 전파되는지 네트워크 척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후, 다변량 분산 분석 결과, 지역 및 국가를 향한 비난의 전파보다 개인에 대한 비난의 전파에 더 많은 이용자들이 참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난 트윗에 대한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의 경우, 개인, 집단, 지역 및 국가에서 비슷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